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346Y1 - 하수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346Y1
KR200420346Y1 KR2020060008505U KR20060008505U KR200420346Y1 KR 200420346 Y1 KR200420346 Y1 KR 200420346Y1 KR 2020060008505 U KR2020060008505 U KR 2020060008505U KR 20060008505 U KR20060008505 U KR 20060008505U KR 200420346 Y1 KR200420346 Y1 KR 200420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pe
coupling structure
sewer pipe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만현
Original Assignee
새한합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합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한합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8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3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9Combination of a quick-acting type coupling and a conventional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체결링에 체결핀을 용접 체결하고, 이 체결핀을 하수관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 넣는 방식을 취하되, 상기 체결링과 하수관의 면접부위에 고무패킹을 삽입하여 수밀성까지 해결한 하수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양한 합성수지재의 하수관에 적용되어 관과 관의 연결구조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작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공을 위한 경비가 저렴하다.
더불어 본 고안의 결합구조는 수밀성이 높아서 지반상황을 악화시키지 않으며,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다.
하수관, 열패드, 끼움공, 체결공, 체결볼트 등

Description

하수관 결합구조{The connection structure of pipe}
도 1은 본 고안의 하수관을 체결하는 결합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에 열패드를 융착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구조에 열패드가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체결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도 7의 결합구조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하수관 10; 체결공
20; 체결링 21; 기준공
30; 체결핀 40; 고무패킹
41; 끼움공 70; 열패드
본 고안은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체결링에 체결핀을 용접 체결하고, 이 체결핀을 하수관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 넣는 방식을 취하되, 상기 체결링과 하수관의 면접부위에 고무패킹을 삽입하여 수밀성까지 해결한 하수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이란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하여 지하에 매설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하수관은 그 무게가 상당하여 이송과 설치시 문제점이 많으며, 수분이 흡수될 경우에는 쉽게 부서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류를 통해 하수관을 제작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 합성수지 하수관은 가볍고 하중에 대한 강도도 높지만 체결을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방식에 있어서, 관과 관을 연결하고, 그 커버체를 덮어 연결하는 방식이 있었다.
또한 그들간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서 본딩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었고, 열 융착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으며, 관의 외주면에 스크류를 형성시켜 스크류 연결을 통해서 결합시키는 방식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방법들은 그 체결의 과정이 복잡하고, 일단 결합이 완성된다고 할지라도 그 수밀성에 대해서는 완전한 것이 되질 못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체결링에 체결핀을 용접 체결하고, 이 체결핀을 하수관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 넣는 방식을 취하되, 상기 체결링과 하수관의 면접부위에 고무패킹을 삽입하여 수밀성까지 해결한 하수관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수관과 관을 연결하는 그 결합구조에 있어서, 연결을 위한 하수관의 대응하는 양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키는 다수의 체결공과; 상기 하수관 지름과 동일한 지름이며, 일측 단부가 절단된 철선을 원형으로 둥굴게 말아 논 체결링과; 상기 체결링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좌우 양단이 뾰족한 체결핀과; 다수의 끼움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고무패킹이; 결합하되 상기 체결링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핀을 상기 체결공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둔 상태로 스팟용접을 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체결핀과 고무패킹이 체결된 상태의 체결링을 2개의 하수관 사이에 두고, 상기 하수관의 체결공에 체결핀이 끼워져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하수관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하수관이고; 상기 하수관의 체결공과, 고무패킹의 끼움공은, 상기 체결핀의 지름에 비하여 작은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하수관의 체결공, 고무패킹의 끼움공과 체결링에 끼워지는 체결핀는, 6개 내지 20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하수관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된 결합구조로 결합된 하수관과 하수관의 연결부위에 열패드를 덮어 열융착시키는 하수관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하수관과 관을 연결하는 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된 관과 관을 연결함에 별도의 체결링을 사용하며, 그 체결링에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볼트와 고무패킹을 사용하기에 그 수밀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된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연결을 위한 하수관(1)의 대응하는 