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273B1 -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273B1
KR101573273B1 KR1020150086075A KR20150086075A KR101573273B1 KR 101573273 B1 KR101573273 B1 KR 101573273B1 KR 1020150086075 A KR1020150086075 A KR 1020150086075A KR 20150086075 A KR20150086075 A KR 20150086075A KR 101573273 B1 KR101573273 B1 KR 10157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pipe
branch portion
wall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문
임효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산업
Priority to KR102015008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에 밀착되는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제 1, 2 분지부를 갖는 분지형 고무띠를 도입함으로써, 간단히 돌려 끼우는 동작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의 벽내 중공을 제 1 분지부로 밀폐시키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제 2 분지부로 막아, 기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관 연결 시 빈번히 나타나는 문제점인 워터터널 현상, 외부 불명수의 유입 및 내부 유체의 유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MEMBER FOR CLOSING WALL EDGE OF SYNTHETIC RESIN PIPE AND SYNTHETIC RESIN PIP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에 밀착되는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제 1, 2 분지부를 갖는 분지형 고무띠를 도입함으로써, 간단히 돌려 끼우는 동작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의 벽내 중공을 제 1 분지부로 밀폐시키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제 2 분지부로 막아, 기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하나 이상의 얇은 사각 파이프 (프로파일)를 나선형으로 감으면서 융착함에 따라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을 갖는 이중벽 또는 다중벽의 원통형 대형 파이프의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합성수지관 (이하, '폴리프로필렌관' 또는 'PP관'이라 함)은 폴리프로필렌관 관체 (1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 (13)을 가지며, 관체 외부 표면에 주름골 (11)을 가져 '주름관'이라고도 불리운다 (도 1 참조).
폴리프로필렌관을 포함하여 합성수지관은 대체로 성형성이 양호하므로 자동공정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어 현장으로 공급된다. 시공 시에는 배관 공사의 현장에서 개개의 합성수지관을 순차적으로 매설해 가면서, 합성수지관들 사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연속적인 관로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유의 형태로 인해 기밀성 및 내구성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1) 합성수지관벽의 단부 절단면에는 개방된 공동 (空洞; 12)이 존재하는데, 이 개방된 공동 (12)을 유지한 채로 두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진행할 경우, 합성수지관 이음매에 존재하는 개방된 공동 (12)을 통해 관체 내를 흐르는 유체 또는 관체 외부의 불명수가 중공 (13)으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 (13)을 따라 흐르는 이른바 '워터터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 관체 외부 표면의 주름골로 인해, 두 관체가 서로 맞물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빈공간이 발생하여 외부 불명수가 관체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3) 보수 시 관체 내부의 오염물질을 고압 세척기로 세척할 경우, 합성수지관 말단의 사각 파이프 끝부분이 압력에 의해 탈락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상기 워터터널 현상은 중공을 따라 흐르던 외부 불명수가 합성수지관 단부에 위치하는 개방된 공동을 통해 관체 내로 유입되어, 유입유량 증가에 따른 관체의 유하능력 저하 및 관내 오염에 따른 유입수질의 저하의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관체 말단에 중공 (13)으로 연결되는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을 통해 중공에 합성수지관과 동일한 재질의 용융수지를 주입한 후 응고시킴으로써, 중공의 일정 지점을 틀어막는 방법을 채택하고는 있지만, 상기 용융수지의 응고에 의해 상기 중공 (13)이 완벽하게 막아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방법에 의해 상기 (2) 및 (3) 문제점은 전혀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배관 공사는 광범위한 면적의 주변 지면을 굴착하여 진행하므로, 행인들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특히 상수도관 교체 공사인 경우 주변지역 단수가 불가피하여, 최대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시공 과정을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어, 단순한 형태의 연결부재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6879호 "이중벽관용 커플러"는 이중벽관의 중공부를 통해 오수가 관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구조 (어댑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이중벽관 연결용 양수형 소켓에 이중벽관을 인입시키기에 앞서, 막음돌기가 형성된 어댑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중벽관의 개방된 공동을 막도록 하는 구성이 포함되나, 상기 어댑터만으로는 수밀성이 떨어져 반드시 별도의 수밀패킹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806879호 (2008년 2월 22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관에 밀착되는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제 1, 2 분지부를 갖는 분지형 고무띠를 도입함으로써, 간단히 돌려 끼우는 동작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의 벽내 중공을 제 1 분지부로 밀폐시키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제 2 분지부로 막아, 기밀성 및 수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및 연결 소켓을 포함하는, 연결 소켓에 결합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오링 형태의 고무밀착판 및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고무띠는 상기 고무밀착판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 및 상기 고무밀착판으로부터 탈락되어 있는 분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지부는 