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689Y1 -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 Google Patents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689Y1
KR200360689Y1 KR20-2004-0015826U KR20040015826U KR200360689Y1 KR 200360689 Y1 KR200360689 Y1 KR 200360689Y1 KR 20040015826 U KR20040015826 U KR 20040015826U KR 200360689 Y1 KR200360689 Y1 KR 200360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wall
ring
socket
double
wal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20-2004-0015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63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two corrugated pipe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 이중벽관의 끝단이 타측 이중벽관의 소켓 내부에 결합될 때, 단차 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링부를 부설함에 따라 단차 제거와 수밀성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이물질, 토사, 슬러지 등이 단차 부위에 축적되는 것을 미연에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는 본체부와 대구경 소켓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천이부가 일체로 주름 형상을 갖되, 상기 천이부의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외경사면(31)을 기준으로 상기 이중벽관 내부의 단차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게 삼각형 단면의 링형상을 갖는 링부(30)와; 상기 링부(30)의 내부에서 탄성효과와 형상기억효과를 작용시키도록 일체로 내장되어 있는 형상기억링(37)을 포함하고, 상기 링부(30)가 상기 단차 부위에 부설되어 상기 단차 부위의 공극을 충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STRUCTURE FOR REMOVING GAP IN DOUBLE WALL CORRUGATED PIPE HAVING SOCKET}
본 고안은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하수 및 빗물과 정화 처리된 산업폐수 등을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콜게이트관, 주름관, 이중벽관 등의 관결합에 관련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 이중벽관은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소재로 성형된 연성 하수관, 집수관, 배수관으로서, 오수, 우수 분류화 공사에서 사용되며, 등간격의 보강리브를 외면에 일체형으로 형성한 이중 관체 형상을 갖는다.
이런 주름 이중벽관은 상기 언급한 합성수지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설치공정이 간단하여 시공이 빠르고 협소한 장소에서 시공이 용이하며, 토질, 계절, 습기, 물기 등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비 절약 및 공기단축에 유리하며, 내약품성에 강하고,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중벽관은 외부관에 해당하는 외벽과 내부관에 해당하는 내벽으로 압출된 후 일체형으로 이중벽을 갖도록 합체되는 것으로서, 통상 직경 10 ㎝ 에서부터 직경 60 ㎝, 길이 6m 정도의 다양한 규격과 재질(소재)을 갖되, 평활한 관 형상의 내벽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의 오링과 같이 주름지거나 주기적으로 굴곡 배열된 외벽을 갖는다.
이런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는 상기 간격마다 중공층이 형성되고, 외벽에 복수개의 산부위와 골부위가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1)은 PVC, PP 등의 합성수지소재에 소정 비율의 내충격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배합하여 내벽과 외벽을 동시에 압출 및 성형할 때, 본체부(2)로부터 소정 확장 비율로 증가된 직경을 갖는 천이부(3)와, 그러한 천이부(3)의 끝단에서 상기 본체부(2)보다 상대적으로 대구경으로 형성된 소켓부(4)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관부재이다.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1)의 소켓부(4)의 내경에는 이중벽관용 패킹(20)에 의해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게 다른 이중벽관(10)의 끝단이 삽입 결합된다.
또한, 이중벽관(1, 10)은 제조시에 규격 길이로 절단되거나, 관연결 시공을 위해 필요한 길이로 절단될 때, 통상 골부위(13)를 기준으로 절단된다. 이런 연유로, 이중벽관(10)의 끝단(11)에는 상기 골부위(13)를 절단할 때 상기 산부위(12) 보다 축방향으로 약간 돌기된 형상이 형성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1)의 천이부(3)에는 테이퍼면(6)이 형성되어 있는 연유로 인하여, 삽입 결합시 다른 이중벽관(10)의 끝단(11)측 산부위(12)의 코너(12a)가 직접 상기 테이퍼면(6)에 부딪치거나 접촉되어 각각 발생되는 충격 또는 압착 하중에 의해서, 결국 테이퍼면(6) 또는 산부위(11)의 코너가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이중벽관(1)의 천이부(3)의 테이퍼면(6)의 경사 특성과 그러한 이중벽관(1)의 소켓부(4)에 삽입되는 이중벽관(10)의 끝단(11)의 절단 형상에 의해서, 상기 테이퍼면(6) 또는 산부위(12)의 코너(12a)가 취약해지는 것을 무시한 채로 다른 이중벽관(10)을 소켓부(4)의 내경에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만큼 끝까지 삽입 결합시키더라도, 필연적으로, 상기 천이부(3)의 테이퍼면(6)과 상기 끝단(11)의 사이에 단차 부위(5)가 형성된다.
