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975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975B1
KR102467975B1 KR1020180004998A KR20180004998A KR102467975B1 KR 102467975 B1 KR102467975 B1 KR 102467975B1 KR 1020180004998 A KR1020180004998 A KR 1020180004998A KR 20180004998 A KR20180004998 A KR 20180004998A KR 102467975 B1 KR102467975 B1 KR 102467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fastening part
fixing memb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653A (ko
Inventor
정웅기
고미소
주병철
최은미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07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31983A1/ko
Priority to CN201880005045.4A priority patent/CN110088046A/zh
Publication of KR2018008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653A/ko
Priority to KR1020220151168A priority patent/KR2022015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정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물이 이동하거나 물이 고여있는 통로를 갖는 배관, 및 기판 및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을 포함한다. 광원 모듈은 배관의 외벽에 고정되어 배관의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한다.

Description

정수기{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파장의 종류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가지며, 파장의 종류에 따른 성질을 이용하여 살균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수은(Hg)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수은 램프에서 나오는 파장에 의하여 생성되는 오존(O3)을 이용하여 살균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수은(Hg) 램프는 내부에 수은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장치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살균 대상물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살균 장치는 냉장고, 세탁기, 가습기 또는 정수기 등과 같은 특정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다.
정수기에는 정수된 물이 이동하는 배관과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 배출구 사이에 배관이 배치된다. 배관에는 물 배출구가 폐쇄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물이 고여있게 된다. 이때, 배관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은 세균, 박테리아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해서 오염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관의 외부에서 배관 내부의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관의 크기 및 구조에 상관없이 배관 외부에 광원 모듈을 고정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배관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른 정수기에 장착이 가능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물이 이동하거나 물이 고여있는 통로를 갖는 배관, 및 기판 및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을 포함한다. 광원 모듈은 배관의 외벽에 고정되어 배관의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배관 내부의 물을 살균하는 광원 모듈이 배관의 외부에 배치되어 광원 모듈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의 크기 및 구조에 상관없이 고정부재가 배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가 배관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정수기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다른 정수기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상면", "하면",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기는 물이 이동하거나 물이 고여있는 통로를 갖는 배관, 및 기판 및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을 포함한다. 광원 모듈은 배관의 외벽에 고정되어 배관의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한다.
배관은 관통 형상의 개구부, 개구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안착부, 및 외벽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관통 형상의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가 체결홀을 통해서 체결부에 체결된다.
배관은 외벽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일단이 구부러진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관통 형상의 고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가 고정홀을 통과하고, 기판의 일부가 걸림부와 외벽 사이에 삽입된다.
정수기는 안착부에 안착되는 밀봉부재, 및 개구부 폐쇄하며, 살균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명 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광원 모듈이 장착되며, 배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는 관통 형상의 관통홀, 광원이 관통홀 내에 위치하도록 기판이 장착되는 기판 장착부, 및 관통 형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한다. 외벽의 체결부는 고정부재의 체결홀을 통과하여 체결홈에 체결된다.
체결부는 일 측면에 돌출 구조로 형성된 돌기부가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관통홈의 내측벽에 돌기부와 대응하는 구조의 홈인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가 체결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체결홈을 따라 이동하다 돌기부가 걸림홈에 삽입되어, 배관에 고정부재가 고정된다.
배관의 살균 자외선이 통과하는 영역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투명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는 광원 모듈이 장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배관의 외벽에 접촉되어 배관에 고정된다. 고정부재에 장착된 광원 모듈은 투명 영역을 통해 배관의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는 배관이 위치한 방향인 기판 장착부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는 일단이 배관의 외벽에 부착되고, 타단은 살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인 배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체결부의 타단이 제1 체결부의 홈에 삽입되어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는 일단이 기판 장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배관이 위치한 방향인 기판 장착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체결부의 타단이 제2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된다.
또한, 제1 체결부의 타단은 구부러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의 타단이 제2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1 체결부의 구부러진 부분이 제2 체결부의 관통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는 살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인 배관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2 체결부의 타단이 제1 체결부의 홈에 삽입되어,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고정부재는 광원 모듈이 장착되는 기판 장착부 및 기판 장착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일단이 기판 장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지지부가 배관의 외벽을 가압하여 배관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는 기판 장착부의 양측에 형성된다. 기판 장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의 타단이 탄성력에 의해서 배관의 외벽을 가압하여 고정부재가 배관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는 구부러진 구조로, 기판 장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의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는 일정한 힘을 받으면 안쪽으로 휘어져 배관의 외벽을 감는다.
