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003Y1 -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003Y1
KR200202003Y1 KR2020000001358U KR20000001358U KR200202003Y1 KR 200202003 Y1 KR200202003 Y1 KR 200202003Y1 KR 2020000001358 U KR2020000001358 U KR 2020000001358U KR 20000001358 U KR20000001358 U KR 20000001358U KR 200202003 Y1 KR200202003 Y1 KR 200202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joint
pipe
jaw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상
Original Assignee
신원씨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씨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원씨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1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관과 Packing 그리고 연결조인트, 이 3가지가 서로의 연결기능을 갖는 고안으로 관 단부에 홈이나 턱을 형성하고 그위에 Packing을 씌우되, Packing에도 관체의 홈이나 턱에 끼울수 있도록 턱이나 홈을 형성하여 연결조인트를 채우고 두관을 Bolt로 상호 연결하는 이음장치이다.
이와 같은 고안의 이음장치는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수 있으며 관이탈이나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합성수지관의 신축성에 대한 것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상·하수도관은 물론, 오·폐수관의 이음장치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이음장치{Joint devic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관, Packing, 연결조인트에 각각 이음에 대한 구조와 형상을 형성하여 이음에 대한 기능을 갖도록 한 이음장치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이음장치는 관단면부끼리 맞대어 연결하는 소켓트, 버트융착, 전기융착 용접등이 있고, 관체외부를 감싸워 연결하는 반도형으로는 전기융착Sheet, 열융착Sheet 가 있으며 관체양단부에 후렌지를 형성하고 그사이에 Packing을 채우고 Bolt로 조이는 방법도 있다. 그리고 관체 한쪽단부를 확장하여 그속에 Packing을 끼우고 상대의 관을 삽입하고 Bolt로 조이는 KP메카니칼 조인트가 있으며 관체 한쪽단부를 확장하고 그 속에 Packing을 끼우고 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RR의 이음장치가 있다.
대부분의 관들은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관은 견고한 반면에 이음장치가 부실하여 관이 이탈되거나, 누수되며 윤하중에 약하여 파손이 되는등,많은 하자가 발생하였다. 또 합성수지관은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성이 크므로 관연결부에서 빠지거나 끊어지는 하자가 있으며 열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이음장치는 시공이 까다롭고 현장의 조건이나 일기가 맞아야 시공이 가능하다.
관체에 이음장치가 부착된 것은 현장에서 관을 절단하면 사용할수 없어 애로가 있다.
더욱 종요한 것은 종래의 이음장치 대부분은 연결작업을 하면서 연결 상태를 확인할수 없어 시험을 통해서만 확인 할 수 있는 큰 단점이 있고 사용중에 하자가 발견되어 재시공하는 사례가 많았다. 또 관체에 이음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것은 부실하고, 누수도 되고 수명이 길지 못하여 비경제적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고안은 합성수지관과 Packing 그리고 연결조인트, 이 3가지가 서로 이음에 대한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합성수지관 단부 외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위에 Packing을 씌우고 그 위에 연결하는 조인트를 채워 Bolt로 두관을 연결하는 이음장치이다.
합성수지관 단부의 외부에 홈을 형성하는 것은 Packing의 걸림턱을 끼우기 위한 것으로 관을 생산하면서 할 수 있고, 또 현장에서도 할 수 있다.
또, 반대로 홈대신에 턱을 형성할수도 있는 것이다.
packing은 고무같은 탄성체로 외형은 나팔같은 원뿔대이고, 내면은 원통형으로 관체의 홈이나 턱에 맞도록 Packing의 내면에 턱이나 홈을 형성하여 씌우고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내면은 다수의 잔홈을 형성하여 관체에 더욱 압착되는 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Packing 외면에는 다수의 꺽임홈을 형성하여 관체에 씌울 때 편리하도록 하였다.
Packing끼리 서로 대접되는 대접면은 사면을 형성하며, Packing을 관체에 씌웠을 때 관단면보다 앞에 튀어 나오도록 하여 수밀과 신축에 대한 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연결조인트는 나팔같은 원뿔대 형상으로 Packing에 잘 채워지도록 하였고 외부면에는 두관을 연결할 수 있는 돌출된 돌기부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하고, 그 돌기부에 Bolt공을 구비하고 두관의 연결조인트를 Bolt로 조여서 연결하도록 하였다.
