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634B1 -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634B1
KR101748634B1 KR1020140157184A KR20140157184A KR101748634B1 KR 101748634 B1 KR101748634 B1 KR 101748634B1 KR 1020140157184 A KR1020140157184 A KR 1020140157184A KR 20140157184 A KR20140157184 A KR 20140157184A KR 101748634 B1 KR101748634 B1 KR 10174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profile
groove
forming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629A (ko
Inventor
유옥수
Original Assignee
유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수 filed Critical 유옥수
Priority to KR102014015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6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29D23/003Pipe joints, e.g. straigh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6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wound from profiled stri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쪽으로 일정한 간격에 요철형 결합돌기가 형성된 보강 연결부재를 공급하며 양쪽 보강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프로파일을 공급하여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이 요철형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고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십자형 보강대를 갖고 중공이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2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냉각장치에서 냉각시킨 후 가이드 로울러의 외경에 드럼과 로울러가 설치된 관 제조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며, 상기 프로파일의 사이에 제3 압출기의 압출 노즐에서 용융수지를 연결부재로 공급하여 삼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기에 설치하며 내경 양쪽으로 결합 요철홈을 형성하는 성형홈이 하측에 형성되는 홈 성형돌기로 이루어지는 중공 성형대를 형성하여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압출 성형장치와;
상기 관 제조장치에 설치하며 내면부의 양쪽으로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돌기 압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와 결합돌기의 하측에 측면 돌출부를 형성하는 연결부재 압출홈에서 보강 연결부재를 압출하는 압출 성형대를 형성한 연결부재 성형장치와;
상기 관 제조장치는 보강 연결부재의 결합돌기에 결합 요철홈이 요철형으로 결합되며 내면부의 상측으로 연결부재가 위치하도록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Uneven conjoined triple wall drainpipe for improved hardness and cohesion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쪽으로 일정한 간격에 요철형 결합돌기가 형성된 보강 연결부재를 공급하며 양쪽 보강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프로파일을 공급하여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이 요철형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고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삼중벽 하수관은 내부에 열십자형 보강대(22a)를 형성한 중공(22)을 갖고 사각형 또는 코너 부분이 라운드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21)을 압출하여 냉각장치(29)에서 냉각시킨 후 관 제조장치(10)의 드럼(24a)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 다수의 가이드 로울러(25) 외측에서 감기게 되고, 이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압출노즐(31)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삼중벽 하수관(35)을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프로파일은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나선형으로 공급할 때 용융 수지가 공급되어 프로파일의 사이를 연결부재(32)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한 삼중벽 하수관은 지하에 매설된 후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동일한 재료이지만 냉각비율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연결된 프로파일과 용융 수지의 연결부분인 연결부재(32)의 사이에서 결합력이 저하되어 이 연결부분이 분리되는 파단 현상이 발생한다.
