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388B1 -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388B1
KR100438388B1 KR10-2001-0029148A KR20010029148A KR100438388B1 KR 100438388 B1 KR100438388 B1 KR 100438388B1 KR 20010029148 A KR20010029148 A KR 20010029148A KR 100438388 B1 KR100438388 B1 KR 10043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ing
fusion
resin pipe
fus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026A (ko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10-2001-002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3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하고자하는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개재시켜 전기 발열로 양 합성수지관에 열 전달하여 적당히 용융 되면 융착링을 빼내고, 합성수지관 양단부를 서로 압착시켜 결합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에 관한 것이다.
즉,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 발열로 열 전달하여 융착 시키는 융착링에 있어서,
단면적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몸체를 구비한 구조에 의하여 합성수지관이 용융 될 때 용융물의 처짐을 방지하여 연결부위의 표면이 매우 양호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융착링의 몸체를 두 분할하여 일측의 경계부를 힌지결합하고, 반대측에 결합구를 설치하며, 분할된 양 몸체에 손잡이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클램프 사이에 용이하게 삽탈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A welding ring for connection of synthetic resin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하고자하는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개재시켜 전기 발열로 양 합성수지관에 열 전달하여 적당히 용융 되면 융착링을 빼내고, 합성수지관의 양단부를 서로 압착시켜 결합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한 쌍의 클램프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개재되어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융착 시킬 때 사용되는 융착링에 관한 것이다.
먼저 융착링이 사용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합성수지관(1a)(1b)의 둘레를 감아 압박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몸체가 두 분할되고, 분할된 경계부 일측을 힌지(3)결합하며, 반대측에 조임구(4a)(4b)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클램프(2a)(2b)가 한 쌍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일측 클램프(2b)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압잭(5)을 다수개 설치하여 타측 클램프(2a)를 밀고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 클램프(2a)(2b)에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1a)(1b)을 물린 상태에서 클램프(2a)(2b) 사이에 융착링(6)을 위치시키고, 유압을 이용하여 유압잭(5)을 작동시키면 양 클램프(2a)(2b)가 서로 밀착되면서 합성수지관(1a)(1b)의 단부가 융착링(6)의 양단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융착링(6)에 전기를 넣어 발열시키면 온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합성수지관(1a)(1b)에 열이 전달되어 합성수지관(1a)(1b)의 단부가 융착 되면 유압잭(5)에 의하여 양 클램프(2a)(2b)를 적당하게 이격시켜 융착링(6)을 빼낸 후에 다시 양 클램프(2a)(2b)를 밀착시킴으로써, 용융된 합성수지관(1a)(1b)의 단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지나게 됨에 따라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사용되어 오던 종래의 융착링(6)은 단순히 판 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일단에 걸림편(7a)(7b)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융착링(6)을 사용하면 합성수지관(1a)(1b)의 단부가 융착링(6)에 접하여 열 전달되면서 용융 될 때 합성수지관(1a)(1b)의 용융물이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늘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합성수지관(1a)(1b)을 연결하게되면 그 연결상태가 불량하게 된다.
즉, 연결된 합성수지관(1a)(1b)의 내측과 외측에 돌출부위가 생기게 되며, 특히 내부의 생성된 돌출부위는 후가공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그 목적은 융착링의 단면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여 합성수지관이 용융 될 때 용융물의 처짐을 방지하여 연결부위의 표면이 매우 양호하게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융착링의 몸체를 두 분할하여 일측의 경계부를 힌지결합하고, 반대측에 결합구를 설치하여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열 전달하여 용융 시킨 후 양 클램프사이에서 빼낼 때 용이하게 빠지도록 하는 융착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융착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융착링을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융착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융착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결합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융착링의 사용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융착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합성수지관 2a, 2b - 클램프 3, 33, 53 - 힌지
4a, 4b - 조임구 5 - 유압잭 6, 10, 20, 30, 50 - 융착링
11, 21, 31a, 31b, 51a, 51b - 몸체 12, 22, 32a, 32b, 52a, 52b - 손잡이
23, 54 - 단턱 40 - 결합구 41 - 브래킷
42 - 핀 43 - 스프링 44 - 말단부
45 - 고리 46 - 경사면 47 - 요홈
54 - 이음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은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 발열로 열 전달하여 융착 시키는 융착링에 있어서,
단면적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일측에 부도체로 이루어진 손잡이를 형성하여 달성된다.
