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855Y1 - 이중벽관용 패킹 - Google Patents

이중벽관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855Y1
KR200387855Y1 KR20-2005-0009413U KR20050009413U KR200387855Y1 KR 200387855 Y1 KR200387855 Y1 KR 200387855Y1 KR 20050009413 U KR20050009413 U KR 20050009413U KR 200387855 Y1 KR200387855 Y1 KR 200387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double wall
cut
sewag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필
Original Assignee
최선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필 filed Critical 최선필
Priority to KR20-2005-0009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8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의 이송을 위해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나선형태의 이중벽관을 배관할 때 연결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폐수나 하수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치명적인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특히 상수도관으로 사용시 연결부분에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의 번식처를 제공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링형태로 되는 몸체(10)의 양면 중간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는, 벽면내에 공동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벽관(20)을 절단하면 상기 공동이 함께 절단되어 각 절단면(20a)의 중간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홈(22)(22')들에 결합되게 상기 홈들과 걸맞는 형태의 결합돌부(12)(12')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단 양쪽에는 이중벽관의 결합단부(21)(21') 외주면을 각각 감싸주는 봉합편(11)(11')을 수평으로 부설하여 되는 것을 특징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벽관용 패킹{Packing for double wall corrugated pipe}
본 고안은 이중벽관용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의 이송을 위해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나선형태의 이중벽관을 배관할 때 연결부분에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나선형태의 이중벽관은 벽면 내부에 공동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있는데, 이러한 이중벽관은 절단하면 나선상의 공동이 함께 절단되기 때문에 각 절단면의 중간에는 홈들이 그 깊이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런데, 나선상의 공동에 의해 각 절단면에 형성되는 홈들은 그 깊이가 한쪽의 절단면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게 되면 다른 한쪽의 절단면에서는 반대로 점차 얕아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이중벽관을 연결할 때 절단면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와는 무관하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패킹을 연결부분에 개재시켜 연결하였기 때문에 패킹과 절단면의 결합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패킹과 홈 사이에 틈이 생기므로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홈을 통해 나선상의 공동내부로 유입되어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의 번식처를 제공하게 되므로, 특히 이중벽관을 상수도관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나선형태의 이중벽관을 연결할 때 연결부분에서의 누수가 확실히 방지되게 하는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벽관을 상수도관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이 공급되게 하는 패킹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이중벽관을 연결할 때 각 절단면과 기밀이 유지되게 결합되게 하므로 하수관으로 사용시에는 오·폐수나 하수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치명적인 지하수의 오염이 방지되게 함은 물론 특히 결합부분에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틈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므로 상수도관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항상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게 하는 패킹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패킹은 링 형태로 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외단 양쪽에 이중벽관의 연결부분 중 각 결합단부의 외주면을 감싸주게 수평으로 빙둘러 연장되는 봉합편과 이중벽관의 연결부분 중 각 절단면의 중간에 나선상의 공동이 절단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홈과 동일한 형태로 몸체의 양면에 각각 돌출되는 결합돌부를 구비하여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패킹을 절단면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중벽관의 연결부분을 플랜지로 결속하여 연결하면 결합돌부들은 절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결합됨과 동시에 양쪽의 봉합편은 결합단부의 각 외주면을 감싸주게 되므로 결합단부에는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누수는 물론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공동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패킹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패킹을 이중벽관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패킹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동 패킹의 사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패킹은 벽면내에 공동(20')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태의 이중벽관(20)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몸체(10)는 링형태로 되며, 그 외단 양쪽에는 봉합편(11)(11')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봉합편(11)(11')은 이중벽관(20)의 연결부분에서 결합단부(21)(21')의 각 외주면을 감싸주게 되는 것이며, 상기 봉합편들이 연장되는 길이(l) 또는 두께(t)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가감하여도 된다.
몸체(10)의 양면 중간의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는, 각각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연결하는 이중벽관(20)의 각 절단면(20a)의 중간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상기 이중벽관을 절단할 때 함께 절단되는 벽면내의 나선상 공동(21')에 의해 형성되는 홈(22)(22')과 걸맞는 형태로 결합돌부(12)(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홈(22)(22')은 나선상의 공동(21')이 절단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므로, 홈(22)의 그 깊이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게 되면 홈(22')은 반대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얕아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결합돌부(12)(12')들은 상기 홈들의 깊이에 비례하게 각각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패킹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몸체(10)의 양면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부(12)(12')들과 이중벽관(20)의 각 절단면(20a)의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홈(22)(22')들을 서로 일치하는 것끼리 맞물리도록 상기 이중벽관의 결합단부(21)(21')를 몸체의 양면에 각각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 이중벽관의 연결부분 외면에 결속시킨 플랜지(30)(30')를 체결부재(41)(41')로 조여서 단단히 결착시켜 주면된다.
이렇게 하면, 이중벽관(20)의 각 절단면(20a)은 몸체(10)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절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22)(22')에는 결합돌부(12)(12')들이 각각 결합되며, 각 결합단부(21)(21')의 외주면은 봉합편(11)(11')들이 각각 감싸주기 때문에 상기 이중벽관의 결합단부는 패킹에 의해 틈이 발생하지 않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패킹은, 이중벽관을 절단하였을 때 각 절단면에 형성되는 홈과 걸맞는 형태의 결합돌부가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 외단 양쪽으로는 결합단부의 외주면을 빙둘러 감싸주는 봉합편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단부와 패킹이 서로 틈이 없이 밀착 고정되므로 연결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가 확실하게 방지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하수관으로 사용시에는 오·폐수나 하수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차단되므로 치명적인 지하수의 오염이 방지됨은 물론 상수도관으로 사용시에는 연결부분에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벽면내의 공동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의 번식이 차단되기 때문에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패킹을 이중벽관과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동 패킹의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동 패킹의 사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1,11' : 봉합편
12, 12' : 결합돌부 20, 20' : 이중벽관
20a : 절단면 21, 21' : 결합단부
22, 22' : 홈

