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612B1 -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612B1
KR101095612B1 KR1020110056369A KR20110056369A KR101095612B1 KR 101095612 B1 KR101095612 B1 KR 101095612B1 KR 1020110056369 A KR1020110056369 A KR 1020110056369A KR 20110056369 A KR20110056369 A KR 20110056369A KR 101095612 B1 KR101095612 B1 KR 10109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sewage
pipes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봉
Original Assignee
(주)명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화학 filed Critical (주)명성화학
Priority to KR102011005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의 한쪽 끝 부분에 길이가 열팽창계수에 따라 변하는 가변관을 용접 연결하고, 반대편의 끝 부분에 편수 연결구를 상하수도관과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여 편수 연결구의 내경으로 가변관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상하수도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성형하며 수밀이 유지되도록 상하수도관을 성형하고, 상기 상하수도관의 끝 부분에 수밀패킹을 결합한 가변관을 결합하여 연결구의 내경에 결합,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상하수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원통형의 평활한 상하수도관을 성형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상하수도관의 한쪽 끝 부분에서 내경으로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내경금형을 삽입하여 내경 용융부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하수도관의 내경 용융부에 가변관의 연결 돌출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과 가변관이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요철관 용접부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3 단계;
상기 가변관이 용접 연결된 상하수도관의 반대쪽 끝 부분에서 내경에 지지금형을 결합하고 외경에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외경금형을 삽입하여 외경 용융부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4 단계;
상기 외경 용융부에 편수 연결구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과 편수 연결구가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구 용접부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5 단계;
상기 편수 연결구는 내경에 같은 간격으로 안내홈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의 끝 부분에서 외경으로 상기 안내홈에 결합하는 안내돌기를 형성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A WATER AND SEWAGE PIPE}
본 발명은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의 한쪽 끝 부분에 길이가 열팽창계수에 따라 변하는 가변관을 용접 연결하고, 반대편의 끝 부분에 편수 연결구를 상하수도관과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여 편수 연결구의 내경으로 가변관을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면서 상하수도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이란 이중벽 하수관(10, 11)과 삼중벽 하수관(40) 및 수도관 등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 이중벽 하수관은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냉각시키면서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평활한 관으로 성형시키는 것이며, 삼중벽 하수관은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이 4개 형성되도록 열십자형 보강대를 형성한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냉각시키면서 와인딩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평활한 관으로 성형시키는 것이고, 수도관은 압출에 의해 단일층이나 이중 및 삼중 층이 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상하수도관은 주로 액체를 공급하는 것이며, 수압이 많이 걸리지 않아서 주로 서스(SUS)밴드로 체결했지만 합성수지(PE, PP 등)의 특성상 열팽창계수가 커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게 되나 서스밴드는 수축과 팽창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상하수도관이 연결되는 경계부분에서 접착밴드가 온도차에 의해 이탈되면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054211호(2005. 12. 23. 등록)는 관의 양측으로 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관을 연결하되, 요철관의 일측으로 연결턱을 형성하여 관의 양측에 각각 융착 연결하고, 요철관의 홈부에 수밀패킹을 각각 끼운 후 외측에 연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조는 관의 양쪽에서 요철관을 결합하여 용접 연결해야하고, 요철관의 외경으로 연결구를 결합하여 지중에 매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중에 매설하는 관은 연결부분의 외경으로 원통형의 연결구 내경으로 요철관이 위치하게 되면서 요철관이 관의 열팽창계수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발생할 때 연결구의 내경에서 수축과 팽창에 따른 치수변화를 보정해주어 이탈되지 않고 연결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요철관은 관의 양쪽 끝 부분에 용접하는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연결구는 요철관의 외경과 관의 외경에 결합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므로 연결구가 외부에서 발생하는 하중과 움직임에 따른 원인으로 관과 요철관으로부터 분리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관과 요철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수밀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동시에 관의 수송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결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요철관과 관이 가변되는 경우 이러한 가변의 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안전성에서 크게 문제가 되었고, 관의 양쪽 끝 부분에 요철관을 용접하는 것이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540211호(2005. 