고정부재는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는 배관이 지지부로부터 받는 압력을 완충한다.
고정부재는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패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재는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면에 굴곡 패턴이 형성된다.
고정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은 제1 실시 예의 정수기를 이루는 일부 구성부들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부들이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3은 정수기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기(100)는 배관(110), 광원 모듈(130) 및 고정부재(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고정부재(160)를 이용하여 광원 모듈(130)을 배관(110)에 고정시켜, 배관(110)을 통해서 이동하거나 배관(110)에 고여있는 물을 살균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물 저장부, 정수 장치 등의 공지된 정수기의 일반적인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배관(110)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통로이다. 정수기(100)의 물 배출구(미도시)가 개방되면, 물은 물 저장부(미도시)에서 배관(110)을 타고 이동하고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물 배출구가 폐쇄되면, 배관(110)에는 물 배출구가 막혀 있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물이 고여있게 된다. 물이 흐르지 않고 한 공간에 고여있게 되면, 세균 또는 박테리아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해서 오염될 수 있다.
배관(110)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11)를 통해서, 광원 모듈(130)의 살균 자외선이 배관(110) 내부로 조사된다. 개구부(111)는 광원 모듈(130)의 조사각 또는 살균 자외선의 방출 범위를 고려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광원 모듈(130)의 살균 자외선 방출 범위는 광원(132)의 개수 또는 복수개의 광원(132)이 배치된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관(110)의 외벽에는 체결부(150)가 형성된다. 체결부(150)는 고정부재(160)와 결합되어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체결부(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150)의 일단의 측면에는 돌기부(151)가 형성된다. 돌기부(151)는 고정부재(160)의 걸림홈(167)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150)는 측면이 곡률을 갖는 곡면이다.
배관(110)의 외벽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의 안착부(170)가 형성된다. 안착부(170)는 제1 돌출부(171)와 제2 돌출부(172)로 이루어진다. 제1 돌출부(171)와 제2 돌출부(172)는 개구부(111)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돌출부(171)와 제2 돌출부(172)는 서로 이격되며, 제2 돌출부(172)는 제1 돌출부(171)의 내부 영역에 위치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제2 돌출부(172)는개구부 내벽(112)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개구부 내벽(112)은 개구부(111)를 이루는 배관(110)의 내벽이다. 또한, 제2 돌출부(172)의 높이는 제1 돌출부(171)의 높이보다 작다. 여기서, 제1 돌출부(171) 및 제2 돌출부(172)의 높이는 배관(110)의 외벽에서 외부로 돌출된 길이이다.
제1 돌출부(171)와 제2 돌출부(172)사이는 밀봉부재(180)가 삽입되는 밀봉부재 삽입홈(115)이 된다. 밀봉부재(180)는 고무 같은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밀봉부재(180)의 두께는 제2 돌출부(172)의 높이보다 크다. 여기서, 밀봉부재(180)의 두께는 배관(110)의 외벽과 접촉하는 상면과 투명 창(120)과 접촉하는 하면 간의 거리이다. 따라서, 밀봉부재(180)는 밀봉부재 삽입홈(115)에 삽입되었을 때, 제2 돌출부(172)에서 돌출된다. 밀봉부재(180)가 제2 돌출부(172)보다 더 돌출되어야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장착될 때, 투명 창(120)이 제2 돌출부(172)와 밀착될 수 있다. 투명 창(120)과 제2 돌출부(172)가 밀착되므로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장착될 때의 압력에 의해서 배관(110)의 개구부(111)와 투명 창(120) 사이가 더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18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배관(110)에 고정부재(160)가 장착될 때 투명 창(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재(180)는 배관(110)에 고정부재(160)가 장착될 때 투명 창(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투명 창(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 모듈(130)은 광원(132)과 기판(131)을 포함한다. 광원(132)은 살균 효과가 있는 파장대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이다. 즉, 광원 모듈(130)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살균 자외선은 300nm 내지 290nm 파장대의 자외선이다. 또한, 기판(131)은 광원(132)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회로가 형성된 기판이다.