Claims (2)

  1. 링형태로 되는 몸체(10)의 양면 중간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는, 벽면내에 공동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벽관(20)을 절단하면 상기 공동이 함께 절단되어 각 절단면(20a)의 중간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홈(22)(22')들에 결합되게 상기 홈들과 걸맞는 형태의 결합돌부(12)(12')를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단 양쪽에는, 상기 이중벽관(20)의 결합단부(21)(21')의 외주면을 각각 감싸주게 결합되는 봉합편(11)(11')을 수평으로 부설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KR20-2005-0009413U 2005-04-07 2005-04-07 이중벽관용 패킹 KR200387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13U KR200387855Y1 (ko) 2005-04-07 2005-04-07 이중벽관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13U KR200387855Y1 (ko) 2005-04-07 2005-04-07 이중벽관용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855Y1 true KR200387855Y1 (ko) 2005-06-23

Family

ID=4368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413U KR200387855Y1 (ko) 2005-04-07 2005-04-07 이중벽관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8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099A (ko) 2021-10-14 2023-04-21 김주환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099A (ko) 2021-10-14 2023-04-21 김주환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41043A3 (en) Fluid-tight coupling system for corrugated pipe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GB0107637D0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nderwater pipe-laying
KR200387855Y1 (ko) 이중벽관용 패킹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US20030090112A1 (en) Pipe joint assembly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KR100806879B1 (ko) 이중벽관용 커플러
ATE518087T1 (de) Rohrförmige verbindung
KR100718684B1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0590407B1 (ko) 하수관거 이음부 밀폐장치
KR200416913Y1 (ko) 관체 연결용 패킹
CN210739637U (zh) 一种给排水管连接装置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200298099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부재
KR200364072Y1 (ko) 수도관 금속내면에 이중파이프로 갖는 플라스틱관
KR200399517Y1 (ko) 임플란트 방식 배관재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10066120A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100387214B1 (ko) 분기관 접속방법 및 접속 소켓장치
KR200216052Y1 (ko) 만곡성 보강 배수로관용 거푸집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