KR102074199B1 -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 Google Patents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199B1
KR102074199B1 KR1020190059692A KR20190059692A KR102074199B1 KR 102074199 B1 KR102074199 B1 KR 102074199B1 KR 1020190059692 A KR1020190059692 A KR 1020190059692A KR 20190059692 A KR20190059692 A KR 20190059692A KR 102074199 B1 KR102074199 B1 KR 10207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pipe
rings
double
outer layer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전
Priority to KR102019005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05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the first pipe being joined to the ends of two other pipes placed one inside the other, e.g. gas pipe with protective she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부이 견고하며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음 불량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중관이 제공된다.
상기 이중관은 내층과, 내층을 커버하며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외층이 적층된 이중관에 있어서,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이 삽입되는 이음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에 삽입되며, 상기 이음부에서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에는 삽입 방향으로 외경의 값이 작아지는 테이퍼 파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는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의 내층과 접촉하는 접촉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DOUBLE PIPE WHICH SECURES MANUFACTURING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HAS JOINT PART FORMED FIRMLY AND WATERTIGHTLY}
본 발명은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에 관한 것이다.
이중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오폐수, 생활하수, 우수 및 농업용수 등을 공급/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관으로서, 내층과 내층을 커버하는 벨로우즈 형태(Bellows shape)의 외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공 시, 복수의 이중관이 이음 조립되어 하나의 관로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이중관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되며, 토질, 계절 및 습기 등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내약품성에 강하며, 중량이 가벼운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이중관은 동일 직경을 갖는 다수의 이중관을 연결하는 경우,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 부분을 소켓 또는 커플링으로 결합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소켓 등을 이용한 시공 방식은 소켓의 재질이나 가공조건 등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치수를 산출할 수 없으며 열팽창에 따른 변위가 상이하여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8604호”에서는 삽입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이음부(소켓)가 형성된 이중관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등록특허의 이중관에서는 이중관의 소켓부에 테이퍼를 형성하여, 이중관의 일단부를 이웃하는 이중관의 소켓부에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이중관을 일렬로 이어 시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등록특허의 이중관은 이음 부분에 형성된 테이퍼에 의해,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 부분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어, 수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1498604호, 2015년 03월 05일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부이 견고하며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음 불량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중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이중관은 내층과, 내층을 커버하며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외층이 적층된 이중관에 있어서,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이 삽입되는 이음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에 삽입되며, 상기 이음부에서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에는 삽입 방향으로 외경의 값이 작아지는 테이퍼 파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는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의 내층과 접촉하는 접촉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에는 삽입 방향으로 외경의 값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파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음부의 스트레이트 파트와 상기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는 삽입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팁은 상기 삽입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와 동일한 경사도와 경사 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팁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을 식각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팁과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의 사이에는 식각 가공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팁과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의 두께의 값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다른 링의 두께의 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팁의 두께의 값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의 두께의 값보다 작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팁의 외경의 값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의 외경의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의 내층의 내경의 값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외경의 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중관은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과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과 상호 동일한 형태와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의 단부에 접촉팁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팁의 외주면은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와 정밀하게 형합(동일한 경사도와 경사 방향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고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촉팁이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벨로우즈 형태)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을 식각 가공하는 제조 과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의 단순화를 확보할 수 있는 이중관을 제공한다(제조 비용 경감).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중관을 이웃하는 이중관에 단순 삽입하는 직관적이고 단순한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관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3은도 1을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관이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를b-b'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관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a-a'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관이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를 b-b'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구조 및 물성을 가지는 복수의 이중관 중 하나로서,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미도시)이 삽입되고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과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과 상호 동일한 형태와 물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이중관은 삽입 결합에 의해 이어져 하나의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내층(1)과 내층(1)을 커버하며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외층(2)이 적층되어 이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외층(2)은 벨로우즈 형태(Bellows shap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층(1)은 유체가 흐르는 유로로서 활용될 수 있고, 외층(2)은 단열과 완충 기능 등을 수행하여 내층(1)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폴리에틸렌(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및 PVC(PolyVinyl Chlo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를 성형(사출, 압출, 식각 가공 등)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이음부(100)와 삽입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음부(100)는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미도시)이 삽입되어 이음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삽입부(200)는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삽입되어 이음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음부(100)에는 삽입 방향으로 외경의 값(상세하게, 외층의 외경의 값)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파트(110)와, 삽입 방향으로 외경의 값(상세하게, 외층의 외경의 값)이 작아지는 테이퍼 파트(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음부(100)의 스트레이트 파트(110)와 이음부(100)의 테이퍼 파트(120)는 삽입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이음부(100)의 스트레이트 파트(110)는 필수적 파트가 아니며, 설계적 요청에 의해 생략될 수도 있다.