즉, 프로파일과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원료가 용융된 상태에서 연결하므로 처음 연결시에는 어느 정도 결합력을 갖고 연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지상의 온도가 변화됨으로 인한 열팽창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면서 프로파일과 연결부재의 연결부분이 피로하중을 견디지 못하게 되고 분리되는 파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재(32)의 상측으로 용융 수지를 더 많이 공급하여 연결부재의 상측에서 프로파일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일부 파단 현상을 방지하는 경우가 있으나 내경에서는 가이드 로울러의 외측으로 프로파일이 견고하게 공급되면서 감기게 되므로 프로파일의 사이를 연결하는 성능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연결부재가 프로파일의 측면(24)에서 용융상태로 공급되어 상호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지만, 연결부재로 제공되는 결합력 만으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 그리고 계절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팽창계수에 정상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의 연결부분인 측면에서 분리현상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하중과 충격에 매우 약하므로 제품의 품질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718695호(2007. 05. 09.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465981호(2005. 01. 0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740651호(2007. 07. 11.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989416호(2010. 10. 15. 등록)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경에 위치하는 보강 연결부재를 공급하고 이 보강 연결부재의 결합돌기 상측으로 결합 요철홈을 형성하는 프로파일의 내경을 공급하여 요철형태가 일치되도록 결합하여 프로파일이 보강 연결부재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하나의 보강 연결부재 양쪽으로 각각의 프로파일이 요철형으로 결합되고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부재가 공급되어 용융에 의한 결합력으로 프로파일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열팽창계수에 의한 변경을 방지하며 내경에 위치하는 보강 연결부재를 통하여 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십자형 보강대를 갖고 중공이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2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냉각장치에서 냉각시킨 후 가이드 로울러의 외경에 드럼과 로울러가 설치된 관 제조장치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며, 상기 프로파일의 사이에 제3 압출기의 압출 노즐에서 용융수지를 연결부재로 공급하여 삼중벽 하수관을 성형하는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기에 설치하며 내경 양쪽으로 결합 요철홈을 형성하는 성형홈이 하측에 형성되는 홈 성형돌기로 이루어지는 중공 성형대를 형성하여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압출 성형장치와;
상기 관 제조장치에 설치하며 내면부의 양쪽으로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돌기 압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와 결합돌기의 하측에 측면 돌출부를 형성하는 연결부재 압출홈에서 보강 연결부재를 압출하는 압출 성형대를 형성한 연결부재 성형장치와;
상기 관 제조장치는 보강 연결부재의 결합돌기에 결합 요철홈이 요철형으로 결합되며 내면부의 상측으로 연결부재가 위치하도록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내경에 위치하는 보강 연결부재를 압출하여 나선형으로 공급하고 이 보강 연결부재의 결합돌기 상측으로 결합 요철홈을 형성하는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프로파일의 내경에서 요철형태가 일치되도록 결합하여 프로파일이 보강 연결부재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프로파일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보강 연결부재 양쪽으로 각각의 프로파일이 요철형으로 결합되고 프로파일의 사이에서 보강 연결부재의 내부에 이음부재가 공급되어 용융에 의한 결합력으로 프로파일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열팽창계수에 의한 변경을 방지하며 내경에 위치하는 보강 연결부재를 통하여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매우 안정된 하수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를 압출하는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에 대한 압출상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에 대한 압출상태 정면도
도 7a 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를 공급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7b 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에 프로파일을 공급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7c 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사이에 연결부재를 공급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삼중벽 하수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관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 압출기(11)에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가열함으로써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고 보강 연결부재(13)를 압출하여 관 제조장치(10)의 가이드 로울러(25) 외측에 나선형으로 공급한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13)의 상측에는 프로파일(21)이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제2 압출기(20)에 원료가 공급되어 중공(22)을 갖는 프로파일(21)이 압출되어 전방의 냉각장치(29)에서 냉각된 후 보강 연결부재(13)의 상측에 공급되어 요철형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의 사이에는 제3 압출기(30)에서 용융된 수지가 압출 노즐(31)을 통하여 연결부재(32)로 공급되고, 로울러(23)가 외측에서 가압하여 프로파일(21)의 일부를 감싸면서 프로파일(21)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삼중벽 