단차 부위(5)는 직각 삼각형 단면에 가까우면서도 이중벽관(10)의 산부위(11)의 경사각에 대응하게 경사져 있으면서 턱을 갖는 환 형상의 공극이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이중벽관(1, 10)이 하수관, 집수관, 배수관으로서 시공된 후 사용될 때, 단차 부위(5)에 이물질, 토사, 슬러지, 부유물 등이 축적되고 지저분해짐과 함께,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고, 심한 경우 관 전체를 막아 하수가 더이상 흐르지 못하게 막을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공간에 쌓인 토사물, 슬러지 등이 썩어서 악취의 원인이 되고 이러한 토사물의 위에 식물 등이 발아하여 그 뿌리가 관경을 파손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한, 단차 부위(5)에 관통하게 연결되며 소켓부(4)의 내벽과 타측 이중벽관(10)의 외벽 사이에 존재하는 다른 공극(5a)에도 이물질, 토사, 슬러지, 부유물 등이 유입되어서, 이중벽관용 패킹(20)의 수밀성 유지에 방해가 된다.
또한, 이중벽관(1, 10)은 대량 양산을 위하여, 압출기의 복수개의 노즐로부터 외벽 및 내벽 압출용 가용성 소재가 분사되어 원통형 다이스의 축방향으로 유동할 때 공기펌프로부터 맥동 형식의 공기가 외벽 및 내벽 압출용 가용성 소재의 사이에 분사됨에 따라 상호 이격된 후 각각의 몰드가 연속적으로 주름 이중벽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합체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반복하는 캐터필러(caterpillar) 몰드 장치를 포함한 이중벽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며, 이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상기 원통형 다이스의 외경에 대응한 내벽 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테이퍼면(6)을 기준으로 한 위치에 특정한 돌기 부위를 제조시에 형성하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만일 단차 부위의 공극을 없애기 위해서, 이중벽관의 골부위를 길게 돌출하게 절단하는 작업도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 자체의 강도 또는 연결 부위의 강도를 취약하게 하여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삽입되는 타측 이중벽관(10)의 끝단(11)의 상부위를 삼각형 단면과 유사하게 면취할 때 새로운 공극(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된 중공층)이 발생되거나구조적 강성이 취약해지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 이중벽관의 끝단이 타측 이중벽관의 소켓 내부에 결합될 때, 단차 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링부를 부설함에 따라 단차 제거와 수밀성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이물질, 토사, 슬러지 등이 단차 부위에 축적되는 것을 미연에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벽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중벽관의 내부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사용된 제1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사용된 제2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3링부의 변형예인 제4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이중벽관 2 : 본체부
3 : 천이부 4 : 소켓부
20 : 이중벽관용 패킹 31, 41 : 외경사면
30 : 제1링부 37 : 형상기억링
40 : 제2링부 47 : 고정부
48 : 분리방지립 49 : 요홈
50 : 제3링부 60 : 제4링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부와 대구경 소켓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천이부가 일체로 주름 형상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의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외경사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중벽관 내부의 단차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게 삼각형 단면의 링형상을 갖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내부에서 탄성효과와 형상기억효과를 작용시키도록 일체로 내장되어 있는 형상기억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부가 상기 단차 부위에 부설되어 상기 단차 부위의 공극을 충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부와 대구경 소켓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천이부가 일체로 주름 형상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의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외경사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중벽관 내부의 단차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게 삼각형 단면의 링형상을 갖는 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부가 