제 1 분지부 및 제 2 분지부로 분지된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지부는 상기 제 1 분지부의 일부 표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분지부와 상기 제 1 분지부의 일부가 서로 겹쳐져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지부 및 제 2 분지부는 상기 부착부에서 멀어지는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지부의 최말단은 모퉁이가 제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지부는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되어 중공을 밀폐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지부는 합성수지관 단부의 외벽 주름골을 따라 끼워져 상기 합성수지관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막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합성수지관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합성수지관 관체 및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 말단에 끼워진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가 폴리프로필렌 재질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의 일 말단 또는 양 말단에 끼워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에 포함된, 제 1 분지부가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되고, 제 2 분지부가 상기 합성수지관의 단부 외벽의 주름골을 따라 끼워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지부는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되어 중공을 밀폐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지부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단부 외벽의 주름골을 따라 끼워져 상기 합성수지관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막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및 연결 소켓을 포함하는, 연결 소켓에 결합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합성수지관의 단부 절단면에 적용하여, 합성수지관의 벽내 중공을 밀폐시키는 동시에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공간을 막아 기밀성 및 수밀성을 극대화시켜 워터터널 현상, 외부 불명수의 유입 및 내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는 합성수지관에 밀착되는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제 1, 2 분지부를 갖는 분지형 고무띠를 도입함으로써, 합성수지관벽 단부의 개방된 중공 및 외벽의 주름골에 고무밀착판의 분지형 고무띠의 제 1, 2 분지부 각각이 맞춰지도록 돌려 끼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합성수지관 단부와 결합시킬 수 있어, 현장에서의 시공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은 다른 합성수지관이나 연결 소켓, 엘보, 커플러와 같은 다양한 이음관과 연결될 경우, 그 접촉면이 이미 고무밀착판에 의해 마감되어 있으므로 기밀성 및 수밀성이 우수하여 추가적인 수밀용 부재의 도입 없이도 다른 합성수지관 또는 다양한 이음관에 인입되어 우수한 결속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폴리프로필렌관 관체의 정면도 (a) 및 관체 단부의 일부 종단면도 (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지형 고무띠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합성수지관 말단에 적용됨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합성수지관 말단에 적용되기 직전의 사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즉,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합성수지관 말단에 적용된 후)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이 결합될 연결 소켓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이 양수형 연결 소켓에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불명수"란 용어는, 예를 들어, 상·하수관 내로 흐르는 유체 이외에 예정되지 않은 유입수를 말하며, 그 종류로는 지하수, 우수, 하천 유입수 또는 무허가 배출수 등일 수 있다. 상기 불명수를 적절한 방법으로 차단하지 못할 경우 유입유량 증가에 따른 관체의 유하능력 저하 및 관내 오염에 따른 유입수질의 저하의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관체 내로 불명수와 함께 토사가 유입되어 퇴적되는 경우 관체의 유하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관체 주변 토사유실이 일어나 공동화에 의한 관체의 부등침하 및 도로 또는 보도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지하 매설물에 악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반대로 관체 내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었을 때에도 오수가 유출될 경우 주변 오염의 문제가 있고, 상수도가 유출될 경우에도 수도 공급 차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면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100)는,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오링 형태의 고무밀착판 (200) 및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 (300)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형 고무띠 (300)는 상기 고무밀착판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 (310) 및 상기 고무밀착판으로부터 탈락되어 있는 분지부 (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지부 (320)는 제 1 분지부 (321) 및 제 2 분지부 (322)로 분지된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합성수지관 말단에 적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a는 결합 직전의 사진으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100)가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의 상기 제 1 분지부 (321)는 합성수지관벽 단부의 개방된 공동 (12)으로 삽입되어 중공 (13)을 밀폐시키고,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의 상기 제 2 분지부 (322)는 합성수지관 단부의 외벽 주름골 (11)을 따라 끼워져 상기 합성수지관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100)는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결합시킬 경우 합성수지관의 벽내 중공을 밀폐시키는 동시에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공간을 막아 기밀성 및 수밀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워터터널 현상, 외부 불명수의 유입 및 내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 