광원 모듈(130)은 고정부재(160)에 장착되며, 고정부재(160)의 관통홀(164), 투명 창(120) 및 배관(110)의 개구부(111)를 통해서 배관(110)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고정부재(160)는 배관(11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고정되면, 고정부재(160)에 장착된 광원 모듈(130)이 배관(110)의 개구부(111)를 통해서 배관(110)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160)는 관통홀(164), 기판 장착부(161), 체결홈(165), 투명 창 가압부(168) 및 돌출부 삽입홈(169)을 포함한다.
관통홀(164)은 고정부재(16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이다. 관통홀(164)은 고정부재(160)에 장착된 광원 모듈(130)의 광원(132)이 위치하며, 살균 자외선이 통과하는 통로이다.
기판 장착부(161)는 고정부재(160)의 하면에 형성된다. 기판 장착부(161)는 기판(131)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이 구부러진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 장착부(161)는 기판(131)의 측면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기판 장착부(161)에 기판(131)의 양 측면이 삽입되면, 광원 모듈(130)이 고정부재(160)에 장착된다.
고정부재(160)의 상면에는 투명 창 가압부(168)와 돌출부 삽입홈(169)이 형성된다.
투명 창 가압부(168)는 관통홀(164)을 이루는 고정부재(160)의 내벽에서 연장되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투명 창 가압부(168)의 상면의 높이는 돌출부 삽입홈(169)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고정부재(160)의 상면보다 낮다.
투명 창 가압부(168)는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장착되었을 때, 투명 창(120)을 가압한다. 투명 창(120)은 투명 창 가압부(168)로부터 가압되는 힘에 의해서 밀봉부재(180)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관(110)과 고정부재(160) 사이의 밀봉이 견고해진다.
투명 창 가압부(168)와 관통홀(164)을 이루는 고정부재(160)의 내벽의 길이는 광원(132)의 두께보다 크다. 여기서, 고정부재(160)의 내벽의 길이는 고정부재(16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광원(132)의 두께는 기판(131)의 상면과 접하는 하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광원 모듈(130)이 고정부재(160)에 장착되었을 때, 광원(132)은 관통홀(164)에 위치하되, 투명 창(120)과 이격된다. 따라서, 광원(132)과 투명 창(120)이 서로 밀착되거나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 삽입홈(169)은 투명 창 가압부(168)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돌출부 삽입홈(169)은 투명 창 가압부(168)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태이다.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장착될 때, 돌출부 삽입홈(169)에 배관(110)의 제1 돌출부(171)가 삽입된다. 따라서, 배관(110)에 고정부재(160)가 장착될 때, 배관(110)의 외벽과 고정부재(160)의 상면이 밀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160)의 하면에는 체결홈(165)이 형성된다. 체결홈(165)은 배관(110)의 체결부(150)와 체결되는 구성이다. 체결홈(165)은 관통홀(164) 및 돌출부 삽입홈(169)의 외측에 위치한다.
체결홈(165)의 일부에는 배관(110)의 체결부(15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 삽입홀(166)이 형성된다. 체결부 삽입홀(166)은 고정부재(160)를 관통하는 홀이다. 체결부 삽입홀(166)을 이루는 고정부재(160)의 내측벽은 체결부(150)와 대응하도록 곡률을 갖는다.
체결홈(165)을 이루는 고정부재(160)의 내벽에는 걸림홈(167)이 형성된다 걸림홈(167)은 배관(110)의 체결부(150)의 돌기부(151)에 대응하는 홈 구조이다. 이 걸림홈(167)에 체결부(150)의 돌기부(151)가 삽입되면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장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110)의 체결부(150)를 고정부재(160)의 체결부 삽입홀(166)에 끼운 다음, 고정부재(160)를 일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체결부(150)의 돌기부(151)가 고정부재(160)의 걸림홈(167)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부재(160)가 배관(110)에 장착된다.