12. 23.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743207호(2007. 07. 20.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774549호(2007. 11. 01.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900803호(2009. 05. 2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상하수도관의 한쪽 끝 부분에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관을 용접 연결하고, 반대편에는 편수 연결구를 용접 연결하여 가변관의 외경에 수밀패킹을 설치하고 편수 연결구에 수밀패킹을 연결한 후 상기 가변관과 편수 연결구를 원터치형으로 결합하여 상하수도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편수 연결구의 내경으로 안내홈을 같은 간격에 형성하고, 상하수도관의 외경으로 안내돌기를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이 소정의 폭(간격)에서 이동하며 이동폭을 제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성형하며 수밀이 유지되도록 상하수도관을 성형하고, 상기 상하수도관의 끝 부분에 수밀패킹을 결합한 가변관을 결합하여 연결구의 내경에 결합,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상하수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원통형의 평활한 상하수도관을 성형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상하수도관의 한쪽 끝 부분에서 내경으로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내경금형을 삽입하여 내경 용융부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하수도관의 내경 용융부에 가변관의 연결 돌출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과 가변관이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요철관 용접부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3 단계;
상기 가변관이 용접 연결된 상하수도관의 반대쪽 끝 부분에서 내경에 지지금형을 결합하고 외경에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외경금형을 삽입하여 외경 용융부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4 단계;
상기 외경 용융부에 편수 연결구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과 편수 연결구가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구 용접부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5 단계;
상기 편수 연결구는 내경에 같은 간격으로 안내홈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상하수도관의 끝 부분에서 외경으로 상기 안내홈에 결합하는 안내돌기를 형성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한쪽 끝 부분에 길이가 가변되도록 "W"형태로 성형한 가변관을 끼워 용접 연결하고, 반대편에는 편수 연결구를 용접 연결하여 가변관의 외경에 형성한 패킹 연결홈으로 수밀패킹을 설치하고 편수 연결구에 형성한 패킹홈으로 수밀패킹을 연결한 후 상기 가변관과 편수 연결구를 원터치형으로 결합하여 상하수도관을 간편하게 연결하면 열팽창계수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움직임을 보정하여 수밀을 안정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수 연결구의 내경으로 안내홈을 같은 간격에 형성하고, 상하수도관의 외경으로 안내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과 안내돌기를 결합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이 소정의 폭(간격)에서 안내홈과 안내돌기의 결합에 따라 이동하며 이동폭을 제한하여 가변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을 결합하기 이전의 분리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 양쪽에 가변관과 편수 연결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에 대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을 복층관으로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 9a 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 중 가변관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작업상태도
도 9b 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 중 편수 연결구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을 결합하기 이전의 분리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 양쪽에 가변관과 편수 연결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에 대한 작동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이중벽 하수관 또는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수도관으로 이루어진 상하수도관(10, 11)은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보관 및 이동을 하게 되며, 보통 6미터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의 한쪽 끝 부분에는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관(20)을 연결하고, 상기 가변관(20)의 반대편 끝 부분에는 편수 연결구(3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가변관(20)은 상하수도관(10, 11)의 내경에 삽입하는 연결 돌출부(21)가 한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출부(21)에서는 외경이 "W"형태가 연속해서 요철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한 부분에는 패킹 연결홈(23)을 형성하여 수밀패킹(24)을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가변관(20)의 연결 돌출부(21)는 상하수도관(10, 11)의 한쪽 끝 부분에서 내경에 삽입하고, 상하수도관(10, 11)의 끝 부분에서 요철관 용접부(22)와 같이 용융상태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하는 방법으로 고정한다.