하수관(35)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삼중벽 하수관(35)을 성형하는 관 제조장치(10)는 드럼(24a)의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로울러(25)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각각 독립되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1 압출기(11)에서 보강 연결부재(13)가 가이드 로울러(25)의 외측으로 나선형 방향에 공급하고 제2 압출기(20)에서 프로파일(21)이 공급되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프로파일(21)의 사이에 형성한 공간으로 제3 압출기(30)와 압출 노즐(31)에서 공급하는 연결부재(32)를 통하여 삼중벽 하수관(35)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를 압출하는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에 대한 압출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보강 연결부재(13)는 얇은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중앙 내면부(15) 양쪽으로 결합돌기(14)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14)의 외측으로 측면 돌출부(16)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13)를 압출하는 연결부재 성형장치(50)는 압출 성형대(51)에 형성한 연결부재 압출홈(41)을 통하여 압출 성형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 압출홈(52)의 양쪽에서 상측으로 돌출 압출홈(53)이 형성되어 결합돌기(14)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각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성형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파일에 대한 압출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파일(21)은 내경에 열십자형 보강대(22a)를 갖는 중공(22)이 형성되며 외경이 사각형 또는 코너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외경과 양쪽의 측면(24) 및 내경(2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내경(26)의 양쪽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 요철홈(27)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 요철홈(27)은 사각형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요철홈(27)이 각각 서로다른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와 요철형태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을 압출하는 압출 성형장치(40)는 중공 성형대(41)의 내부에 성형홈(42)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홈(42)의 하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홈 성형돌기(43)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를 공급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에 프로파일을 공급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프로파일 사이에 연결부재를 공급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삼중벽 하수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내면부(15)의 양쪽으로 결합돌기(14)가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측면 돌출부(16)를 형성하는 보강 연결부재(13)가 압출되어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강 연결부재(13)의 상측으로 프로파일(21)이 압출되어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의 내경(26) 양쪽으로 결합 요철홈(27)을 형성하여 압출하고, 상기 프로파일(21)의 결합 요철홈(27) 중 하나는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와 결합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결합 요철홈(27)은 다음 칸에 이어서 공급되는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 요철홈(27) 2개에 서로 다른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의 보강 연결부재(13)에 형성한 결합돌기(14)와 2개의 프로파일(21)이 결합되면 내면부(15)에 프로파일(21)의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공간에 압출 노즐(31)로부터 용융수지를 연결부재(32)로 공급하여 프로파일(21)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32)의 외경에는 로울러(23)가 설치되어 프로파일(21)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마감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재와 프로파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1)의 내경 양쪽으로 반원형의 결합 요철홈(27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철홈(27a)이 결합하는 보강 연결부재(13a)의 결합돌기(14a)가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1)의 내경 양쪽으로 삼각형의 결합 요철홈(27b)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철홈(27b)이 결합하는 보강 연결부재(13b)의 결합돌기(14b)가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1)의 내경 양쪽으로 마름모꼴의 결합 요철홈(27c)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철홈(27c)이 결합하는 보강 연결부재(13c)의 결합돌기(14c)가 마름모꼴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1)의 내경 양쪽으로 사각형의 결합 요철돌기(27d)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철돌기(27d)가 결합하는 보강 연결부재(13d)의 결합홈(14d)이 사각형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1)의 내경 양쪽으로 반원형의 결합 요철돌기(27e)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철돌기(27e)가 결합하는 보강 연결부재(13e)의 결합홈(14e)이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1)의 내경 양쪽으로 삼각형의 결합 요철돌기(27f)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철돌기(27f)가 결합하는 보강 연결부재(13f)의 결합홈(14f)이 