정수기(100)는 가이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90)는 고정부재(160)의 하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90)는 광원 모듈(130)의 기판(131)이 고정부재(160)에 장착되는 위치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90)는 기판 장착부(161)에 삽입되는 기판(131)의 측면과는 다른 측면과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190)는 기판(131)이 고정부재(160)에 장착되었을 때, 기판 장착부(161)가 위치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미도시하였지만, 광원 모듈(130)을 고정부재(160)에 더 확실히 고정시키기 위해서 광원 모듈(130)을 고정부재(160)에 나사를 더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광원 모듈(130)은 물 저장부와 물 배출구 사이에 위치한 배관의 외벽에 위치한다. 또는 광원 모듈(130)은 정수기(100)가 물 저장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정수되지 않은 물이 투입되는 입구와 물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며, 그 중에서 물 배출구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따라서, 정수기(100)는 물을 살균한 후 물 저장부에 살균된 물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는 물 저장부에 정수된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물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한 번 더 물을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물이 배출되기 전에 살균하는 것이므로 정수 기능이 향상된다. 광원 모듈(130)이 물 배출구와 근접한 배관에 고정된다면, 물을 배출 직전에 살균할 수 있으므로, 정수기(100)의 정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130)이 구부러진 배관(110)의 상부에 고정된다면, 하부 방향으로 이어진 배관(110)의 내부에 살균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살균 자외선의 조사 범위 및 조사 면적이 넓어지므로, 정수기(100)는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을 살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2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200)에 대한 설명 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도 1 내지 도 4의 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생략된 설명은 제1 실시 예인 도 1 내지 도 4의 설명을 참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20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도 1 내지 도 4의 100)와 개구부 내벽(도 3의 112)의 구조가 상이하다.
개구부 내벽(212)의 적어도 일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서로 마주보는 개구부 내벽(212)은 중간에서부터 배관(110)의 내부로 갈수록 점점 멀어지도록 기울기를 갖는다. 따라서, 개구부(111)는 중간에서 배관(110)의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부 내벽(212)의 기울기는 광원 모듈(130)의 광 조사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개구부 내벽(212)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광원 모듈(130)에서 방출되는 살균 자외선이 가능한 개구부 내벽(212)에 부딪치지 않고 배관(110)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살균 자외선이 개구부를 통과하면서 내벽에 부딪치면, 부딪힌 살균 자외선이 모두 반사되어 배관(110)의 내부를 향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 내벽에 부딪힌 살균 자외선의 일부는 내벽에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살균 자외선의 다른 일부는 개구부 내벽에서 반사되되, 배관(110)의 내부가 아닌 다른 곳을 향하거나 광원 모듈(130)로 향해 광원(132)에 재흡수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200)는 기울기를 갖는 개구부 내벽(212)에 의해서 살균 자외선이 개구부 내벽(212)에 부딪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기(200)는 서로 마주보는 개구부 내벽(212)이 배관(110)의 내부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므로, 살균 자외선은 기울기를 갖는 개구부 내벽(212)에 부딪혔을 때 배관(11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200)는 기울기를 갖는 개구부 내벽(212)에 의해서 배관(110) 내부로 향하는 살균 자외선의 소실을 감소시켜 물의 살균 효율 및 정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개구부 내벽(212)이 중간 부분에서부터 기울기를 갖는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개구부 내벽(212)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구부 내벽(212)은 개구부(111)의 입구에서부터 기울기를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 내벽(212)이 기울기를 갖는 부위 및 기울기 각도는 광원 모듈(130)에서 살균 자외선이 방출되는 부분, 조사각, 광원 모듈(130)과 개구부(111)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예의 정수기를 이루는 일부 구성부들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성부들이 결합된 평면도이고, 도 8은 정수기의 측단면도이다.
제3 실시 예의 정수기(300)에 대한 설명 중 제1 실시 예의 정수기(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정수기(300)는 배관(110), 광원 모듈(330) 및 체결부재(34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340)는 나사이다. 즉, 본 실시 예의 정수기(300)는 광원 모듈(330)이 배관(11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고정된다.
배관(110)의 외벽에는 외부로 돌출된 구조의 안착부(370)가 형성된다. 안착부(370)에는 제1 밀봉부재(381), 제2 밀봉부재(382) 및 투명 창(120)이 안착된다.