또, 상기 몸체를 두 분할하여 일측의 경계부를 힌지결합하고, 반대측에 결합구를 설치하며, 분할된 양 몸체에 손잡이를 각각 형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링(10)의 단면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몸체(11)를 형성하였으며, 일단에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손잡이(12)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융착링(10)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1a)(1b)을 연결하면 열전달 시에 양 합성수지관(1a)(1b)의 말단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융착링(10)의 양단부에 합성수지관(1a)(1b)이 밀착되어 용융 될 때 자중에 의하여 합성수지관(1a)(1b)의 양단이 밑으로 처지게 되는데, 양측으로 돌출 된 융착링(10)의 몸체(11)가 합성수지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받쳐줌으로 용융물이 처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관(1a)(1b)의 연결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된다.
도 2b는 융착링에 형성된 손잡이를 두 개 형성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의 직경이 클 경우 당연히 융착링 크게 됨에 따라 그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손잡이를 두 개 두면 양손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들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로서, 융착링(20)의 단면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의 양 측단을 일부 절곡시켜 단턱(23)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관(1a)(1b)이 융착링(20)의 양단에 밀착되면 융착링(20)이 전기 발열하여 합성수지관(1a)(1b)의 단부를 용융 시킨다. 이때, 용융물이 융착링(20)의 단턱(23)에 의하여 합성수지관(1a)(1b)의 내측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그 후 융착링(20)을 빼내고 합성수지관(1a)(1b)을 연결하면 견고하면서도 연결된 내면이 양호하게 된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결합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링(30)의 몸체(31a)(31b)를 두 분할하고, 분할된 경계부 일측을 힌지(33) 결합하여 절첩 되도록 하며, 반대측의 경계부에는 결합구(40)를 설치하는 한편, 분할된 두 몸체(31a)(31b)에 각각 손잡이(32a)(32b)를 형성하였다.
상기 결합구(40)는 스프링(43)에 의하여 일측으로 밀착되는 핀(42)을 구비하고, 이러한 핀(42)은 상부에 고리(45)가 결합되며 브래킷(41)에 의하여 일측 몸체(31a)의 말단에 설치된다. 한편, 타측 몸체(31b)의 말단부 상단에는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42)의 말단부(44)와 대응 결합되는 요홈(4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겹합구(40)에 타측 몸체(31b)가 결합될 때 경사면(46)에 의하여 핀(42)의 말단부(44)가 들어올려지고 요홈(47) 부위에 위치되면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부의 고리(45)를 당기는 방법에 의하여 양 몸체(31a)(31b)가 쉽게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융착링(30)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클램프(2a)(2b)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용이하게 빼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장치를 살펴보면 클램프(2a)(2b) 둘레에는 세 개의 유압잭(5)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클램프(2a)(2b)의 직경과 유사한 융착링(30)이 삽입되기 위해서는 한 개의 유압잭(5)을 일측으로 밀고, 융착링을 삽입시킨 후 다시 원위치 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구(40)의 고리(45)를 당겨 결합된 몸체(31a)(31b)를 양측으로 벌리면, 융착링(30)의 폭이 절반 가량 줄어들기 때문에 유압잭(5)을 일측으로 밀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융착링(50)을 구비하고, 그 내경에 끼워지는 별도의 이음관(54)을 구비하였다.