과정이 간단하여, 현장에서의 시공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지형 고무띠 (300)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분지부 (322)는 상기 제 1 분지부의 일부 표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분지부와 상기 제 1 분지부 (321)의 일부가 서로 겹쳐져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분지부 및 제 2 분지부는 상기 부착부에서 멀어지는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분지부 (321)는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에 삽입되어 중공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그 최말단의 단면적은 결합될 합성수지관의 벽 내 중공의 단면적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분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분지부의 길이보다 긴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분지부의 길이는, 중공 밀폐 후 외부진동에 의해 중공에 삽입될 때와 반대 방향으로 다소 이동하더라도 여전히 밀폐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결합될 합성수지관의 원주 길이의 약 1/10 배 내지 약 1 배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분지부의 길이가, 결합될 합성수지관의 원주 길이의 약 1 배를 넘길 정도로 길 경우, 중공에 삽입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커져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상기 제 2 분지부의 길이는 결합될 합성수지관의 원주 길이의 약 1/15 배 내지 약 1 배 미만인 것에서 선택되되, 상기 제 1 분지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 (300)의 상기 제 1 분지부 (321)는 최말단의 모퉁이가 제거되어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에 삽입하기에 용이한 것일 수 있다 (도 4에서 322의 최말단 부분 참조). 이때, 상기 제 1 분지부는 최말단은 네 모퉁이가 모두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분지부 (322)는 최말단의 하나 이상의 모퉁이가 제거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네 모퉁이가 모두 제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합성수지관, 즉 폴리프로필렌관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관은 외벽 및 내벽 사이에 나선형 중공이 존재하는 이중벽관 또는 코러게이트 이중관 (double wall corrugated pipe, dc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관체 및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 말단에 끼워진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는 외벽 및 내벽 사이에 나선형 중공이 존재하는 이중벽관 또는 코러게이트 이중관 (double wall corrugated pipe, dc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는 제작과정에서 횡방향으로 절단된 것으로서, 그 절단면에 개방된 공동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1 참조).
예를 들어, 상기 합성수지관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이중벽 합성수지관, 즉 폴리프로필렌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프로필렌관은 내벽과 외벽 사이에 중공이 존재하고, 외벽 표면에 골이 형성되어 있는, 이른바 주름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는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의 일 말단에 끼워질 수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 양 말단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은,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100)가 합성수지관 관체의 말단에 맞춰 돌려 끼워져 형성되며,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의 상기 제 1 분지부 (321)가 합성수지관벽 단부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되어 중공을 밀폐시킬 수 있고,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의 상기 제 2 분지부 (322)가 합성수지관 단부의 외벽 주름골을 따라 끼워져 상기 합성수지관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막는다 (도 5 및 도 6a 참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폴리프로필렌관에 대한 도면으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폴리프로필렌관과 결합된 모습 (도 6b의 첫 번째 이미지)을 나타낸다. 도 6b의 두 번째 이미지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폴리프로필렌관의 단면도로, 폴리프로필렌관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의 제 1 분지부 (321; 도 6b의 세 번째 이미지)가 합성수지관의 벽내 중공을 밀폐시키고,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의 제 2 분지부 (322)가 상기 폴리프로필렌관의 외벽 주름골을 따라 끼워져 (도 6b의 네 번째 이미지), 폴리프로필렌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관 단부 외벽과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사이의 공간을 막고 있음 [도 6b의 단면도에서 제 2 분지부 (322)와 상기 제 1 분지부 (321)가 서로 겹쳐져 있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은 전술한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기밀성 및 수밀성이 극대화되어, 워터터널 현상, 외부 불명수의 유입 및 내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은 다른 합성수지관이나 연결 소켓, 엘보, 커플러와 같은 다양한 이음관과 연결될 경우, 그 접촉면이 이미 고무밀착판에 의해 마감되어 있으므로 기밀성 및 수밀성이 우수하여 추가적인 수밀용 부재의 도입 없이도 다른 합성수지관 또는 다양한 이음관에 인입되어 우수한 결속력을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및 연결 소켓을 포함하는, 연결 소켓에 결합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켓은 양수형 연결 소켓일 수 있으나 (도 7 참조),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연결 소켓에 결합된 합성수지관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이 양수형 연결 소켓 (400)에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양수형 연결 소켓의 양 단부의 내부로 각각의 상기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이 인입되어 기밀화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에 포함된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100) 중 고무밀착판 및 제 1, 2 분지부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벽내 중공을 밀폐시키는 동시에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막아, 추가적인 수밀용 부재의 도입 없이도 기밀성 및 수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워터터널 현상, 외부 불명수의 유입 및 내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폴리프로필렌관 관체