대구경에서는 연결조인트의 시공이 난이하므로, 연결조인트를 몇개의 조각편으로 형성하고 시공시에 그 조각편을 조립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조각편 양단부에는 Bolt공이 구비된 조립부를 형성하였고 조각편의 외부면에는, 돌출된 돌기부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하여 그 돌기부에 Bolt공을 구비하여 연결조인트를 형성하고, 몇개의 조각편을 조립하여 연결조인트를 구성하여 Packing 위에 채우고, 돌기부에 구비된 Bolt공을 이용하여 볼트로 조여서 두관을 연결하도록 고안하였다.
이때 관체에 Packing이 빠지지 않도록 관체에 홈이나 턱을 형성하고 Packing에도 턱이나 홈을 형성하여 Packing을 관체의 홈이나 턱에 끼워서 씌우도록 하였고, 이때 Packing이 잘 씌워지도록 외면에 꺽임홈을 형성하였으며 두관의 연결조인트를 조여서, 연결할때 빠지지 않도록 Packing의 외면과 연결조인트를 나팔같은 원뿔대의 형상을 이루어서, 오히려 Bolt를 조이면 조일수록 더욱 관체와 Packing, 그리고 연결조인트가 견고하게 연결되는 특수한 이음장치의 고안인것이며 특히 대구경의 이음을 위하여는 연결조인트를 몇 개의 조각편으로 형성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 아주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며, 특히 관체에 이음장치를 부착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이음을 할 수 있으며 시공하면서 이음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합성수지관의 신축에 대한것도 감안된 것으로,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한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고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단면도
도 2는 본고안 Packing 의 절개 단면도
도 2-1은 본고안 Packing의 부분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고안 Packing의 다른실시예의 일부 부분 절개 단면도(a,b,c,d)
도 4는 본고안 연결조인트의 절개 및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고안 연결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개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합성수지관
101 : 합성수지관홈
200 : 탄성체 Packing
201 : Packing 턱
201-1 : Packing 홈
202 : Packing(내면) 잔홈
203 : Packing(외면)홈
204 : Packing 대접면 사면
205 : Packing 대접면 사면
300 : 연결 조인트
301 : 연결 조인트 조각편
302 : 연결 조인트 돌기부
303 : 돌기부 연결 Bolt공
304 : 조각편 조립부
305 : 조립 Bolt공
306 : 연결Bolt
307 : 조립Bolt
308 : 후렌지(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합성수지관을 상호연결시키는 이음장치로 합성수지관(100)과 Packing(200) 그리고, 연결조인트(300)가 각기 이음에 대한 구조와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합성수지관(100) 단부위 외부에 홈(101)을 형성하고 Packing(200)을 탄성체의 재료로 외형은 나팔같은 원뿔대이고, 내부는 원통형으로 하고, 내부면에는 걸림턱(201)과 다수의 잔홈(202)을 형성하며 걸림턱(201)은 합성수지관(100) 단부위의 외부홈(101)에 끼우도록 하였고, 다수의 잔홈(202)은 연결조인트를 조일때에, 관체에 압착되는 효과를 증대하도록 하였다. 외부면에는 다수의 꺽임홈(203)을 형성하여 관체에 씌울 때 편리하도록하였고. 특히 Packing(200)끼리 대접되는 면(204),(205)을 사면으로 형성하고 합성수지관(100)에 씌울 때, 관단면보다 앞에 튀어나오도록 하여 두관을 연결할 때, 수밀과 신축에 대한 효과를 크게 하였다. 연결조인트(300)는 나팔같은 원뿔대로 외부면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부(301)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302)에 연결 Bolt공(303)를 구비하여 두관을 Bolt로 연결하도록 하였다.
특히 대구경의 합성수지관(100)에 있어서는 일체형의 연결조인트(300)로는 시공이 난이하므로 연결조인트(300)를 몇개의 조각편(301)으로 구성하고, 조각편(301) 양단부에 조립부(304)를 형성하고 그 조립부(304)에 조립Bolt공(305)을 구비하였으며 조각편(301)외부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부(302)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302)에 연결 Bolt공(303)을, 다수 형성하였다.