상기 융착링(50)은 몸체(51a)(51b)를 두 분할시키고, 분할되는 부위의 일측을 힌지(53)결합하며, 타단은 결합구(40)를 설치하여, 힌지(53) 반대편이 벌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융착링(50)에 끼워지는 이음관(54)은 짧은 관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양단을 일부 절곡시켜 단턱(55)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이음관(54)이 구비된 융착링(50)의 양단에 합성수지관(1a)(1b)의 단부가 밀착되면 융착링(50)에 전기발열을 시켜 밀착된 합성수지관(1a)(1b)의 단부를 용융 시키고, 충분히 용융 되면 융착링(50)에 설치된 결합구(40)의 고리(45)를 당겨 결합구(40)에 고정된 일측 몸체(51b)를 이격시켜 빼낸다. 그 후 합성수지관(1a)(1b) 내부에 이음관(54)을 그대로 위치한 상태에서 약간 이격된 합성수지관(1a)(1b)을 밀착시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성수지관(1a)(1b)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부위의 내경이 매우 말끔하게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융착링의 단면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여 양 합성수지관의 내부에서 받쳐주므로 용융 될 때 용융물의 처짐을 방지하여 연결이 매우 용이하며 연결부위의 표면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융착링의 몸체를 두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장치의 양 클램프사이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연결될 합성수지관(1a)(1b)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 발열로 열 전달하여 융착 시키는 융착링에 있어서,
    상기 융착링(10)은 단면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몸체(11)로 구비되고, 일측에 부도체로 이루어진 손잡이(12)를 설치하되,
    상기 융착링(30)을 두 분할 된 몸체(31a)(31b)로 구비하고, 일측의 경계부를 힌지(33)결합하며, 반대측에 결합구(40)를 설치하는 한편, 분할된 양 몸체(31a)(31b)에 손잡이(32a)(32b)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4. 연결될 합성수지관(1a)(1b)의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 발열로 열 전달하여 융착 시키는 융착링에 있어서,
    상기 융착링(10)은 단면이 'ㅗ'형상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몸체(11)로 구비되고, 일측에 부도체로 이루어진 손잡이(12)를 설치하되,
    상기 융착링(50)을 두 분할된 판 형상의 몸체(51a)(51b)로 형성하고, 두 분할하여 일측을 힌지(53)결합하며, 타단은 결합구(40)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융착링(50)의 내경에 끼워지는 별도의 이음관(54)을 구비하며, 이음관(54)은 짧은 관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양단을 일부 절곡시켜 단턱(5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40)는 스프링(43)에 의하여 일측으로 밀착되는 핀(42)이 브래킷(41)의 내부에 설치되고, 핀(42)의 상부에 고리(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KR10-2001-0029148A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KR10043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8A KR100438388B1 (ko)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8A KR100438388B1 (ko)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53U Division KR200253864Y1 (ko)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26A KR20020090026A (ko) 2002-11-30
KR100438388B1 true KR100438388B1 (ko) 2004-07-07

Family

ID=2770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48A KR100438388B1 (ko) 2001-05-25 2001-05-25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12B1 (ko) * 2011-06-10 2011-12-19 (주)명성화학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977A (ja) * 1995-11-27 1997-06-03 Tokyo Gas Co Ltd 電気融着管継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4977A (ja) * 1995-11-27 1997-06-03 Tokyo Gas Co Ltd 電気融着管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12B1 (ko) * 2011-06-10 2011-12-19 (주)명성화학 가변관을 이용한 간편 연결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26A (ko) 200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5427A (en) Support core ribbon for cold-shrink tube
EP2800921B1 (en) Heat-shrinkable tube covering
US50375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tubular plastic parts by welding
US6149756A (en) Method for joining plastic pipes, a joint ring used in the joining and a pipe joint provided with the method
JPH06270260A (ja) 熱可塑性材からなるパイプ片の溶接法
JPH04131589A (ja) 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続方法及びパイプ接続部
CZ286291B6 (cs) Potrubní spoj a způsob jeho výroby pro potrubí z polyolefinu
KR100438388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KR200253864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
EP0510804B1 (en) Method of forming a welded joint between polyolefinic members
KR100590619B1 (ko) 다중벽관 접합용 열판 및 접합방법
KR940007073Y1 (ko) Ppc 파이프 접합용 가열구의 팊
JPS6222002B2 (ko)
KR200304481Y1 (ko) 파이프용 연결장치
WO1992005382A1 (en) Coupler for elongated elements
JP3495064B2 (ja) 接続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6243A (ja) 芯出し具
JP3380006B2 (ja) 融着継手及び融着継手と管の接合方法
CN214789710U (zh) 一种塑料管道连接头以及管道连接装置
KR200250794Y1 (ko) 수지관연결소켓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72425Y1 (ko) 열수축관의 간편절개장치
KR200286290Y1 (ko) 유체관 밀봉용 열수축시트구조체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H11304071A (ja) プラスチック管用継手および管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