11: 주름골
12: 개방된 공동
13: 중공
100: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200: 고무밀착판
300: 분지형 고무띠
310: 부착부
320: 분지부
321: 제 1 분지부
322: 제 2 분지부
400: 양수형 연결 소켓

Claims (14)

  1.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오링 형태의 고무밀착판 및
    상기 고무밀착판 내측면에 배치된 분지형 고무띠
    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고무띠는 상기 고무밀착판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부 및 상기 고무밀착판으로부터 탈락되어 있는 분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지부는 제 1 분지부 및 제 2 분지부로 분지된 것이고,
    상기 제 1 분지부가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되고, 제 2 분지부가 상기 합성수지관의 단부 외벽의 주름골을 따라 끼워지는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지부는 상기 제 1 분지부의 일부 표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분지부와 상기 제 1 분지부의 일부가 서로 겹쳐져 있는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지부 및 제 2 분지부는 상기 부착부에서 멀어지는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지부의 최말단은 모퉁이가 제거된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지부는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되어 중공을 밀폐하는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지부는 합성수지관 단부의 외벽 주름골을 따라 끼워져 상기 합성수지관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막는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합성수지관에 적용되는 것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8. 합성수지관 관체 및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 말단에 끼워진 제 1 항에 따른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가 폴리프로필렌 재질인 것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가 상기 합성수지관 관체의 일 말단 또는 양 말단에 끼워진 것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에 포함된, 제 1 분지부는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절단면의 개방된 공동으로 삽입되어 중공을 밀폐하는 것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에 포함된, 제 2 분지부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단부 외벽의 주름골을 따라 끼워져 상기 합성수지관 외벽의 주름골로 인해 존재하는 빈공간을 막는 것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14. 제 8 항에 따른 절단면이 마감 처리된 합성수지관 및 연결 소켓을 포함하는, 연결 소켓에 결합된 합성수지관.
KR1020150086075A 2015-06-17 2015-06-17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KR10157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75A KR101573273B1 (ko) 2015-06-17 2015-06-17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75A KR101573273B1 (ko) 2015-06-17 2015-06-17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273B1 true KR101573273B1 (ko) 2015-12-02

Family

ID=5488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075A KR101573273B1 (ko) 2015-06-17 2015-06-17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2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665A (ja) * 1999-06-24 2001-01-16 Kana Flex Corporation Kk 管接続用のシール材
KR101498604B1 (ko) 2014-12-01 2015-03-05 주식회사 뉴보텍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665A (ja) * 1999-06-24 2001-01-16 Kana Flex Corporation Kk 管接続用のシール材
KR101498604B1 (ko) 2014-12-01 2015-03-05 주식회사 뉴보텍 스토퍼링을 구비한 이중벽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589B2 (en) Tank fitting and method of use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101548333B1 (ko)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KR101573273B1 (ko) 합성수지관벽 단부 마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US20170074438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101907869B1 (ko) 수밀성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CN104110548A (zh) 管耦接件
RU2377369C2 (ru) Колодец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олодце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KR100995348B1 (ko) 맨홀구조체
US20170074432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JP4449020B2 (ja) 排水ますおよび排水ますの埋設位置の調整方法
CN106948457A (zh) 具备反冲洗功能的管道机构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JP6465757B2 (ja) マンホール内の管路接続構造および管路接続方法
CN218914141U (zh) 一种排污管熔焊接头
EP1471298A1 (en) Assembly of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pipe and/or fit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pe and/or fitting
KR101158346B1 (ko) 맨홀 박스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200434156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KR200372694Y1 (ko) 관 접속장치
FI110707B (fi) Menetelmä ja laite putkien liittämiseksi viemärikaivon saneerauskaivoon
KR200469324Y1 (ko) 튜브방수패킹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