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600B1 -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 Google Patents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600B1
KR101534600B1 KR1020140169951A KR20140169951A KR101534600B1 KR 101534600 B1 KR101534600 B1 KR 101534600B1 KR 1020140169951 A KR1020140169951 A KR 1020140169951A KR 20140169951 A KR20140169951 A KR 20140169951A KR 101534600 B1 KR101534600 B1 KR 10153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ing
end protection
protection r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정재원
정한기
박점옥
조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4016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서,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을 갖고, 상기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한 소켓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는 배치되는 접합층; 및 상기 접합층을 통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끝단보호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DOUBLE WALL CORRUGATED PIPE HAVING END PROTECTION RING}
본 발명은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하수 및 빗물과 정화 처리된 산업폐수 등을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는데 사용되는 하수관거로서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관은 지하에 매설되어서 우수, 오폐수 농업용수 등을 통과시키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소재의 파이프 배관 부재로서, 장시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상 간편하고, 배관 부재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하고, 토질, 계절, 습기, 물기 등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비 절약 및 공기단축에 유리하며, 내약품성에 강하고,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여야 한다.
우수, 오폐수 등과 같은 각종 하수나 농업용수 등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에 의해 수송되는데 하수관 내부는 물이 정지되었다가 흐르는 반복적인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이중벽관은 합성수지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직경 10 ㎝ 에서부터 직경 60 ㎝, 통상 길이 6m 정도의 다양한 규격과 재질(소재)을 갖는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이중벽관은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 형상의 내벽과, 내벽의 외부에서 배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된 복수개의 오링(o-ring)과 같이 주름진 외벽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벽관은 통상적으로 내벽과 외벽을 합하였을 때의 두께가 1.5 ∼ 2.6㎜ 중 어느 하나의 두께 치수를 가지고 있고, 내벽의 내원주면으로부터 외벽의 외원주면까지의 산 높이는 8 ∼ 25㎜ 내외일 수 있다.
또한, 이중벽관은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중공형태의 공기층 또는 중공층을 형성하고 있고, 압출 당시 가열되고, 이후 냉각 또는 자연 대로에 의해 온도가 떨어지는 온도 변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상기 공기층 또는 중공층으로 인하여, 울퉁불퉁한 표면이 내벽의 내주면에서 배관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기도 한다.
특히, 이중벽관은 특허문헌2와 같이,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일체형 소켓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소켓부의 내벽의 내주면에는 역시 앞서 언급한 울툴불퉁한 표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측 이중벽관의 소켓부에 결합시키려는 타측 이중벽관의 본체부의 끝단부 및 그 끝단부에 미리 결합되어 있는 수밀용 고무링이 손쉽게 소켓부에 삽입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종래 기술의 이중벽관은 전체 외형 규격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고 산 높이에 대응한 중공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 적재시 부주위로 지면에 떨어질 경우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벽과 내벽이 합체되어 있는 이중벽관의 본체부의 끝단 또는 소켓부의 끝단은 압출 제작에 의한 공정상 한계 또는 재질적 한계로 인해서, 외벽과 내벽이 맞닿아 있는 끝단에서 내구성 또는 강성 유지가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취급 단계에서 충격이 이중벽관의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에 가해질 경우, 끝단에 크랙이 발생되고, 배관 시공 이후 방치된 크랙으로 인하여 대형의 하수 누출사고의 발생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 배관 작업 및 보수에 따르는 자재의 낭비와 인건비의 추가 등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이중벽관의 제조시 내벽의 내측에 별도의 벽 또는 층을 더 형성시킬 경우, 내벽 두께 및 외벽 두께를 서로 일치시킬 수 없어 품질관리가 어렵고, 일반적인 이중벽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시공 및 취급 관리가 불편하고, 시공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벽관의 제조시 내벽과 외벽의 경계지점의 끝단에 불규칙한 돌기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중벽관의 내부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단차 제거용 링부와 기밀하게 면접촉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6646호(2003.12.09)