상기 가변관(20)은 0.5∼2mm의 두께가 되도록 성형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어서 길이(폭)의 가변을 가능하게 하며, 내경에는 이물질이 적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활하게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편수 연결구(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한쪽으로 형성한 패킹홈(31)에 패킹(33)을 결합하고, 상기 패킹홈(31)의 반대쪽에는 내경으로 상하수도관(10, 11)의 끝 부분을 일부 삽입하여 편수 연결구(30)의 끝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연결구 용접부(32)와 같이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고정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편수 연결구(30)의 다른 실시예로, 내경으로 같은 간격에 안내홈(35)을 형성하고, 상기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으로 결합하는 상하수도관(10, 11)의 외경으로 안내돌기(15)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35)은 도면상 소정의 길이(폭)에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35)과 안내돌기(15)가 결합되어 안내홈(35)에서 상하수도관(10, 11)이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을 복층관으로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하수도관(10, 11)은 이중벽 하수관과 삼중벽 하수관 이외에도 내부에 열십자 보강대에 의해 다수의 중공을 형성하는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삼중벽 하수관(4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중벽 하수관이나 수도관으로 이루어진 상하수도관(10, 11)과 삼중벽 하수관(40)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6미터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다.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의 한쪽 끝 부분에서 내경으로 가변관(20)의 연결 돌출부(21)를 결합하고, 용융된 합성수지를 상하수도관(10, 11)의 끝 부분에 공급하여 요철관 용접부(22)와 같이 상하수도관(10, 11)과 가변관(20)이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하여 고정한다.
상하수도관(10, 11)에 가변관(20)을 일체형으로 용접 고정한 후에는 반대편에 편수 연결구(30)의 일측에서 내경에 상하수도관(10, 11)을 결합하여 편수 연결구(30)의 끝 부분으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상하수도관(10, 11)과 편수 연결구(30)가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하여 고정한다.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은 한쪽으로 가변관(20)이 용접 고정되고, 반대편에는 편수 연결구(30)가 용접 고정된 상태로 제조된다.
상기 가변관(20)의 패킹 연결홈(23)에는 수밀 패킹(24)을 결합하고,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에 형성한 패킹홈(31)에는 패킹(33)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생산된 상하수도관(10, 11)은 양쪽으로 용접 고정한 가변관(20)과 편수 연결구(30)가 상하수도관(10, 11)의 지름에 비하여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제공하므로 보관과 운반시에 외경으로 돌출되지 않아서 적층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상하수도관(10, 11)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가변관(20)이 돌출된 상하수도관(10)의 전방에서 편수 연결구(30)가 돌출된 상하수도관(11)을 맞대기하여 상하수도관(10, 11)을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한다.
상하수도관(10, 11)의 가변관(20)이 도 3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에 결합하여 가변관(20)의 끝 부분이 상하수도관(11)의 끝 부분에 만나도록 하면 상하수도관(10, 11)의 결합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상하수도관(10, 11)을 원터치 형태로 결합하면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종료되는 것이며, 상하수도관(10, 11)의 연결작업이 종료되면 패킹 연결홈(23)에 결합한 수밀패킹(24)이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에 결합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에 설치한 패킹(33)은 상하수도관(10)의 내경과 결합되어 이중으로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하수도관(10, 11)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수압이나 외압 및 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작용될 때 상하수도관(10)은 가변관(20)이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에서 길이(폭)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수밀패킹(24)과 패킹(33)에 의한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수도관(10, 11)은 가변관(20)을 통하여 충분하게 열팽창계수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연결상태의 변화에 따라 가변하지만 수밀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아서 안정된 수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하수도관(10, 11)이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수도관(10)의 외경으로 형성한 안내돌기(15)가 편수 연결구(30)의 안내홈(35)에 결합되어 열팽창계수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하수도관(10, 11)이 수축과 팽창으로 길이(폭)이 가변되는 형상을 안내홈(35)의 폭에서 잡아주어 안내 돌기(15)가 안내홈(35)의 길이(폭)에서 가변을 안내함으로써 상하수도관(10, 11)이 더욱 안정된 상태에서 가변되면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 9a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 중 가변관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작업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 중 편수 연결구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작업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작업상태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내경에 사각형의 중공 또는 열십자 보강대에 의한 다수개의 중공을 성형한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원통형의 평활한 상하수도관(10, 11)을 성형하는 제1 단계;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의 한쪽 끝 부분에서 내경으로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내경금형(50)을 삽입하여 내경 용융부(16)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의 내경 용융부(16)에 가변관(20)의 연결 돌출부(21)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10, 11)과 가변관(20)이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요철관 용접부(22)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3 단계;