합성수지관(100) 단부위 외부에 형성된 홈(101)에 Packing(200)의 걸림턱(201)이 끼워지도록 Packing(200)을 씌우되 꺽임홈(203)을 이용하여 씌운다. 연결조인트 몇 개의 조각편(301) 양단부의 조립부(304)에 구비된 조립Bolt공(305)을 조립Bolt(307)로 조립하여 나팔같은 원뿔대의 연결조인트(300)을 형성하여, Packing(200)위에 채우고 연결조인트(300) 외부면에 형성된 돌기부(302)의 연결Bolt공(303)을 연결Bolt(306)로 조여서, 두관을 연결하는 이음장치의 고안으로, Packing(200)의 내부는 원통형이고 외부는 원뿔대인것과 두 Packing(200)이 서로 대접되는 면(204),(205) 을 사면으로 하고 관단면보다 길게 튀어나오게 형성한것은 수밀효과의 증대와 온도변화로 인한 합성수지관의 신축에 대하여 잘 대처되도록 하였으며 나팔같은 원뿔대의 연결조인트(300)를 연결Bolt(306)로 조일 때 Packing(200)이 관체(100)에 압착되어 수밀이 되고, 두 Packing의 사면(204),(205)끼리 서로 밀어서 밀착하는 힘과 위에서 아래로 눌러서 압착하는 이중의 힘을 얻고져 하였으며, Packing(200)의 걸림턱(201)이 관체홈(101)에 끼워져 Packing(200)과 연결조인트(300)가 합성수지관(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른실시의 예로는
① 본 이음장치를 합성수지관뿐만 아니라 흄관, 강관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② Packing(200)의 형상을 도 3의 a,b,c 와 같이 원뿔대의 형상으로 하고 서로 대접되는 면(204),(205) 부위를 수직 또는 삼각홈, 턱등을 형성하기도 하며, 도 3의 d같이 변형하여 원통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③ 연결조인트(300) 도 3의 d와 같이 원뿔대가 아닌 원통형으로 하고 따라서 Packing도 원통형으로 하며, 특히 도 5 와 같이 관체의 단부에 후렌지나 걸림턱이 형성된 관에 본고안의 연결조인트(300)의 원뿔대 형상을 원통형으로 변형하여 대구경관에 사용하는 연결조인트같이 몇 개의 조각편(301)으로 구성하고 그 조각편 양단부에 조립부(304)와 Bolt공(305)을 외부면에 돌기부(302)와 연결볼트공(305)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④ 연결조인트(300)를 몇 개의 조각편(301)으로 구성하면서 조각편 양단부에 조립부를 형성하면서 조립부(304)의 Bolt공(305)이 상하로 된 것을, 좌우로 구비하여 할수 있으며(구 한옥문 돌저귀같이), 또 몇 개의 조각편 조립부(304)를 조립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조립을 정첩형으로 연결해 놓고 수갑식으로 Packing위에 채우고 최종 조립부(304)의 Bolt공(305)은 상하로 형성하여, 조립 Bolt(307)로 조여서 연결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⑤ 연결조인트 형상이 원뿔대의 형상이거나 몇 개의 조각편(301)으로 구성하여 그 조각편(301)을 조립하여 원뿔대의 연결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은 어떠한 관에 적용하든지 본고안에 속하는 것이다.
⑥ 도 5와 같이 관체에 턱이나 후렌지를 형성하고 그 후면에 본 고안의 연결조인트 형상을 원뿔대로 하지 않고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몇 개의 조각편으로 구성하고 그 조각편 양단부에 Bolt공이 구비된 조립부와 외면에는 Bolt공이 구비된 돌기부를 형성하여 원통형 연결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 본고안에서 몇 개의 조각편 이라는 말은 2개 이상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실시예 외에도 유사한 실시예는 본고안에 속한다 할것이다.
이와 같은 본고안의 이음장치는 관체 Packing 연결조인트가 각기 이음에 대한 기능을 갖도록 고안한것으로서 상.하수도 관에 완벽한 이음장치이다.