(특허문헌2)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1505호(2003.10.1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벽관의 관체의 내벽 및 외벽의 끝단에 끝단보호링을 더 결합시켜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관체의 끝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중벽관의 보관, 운반, 조립 시공 도중, 크랙 또는 스크래치가 관체의 끝단에 발생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을 갖는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한 소켓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는 배치되는 접합층; 및 상기 접합층을 통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끝단보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중벽관의 관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가공부가 상기 관체의 소켓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의 내주면을 감싸는 링내측부; 상기 링내측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 및 외벽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 및 상기 링측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을 갖는 링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에서 상기 링경사부, 상기 링측면부 및 상기 링내측부의 내표면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외벽 외측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게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링경사부, 상기 링측면부 및 상기 링내측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접합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링경사부, 상기 링측면부 및 상기 링내측부과 상기 접합돌기 사이의 경계면에 프라이머층이 더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관체의 외벽 및 내벽용 합성수지소재보다 강도 또는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사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체, 열가소성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탄성소재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끝단보호링은, 이중벽관의 관체의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상기 끝단의 내벽 및 외벽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 및 상기 링측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을 갖는 링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끝단보호링은 접합층을 통해서, 상기 이중벽관의 관체의 끝단의 내벽 및 외벽의 측면 또는 표면에 접합되고, 상기 링측면부의 저부가 상기 내벽의 내주면과 동일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의하면, 이중벽관의 관체의 내벽 및 외벽의 끝단에 결합된 끝단보호링을 통해서, 외부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관체의 끝단의 손상, 크랙, 스크래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끝단보호링의 링측면부의 외표면이 평활한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중벽관의 내부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단차 제거용 링부의 수직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면접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끝단보호링이 이중벽관의 관체에 마련되어서,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월등한 외압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연약지반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크립(creep)특성이 낮아 장기간 하중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활하중에 의한 연직토압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고,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중공층이 없는 파이프 배관 부재에 비하여, 동일 체적 대비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워서, 운반,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우천시에나 수중에서도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가 단축되며 더불어 시공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소켓부를 통해서 별도의 소켓 연결 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관대 관연결의 원터치 시공으로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시공에 따른 공기단축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또한, 본 발명은 부속자재의 간소화로 시공성 우수 및 부속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체와 끝단보호링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관체와 끝단보호링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이 이중벽관의 관체의 본체부 및 소켓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의 응용예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의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또는 응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체와 끝단보호링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3)과, 상기 외벽(3)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2)을 갖는 이중벽관의 관체(1)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중벽관의 관체(1)의 내벽(2) 또는 외벽(3)은 폴리에틸렌(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중벽관의 관체(1)는 연속 압출성형법을 기초로 하여 내벽(2) 및 외벽(3)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횡단면 기준으로, 내벽(2)과 외벽(3)의 사이에 중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중벽관의 관체(1)는 복수대의 압출기, 압출기 다이스, 원통형 냉각기, 외벽(3)용 제1노즐, 공기노즐, 내벽(2)용 제2노즐, 원통형 냉각기, 캐터필터 몰드 장치, 관체 절단장치, 관체 지지 및 이송 구조물, 소켓 확관장치를 포함하는 이중벽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출기는 이중벽관의 내벽(2) 또는 외벽(3)용 합성수지소재(콤파운드)를 용융시켜 압출기 다이스 쪽으로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하는 관 제작용 압출 설비이다.
압출기 다이스는 압출기의 출구쪽에 배관되어서 압출용 가용성 소재를 공급받고, 상기 제1노즐, 제2노즐에 각각 대응하게 해당 가용성 소재를 공급한다.