삼각형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1)의 내경 양쪽으로 마름모꼴의 결합 요철돌기(27g)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요철돌기(27g)가 결합하는 보강 연결부재(13g)의 결합홈(14g)이 마름모꼴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압출 성형장치(40)의 성형홈(42)에 형성하는 홈 성형돌기(43)는 결합 요철홈(27a, 27b, 27c)와 결합 요철돌기(27d, 27e, 27f, 27g)를 형성하도록 성형되며, 연결부재 성형장치(50)의 연결부재 압출홈(52)에 형성하는 돌기 압출홈(53)은 결합 요철홈(14a, 14b, 14c)와 결합 요철돌기(14d, 14e, 14f, 14g)를 형성하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얇은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결합돌기(14)를 형성한 보강 연결부재(13)를 압출하여 나선형으로 연속해서 공급이 이루어져 측면 돌출부(16)의 끝 부분에서 서로 만나 연결이 이루어지며, 내면부(15)와 측면 돌출부(16)의 상측으로 열십자형 보강대(22a)를 갖는 중공(22)을 형성한 프로파일(21)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의 내경(26)에 형성되는 양쪽의 결합 요철홈(27) 중 어느 한쪽이 결합돌기(14)와 결합하도록 공급되면 측면 돌출부(16)가 내경(26)의 하측에서 절반을 감싸며 연결되는 것이 연속해서 이루어져 내면부(15)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로파일(21)이 계속해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21)의 결합 요철홈(27)과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가 요철형으로 결합하며, 프로파일(21)의 내경(26)이 측면 돌출부(16)로 감싸지고 프로파일(21)의 사이가 내면부(15)에서 형성되므로 프로파일(21)을 연결하기 위한 수지를 공급하지 않아도 프로파일(21)이 보강 연결부재(13)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보강 연결부재(13)는 넓은 형태로 공급되어 삼중벽 하수관(35)의 내경이 매끄럽게 성형 되도록 함으로써 하수의 흐름성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배수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보강 연결부재(13)의 외측에 프로파일(21)이 나선형으로 공급되면서 프로파일(21)의 사이에서 내면부(15)의 외측으로 측면(24)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에 압출 노즐(31)에서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연결부재(32)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삼중벽 하수관(35)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한 삼중벽 하수관(35)은 연결부재(32)가 프로파일(21)을 연결하게 되므로 프로파일(21)과 연결부재(32)의 연결부분에서 내경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프로파일(21)의 사이 하측에 보강 연결부재(13)가 위치하게 되고, 연결부재(32)의 하측에 위치하는 보강 연결부재(13)는 프로파일(21)과의 경계면에 있지 않고 프로파일(21)의 중앙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프로파일(21) 간의 연결성을 향상시켜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과 팽창에도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하수관(35)은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와 프로파일(21)의 결합 요철홈(27)이 요철형태를 이루며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보강 연결부재(13)가 2개의 프로파일(21)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므로 프로파일(21)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켜 하중과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파일(21)의 결합 요철홈(27a, 27b, 27c)과 결합 요철돌기(27d, 27e, 27f, 27g)를 사각형과 반원형, 삼각형, 마름모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와,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a, 14b, 14c)와 결합홈(14d, 14e, 14f, 14g)을 사각형과 반원형, 삼각형, 마름모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요철형태로 일치되도록 형성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 연결부재의 결합돌기와 프로파일의 결합 요철홈을 요철형으로 결합하여 상호 결합력에 의한 하수관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내경에서의 흐름성을 좋게 하며,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열팽창계수와 하중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관 제조장치 11 : 제1 압출기
13 : 보강 연결부재 14, 14a, 14b, 14c : 결합돌기
14d, 14e, 14f, 14g : 결합홈 15 : 내면부
16 : 측면 돌출부 20 : 제2 압출기
21 : 프로파일 22 : 중공
23 : 로울러 24 : 측면
25 : 가이드 로울러 26 : 내경
27, 27a, 27b, 27c : 결합 요철홈
27d, 27e, 27f, 27g : 결합 요철돌기
30 : 제3 압출기 31 : 압출 노즐
35 : 삼중벽 하수관 40 : 압출 성형장치
41 : 중공 성형대 42 : 성형홈
43 : 홈 성형돌기 50 : 연결부재 성형장치
51 : 압출 성형대 52 : 연결부재 압출홈
53 : 돌기 압출홈

Claims (4)

  1. 열십자형 보강대(22a)를 갖고 중공(22)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1)을 제2 압출기(20)에서 압출하여 냉각장치(29)에서 냉각시킨 후 가이드 로울러(25)의 외경에 드럼(24a)과 로울러(23)가 설치된 관 제조장치(10)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며, 상기 프로파일(21)의 사이에 제3 압출기(30)의 압출 노즐(31)에서 용융수지를 연결부재(32)로 공급하여 삼중벽 하수관(35)을 성형하는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기(20)에 설치하며 내경(26) 양쪽으로 결합 요철홈(27)을 형성하는 성형홈(42)이 하측에 형성되는 홈 성형돌기(43)로 이루어지는 중공 성형대(41)를 형성하여 프로파일(21)을 압출하는 압출 성형장치(40)와;
    상기 관 제조장치(10)에 설치하며 내면부(15)의 양쪽으로 결합돌기(14)를 형성하는 돌기 압출홈(53)이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15)와 결합돌기(14)의 하측에 측면 돌출부(16)를 형성하는 연결부재 압출홈(52)에서 보강 연결부재(13)를 압출하는 압출 성형대(51)를 형성한 연결부재 성형장치(50)와;
