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315B1 -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315B1
KR102530315B1 KR1020210136262A KR20210136262A KR102530315B1 KR 102530315 B1 KR102530315 B1 KR 102530315B1 KR 1020210136262 A KR1020210136262 A KR 1020210136262A KR 20210136262 A KR20210136262 A KR 20210136262A KR 102530315 B1 KR102530315 B1 KR 102530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acking
resin pipe
wall
inser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099A (ko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김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환 filed Critical 김주환
Priority to KR102021013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3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inner elastic part pressed against an out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삽입단 외면에 패킹이 설치되고, 패킹이 설치된 삽입단이 또다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확관부내로 단순 끼움결합되어, 별도의 이음수단없이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일측단에 확관부가 구비되고 타측단에 삽입단이 구비되도록 성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의 외면둘레를 따라 중공이 노출되지 않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프로파일을 가로지르도록, 소정반경을 구비하는 링타입의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내로 패킹이 삽입장착되어, 별도의 이음수단 없이 확관부와 패킹이 설치된 삽입단의 끼움결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Multi-walled plastic pipe with outside packing}
본 발명은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일측단에 확관부가 구비되고 타측단에 삽입단이 구비되며, 삽입단의 외면둘레를 따라 링타입 패킹홈이 설치되어 별도의 이음수단없이 패킹이 설치된 삽입단과 확관부의 끼움결합에 의해 다중벽 합성수지관과 또다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이 기밀을 유지하며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는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관인 상수관이나, 하수관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관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관의 제조는, 압출성형장치를 통해 대개 중공부를 가지는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시키고, 다시 권취기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되는 프로파일을 원하는 관의 직경이 유지되도록 나선형으로 감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접합압출장치를 이용하여 나선형으로 감기는 프로파일의 양면을 열융착 접합시켜 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나선형으로 제조되는 관의 원하는 길이가 성형된 이후에는 운반성, 시공성을 고려하여 절단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제조를 완료하게 되며,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프로파일의 단면 형상에 따라 통상 이중벽 합성수지관, 및 삼중벽 합성수지관 등등의 다중벽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중벽 합성수지관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이동된 후, 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의 연결작업은 흔히 상호 이웃하는 관의 양단을 맞대기 위치시킨 채, 열융착 접합시키거나 소켓, 플랜지, 밴드클램프 등등의 이음수단을 이용하여 실링 및 연결고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상 지하 매설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열융착 접합에 의한 연결방식 보다는 이음수단에 의한 연결방식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이음수단에 의한 연결방식은,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일렬배치시킨 후, 이웃하는 2개의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소켓, 밴드 클램프 등의 이음수단을 감아 설치하되,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단부와 이음수단 사이에 수밀패드가 설치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방식은, 이음수단의 설치를 위해, 정렬된 2개의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동시에 들어 올려야 하므로, 합성수지관을 들어올리기 위한 별도의 기구 또는 작업공구가 필요할 뿐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개의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들어 올려졌다가 놓여지므로, 합성수지관의 정렬작업에 어려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연결성 및 수밀성의 정도가 결정되므로, 시공이 불편하고 수밀성이 일정하게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대구경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경우, 단부를 들어 올리고 정렬시키는 작업이 쉽지 않아 이음수단에 의한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음수단에 의한 연결방식은, 소켓, 밴드 클램프, 플랜지 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어, 부품의 제조, 이송, 현장에서의 부품관리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밴드 클램프 방식의 연결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일측단에 패킹홈이 구비된 확관부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확관부에 패킹이 설치된 후, 패킹이 설치된 확관부내로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타측단이 끼움결합되어,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일렬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이 확관부에 의한 종래 끼움방식은, 확관부 내면에 패킹홈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되어 있어, 확관부의 성형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확관부 성형 후, 냉각에 따른 수축작용에 의해 패킹홈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어, 패킹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패킹홈에 대한 패킹의 긴밀한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 시, 패킹의 위치가 불안정하게 되어 수밀이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55574(2004.06.2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86666(2011.11.18)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56669(2001.11.27)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87855(2005.06.15)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삽입단 외면에 패킹이 설치되고, 패킹이 설치된 삽입단이 또다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확관부내로 단순 끼움결합되어, 별도의 이음수단없이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일측단에 확관부가 구비되고 타측단에 삽입단이 구비되도록 성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의 외면둘레를 따라 중공이 노출되지 않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프로파일을 가로지르도록, 소정반경을 구비하는 링타입의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내로 패킹이 삽입장착되어, 별도의 이음수단 없이 확관부와 패킹이 설치된 삽입단의 끼움결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삽입단에 패킹이 외설되고, 패킹이 외설된 삽입단이 또다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확관부내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이음관이나 부속이 