상기 외경사면과 상기 내경사면이 만나는 부위에서 일체형으로 상기 이중벽관의 산부위의 폭에 대응하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에서 하향으로 돌기되고, 상기 이중벽관의 골부위에 끼워 결속되게 돌출된 고정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부와 대구경 소켓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천이부가 일체로 주름 형상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의 내측에 위치한 단차 부위에 부설되도록,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는 타측 이중벽관의 산부위의 코너가 상기 천이부의 테이퍼면에 매우 근접할 때를 기준으로, 상기 타측 이중벽관의 끝단과, 상기 테이퍼면의 시작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 폭과 높이를 갖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가 상기 단차 부위의 공극에 대응한 링형상으로서, 내부가 모두 충진된 삼각 단면 형상을 갖거나, 또는 보강재를 갖는 직각 삼각 앵글 단면 형상을 갖고,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테이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사용된 제1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사용된 제2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3링부의 변형예인 제4링부에 의한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는 제1링부(30)를 단차 부위에 부설함에 따라서, 단차 부위의 직각 삼각형 단면에 가까우면서도 이중벽관의 산부위의 경사각에 대응하게 경사져 있으면서 턱을 갖는 환 형상의 공극을 충진시켜 기밀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중벽관간 결합시에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는 구조이다.
제1링부(30)는 전체적으로 그의 형상을 살펴볼 때, 직각 삼각형 단면에 가까운 단면 형상으로서 원형 링형상을 갖고, 수밀성을 갖고 충진용으로 사용되는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경질 수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링부(30)는 이중벽관의 천이부의 테이퍼면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경사져 있으며, 상기 테이퍼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된 외경사면(31)을 갖는다.
제1링부(30)는 외경사면(31)의 하부에서 이중벽관의 축방향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되, 상기 단차 부위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거나 약간 짧은 길이의 내주면(32)을 갖는다.
제1링부(30)는 내주면(32)의 우측에 이중벽관의 내벽과 외벽의 두께를 합한 값에 대응한 높이와, 이중벽관의 골부위 저면쪽 폭의 1/2 값에 해당하는 길이의 직각턱(33)을 갖는다. 직각턱(33)은 절단에 의해 약간 돌출된 이중벽관의 끝단을 기밀하게 감싸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링부(30)는 직각턱(33)의 상방향으로 이중벽관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된 라운드면(34)을 갖는다.
제1링부(30)는 라운드면(34)의 상부에서 이중벽관의 외벽의 산부위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되어 있되, 산부위의 경사면에 대응한 경사 각도로 형성된 내경사면(35)을 갖는다.
제1링부(30)는 내경사면(35)의 상부에서 이중벽관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외경사면(31)과 만나는 수직면(36)을 갖는다.
제1링부(30)는 직각 삼각형 단면 축심에 환 형상의 형상기억링(37)이 형성되어 있다.
형상기억링(37)은 통상 금속재료로 만들어져서 탄성한도 이상에서 변형되고 이후 소성 변형된 후 영구적으로 잔류하게 되는 링과 달리, 항복점에서 변형하여 인식가능한 정도로 소성변형을 부여하고 가열하거나 변형원인이 소실되면 변형전의 형상으로 복귀되는 특성을 갖되, Ti-Ni계, Cu계, Fe계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기억링(37)은 제1링부(30)를 형상기억효과에 의해 원형 형상으로 복원 및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함과 함께, 탄성효과에 의해 부설 위치에서 스스로 자리를 잡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형상기억링(37)은 제1링부(30)를 이중벽관의 소켓부의 내경에 구겨서 용이하게 삽입시키더라도, 소켓부의 천이부의 테이퍼면의 위치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기 때문에 제1링부(30)의 부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서는 작업자가 형상기억링(37)을 갖는 제1링부(30)의 외경사면이 먼저 삽입되도록 기준을 잡은 후, 일측 이중벽관(1)의 소켓부(4)의 내경에 형상기억링(37)을 갖는 제1링부(30)를 삽입 후, 천이부(3)의 테이퍼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제1링부(30)는 작업자에 의해 삽입될 때 비록 뒤틀리거나 휨변형이 발생되더라도, 형상기억링(37)의 탄성효과와 형상기억효과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쉽게 복원되어 부설된다.
