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569B1 -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569B1
KR102386569B1 KR1020200097456A KR20200097456A KR102386569B1 KR 102386569 B1 KR102386569 B1 KR 102386569B1 KR 1020200097456 A KR1020200097456 A KR 1020200097456A KR 20200097456 A KR20200097456 A KR 20200097456A KR 102386569 B1 KR102386569 B1 KR 10238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tight
improved
socket
hume
mai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222A (ko
Inventor
조종호
주병숙
홍선희
Original Assignee
경기건설 주식회사
홍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건설 주식회사, 홍선희 filed Critical 경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5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은 주배수관에 흄관을 연결하기 위한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에 있어서, 상기 주배수관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측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 체결부가 복수개 이격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소켓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의 수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밀부는 상기 주배수관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주배수관에 대해 조여짐으로써 상기 주배수관과 상기 삽입부의 연결 부위를 수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WATERTIGHT SOCKET FOR CONNECTING IMPROVED HUME PIPE, PRESSING TYPE BOLT USED THEREF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지상의 물이 흐르는 곳에 주변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막거나 우천시 낮은 지형으로 집수되는 물이 쉽게 배출되도록 일정한 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콘크리트 관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관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그 하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형틀에 부어 넣어 모양을 형성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관이고, 또 다른 하나는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규격화된 크기로 미리 제작되고 현장에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관으로 대별된다.
또한, 콘크리트 관은 그 단면 형상에 따라서 원형 콘크리트관, 사각 콘크리트 관, U자형 콘크리트 풀륨관, 벤치 풀륨관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관들은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단지 내 탱크에서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송시키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 배관 및 하수도 배관을 연결시킨 상하수로가 시공된다.
이때, 상기 상하수로에 사용되는 상하수도 배관 및 흄관을 다수개 연결할 때에는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연결해야 한다.
특히, 하수로를 구성하는 흄관의 연결상태가 불량하면 외부의 충격에 따라 연결부위에 변형이 발생되고 불량한 연결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누수가 촉진되는 문제점이 있고, 하수로에서는 유출된 오수 또는 폐수로 인하여 지하수 오염 및 토양의 오염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 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흄관의 연결시 누수를 차단하도록 한 것 중의 하나는 링형상을 가지면서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의 흄관 연결용 패킹이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흄관 연결용 패킹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흄관 연결용 패킹은 고무링(4)과, 상기 고무링(4)의 외면에 고무재질보다 비교적 저밀도이면서도 신축성이 커다란 성질을 가지는 발포수지층(5)으로 구성되는 2중 구조를 가지는 흄관 연결용 패킹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흄관 연결용 패킹은 일측 흄관의 삽입 단턱부와 타측 흄관의 소켓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접속하는 작업과정에서 탄성링이 꼬이거나 비뚤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흄관의 접속작업을 수행할 때 일측 흄관의 삽입 단턱부에 맞추어 타측 흄관의 소켓부가 상하좌우로 치우치지 않도록 정확히 끼워서 탄성링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마찰 접촉하면서 일측 흄관의 삽입 단턱부를 따라 꼬이거나 어긋남이 없이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와 노력을 기울이게 됨으로써, 작업부담은 가중되고 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개량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배수관에 흄관을 연결하기 위한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에 있어서, 상기 주배수관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측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 체결부가 복수개 이격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소켓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의 수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밀부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 환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밀부가 결합되어 있는 삽입부가 상기 주배수관에 천공되어 있는 삽입 구멍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 구멍의 직경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밀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볼트가 상기 주배수관에 대해 조여짐으로써 상기 주배수관과 상기 삽입부의 연결 부위를 수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의 단부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의 단부는 상기 주배수관의 곡률 반경의 역수의 곡률을 갖는다.