필요없이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이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삽입단 외면둘레를 따라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내에 패킹이 삽입장착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시, 패킹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를 통해, 합성수지관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이 단순 끼움결합에 의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사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어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관, 폴리프로필렌관 뿐 아니라, PVC 관에도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에 융착기와 같은 위험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단과 패킹의 결합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단의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패킹홈이 형성된 프로파일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단과 패킹의 결합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단의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패킹홈이 형성된 프로파일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연결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의 삽입단(110) 외주면에 링타입의 패킹(130)이 삽입장착되고, 패킹(130)이 외설된 삽입단(110)이 또다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확관부(120`)내로 삽입장착됨으로써, 별도의 이음수단 없이도, 다중벽 합성수지관(100,100`)이 단순끼움결합에 의해 기밀하게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중공(11)이 형성된 프로파일(10)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일측단에 확관부(120)가 구비되고 타측단에 삽입단(10)이 구비되도록 성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110)의 외면둘레를 따라 중공(11)이 노출되지 않도록 링타입의 패킹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111)내로 패킹(130)이 삽입장착되어 확관부와 패킹이 설치된 삽입단의 끼움결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은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거나 전선 보호관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각형 또는 원형의 중공(11)을 구비한 프로파일(10)이 연속적으로 압출되면서 관체 성형장치(도시없음)의 회전드럼 외주면상에 나선상으로 감겨지고, 이들 프로파일(10)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부로 용융 합성수지가 I자 빔 형상으로 주입충전되어 다중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은, 프로파일(10)의 단면구조에 따라 이중벽, 삼중벽 등등 다중벽 구조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의 기본적인 구성 즉, 다중벽에 대한 상세한 구성, 나선형 감김 및 용융 합성수지의 주입충전에 따른 제조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은 도 1 에서와 같이, 프로파일이 나선으로 감겨져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으로,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100b)과 외주면(100b)이 평활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에 확관부(120)가 성형되며, 타측단에 일정직경을 구비하는 삽입단(11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1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부(12)와, 한쌍의 측벽부(13) 및 외판부(14)에 의해 중공(1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판부(12)와 한 쌍의 측벽부(13)는 동일 두께를 구비하고, 상기 외판부(14)는 내판부(12)의 두께(t)에 대하여, 약 1.3(t)∼2.0(t), 즉, 내판부(12)의 두께(t)에 대하여, 약 1.3배∼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5배∼2.0배의 두께(t1)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10)은 내/외판부(12,14)와 한 쌍의 측벽부(13)에 연결되도록 중공에 중간벽부(15)가 일체로 더 성형되어 이중벽, 삼중벽, 사중벽 등등 다중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은, 내판부(12)와 한 쌍의 측벽부(13)는 동일 두께(t)를 구비하고, 내판부 두께에 대하여, 약 1.3t∼2.0t의 두께(t1)를 구비하는 외판부(14)로 이루어진 프로파일(10)이 나선으로 감겨져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단에 확관부(120)가 일체로 성형되고, 타측단에 일정직경을 구비하는 삽입단(1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판부(12)는,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의 내주면(100a)을 이루는 부분을 의미하고, 외판부(14)는,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의 외주면(100b)을 이루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원형 프로파일의 경우,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의 내주면(100a)을 이루는 부분이 내판부에 해당되고,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의 외주면(100a)을 이루는 부분이 외판부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확관부(120)는, 다중벽 합성수지관을 일렬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일측단에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삽입단 내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도록 일체로 확장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확관부(120)는 내주면(100b)이 평활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은, 확관부 내주면에 소정깊이의 패킹홈이 구비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확관부(120)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완성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불량률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확관부의 성형은, 그 성형방법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확관부의 성형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합성수지관 확관부 성형장치(특허등록 제10-2200903호)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단(110)은, 확관부(120)내로 삽입결합되어지는 부분을 의미하며,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직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삽입단(11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다중벽 합성수지관이 일렬로 연결될 시, 일측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확관부(120`)내로 삽입결합되어지는 또다른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일측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패킹홈(111)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110)의 외면둘레를 따라 소정반경을 구비하도록 링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패킹홈(111)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프로파일(10)을 가로질러 링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로파일의 외판부(14)에 프로파일의 중공(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킹홈(111)은 프로파일의 중공(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프로파일(10)이 다수개의 중공을 구비할 경우, 삽입단의 강성이 유지되는 범위내에서, 패킹홈(111)과 다중벽 합성수지관의 내주면(100a)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판부(14)에 근접된 일부 중공이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킹홈(111)은 삽입단(110)의 길이에 따라 1∼5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패킹홈(111)내에는 패킹(130)이 각각 삽입장착된다.