양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키는 다수의 체결공(10)이 있고, 상기 하수관(1) 지름과 동일한 지름이며, 일측 단부가 절단된 철선을 원형으로 둥굴게 말아 논 체결링(20)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링(20)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관통공(31)을 형성하고 좌우 양단이 뾰족한 체결핀(30)이 있고, 다수의 끼움공(4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고무패킹(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링(2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핀(30)을 상기 체결공(1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둔 상태로 스팟용접(A)을 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체결핀(30)과 고무패킹(40)이 체결된 상태의 체결링(20)을 2개의 하수관(1) 사이에 두고, 상기 하수관(1)의 체결공(10)에 체결핀(30)이 끼워져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1과 2에 도시된 것처럼, 하수관(1)을 좌우 양옆에 비치하고, 체결링(20)을 그 중심부에 위치킨다.
이때 상기 체결링(2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관통된 체결핀(30)이 결합되어 있는데, 그 결합의 형태는 용접(A) 결합이다.
즉, 철선을 원형으로 말아 그 끝단부터 상기 체결공(10)의 개수에 맞도록 체결핀(30)을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10)의 간격만큼의 간격으로 상기 체결핀(30)을 끼우되, 상기 체결핀(30)의 관통공(31)에 체결링(20)의 끝단을 끼는 방식으로 체결을 한다.
물론 그리고 하수관(1)의 체결공(10)의 거리만큼 벌린 상태에서 스팟용접(A) 등을 통해서 상기 체결링(20)과 체결핀(30)을 견고하게 체결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링(20)의 단면은, "
Figure 112006022557450-utm00001
", 타원형과 원형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도면의 실시예가 본 고안의 체결링(20)을 모두 포함하지는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링(20)의 단면의 형태에따라 체결핀(30)의 관통공(31)의 단면도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30)에는 도시된 고무패킹(40)이 끼워지는데, 이 고무패킹(40)은 상기 체결링(20)과 동일한 지름을 가진 링 형태의 패킹이며, 상기 체결링(20)에 끼워진 체결핀(30) 간의 간격과 동일한 거리를 두고 끼움공(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30)에 상기 고무패킹(40)의 끼움공(41)을 끼워 넣는다.
한편 이렇게 체결링(20), 체결핀(30)와 고무패킹(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방의 하수관(1)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하수관(1)의 측단부에도 상기 체결핀(3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체결공(10)이 동일한 개수 만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방의 하수관(1)에 상기 체결핀(30)을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그 끼워 넣은 방식은 망치를 이용하여 쳐서 박을 수도 있고, 가압해서 끼워 넣을 수 있다.
그러고 그 다음으로 타측방의 하수관(1)에도 역시 동일한 거리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기에 이 체결공(10)에 상기 체결링(20)의 타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핀(30)을 끼우고 윈치 등을 이용하여 하수관(1)을 끌어당기면 하수관(1)과 하수관(1)이 쉽게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을 통해서 하수관(1)과 하수관(1)은 결합을 하며, 체결링(20) 좌우측의 고무패킹(40)에 의해 수밀성이 담보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상기 하수관(1)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하수관(1)은 모두 이 체결구조로 체결이 가능하다.
즉,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관을 형성하고, 그 외부로 사각관을 감은 형태의 하수관(1)도 체결이 가능하고, 다른 형태의 하수관(1)도 체결이 가능하다.
결국 지금 공지된 모든 형태의 합성수지제 하수관(1)과 하수관(1)의 체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의 상기 하수관(1)의 체결공(10)과, 고무패킹(40)의 끼움공(41)은, 상기 체결핀(30)의 지름에 비하여 작은 상태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수밀성을 담보하기 위해 그렇다.
즉, 체결핀(30)이 상기 하수관(1)의 체결공(10)에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아야 하수관(1)의 물이 흘러나오지 않기에 체결핀(30) 보다 적은 지름의 체결공(10)에 끼워 넣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링(20)의 체결핀(30)에 끼워지는 고무패킹(40)의 끼움공(41)도 상기 체결핀(30) 보다 적어야 상기 고무패킹(40)이 쉽게 빠지지 않으며, 고무패킹(40)의 끼움공(41)을 통해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수관(1)의 체결공(10), 고무패킹(40)의 끼움공(41)과 체결링(20)에 끼워지는 체결핀(30)은, 6개 내지 20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수관(1)의 종류나 그 지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체결핀(30)이 다양하게 박혀야 한다.
즉, 넓은 지름의 하수관(1)에는 보다 많은 수의 체결핀(30)이 박혀야 안전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30)과 그에 대응하는 체결공(10)과 끼움공(41)은 동일한 갯수로 구성되어 본 고안의 체결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체결링(20)에 끼워지는 체결핀(30)은, 체결링(20)의 양단으로 뽀족하게 깍여져 있어 체결공(10)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시된 도 5와 6에서처럼, 하수관(1)과 관을 연결하는 그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술된 결합구조로 결합된 하수관(1)과 하수관(1)의 연결부위에 열패드(70)를 덮어 열융착시켜 마감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혹시 발생될 누수 현상을 완전히 차단하게 위해 상기 하수관(1)과 하수관(1)의 연결부위에 상기 열패드(70)를 부착하여 열융착시킴으로 누수현상을 완전히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다양한 합성수지재의 하수관에 적용되어 관과 관의 연결구조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작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공을 위한 경비가 저렴하다.
더불어 본 고안의 결합구조는 수밀성이 높아서 지반상황을 악화시키지 않으며,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다.