원통형 냉각기는 압출기 다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1노즐, 제2노즐에서 각각 압출되는 가용성 소재를 오링 형상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도록 하면서 냉각 및 경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캐터필터 몰드 장치는 복수개로서, 각각 한 조를 이루는 몰드들을 갖는다. 각 몰드들은 관체(1)의 축심을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배열된 한 쌍의 무한궤도형 체인에 결합되어 있다. 이런 무한궤도형 체인에 의해서 복수의 몰드들은 이중벽관의 관체의 초기 위치에서 상하로 벌려져 있다가 비율적으로 축심쪽으로 이동하면서 마주 보는 몰드들끼리 형합 및 합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합체된 복수의 몰드 조합들은 내벽(2)과 외벽(3)을 서로 융착시켜 안정화시키는 중간 위치를 수평하게 이동한 이후, 후기 위치에서 다시 상하로 벌려지면서 분체되고, 이렇게 분체된 복수의 몰드 조합들이 다시 무한궤도처럼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반복적 작동을 동력 차단, 급정지, 고장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내벽(2) 및 외벽(3)의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관체 절단장치는 캐터필터 몰드 장치를 통과한 이중벽관의 관체(1)를 미리 정한 길이(예 : 6m) 만큼 절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관체 지지 구조물은 복수의 롤러 또는 반송장치를 이용하여 절단된 관체(1)를 가이드하거나 축방향(예: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소켓 확관장치는 관체지지 구조물의 후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관체의 직경 확장을 위하여 본체부의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체적 확장 장치, 본체부의 끝단 외부에 배치되는 확관용 합체 및 분체 몰드, 확관용 합체 및 분체 몰드에 구비되는 가열부 및 냉각부를 포함한다. 소켓 확관장치는 하기에 설명한 소켓부를 형성하면서 소켓부의 끝단에 테이퍼 가공부를 형성하는 제조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내벽(2)은 조도계수 0.010을 갖는 것으로서, 통수율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관체(1)는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3)과, 상기 외벽(3)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2)을 갖는다. 즉, 관체(1)의 외벽(3)은 전체적으로 반복된 산 및 골에 의해 주름진 외형상을 갖지만, 각각의 주름이 오링 형상과 같이 독립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강성 및 수밀 특성이 매우 양호할 수 있다.
이중벽관의 관체(1)에서 본체부(M) 또는 소켓부(S)의 끝단에는 끝단보호링(200)이 접합된다.
끝단보호링(200)은 본체부(M) 또는 소켓부(S)의 끝단을 감싸면서 보호하거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끝단보호링(200)은 관체(1)의 운반, 적재, 이동 또는 설치 이후, 충격력, 지속적인 지반하중에 의한 하중 등의 외력이 작용되는 곳으로서, 크랙 발생 예상 부위에 해당하는 본체부(M) 또는 소켓부(S)의 끝단을 감싸듯이 보강하여 끝단의 강도 증가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끝단에 밀착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관체(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내벽(2) 및 외벽(3)을 구비한 본체부(M)와,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본체부(M)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M)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2) 및 외벽(3)을 구비한 소켓부(S)를 포함한다.
이중벽관 제조장치는 본체부(M)를 만든다. 이후, 본체부(M)의 끝단은 소켓 확관장치를 경유하여 소켓부(S)가 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관체(1)의 본체부(M)의 내벽(2) 또는 외벽(3)은 폴리에틸렌(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소재로서 동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체(1)의 규격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끝단보호링(200)은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면서 관체(1)의 끝단과 끝단보호링(200) 사이에 개재된 해당 접합층(210)에 의해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끝단보호링(200)은 관체(1)의 규격에 대응하게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끝단보호링(200)은 이중벽관의 관체(1)의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의 직경에 대응하게 링형상을 갖는다.
끝단보호링(200)은 상기 본체부(M) 또는 도 1에 도시된 소켓부(S)의 내벽의 내주면을 감싸는 링내측부(220)와, 상기 링내측부(22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M) 또는 상기 소켓부(S)의 끝단의 내벽(2) 및 외벽(3)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230)를 포함한다.
특히, 끝단보호링(200)의 링측면부(230)의 외표면이 평활한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제거용 링부(30)의 수직부(33)에 대하여 기밀하게 면접촉될 수 있다.
또한, 끝단보호링(200)은 상기 링측면부(230)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241)을 갖는 링경사부(240)를 포함한다.
끝단보호링(200)은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도 2의 관체(1)의 외벽(3) 및 내벽(2)에 사용한 합성수지소재보다 강도 또는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의 합성수지소재이거나,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체, 열가소성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탄성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는 쇼어 경도 Hs 30∼6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도를 갖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관체와 끝단보호링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끝단보호링(200)은 접착층(210)을 통해 관체(1)의 끝단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이 이중벽관의 관체의 본체부 및 소켓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M) 및 소켓부(S)를 갖는 일측 관체(1)와, 그 일측 관체(1)에 연결시키려는 타측 관체(미 도시)를 서로 결합 또는 배관될 수 있다.