작업자는 타측 이중벽관(10)의 골부위에 이중벽관용 패킹(20)을 부설하고, 윤활제와 접착제를 이중벽관용 패킹(20) 주위에 도포한다.
이후, 작업자는 이중벽관용 패킹(20)이 설치된 타측 이중벽관(10)의 끝단(11) 일부를 소켓부(4)의 내경에 삽입시킨다.
작업자는 통상의 장선기를 일측 이중벽관(1)과 타측 이중벽관(10)에 설치하고, 그런 다음 장선기의 작동을 시작하여 타측 이중벽관(10)이 일측 이중벽관(1)의 소켓부(4)의 내부로 수평 이동시키고, 타측 이중벽관(10)의 끝단(11)이 제1링부(30)에 밀착할 때 장선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이중벽관(1, 10) 간의 결합에 따라 소켓부(4)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단차 부위에 제1링부(30)가 부설됨에 따라 단차 부위의 공극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제1링부(30)는 각각 대응하는 소켓부(4)의 내표면에 외경사면(31)을 비롯하여 그의 내주면, 직각턱, 라운드면, 내경사면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통해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제2링부(40)의 부설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링부(40)는 원형 링형상을 갖는 상기 제1링부와 유사 또는 동일한 외경사면(41), 내주면(42), 직각턱(43), 라운드면(44), 내경사면(45)을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링부(40)는 외경사면(41)과 내경사면(45)이 만나는 부위에서 일체형으로 외경사면(41)의 높이에서 내경사면(45)의 높이를 뺀 소정 두께와, 이중벽관(1, 10)의 산부위(12)의 폭에 대응한 연장 길이를 갖는 연장부(46)를 형성하고 있다.
제2링부(40)는 연장부(46)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접어져 부드러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중벽관(1, 1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후방으로 경사져 있으면서 그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그의 직경이 모두 동일하게 돌출형성한 다수의 분리방지립(48)을 형성하고 있다.
제2링부(40)는 다수의 분리방지립(48)에 의해 이중벽관용 패킹(20)과 함께 이중 수밀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링부(40)는 연장부(46)의 끝단부에서 하향으로 돌기되고, 이중벽관(1, 10)의 골부위에 끼워 결속되게 돌출된 고정부(47)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경우 내경사면(45)과 연장부(46)와 고정부(47)에 둘러싸인 부위에는 요홈(49)이 형성된다.
제2링부(40)는 앞서 설명한 제1링부와 달리 PVC, PE 등과 같은 연질 수밀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47)가 타측 이중벽관(10)의 골부위(13)에 체결된 상태로 소켓부(4) 내부의 단차 부위에 부설되어 공극을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제2링부(40)는 앞서 설명한 제1링부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상호 결합되는 이중벽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링부(40)는 이중벽관용 패킹(20)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2링부(40)의 후방부와 이중벽관용 패킹(20)의 전방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연결부가 더 형성되어서 ''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거나, 또는 연결부 없이 제2링부(40)의 후방부와 이중벽관용 패킹(20)의 전방부가 상호 겹쳐져서 ''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는 일측 이중벽관의 소켓부에 삽입되는 타측 이중벽관의 산부위(12)의 코너(12a)가 상기 테이퍼면(6)에 매우 근접할 때를 기준으로, 타측 이중벽관의 끝단(11)과, 상기 소켓부의 천이부의 테이퍼면(6)의 시작점 사이의 거리(w)에 대응한 폭과 높이를 갖는 제3링부(50)가 단차 부위에 부설되어 공극을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제3링부(50)는 단차 부위의 공극에 대응한 링형상으로서, 내부가 모두 충진된 삼각 단면 형상(도시 안됨)을 갖거나, 또는 보강재(59)를 갖는 직각 삼각 앵글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3링부(50)의 경사면은 상기 테이퍼면(6)과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접착제층(51)은 상기 제3링부(50)의 경사면의 면적에 대응한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테이퍼면(6)과 상기 제3링부(50)의 경사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제3링부(50)를 단차 부위에 부설 및 부착시킨다.