제1 밀봉부재(381) 및 제2 밀봉부재(382)는 적어도 배관(110)의 개구부(111)보다 큰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투명 창(120)은 제1 밀봉부재(381)와 제2 밀봉부재(382)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밀봉부재(381), 제2 밀봉부재(382) 및 투명 창(120)의 두께의 합은 안착부(370)의 높이보다 크다. 따라서, 광원 모듈(330)이 배관(110)에 고정되었을 때, 기판(331)이 제2 밀봉부재(382)와 밀착된다. 이때, 광원 모듈(330)이 배관(110)에 체결될 때, 기판(331)에 의해서 제1 밀봉부재(381)와 제2 밀봉부재(382)가 모두 가압되면서, 배관(110)의 개구부(111)가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제2 밀봉부재(382)는 기판(331)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두께가 광원(332)의 두께보다 두꺼워야 한다. 제2 밀봉부재(382)가 압축되었을 때 광원(332)보다 두꺼워야 광원 모듈(330)이 배관(110)에 고정되었을 때, 광원(332)과 투명 창(120)이 서로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110)의 외벽에는 돌출 구조의 체결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311)에는 체결부재(34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31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311)의 상면은 안착부(370)에 안착된 제2 밀봉부재(382)의 일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밀봉부재(382)의 일면은 기판(331)과 밀착되는 면이다. 따라서, 체결부재(340)를 이용하여, 배관(110)에 광원 모듈(330)이 고정되었을 때, 기판(331)이 제2 밀봉부재(382)를 가압하게 된다. 결국, 제1 밀봉부재(381), 투명 창(120) 및 제2 밀봉부재(382)가 강한 힘에 의해 밀착되므로, 배관(110)의 개구부(111)는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배관(110)의 외벽에는 끝단이 갈고리처럼 구부러진 구조의 걸림부(313)가 형성된다. 걸림부(313)는 기판(33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한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광원 모듈(330)의 기판(331)은 금속 기판이다. 기판(331)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방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기판(331)은 금속 재질이므로 단단하다. 따라서, 기판(331)이 배관(110)에 고정될 때, 체결부재(340)와 배관(110)의 체결홈(312)이 체결되는 힘에 의해서 기판(33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 모듈(330)의 기판(331)의 일 부분에는 체결부재(340)의 일부가 통과하는 체결홀(333)이 형성된다. 또한, 기판(331)의 다른 부분에는 배관(110)의 걸림부(313)가 통과하는 고정홀(334)이 형성된다.
배관(110)의 걸림부(313)는 기판(331)은 고정홀(334)을 통과하여 기판(331)에 걸린다. 이때, 기판(331)은 고정홀(334)을 이루는 내측면이 걸림부(313)과 배관(110)의 외벽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기판(331)의 하면은 걸림부(313)의 구부러진 부분의 하면과 접촉된다. 걸림부(313)는 기판(331)이 배관(110)의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313)는 배관(110)에 고정된 기판(331)이 움직여 광원(332)이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110)의 외벽에서 걸림부(313)의 일단의 하면까지의 거리는 배관(110)의 외벽에서 체결부(311)의 상면까지의 높이와 기판(331)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여기서, 걸림부(313)의 일단의 하면은 기판(331)의 하면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기판(331)이 체결부재(340)에 의해서 배관(110)에 고정되었을 때, 기판(331)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걸림부(313)가 없다면, 체결부재(340)가 기판(331)을 관통하여 체결홀(333)에 결합되는 힘에 의해서 기판(331)의 배관(110)에 고정되지 않는 부분이 기판(331)의 외벽으로부터 이격된다. 기판(331)의 일부가 외벽으로부터 이격되면, 그 부분은 제1 밀봉부재(381), 투명 창(120) 및 제2 밀봉부재(382)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져, 누수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정수기(300)는 배관(110)의 체결홀(333)과 걸림부(313)에 의해서 기판(331)이 수평을 유지한 채로 배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331)이 배관(110)에 고정되었을 때, 제2 밀봉부재(382)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불균일한 가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110)에 고정된 기판(331)이 수평을 유지하지 않는다면, 광원(332)의 조사각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광원(332)의 살균 자외선의 일부만 배관(110)의 개구부(111)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배관(110)의 외벽 등에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정수기(300)는 기판(331)이 수평을 유지된 상태로 배관(110)에 고정되므로, 광원(332)의 살균 자외선이 모두 배관(110)의 개구부(111)를 통과하여, 물의 살균 효율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331)의 체결홀(333)과 고정홀(334)은 배관(110)의 체결부(311)와 걸림부(3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배관(110)의 체결부(311)와 걸림부(313)는 배관(110)의 개구부(111)의 중심 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기판(331)의 체결홀(333)과 고정홀(334)은 기판(331)의 중심 선상에 위치한다.