상기 가변관(20)이 용접 연결된 상하수도관(10, 11)의 반대쪽 끝 부분에서 내경에 지지금형(60)을 결합하고 외경에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외경금형(61)을 삽입하여 외경 용융부(17)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외경 용융부(17)에 편수 연결구(30)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10, 11)과 편수 연결구(30)가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구 용접부(32)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5 단계를 통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하수도관(10, 11)의 한쪽에는 가변관(20)이 반대쪽에는 편수 연결구(30)가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된 상태이며, 상하수도관(10, 11)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편수 연결구(30)의 패킹홈(31)에 패킹(33)을 결합하고, 가변관(20)의 패킹 연결홈(23)에 수밀패킹(24)을 결합하여 가변관(20)을 편수 연결구(30)의 내경에 결합하여 상하수도관(10, 11)의 연결작업을 종료한다.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한쪽 끝 부분에 가변관을 용접 고정하고, 반대편에는 편수 연결구를 용접 고정하여 상하수도관의 매설시에 가변관이 편수 연결구에 원터치형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의 연결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연결작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하수도관이 열팽창계수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더라도 가변관과 편수 연결구의 내경에서 이중으로 수밀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결합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11 : 상하수도관 15 : 안내돌기
16 : 내경 용융부 17 : 외경 용융부
20 : 가변관 21 : 연결 돌출부
22 : 요철관 용접부 23 : 패킹 연결홈
24 : 수밀패킹 30 : 편수 연결구
31 : 패킹홈 32 : 연결구 용접부
33 : 패킹 35 : 안내홈
40 : 삼중벽 하수관 50 : 내경금형
60 : 지지금형 61 : 외경금형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가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성형하며 수밀이 유지되도록 상하수도관을 성형하고, 상기 상하수도관의 끝 부분에 수밀패킹을 결합한 가변관을 결합하여 연결구의 내경에 결합,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상하수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을 압출하여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원통형의 평활한 상하수도관(10, 11)을 성형하는 제1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의 한쪽 끝 부분에서 내경으로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내경금형(50)을 삽입하여 내경 용융부(16)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의 내경 용융부(16)에 가변관(20)의 연결 돌출부(21)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10, 11)과 가변관(20)이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요철관 용접부(22)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3 단계;
    상기 가변관(20)이 용접 연결된 상하수도관(10, 11)의 반대쪽 끝 부분에서 내경에 지지금형(60)을 결합하고 외경에 50∼120℃의 온도로 가열된 외경금형(61)을 삽입하여 외경 용융부(17)를 용융상태로 성형하는 제4 단계;
    상기 외경 용융부(17)에 편수 연결구(30)를 결합하여 연결하고, 상하수도관(10, 11)과 편수 연결구(30)가 만나는 외경에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구 용접부(32)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하는 제5 단계;
    상기 편수 연결구(30)는 내경에 같은 간격으로 안내홈(35)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상하수도관(10, 11)의 끝 부분에서 외경으로 상기 안내홈(35)에 결합하는 안내돌기(15)를 형성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10056369A 2011-06-10 2011-06-10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KR10109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69A KR101095612B1 (ko) 2011-06-10 2011-06-10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69A KR101095612B1 (ko) 2011-06-10 2011-06-10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612B1 true KR101095612B1 (ko) 2011-12-19

Family

ID=4550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369A KR101095612B1 (ko) 2011-06-10 2011-06-10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6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88B1 (ko) * 2001-05-25 2004-07-07 박기종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KR100540211B1 (ko) * 2003-06-09 2006-01-10 노시태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88B1 (ko) * 2001-05-25 2004-07-07 박기종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KR100540211B1 (ko) * 2003-06-09 2006-01-10 노시태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06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67741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0995105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243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425151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413037B1 (ko) 내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095612B1 (ko)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KR101032096B1 (ko) 고무링과 스토퍼를 이용한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KR101095611B1 (ko)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415223B1 (ko) 중앙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748638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966299B1 (ko) 합성수지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
KR20150145810A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
KR101425148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101166468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32239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425805B1 (ko) 외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748635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이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735402B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1748634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160170B1 (ko)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KR102530315B1 (ko) 패킹이 외부에 구비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KR101425146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고 접합 코팅층을 형성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333248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의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