삽입부(200)는 이음부(100)에서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음부(100)와 삽입부(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00)에는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이음부(2100)의 테이퍼 파트(2120)의 내층(3)과 접촉하는 접촉팁(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팁(210)은 삽입부(200)의 외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외주면이 이음부(100)의 테이퍼 파트(120)와 동일한 경사도와 경사 방향을 가질 수 있다(도 2의 (1)(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접촉팁(210)이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이음부(2100)의 내층(3)의 내주면과 정확하게 형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이음 부분의 견고성과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삽입부(200)에서 접촉팁(210)은 삽입부(200)의 외층(2)의 복수의 링(R)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R-1)을 식각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종래의 이중관의 제조 방법과 같이 삽입부(200)의 내층(1)과 외층(2)을 제작한 다음, 외층(2)의 복수의 링(R)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R-1)을 식각 가공하는 간단한 공정만을 추가하여 제조됨으로써, 제조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중관(1000)에서는 접촉팁(210)과 삽입부(200)의 외층(2)의 복수의 링(R)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R-1)의 사이에는 식각 가공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홀(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관(1000)에서는 “접촉팁(210)과 삽입부(200)의 외층(2)의 복수의 링(R)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R-1)의 두께의 값(도 2의 (1) 참조)”은 “삽입부(200)의 외층(2)의 복수의 링(R) 중 다른 링의 두께의 값(도 2의 (2) 참조)”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접촉팁(210)의 두께의 값”은 “삽입부(200)의 외층(2)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의 두께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접촉팁(210)의 외경의 값”은 “삽입부(200)의 외층(2)의 복수의 링의 외경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식각 가공 시, 접촉팁(210)은 외층(2)의 링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외경이 짧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의 접촉팁(210)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깊숙이 삽입되기 용이한 형상을 가지며, 그 결과,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이음부(2100)의 테이퍼 파트(2120)의 내층(3)과 밀착하여 견고성과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관(1000)에서는 이음부(100)의 내층(1)의 내경의 값과 삽입부(200)의 외층(2)의 외경의 값을 동일하게 셋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설계 및 제작 상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삽입된 다음, 추가적인 고무링(미도시) 등의 액세서리를 통해 타잉(Tying)되거나 테이핑(Taping)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서리는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의 삽입부(200)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이음부(210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이음부(2100)의 외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이중관에서 이음부(100)의 테이퍼 파트(120)의 내주면과 접촉팁(21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점착성 물질 및/또는 방수성 물질로 이뤄진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코팅층은 필름막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을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삽입 시,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의 접촉팁(210)의 외주면과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이음부(2100)의 테이퍼 파트(2120)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코팅층의 성질에 의해, 본 발명의 이중관(1000)과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접촉 부분이 더욱 밀착하여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을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삽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의 접촉팁(210)의 외주면을 열처리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다른 변형례에서는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을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삽입 시, 본 발명의 이중관(1000)의 접촉팁(210)이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2000)의 이음부(2100)의 테이퍼 파트(2120)의 내주면에 열융착되어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이중관(1000)의 홈(H)에 보강링이 삽입될 수 있다. 보강링은 홈(H)에 수용되는 동시에 삽입부(200)의 내층(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접촉팁(210)을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팁(210)은 이웃하는 이중관(2000)에 삽입 및 이음부(2100)의 내층(3)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밴딩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고 설계조건 상의 형태를 유지하여, 이웃하는 이중관(200)의 이음부(2100)의 내층(3)과 정밀하게 형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내층과, 내층을 커버하며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외층이 적층된 이중관에 있어서,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이 삽입되며, 외경의 값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파트와 외경의 값이 작아지는 테이퍼 파트가 삽입 방향으로 순차적 배열 형성되어 있는 이음부; 및
    단부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에 삽입되며,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의 내측과 접촉하는 접촉팁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의 스트레이트 파트의 내층의 내경의 값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외경의 값과 동일하여, 상기 삽입부의 단부의 복수의 링의 외주면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부의 스트레이트 파트의 내층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접촉팁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을 외주면이 상기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의 경사와 동일하도록 식각 가공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층의 링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외경이 짧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촉팁의 외주면은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의 이음부의 테이퍼 파트의 내층의 내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접촉팁과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의 사이에는 식각 가공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팁과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의 두께의 값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다른 링의 두께의 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팁의 두께의 값은 상기 삽입부의 외층의 복수의 링 중 삽입 방향으로 마지막에 위치하는 링의 두께의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은 일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과 타측으로 이웃하는 이중관과 상호 동일한 형태와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KR1020190059692A 2019-05-21 2019-05-21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KR10207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92A KR102074199B1 (ko) 2019-05-21 2019-05-21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92A KR102074199B1 (ko) 2019-05-21 2019-05-21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199B1 true KR102074199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92A KR102074199B1 (ko) 2019-05-21 2019-05-21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1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78Y1 (ko) * 2004-08-24 2004-11-17 한승희 공극밀폐부를 갖는 소켓 이중벽관
KR20090129544A (ko) * 2008-06-13 2009-12-17 이종호 단차제거링이 구비된 이중벽관
KR101498604B1 (ko) 2014-12-01 2015-03-05 주식회사 뉴보텍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78Y1 (ko) * 2004-08-24 2004-11-17 한승희 공극밀폐부를 갖는 소켓 이중벽관
KR20090129544A (ko) * 2008-06-13 2009-12-17 이종호 단차제거링이 구비된 이중벽관
KR101498604B1 (ko) 2014-12-01 2015-03-05 주식회사 뉴보텍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48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wave-shaped synthetic resin pipes, wave-shaped synthetic resin pipes used for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S2366746T3 (es) Conjunto integrado de manguera y acoplamiento de material polímero y método para fabricarlo.
BRPI0921779B1 (pt) Acoplamento para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seção de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e método de acoplamento de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101059130B1 (ko)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KR102074199B1 (ko)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KR101801445B1 (ko) 파형관 연결용 이음관
EP1222418B1 (en) Connection piece
JP2002071081A (ja) 可撓性継手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CN110566744A (zh) 管件马鞍接驳结构
JP2003130275A (ja) 管接続方法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0902028B1 (ko) 연결구에 원터치형으로 조립하는 수밀 패킹을 설치한합성수지관
KR200448884Y1 (ko) 합성수지관용 패킹
JP7062859B2 (ja) 管路構造、既設管の更生構造、及び管路構造の製造方法
KR100806879B1 (ko) 이중벽관용 커플러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0334976B1 (ko) 고리조립 접착형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하수관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086074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CN210141400U (zh) 多密封锁扣承插接口
KR20023433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KR200325937Y1 (ko) 이중관 공간내에 아이형 보강부를 가진 소켓 일체형 피이이중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