광원 모듈(330)의 광원(332)은 기판(331)의 상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 모듈(330)이 배관(110)에 고정되면, 광원(332)은 제2 밀봉부재(38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300)는 가이드부(314)와 가이드홈(3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14)는 배관(110)에 형성되며, 가이드홈(335)은 기판(331)에 형성된다.
가이드부(314)는 체결부(311)와 걸림부(313)가 형성되지 않은 안착부(370)의 외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홈(335)도 체결홀(333)과 고정홀(334)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광원 모듈(330)이 배관(110)에 장착되면, 가이드부(314)의 일부가 기판(331)의 가이드홈(335)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이드부(314) 및 가이드홈(335)에 의해서 배관(110)에 광원 모듈(330)이 장착되었을 때, 광원(332)의 중심과 배관(110)의 개구부(111)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400)에서 배관(110)에 장착되는 고정부재(460)는 제1 체결부(463), 제2 체결부(465) 및 기판 장착부(461)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460) 및 광원 모듈(130)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 배출구(150)와 연결된 배관(110)에 배치된다.
배관(110)은 외벽이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투명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배관(110)은 외벽 전체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110)의 외벽 전체를 통해서, 광원 모듈(130)의 살균 자외선이 배관(110)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10)은 유리, 석영 및 PMMA 등과 같은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배관(110)의 외벽 전체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원 모듈(130)은 어느 위치에서나 배관(110)의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기판 장착부(461)에는 광원 모듈(130)이 장착된다. 기판 장착부(461)는 광원 모듈(130)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는 구조도 될 수 있으며, 광원 모듈(130)의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도 될 수 있다.
제1 체결부(463)는 기판 장착부(461) 양측면에 형성되어, 기판 장착부(461)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 장착부(461)의 전방 방향은 배관(110)이 위치한 방향이다. 제1 체결부(463)의 일단은 기판 장착부(461)의 측면과 연결되며, 제1 체결부(463)의 타단은 구부러진 구조로 형성된다.
제2 체결부(465)는 배관(110)의 외벽에 부착되며, 관통홀(466)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465)는 접착 물질로 배관(110)의 외벽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제2 체결부(465)는 이미 공지된 어떠한 부착 방법으로도 배관(110)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체결부(465)는 제1 체결부(46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체결부(463)에 힘을 가한 상태로, 제1 체결부(463)의 타단을 제2 체결부(465)의 관통홀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제1 체결부(463)의 구부러진 타단이 제2 체결부(465)에 걸려 제1 체결부(463)와 제2 체결부(465)가 서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체결로 광원 모듈(130)이 배관(110)의 외부에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제1 체결부(463)와 제2 체결부(465)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1 체결부(463)와 제2 체결부(465)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130)은 고정부재(460)에 의해서 배관(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내부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10)의 물 또는 습기에 의해서 광원 모듈(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130)에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고정부재(460)의 기판 장착부(161)를 배관(1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광원 모듈(130)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고정부재(460)의 제1 체결부(463)는 고정부재(46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460)의 외벽과 제1 체결부(463)에 벨크로(Velcro)가 형성되어 제1 체결부(463)가 고정부재(46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재(460)의 외벽과 제1 체결부(463)가 자력 또는 자력을 갖는 구성을 포함하여, 제1 체결부(463)가 고정부재(46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접착 또는 부착 매개체에 의해서 제1 체결부(463)는 고정부재(460)과 탈부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130)의 살균 자외선은 배관(110)의 외벽을 통과하여 배관(110) 내부에 고여있는 물에 조사된다. 따라서, 배관(110)에 고여있는 물은 살균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되므로 깨끗한 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정수된 물이 배관(110)을 따라 이동할 때나 배관(110)에 고여 있을 때 오염될 수 있는데, 배관(110)에서 다시 살균되므로 정수기의 정수 효과가 증가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배관(110)의 외벽 전체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배관(110)이 반드시 외벽 전체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배관(110)의 외벽의 일부만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투명 영역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고정부재(460)는 투명 영역을 통해 살균 자외선이 배관(110)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는 위치에 광원 모듈(13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500)에서 고정부재(560)는 제1 체결부(563), 제2 체결부(565) 및 기판 장착부(561)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563)는 기판 장착부(561)에 형성된다.