상기 삽입부와 상기 소켓부의 재질은 강화 플라스틱, PE(Poly Ethylene), PVC(Poly Vinyl Chloride), PP(Poly Prop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수밀부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 환형 형상을 갖는다.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로서, 외측 일부에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타측 단부의 내부에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고깔 형상의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서 상기 몸체의 축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의 일부가 삽입된다.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로서, 외측 일부에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타측 단부에 돌출 나사산 또는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돌출 나사산 또는 내측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고깔 형상의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서 상기 몸체의 축방향에 대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시공 방법으로서,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삽입부의 일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 환형 형상의 수밀부가 결합되어 있는 삽입부를 주배수관에 천공되어 있는 삽입 구멍에 삽입하는 과정, ―상기 삽입 구멍의 직경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밀부의 직경보다 작음―,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있는 수밀부를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소켓부의 볼트 체결부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과정, 상기 주배수관과 상기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수밀부가 밀착되는 과정, 상기 주배수관과 상기 수밀부가 밀착된 부위에 폴리우레탄 레진을 포함하는 몰탈 시공을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공이 편리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누수를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수밀 효과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규격화되어 비용을 절감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주배수관과 흄관의 연결 부위의 누수 방지를 위해 주배수관 내측 및 외측의 양쪽에서 수밀을 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수밀 효과를 제공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압착 볼트는 작업 대상물의 곡면의 중심점 또는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할 수 있어 대상물의 곡면 또는 경사면에 사용이 효과적이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압착 볼트는 작업 대상물의 곡면 또는 경사면에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흄관 연결용 패킹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을 나타내는 정면 및 측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장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를 나타내는 분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의 결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를 나타내는 분해 및 결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을 나타내는 정면 및 측면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장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은 주배수관(10)에 흄관(11)을 연결하기 위한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에 있어서, 상기 주배수관(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측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110)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에 압착 볼트(200)가 결합되는 볼트 체결부(124)가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소켓부(120) 및 상기 삽입부(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압착 볼트(200)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의 수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수밀부(130)는 상기 주배수관(10)에 삽입되어 상기 압착 볼트(200)가 상기 주배수관(10)에 대해 조여짐으로써 상기 주배수관(10)과 상기 삽입부(110)의 연결 부위를 수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110)의 주배수관(10)과 결합되는 방향의 단부(112)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즉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에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110)의 단부(112)는 상기 주배수관(10)의 곡률 반경(r), 즉 주배수관(10)의 단면이 원인 경우에 반지름(r)의 역수(1/r)의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의 삽입부(110)와 소켓부(120)의 재질은 강화 플라스틱, PE(Poly Ethylene), PVC(Poly 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부(120)에서 주배수관(10)과 접하는 내측부(121)는 상기 삽입부(110)의 단부(112)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배수관(10)의 곡률 반경(r), 즉 주배수관(10)의 단면이 원인 경우에 반지름(r)의 역수(1/r)의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120)의 내측부(121)에 대향하는 외측부(122)는 흄관(11)과의 연결을 위해 측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밀부(130)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의 중심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된 환형 형상이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호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주배수관(10)과 결합되는 방향의 삽입부(110)의 단부(112)측의 반지름(R1)이 대향측 반지름(R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착 볼트(200)는 주배수관(10)에 대해 조여짐으로써, 즉 주배수관(10)의 삽입 구멍의 외주부를 가압하여 수밀부(130)가 가압되는 구조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압착 볼트(200)가 수밀부(130)에 연결되어 수밀부(130)를 인장하도록 하여 수밀부(130)와 주배수관(10)이 상호 밀착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압착 볼트(200)가 주배수관(10)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수밀부(130)를 인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를 나타내는 분해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의 결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200)는 외측 일부에 외측 나사산(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나사산(212)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타측단부의 내부에 내측 나사산(214)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내측 나사산(214)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220) 및 상기 몸체(210)와 체결 부재(220) 사이에 개재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고깔 형상의 조정 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부재(230)는 상기 몸체(210)와 체결 부재(220) 사이에서 상기 몸체(210)의 축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체결 부재(220)의 일부에는 몸체(210)의 내측 나사산(214)에 체결되는 체결 나사산(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0)에는 외측 나사산(212)과 결합되어 주배수관(1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와셔와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정 부재(230)는 체결 부재(220)가 삽입 관통하는 단경부(232)와 상기 단경부(2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장경부(234)로 구성되어 상하부가 개방된 고깔형상을 이룬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 모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200)의 몸체(210)의 내측 나사산(214)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211)에는 조정 부재(220)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만입부(2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입부(216)에는 상기 조정 부재(220)의 일부가 삽입된다.
즉 몸체(21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몸체(210)의 만입부(216)에 조정 부재(220)의 단경부(232)가 삽입되어 조정 부재(220)가 좌우측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을 다른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200)가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의 볼트 체결부(124)에 체결되어 주배수관(10)에 대해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압착 볼트(200)의 조정 부재(230)는 압착 볼트(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주배수관(10)의 중심 방향을 향해 θ만큼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압착 볼트(200)에 가해지는 힘이 주배수관(10)의 중심 방향에 대해 작용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를 나타내는 분해 및 결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300)는 외측 일부에 외측 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타측 단부에 돌출 나사산(314)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내측 나사산(314)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320) 및 상기 몸체(310)와 체결 부재(320) 사이에 개재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고깔 형상의 조정 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부재(330)는 상기 몸체(310)와 체결 부재(320) 사이에서 상기 몸체(310)의 축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착 볼트(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달리 몸체(31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 나사산(314)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 체결 부재(320)는 돌출 나사산(314)과 체결되는 너트가 바람직하며 다른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도 2 내지 도 9와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작동 관계 및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주배수관(10)에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의 삽입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삽입 구멍(10-1)을 천공한다.
주배수관(10)에 삽입 구멍(10-1) 천공이 이루어지면 주배수관(10)에 흄관(11)을 연결하기 위해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의 삽입부(110)를 주배수관(10)의 삽입 구멍(10-1)에 삽입한다(S110).