이때, 일측 관체(1)에 결합된 끝단보호링(200)이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끝단보호링(200) 자체가 타측 관체의 소켓부의 구멍의 내벽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마모 또는 희생되는 웨어부(wear memb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끝단보호링(200)은 관체(1)의 끝단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관체(1)의 끝단의 손상, 크랙, 스크래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M)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소켓부(S)가 시작되는 지점에는 천이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천이부(23)의 내측 경사면에는 단차 제거용 링부(30)가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단차 제거용 링부(30)는 내벽(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내경부(31)와, 상기 천이부(23)에 대응하여 면접촉할 수 있는 경사외경부(32)와, 내경부(31)에서 수직하게 경사외경부(32)까지 연장된 수직부(33)를 가지고 있다.
단차 제거용 링부(30)의 경사외경부(32)는 천이부(23)의 내측 경사면에 대하여 접합될 수 있다.
또한, 관체(1)의 소켓부(S)의 끝단은 소켓부(S)의 평활 원통 부위에 비하여 테이퍼 가공이 더 되어 있어서, 관체 연결 자유도를 더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관체(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가공부(22)가 관체(1)의 소켓부(S)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가공부(22)의 경사 각도(Q)만큼 바깥쪽으로 갈수록 확대된 구멍이 관체(1)의 소켓부(S)의 끝단에 형성됨으로써, 서로 연결하려는 관체(1)간 삽입 방향이 서로 완전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관체 연결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관체(1)의 본체부(M)에서 두 번째 골에는 이중벽관 전용 또는 수밀용 고무링(미 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수밀용 고무링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epichlorohydrin polymer), EPM(ethylene propylene monomer), IIR(isobutylene isoprene rubbe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 중 어느 하나의 고무재질로서 접합방식을 통해 우수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EPDM 고무재질은 내화학성, 내염소성, 내오존성 등과 같은 공인된 성능 특성을 가지고 있고,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에 끝단보호링이 결합된 응용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의 응용예에 따른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끝단보호링(200a,200b)의 링내측부(220), 링측면부(230) 및 링경사부(240)의 내표면(201)의 형상은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의 레이아웃 또는 외벽 외측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게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이루어져서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끝단보호링(200a,200b)에서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의 내표면(201)에는 도 3과 같이 돌기 없는 표면이 형성되거나,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돌기 없는 표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접착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복수개의 접합돌기(250)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돌기(250)는 0.5 ~ 1㎜ 직경 및 높이를 갖는 소형 돌기로서 사출 성형을 통해서 끝단보호링(200a,200b)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접합돌기(250)는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의 내표면(201)의 평면적을 증대시켜서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과, 접합면에 미세 먼지 등을 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접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끝단보호링(200a,200b)은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의 외형 또는 디자인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그려진 것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보호링(200b)은 링경사부(240), 링측면부(230) 및 링내측부(220)와 상기 접합돌기(250)의 사이의 경계면에 프라이머층(260)이 더 개재되어 있다. 프라이머층(260)은 접합용으로 코팅 가공되어서 더욱더 접합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고, 충격에 강한 끝단보호링(200b)의 접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끝단보호링의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끝단보호링(200c)은 이중벽관의 관체(1)의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2) 및 외벽(3)의 측면을 감싸되, 내벽(2)의 내주면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끝단보호링(200c)은 이중벽관의 관체(1)의 본체부 또는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2)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서, 상기 끝단의 내벽(2) 및 외벽(3)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230)와, 상기 링측면부(230)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3)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241)을 갖는 링경사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링측면부(230) 및 링경사부(240)를 포함하는 끝단보호링(200c)의 내표면(201)의 형상은 이중벽관의 관체(1)의 끝단의 내벽(2) 및 외벽(3)의 레이아웃 또는 외벽(3) 외측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게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이루어져서 있다.