    상기 관 제조장치(10)는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에 결합 요철홈(27)이 요철형으로 결합되며 내면부(15)의 상측으로 연결부재(32)가 위치하도록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성형장치(50)는 중앙의 내면부(15)와 양쪽 측면에 측면 돌출부(16)를 형성하도록 연결부재 압출홈(52)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 압출홈(52)의 양쪽에서 상측으로 결합돌기(14)를 형성하는 돌출 압출홈(53)을 형성하는 압출 성형대(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장치(40)의 성형홈(42)에 형성하는 홈 성형돌기(43)는 프로파일(21)의 결합 요철홈(27, 27a, 27b, 27c)을 사각형과 반원형, 삼각형, 마름모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 성형장치(50)의 돌기 압출홈(53)은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돌기(14, 14a, 14b, 14c)를 사각형과 반원형, 삼각형, 마름모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장치(40)의 성형홈(42)에 형성하는 홈 성형돌기(43)는 프로파일(21)의 결합 요철돌기(27d, 27e, 27f, 27g)를 사각형과 반원형, 삼각형, 마름모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 성형장치(50)의 돌기 압출홈(53)은 보강 연결부재(13)의 결합홈(14d, 14e, 14f, 14g)을 사각형과 반원형, 삼각형, 마름모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20140157184A 2014-11-12 2014-11-12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74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184A KR101748634B1 (ko) 2014-11-12 2014-11-12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184A KR101748634B1 (ko) 2014-11-12 2014-11-12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629A KR20160056629A (ko) 2016-05-20
KR101748634B1 true KR101748634B1 (ko) 2017-07-03

Family

ID=5610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184A KR101748634B1 (ko) 2014-11-12 2014-11-12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47B1 (ko) * 2018-12-31 2020-01-15 김시우 나선관용 프로파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프로파일을 이용한 나선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58B1 (ko) 2009-08-12 2011-09-23 (주)파이프로 보강대를 이용한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413037B1 (ko) 2013-03-06 2014-07-02 유옥수 내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425148B1 (ko) 2013-12-17 2014-08-05 (주) 엠에스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425151B1 (ko) 2013-12-17 2014-08-05 (주) 엠에스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58B1 (ko) 2009-08-12 2011-09-23 (주)파이프로 보강대를 이용한 하수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413037B1 (ko) 2013-03-06 2014-07-02 유옥수 내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425148B1 (ko) 2013-12-17 2014-08-05 (주) 엠에스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425151B1 (ko) 2013-12-17 2014-08-05 (주) 엠에스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629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741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548508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548507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마찰계수 감소용 이중벽 하수관
KR100694802B1 (ko) 원주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킨 사중 복층 하수관
KR101379908B1 (ko) 내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748638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117243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425151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200091B1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
KR101748634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413037B1 (ko) 내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415223B1 (ko) 중앙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748635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이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748636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삼중벽 하수관 제조방법
KR101748633B1 (ko) 강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 연결형 이중벽 하수관 성형장치
KR101425805B1 (ko) 외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425148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0537088B1 (ko) 강도를 향상시킨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118205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132239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085387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과 내경 코팅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140002251A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용 제작장치
KR101425804B1 (ko) 중앙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090302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200327112Y1 (ko) 내·외면의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