상기 수밀부(13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주배수관(10)의 삽입 구멍(10-1)이 상기 수밀부(130)의 직경보다 작아도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주배수관(10)의 삽입 구멍(10-1)은 상기 수밀부(13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밀부(130)가 주배수관(10)의 삽입 구멍(10-1)에 삽입되면 주배수관(10)이 소켓부(120)과 수밀부(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100)과 상기 주배수관(10)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삽입부(110)에 결합되어 있는 수밀부(130)를 가압하도록 상기 주배수관(10)에 대해 상기 압착 볼트(200)를 조임으로써 상기 수밀부(130)가 상기 주배수관(10)과 밀착하게 된다(S130).
계속해서 상기 주배수관(10)과 상기 수밀부(130)가 밀착된 부위에 폴리우레탄 레진을 포함하는 몰탈 시공을 수행하여(S140) 누수 방지를 위한 수밀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은 시공이 편리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수밀 효과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며, 비용을 절감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주배수관과 흄관의 연결 부위의 누수 방지를 위해 주배수관 내측 및 외측의 양쪽에서 수밀을 하여 현저하게우수한 수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착 볼트는 작업 대상물의 곡면의 중심점 또는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할 수 있어 대상물의 곡면또는 경사면에 사용이 효과적이며, 작업 대상물의 곡면 또는 경사면에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작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0: 주배수관
10-1: 삽입 구멍
11: 흄관
100: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110: 삽입부
112: 단부
120: 소켓부
121: 내측부
122: 외측부
124: 볼트 체결부
130: 수밀부
140: 볼트
200: 압착 볼트

Claims (11)

  1. 주배수관에 흄관을 연결하기 위한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에 있어서,
    상기 주배수관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측방향에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주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 체결부가 복수개 이격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소켓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 재질의 수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밀부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 환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밀부가 결합되어 있는 삽입부가 상기 주배수관에 천공되어 있는 삽입 구멍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 구멍의 직경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밀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볼트가 상기 주배수관에 대해 조여짐으로써 상기 주배수관과 상기 삽입부의 연결 부위를 수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부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부는 상기 주배수관의 곡률 반경의 역수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소켓부의 재질은 강화 플라스틱, PE, PVC, PP,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는 상기 주배수관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수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7.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로서,
    외측 일부에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타측 단부의 내부에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고깔 형상의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서 상기 몸체의 축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볼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볼트.
  10.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로서,
    외측 일부에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타측 단부에 돌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돌출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고깔 형상의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입부에는 상기 조정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서 상기 몸체의 축방향에 대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측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볼트.
  11.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시공 방법으로서,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삽입부의 일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 환형 형상의 수밀부가 결합되어 있는 삽입부를 주배수관에 천공되어 있는 삽입 구멍에 삽입하는 과정, ―상기 삽입 구멍의 직경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수밀부의 직경보다 작음―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있는 수밀부를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소켓부의 볼트 체결부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과정,
    상기 주배수관과 상기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의 수밀부가 밀착되는 과정,
    상기 주배수관과 상기 수밀부가 밀착된 부위에 폴리우레탄 레진을 포함하는 몰탈 시공을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방법.
KR1020200097456A 2020-08-04 2020-08-04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KR10238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56A KR102386569B1 (ko) 2020-08-04 2020-08-04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56A KR102386569B1 (ko) 2020-08-04 2020-08-04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22A KR20220017222A (ko) 2022-02-11
KR102386569B1 true KR102386569B1 (ko) 2022-04-15

Family

ID=8026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456A KR102386569B1 (ko) 2020-08-04 2020-08-04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5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582A (ja) * 2001-02-28 2002-09-11 Teihyu Corp マンホールと管の継手構造
KR200391564Y1 (ko) * 2005-03-02 2005-08-08 주식회사 신영기술공사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101407685B1 (ko) * 2013-04-17 2014-06-13 노대식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827A (ja) * 1995-12-15 1997-06-24 Ngk Spark Plug Co Ltd インサート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582A (ja) * 2001-02-28 2002-09-11 Teihyu Corp マンホールと管の継手構造
KR200391564Y1 (ko) * 2005-03-02 2005-08-08 주식회사 신영기술공사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101407685B1 (ko) * 2013-04-17 2014-06-13 노대식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22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5216A (en) Pipe connection assembly
KR101663691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2386569B1 (ko) 개량 흄관 연결 수밀 소켓, 그에 이용되는 압착 볼트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CN214541019U (zh) 一种检查井井筒防渗警报装置
KR102417309B1 (ko) 집수정 연결 수밀 소켓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JP2020153224A (ja) 配管構造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KR102382132B1 (ko)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KR101086666B1 (ko) 이중벽관의 원터치 연결구조
EP3256694B1 (en) Modular tunnel lining system and method
KR200191992Y1 (ko) 조립식 파이프 보호커버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CN220870354U (zh) 一种方便安装的pe管用接头
CN210978826U (zh) 一种用于排水管的连接结构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CN214500379U (zh) 防渗型排污管道连接结构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KR20050123082A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