이런 제3링부(50)는 상대적으로 작은 링 직경을 갖기 때문에 제작시 재료비가 적게 들고, 삽입 및 부착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제4링부(60)는 앞서 설명한 제3링부(50)와 유사하게 단차 부위의 공극에 대응한 링형상으로서 타측 이중벽관의 끝단(11)과, 상기 소켓부의 천이부의 테이퍼면(6)의 시작점 사이의 거리(x)에 대응한 폭과 높이의 삼각 단면 또는 직각 삼각 앵글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런 제4링부(60)는 내부가 모두 충진된 삼각 단면 형상을 갖거나, 또는 보강재(69)를 갖고, 상기 단면 형상의 상부에서 스커트 형상으로 상기 테이퍼면(6)의 경사기울기에 대응하게 확장되는 확장립(62)을 일체형으로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제4링부(60)는 그의 경사면과 확장립(62)을 모두 합한 면적에 대응한 접착제층(61)에 의해서 단차 부위에 부설 및 부착된다.
여기서, 확장립(62)은 일측 이중벽관의 소켓부에 삽입되는 타측 이중벽관의산부위(12)의 코너(12a)가 상기 테이퍼면(6)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는 관의 접속부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단차 부위의 공극을 제거함에 따라, 슬러지, 부유물, 이물질 등이 적층되지 않게 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관 전체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악취의 원인을 제거하고, 토사물의 위에 식물 등이 발아하여 그 뿌리가 관경을 파손하는 문제점을 일소에 해소시킬 수 있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는 형상기억링을 갖는 제1링부의 형상기억효과와 탄성효과에 의해 부설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부설 후 스스로 자리를 잡아가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이중벽관용 패킹과 함께 이중 수밀 기능과 공극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는 제2링부를 이중벽관용 패킹이 설치된 곳에 결합시켜 삽입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2링부가 수밀성이 뛰어난 연질 수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는 이중벽관의 천이부의 테이퍼면과 다른 이중벽관의 끝단이 상호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링부가 개재되어 있어 완충 작용을 함에 따라, 충격 또는 압착 하중으로부터 접촉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본체부와 대구경 소켓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천이부가 일체로 주름 형상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의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외경사면(31)을 기준으로 상기 이중벽관 내부의 단차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게 삼각형 단면의 링형상을 갖는 링부(30)와;
    상기 링부(30)의 내부에서 탄성효과와 형상기억효과를 작용시키도록 일체로 내장되어 있는 형상기억링(37)을 포함하고,
    상기 링부(30)가 상기 단차 부위에 부설되어 상기 단차 부위의 공극을 충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30)는 상기 외경사면(31)의 하부에서 상기 이중벽관의 축방향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되, 상기 단차 부위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거나 약간 짧은 길이의 내주면(32)과; 상기 내주면(32)의 우측에 상기 이중벽관의 내벽과 외벽의 두께를 합한 값에 대응한 높이와, 상기 이중벽관의 골부위 저면쪽 폭의 1/2 값에 해당하는 길이의 직각턱(33)과; 상기 직각턱(33)의 상방향으로 상기 이중벽관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된 라운드면(34)과; 상기 라운드면(34)의 상부에서 상기 이중벽관의 외벽의 산부위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되어 있되, 산부위의 경사면에 대응한 경사 각도로 형성된 내경사면(35)과, 상기 내경사면(35)의 상부에서 상기 이중벽관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외경사면(31)과 만나는 수직면(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3. 본체부와 대구경 소켓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천이부가 일체로 주름 형상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의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외경사면(41)을 기준으로 상기 이중벽관 내부의 단차 부위의 형상에 대응하게 삼각형 단면의 링형상을 갖는 링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링부(40)가 상기 외경사면(41)과 내경사면(45)이 만나는 부위에서 일체형으로 상기 이중벽관의 산부위의 폭에 대응하게 연장된 연장부(46)와,