상기 패킹(130)는 패킹홈(111)에 삽입장착이 이루어지도록 링타입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며, 합성수지관의 연결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면 충분하므로, 그 단면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패킹(130)은 합성수지관의 연결에 사용되어지는 공지의 패킹재가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환상의 오링 형상에 복수의 날개가 돌출되어 확관부의 내면에 날개가 일정한 접촉면적을 구비하도록 면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패킹재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의 패킹홈내에 패킹이 삽입장착되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이 외설된 합성수지관의 삽입단(110)이 또다른 합성수지관의 확관부(120`)내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합성수지관의 단부(삽입단과 확관부)가 간편하게 탄력적으로 수밀을 유지하며 긴밀하게 결합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프로파일
(11) : 중공
(12) : 내판부
(13) : 한 쌍의 측벽부
(14) : 외판부
(15) : 중간벽부
(100) : 다중벽 합성수지관
(100a): 내주면
(100b): 외주면
(110) : 삽입단
(111) : 패킹홈
(120) : 확관부
(130) : 패킹

Claims (3)

  1. 확관부(120)가 일측단에 구비되고 삽입단(10)이 타측단에 구비되도록 중공(11)이 형성된 프로파일(10)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내/외주면이 평활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성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100)에 있어서;
    프로파일(10)은, 동일한 두께(t)를 구비하는 내판부(12) 및 한쌍의 측벽부(13)와, 내판부(12)의 두께(t)에 대하여, 1.3∼2.0배의 두께(t1)를 구비하는 외판부(14)에 의해 중공(1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삽입단(10)은, 프로파일의 외판부(14)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링타입으로 1∼5개의 패킹홈(111)이 형성되되,
    상기 패킹홈(111)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프로파일(10)을 가로질러 프로파일의 중공(11)이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단(110)의 외면둘레를 따라 소정반경을 구비하도록 링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타입으로 형성된 삽입단의 패킹홈(111)내로 링타입의 패킹(130)이 삽입장착되어,
    별도의 이음수단 없이 확관부와 패킹이 외설된 삽입단의 끼움결합에 의해 다중벽 합성수지관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2. 삭제
  3. 삭제
KR1020210136262A 2021-10-14 2021-10-14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KR10253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262A KR102530315B1 (ko) 2021-10-14 2021-10-14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262A KR102530315B1 (ko) 2021-10-14 2021-10-14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099A KR20230053099A (ko) 2023-04-21
KR102530315B1 true KR102530315B1 (ko) 2023-05-08

Family

ID=8609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262A KR102530315B1 (ko) 2021-10-14 2021-10-14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3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483Y1 (ko) * 1997-09-25 2000-01-15 이정현 이중흄관의 결합장치
KR101857091B1 (ko) * 2018-02-22 2018-05-11 (주)태광수지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669Y1 (ko) 1999-05-20 2001-12-24 전금진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355574Y1 (ko) 2004-04-21 2004-07-07 허차순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87855Y1 (ko) 2005-04-07 2005-06-23 최선필 이중벽관용 패킹
KR101086666B1 (ko) 2011-04-01 2011-11-24 (주)금아테크 이중벽관의 원터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483Y1 (ko) * 1997-09-25 2000-01-15 이정현 이중흄관의 결합장치
KR101857091B1 (ko) * 2018-02-22 2018-05-11 (주)태광수지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099A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7230A (en) Joint for variable wall thickness conduit
US5071173A (en) Plastic pipe for sewer pipe reconstruction
US8820801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US5145216A (en) Pipe connection assembly
KR100995106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US4591193A (en) Line pipe of synthetic material especially for waste water
KR100540816B1 (ko) 수지제파형관
KR102530315B1 (ko)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CN203628077U (zh) 一种承插接头及承插式管件连接装置
KR101901751B1 (ko) 수밀 유지를 위한 중공 차단형 다중벽 하수관
CN110608341A (zh) 双头承插式中空结构壁缠绕管及其制造方法
CN202469281U (zh) 一种承插式聚乙烯塑钢缠绕管材
KR102212246B1 (ko) 수밀 유지와 강성 향상을 위한 중공 선단 차단형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CN203686450U (zh) 一种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所用的承插接头
CN219317934U (zh) 一种带窝槽弹性密封圈的管道连接接口
KR100424893B1 (ko) 이음구조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및 동방법에 의해제조된 합성수지관
KR101085387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과 내경 코팅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072427B1 (ko)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CN215831382U (zh) 一种给排水埋地抗蠕变性聚乙烯管材
JPH0363947B2 (ko)
JPH0431495B2 (ko)
KR101095612B1 (ko)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KR100908475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의 성형방법
KR100676497B1 (ko) 원터치형 연결구 일체형 하수관
KR200399517Y1 (ko) 임플란트 방식 배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