Claims (6)

  1. 하수관과 관을 연결하는 그 결합구조에 있어서,
    연결을 위한 하수관(1)의 대응하는 양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키는 다수의 체결공(10)과;
    상기 하수관(1) 지름과 동일한 지름이며, 일측 단부가 절단된 철선을 원형으로 둥굴게 말아 논 체결링(20)과;
    상기 체결링(20)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관통공(31)을 형성하고 좌우 양단이 뾰족한 체결핀(30)과;
    다수의 끼움공(4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고무패킹(40)이; 결합하되
    상기 체결링(2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핀(30)을 상기 체결공(1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둔 상태로 스팟용접(A)을 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체결핀(30)과 고무패킹(40)이 체결된 상태의 체결링(20)을 2개의 하수관(1) 사이에 두고, 상기 하수관(1)의 체결공(10)에 체결핀(30)이 끼워져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1)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하수관(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1)의 체결공(10)과, 고무패킹(40)의 끼움공(41)은,
    상기 체결핀(30)의 지름에 비하여 작은 상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1)의 체결공(10), 고무패킹(40)의 끼움공(41)과 체결링(20)에 끼워지는 체결핀(30)는,
    6개 내지 20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20)의 단면은,
    "
    Figure 112006022557450-utm00002
    ", 타원형과 원형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
  6. 하수관과 관을 연결하는 그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1항 내지 5항의 결합구조로 결합된 하수관(1)과 하수관(1)의 연결부위에 열패드(70)를 덮어 열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
KR2020060008505U 2006-03-30 2006-03-30 하수관 결합구조 KR200420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05U KR200420346Y1 (ko) 2006-03-30 2006-03-30 하수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05U KR200420346Y1 (ko) 2006-03-30 2006-03-30 하수관 결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105A Division KR100618114B1 (ko) 2006-03-30 2006-03-30 하수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346Y1 true KR200420346Y1 (ko) 2006-06-30

Family

ID=4176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505U KR200420346Y1 (ko) 2006-03-30 2006-03-30 하수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156B1 (ko) * 2020-07-07 2020-12-08 주식회사 퍼팩트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156B1 (ko) * 2020-07-07 2020-12-08 주식회사 퍼팩트 관이탈 방지와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결소켓을 구비한 일체형 상하수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16511B1 (en) A threaded pipe joint coupling with wire lock system
US20130343823A1 (en) Pile with Grout Vortex
EP0053109A1 (en) PILLARS.
KR200420346Y1 (ko) 하수관 결합구조
JP2005337403A (ja) 管継手
KR100618114B1 (ko) 하수관 결합구조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KR20040049948A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7895B1 (ko)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0930209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JP4541946B2 (ja) 既設管路の補修構造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JPS6335066Y2 (ko)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200277305Y1 (ko) 파이프와 플렌지의 연결 구조
KR200389206Y1 (ko) 연결구가 양단에 구성된 관
KR100779984B1 (ko) 관 연결구
KR200202003Y1 (ko) 이음장치
JP3052654U (ja) コンクリート管補強リング
KR20080004143U (ko) 콘크리트 관부재 및 콘크리트 관부재의 연결구조
JP4182536B2 (ja) 管体の連結構造
KR200351733Y1 (ko) 압축형 앵커
JPH10325492A (ja) ポリオレフィン管のねじ接合継手
JP2006174544A (ja) ケーブル用地中埋設管及びその配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