관체에 Packing을 씌우고 그위에 연결Joint을 채워서 두관의 연결조인트를 Bolt로 조여서 연결하는 이음장치로 이때 연결조인트를 bolt를 조이면 조일수록 관체에 Packing은 더욱 압착되고 관체에서 빠지지 않은 유용한 고안이며 Packing의 대접면을 사면으로 관단면부보다 앞으로 나오게 수밀의 효과를 증대하였고 합성수지관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에 대하여도 잘 대처되도록 하였다.
본고안의 이음장치는 누구나 시공이 손쉽고, 관의 이탈이나 누수가 없으며 특히 지진에도 잘 견딜수 있고 시공하면서 관 이음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며 본고안은 합성수지관외의 어떠한 관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이음장치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관(100)의 단부위 외면에 홈(101)이나 턱을 구비하고 관에 Packing(200)을 씌우고 Packing(200)위에 연결조인트(300)를 채워서 Bolt로 두관을 연결시키는 이음장치에 있어서
    Packing(200)은 탄성체의 재질로 외형은 나팔같은 원뿔대이고 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내부면에 턱(201)이나 홈을 구비하였고, 외부면에는 합성수지관(100)에 잘 씌워지도록 꺽임홈(203)을 다수 구비하였으며 Packing(200)끼리 서로 대접되는 면을 사면으로 형성하되 한쪽면은 Packing(200) 외면에서 내면으로 들어가게 대접면사면(204)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면은 Packing(200) 외면에서 내면으로 나오게 대접면사면(205)을 형성한 Packing(200)과
    연결조인트(300)를 나팔같은 원뿔대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몇개의 조각편(301)으로 구성한것과. 그 조각편(301). 양단부에 서로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는 조립부(304)를 형성하되 그 조립부(304)에 Bolt공(305)을 구비하고, 그 조각편(301) 외부면에 Bolt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Bolt공(303)이 구비된 돌기부(302)가 다수 형성된 연결조인트(300)로 두관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조인트(300)를 한통으로 된 원뿔대로 형성하고 외부면에 돌기부(302)를 형성하여 그 돌기부(302)에 Bolt(303)공이 형성된 연결조인트(300)로 두관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Packing(200)을 외면은 나팔같은 원뿔대 형상이고 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Packing(200)이 서로 대접되는 면의 한쪽면은 하부가 안쪽으로 파여서 턱()을 형성하고 또 한쪽면은 상부가 파여서 턱()을 형성하여 두 Packing(200)의 대접면이 서로 다르게 턱을 형성한 Packing(200)으로 두관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장치.
KR2020000001358U 2000-01-18 2000-01-18 이음장치 KR200202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358U KR200202003Y1 (ko) 2000-01-18 2000-01-18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358U KR200202003Y1 (ko) 2000-01-18 2000-01-18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003Y1 true KR200202003Y1 (ko) 2000-11-01

Family

ID=1963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358U KR200202003Y1 (ko) 2000-01-18 2000-01-18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0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974A (zh) * 2018-05-29 2019-12-06 新疆天业(集团)有限公司 一种固径式大口径塑料管材及其生产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974A (zh) * 2018-05-29 2019-12-06 新疆天业(集团)有限公司 一种固径式大口径塑料管材及其生产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14430A (es) Junta de tuberia corrugada impermeable al agua.
KR200202003Y1 (ko) 이음장치
JP2002369324A (ja) ハンドホール継手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KR200416904Y1 (ko) 관 연결구
JP3359509B2 (ja) 管継手の耐震構造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JP2004162339A (ja) マンホール用止水継手、管継手、マンホール構造及びマンホール構造の施工方法
KR100889824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JP4837472B2 (ja) 管継手構造
KR20150076956A (ko) 부식이 방지되는 매립용 파이프 및 이음쇠
JP3902482B2 (ja) マンホールと配管との接続構造
GB2349188A (en) Connection for corrugated or ribbed pipes
KR10217940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JP3844434B2 (ja) マンホールの管接続構造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JP4414085B2 (ja) マンホール継手
KR100552275B1 (ko) 합성수지관 패킹구조
KR200237730Y1 (ko) 관이음용 커플링밴드
KR200420346Y1 (ko) 하수관 결합구조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100246032B1 (ko) 이음구조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구조
KR200250219Y1 (ko) 수로관
KR200218355Y1 (ko) 가지관 연결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