    상기 연장부(46)의 끝단부에서 하향으로 돌기되고, 상기 이중벽관의 골부위에 끼워 결속되게 돌출된 고정부(4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40)는 이중벽관용 패킹(20)을 갖는 이중벽관의 골부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고정부(47)를 결합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40)는 상기 이중벽관용 패킹(20)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링부(40)의 후방부와 상기 이중벽관용 패킹(20)의 전방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연결부가 더 형성된 ''와 같은 단면 형상, 또는 연결부 없이 상기 제2링부(40)의 후방부와 상기 이중벽관용 패킹(20)의 전방부가 상호 겹쳐진 ''와 같은 단면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40)는 상기 연장부(46)의 외주면에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직경이 모두 동일하게 돌출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로 다수개인 분리방지립(4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7. 본체부와 대구경 소켓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천이부가 일체로 주름 형상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의 내측에 위치한 단차 부위에 부설되도록,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는 타측 이중벽관의 산부위(12)의 코너(12a)가 상기 천이부의 테이퍼면(6)에 매우 근접할 때를 기준으로, 상기 타측 이중벽관의 끝단(11)과, 상기 테이퍼면(6)의 시작점 사이의 거리(w, x)에 대응한 폭과 높이를 갖는 링부(50, 60)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50, 60)가 상기 단차 부위의 공극에 대응한 링형상으로서, 내부가 모두 충진된 삼각 단면 형상을 갖거나, 또는 보강재(59, 69)를 갖는 직각 삼각 앵글 단면 형상을 갖고, 접착제층(51, 61)에 의해 상기 테이퍼면(6)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60)는 상기 단면 형상의 상부에서 스커트 형상으로 상기 테이퍼면(6)의 경사기울기에 대응하게 확장되는 확장립(62)을 일체형으로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20-2004-0015826U 2004-06-07 2004-06-07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200360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826U KR200360689Y1 (ko) 2004-06-07 2004-06-07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826U KR200360689Y1 (ko) 2004-06-07 2004-06-07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689Y1 true KR200360689Y1 (ko) 2004-09-01

Family

ID=4934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826U KR200360689Y1 (ko) 2004-06-07 2004-06-07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68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04B1 (ko) * 2014-12-01 2015-03-05 주식회사 뉴보텍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101534600B1 (ko) * 2014-12-01 2015-07-09 주식회사 뉴보텍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101556217B1 (ko) 2014-12-10 2015-10-01 주식회사 뉴보텍 내식성 및 내구성 합성수지조성물로 성형된 이중벽관
KR20160044766A (ko) * 2014-10-16 2016-04-2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766A (ko) * 2014-10-16 2016-04-2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45282B1 (ko) * 2014-10-16 2016-08-08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498604B1 (ko) * 2014-12-01 2015-03-05 주식회사 뉴보텍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101534600B1 (ko) * 2014-12-01 2015-07-09 주식회사 뉴보텍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101556217B1 (ko) 2014-12-10 2015-10-01 주식회사 뉴보텍 내식성 및 내구성 합성수지조성물로 성형된 이중벽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94358A (en) Pipe sleeve
KR200360689Y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101902536B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
KR101498604B1 (ko)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US5806566A (en) Storm drainage conduit plug and sealing band therefor
KR200368078Y1 (ko) 공극밀폐부를 갖는 소켓 이중벽관
JP2006248116A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AU7863598A (en) Drainage channel and pipe assembly
JP3754141B2 (ja) 下水管
JP3561393B2 (ja) 案内路付縦管
KR101034530B1 (ko) 유지 보수용 상,하수관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KR200393558Y1 (ko) 소켓이중벽관의 단차링 결합구조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JP7372631B2 (ja) ライニング部材
JP4203932B2 (ja) 集水管
US20090243287A1 (en) Down spout clean-out adapter
JP3100872U (ja) 管継手
JP3181553B2 (ja) 勾配水路面を有する単位管渠型側溝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勾配水路面を有する連設管渠型側溝体
JPH0738467Y2 (ja) 推進工法用埋設管
KR100470981B1 (ko) 토목 및 도로매설용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KR100393554B1 (ko) 다중관
JP3763875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