또한, 끝단보호링(200c)은 접합층(210)을 통해서, 이중벽관의 관체(1)의 끝단의 내벽(2) 및 외벽(3)의 측면 또는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렇게 링측면부(230) 및 링경사부(240)를 구비한 끝단보호링(200c)은 이중벽관의 관체(1)에 결합될 때, 링측면부(230)의 저부가 내벽(2)의 내주면과 동일한 레벨을 유지함으로써, 끝단보호링(200c)과 이중벽관의 관체(1)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이중벽관의 관체(1)의 끝단에서 내벽(2) 및 외벽(3)의 경계 부위는 일종의 취약부위로 간주될 수 있는데, 끝단보호링(200c)이 이러한 취약부위를 덮어 보강 및 보호된다. 따라서, 상기 취약부위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크랙 발생, 파손 등의 문제는 끝단보호링(200c) 또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종류의 끝단보호링들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1: 관체 2: 내벽
3: 외벽 22: 테이퍼 가공부
30: 단차 제거용 링부 200,200a,200b,200c: 끝단보호링
210: 접합층 220: 링내측부
230: 링측면부 240: 링경사부
241: 외경사면 250: 접합돌기
260: 프라이머층

Claims (9)

  1. 오링 형상에 대응하여 산과 골이 길이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의 골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벽을 갖는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일측에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이중벽관의 타측에서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관되어 있는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한 소켓부;
    상기 본체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켓부가 시작되는 지점에 형성된 천이부의 내측 경사면에 접합된 단차 제거용 링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접합층; 및
    상기 접합층을 통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소켓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끝단보호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의 내주면을 감싸는 링내측부;
    상기 링내측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내벽 및 외벽의 측면을 감싸는 링측면부; 및
    상기 링측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외벽의 산을 향하여 경사진 외경사면을 갖는 링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관의 관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가공부가 상기 관체의 소켓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보호링에서 상기 링경사부, 상기 링측면부 및 상기 링내측부의 내표면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소켓부의 끝단의 외벽 외측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게 곡면 또는 직선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링경사부, 상기 링측면부 및 상기 링내측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접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링경사부, 상기 링측면부 및 상기 링내측부과 상기 접합돌기 사이의 경계면에 프라이머층이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보호링은,
    상기 이중벽관의 외벽 및 내벽용 합성수지소재보다 강도 또는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보호링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체, 열가소성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와 같은 탄성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9. 삭제
KR1020140169951A 2014-12-01 2014-12-01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KR10153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51A KR101534600B1 (ko) 2014-12-01 2014-12-01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51A KR101534600B1 (ko) 2014-12-01 2014-12-01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600B1 true KR101534600B1 (ko) 2015-07-09

Family

ID=5379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951A KR101534600B1 (ko) 2014-12-01 2014-12-01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06B1 (ko) * 2020-09-02 2021-03-02 주식회사 뉴보텍 이중벽관
KR20220112588A (ko) * 2021-02-04 2022-08-11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89Y1 (ko) * 2004-06-07 2004-09-01 한승희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200368078Y1 (ko) * 2004-08-24 2004-11-17 한승희 공극밀폐부를 갖는 소켓 이중벽관
KR100786220B1 (ko) * 2006-11-10 2007-12-17 일우산업 주식회사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89Y1 (ko) * 2004-06-07 2004-09-01 한승희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단차 제거구조
KR200368078Y1 (ko) * 2004-08-24 2004-11-17 한승희 공극밀폐부를 갖는 소켓 이중벽관
KR100786220B1 (ko) * 2006-11-10 2007-12-17 일우산업 주식회사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06B1 (ko) * 2020-09-02 2021-03-02 주식회사 뉴보텍 이중벽관
KR20220112588A (ko) * 2021-02-04 2022-08-11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KR102511373B1 (ko) * 2021-02-04 2023-03-17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801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CA2705387C (en) Three-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US10046516B2 (en) Flexible hinge gasket
US864648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wave-shaped synthetic resin pipes, wave-shaped synthetic resin pipes used for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2726090C (en) Pipe coupling assembly
KR101498604B1 (ko)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US8567451B2 (en) Hydrophilic end seal
CN1549902A (zh) 具有法兰端部的波纹塑料管及其结构密封的接头
KR101534600B1 (ko) 끝단보호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CN1582374A (zh) 具有不透水的同轴钟形件的管
JP2006064173A (ja) コルゲート複合管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KR102036168B1 (ko) 하수관용 이중벽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KR101556217B1 (ko) 내식성 및 내구성 합성수지조성물로 성형된 이중벽관
AU2008101322A4 (en) An expansion joint
CN210141384U (zh) 一种耐候抗老化pe管
KR100751804B1 (ko)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KR101735402B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JP2011252296A (ja) マンホール用耐震性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取付け方法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CN212004727U (zh) 一种给排水管对接结构
CN218935537U (zh) 一种具有耐高温结构的聚乙烯管道
KR102530315B1 (ko)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CN102859246A (zh) 合成树脂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