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체결부(563)는 기판 장착부(561)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홈(564)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체결부(563)의 홈(564)은 제2 체결부(565)의 타단과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체결부(563)의 홈(564)에 제2 체결부(565)의 타단이 삽입되면, 제1 체결부(563)와 제2 체결부(565)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체결부(563)의 홈(564)과 제2 체결부(565)의 타단이 반드시 대응하는 구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체결부(563)의 홈(564)과 제2 체결부(565)의 타단은 서로 결합되었을 때, 고정부재(560)가 배관(110)에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도 10에서, 제1 체결부(563)는 기판 장착부(561)의 측면 외벽에 형성된다. 그러나 제5 실시 예의 제1 체결부(563)가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체결부(565)와 결합할 수 있다면 어느 위치에도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563)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 기판 장착부(561)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제2 체결부(565)는 배관(110)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체결부(565)의 일단은 배관(110)의 외벽에 부착되며, 타단은 배관(110)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560)는 제2 체결부(565)의 타단을 제1 체결부(563)에 삽입함으로써, 배관(110)에 고정된다.
제5 실시 예의 경우, 한 쌍의 제1 체결부(563)와 제2 체결부(565)로도 배관(110)에 고정부재(56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560)가 두 쌍의 제1 체결부(563)와 제2 체결부(565)를 포함하면, 고정부재(560)는 더 견고하게 배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600)에서 고정부재(660)는 제1 체결부(663), 제2 체결부(665) 및 기판 장착부(661)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663)는 기판 장착부(661)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1 체결부(663)의 일단은 기판 장착부(661)의 측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기판 장착부(661)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체결부(665)는 배관(110)의 외벽에 부착된다. 제2 체결부(665)는 배관(110)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홈(666)을 포함한다.
고정부재(660)는 제2 체결부(665)의 타단을 제1 체결부(663)에 삽입함으로써, 배관(1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6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60, 460, 560, 660)는 일부가 배관(110)의 외벽에 부착된다. 따라서, 고정부재(160, 460, 560, 660)는 외부 충격에도 움직이거나 배관(110)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700)에서 배관(110)에 장착된 고정부재(760)의 구조를 평면도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7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760)는 제1 지지부(763), 제2 지지부(765) 및 기판 장착부(761)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763)는 기판 장착부(76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765)는 기판 장착부(761)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1 지지부(763) 및 제2 지지부(765)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제1 지지부(763) 및 제2 지지부(765)의 일단은 기판 장착부(761)와 연결되고, 제1 지지부(763) 및 제2 지지부(765)의 타단은 기판 장착부(761)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돌출된 제1 지지부(763) 및 제2 지지부(765)의 타단은 배관(110)의 외벽과 접촉한다.
제1 지지부(763)와 제2 지지부(765) 간의 간격은 배관(110)에서 고정부재(760)가 장착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제1 지지부(763) 및 제2 지지부(765)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힘을 가한 상태에서, 제1 지지부(763)와 제2 지지부(765) 사이에 배관(110)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제1 지지부(763)와 제2 지지부(765)는 탄성력에 의해서 배관(110)의 외벽을 가압하여, 고정부재(760)가 배관(11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760)가 탄성력을 갖는 제1 지지부(763)와 제2 지지부(765)를 포함하는 경우, 이전 실시 예와 다르게 배관(110)에 체결을 위한 별도 구성부의 설치 없이도 고정부재(760)를 배관(11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제8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800)에서 배관(110)에 장착된 고정부재(860)의 구조를 평면도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8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860)는 제1 지지부(863), 제2 지지부(865), 기판 장착부(861) 및 완충부재(870)를 포함한다.
완충부재(870)는 제1 지지부(863)와 제2 지지부(865)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완충부재(870)는 고무, 스펀지 등과 같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완충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870)는 배관(110)이 제1 지지부(863)와 제2 지지부(865)로부터 받는 압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관(110)이 제1 지지부(863)와 제2 지지부(865)의 가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제9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900)에서 배관(110)에 장착된 고정부재(960)의 구조를 평면도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9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재(960)는 제1 지지부(963), 제2 지지부(965), 기판 장착부(961) 및 패턴부재(970)를 포함한다.
패턴부재(970)는 제1 지지부(963)와 제2 지지부(965)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패턴부재(970)의 일면은 제1 지지부(963) 및 제2 지지부(965)와 접촉되며, 타면은 굴곡 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타면은 일면에 반대 면이다.
고정부재(960)가 배관(110)에 장착될 때, 패턴부재(970)의 굴곡 패턴이 형성된 타면이 배관(110)의 외벽에 접촉된다. 이때, 굴곡 패턴에 의해서 패턴부재(970)와 배관(110)의 외벽에 마찰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고정부재(960)가 배관(110)에 장착되었을 때, 패턴부재(970)에 의한 마찰력 향상으로, 고정부재(960)가 매끄러운 배관(110)에 외벽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9 실시 예에 따르면, 패턴부재(970)에 의해서 고정부재(960)가 배관(11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제10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00)에서 배관(110)에 장착된 고정부재(960)의 구조를 평면도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10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063) 및 제2 지지부(1065)의 일부가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 지지부(1063) 및 제2 지지부(1065)는 각각의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진다.
이와 같은 경우도 제7 실시 예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부재(1060)를 배관(110)에 고정할 수 있다. 제10 실시 예에서는 제1 지지부(1063)의 타단 및 제2 지지부(1065)의 타단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배관(110)의 외벽에 접촉된다.
도 15에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060)도 제8 실시 예의 완충부재(도 13의 860) 또는 제9 실시 예의 패턴부재(도 14의 9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860) 및 패턴부재(960)는 배관(110)의 외벽과 접촉하는 제1 지지부(1063) 및 제2 지지부(1065)의 타단에 형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제1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100)에서 배관(110)에 장착된 고정부재(1160)의 구조를 평면도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11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는 일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안쪽으로 휘어져 감긴다. 또한, 휘어져 감긴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에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를 다시 직선 형태로 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는 롤(Roll) 타입의 철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에 일정 힘을 가해,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가 배관(110)의 외벽을 감싸 고정부재(1160)가 배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160)도 제8 실시 예의 완충부재(도 13의 860) 또는 제9 실시 예의 패턴부재(도 14의 9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860) 및 패턴부재(960)는 배관(110)의 외벽과 접촉하는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완충부재(860) 및 패턴부재(960)는 제1 지지부(1163) 및 제2 지지부(1165) 둘 다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 내지 제11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760, 860, 960, 1060, 1160)의 지지부를 제1 지지부(763, 863, 963, 1063, 1163)와 제2 지지부(765, 865, 965, 1065, 116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부가 반드시 제1 지지부(763 내지 1163)와 제2 지지부(765 내지 1165)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는 기판 장착부(761, 861, 961, 1061, 1161)의 일측에 한 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는 기판 장착부(761 내지 116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는 배관(110)에 고정부재(760 내지 1160)를 고정할 수 있다면, 형성 위치 및 개수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 내지 제11 실시 예의 고정부재(760, 860, 960, 1060, 1160)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배관(1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760 내지 1160)는 어떠한 형태의 배관(110)에도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760 내지 1160)는 배관(110)에 고정되어도 위치 변경이 쉽고,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다. 즉, 고정부재(760 내지 1160)를 장착할 수 있는 위치가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110)의 어디라도 필요에 따라 광원 모듈(13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760 내지 1160)는 고정되어 있던 배관(110)에서 탈착하여 다른 정수기의 배관(110)에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며, 별도의 장비 및 기술 없이도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부재(760 내지 1160)를 배관(110)의 살균이 필요한 정수기로 옮겨 장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광원 모듈(130)이 장착된 고정부재(760 내지 1160)를 정수기를 교체할 때마다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 및 특징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정수기
110: 배관
111: 개구부
112, 212: 개구부 내벽
115: 밀봉부재 삽입홈
120: 투명 창
130, 330: 광원 모듈
131, 331: 기판
132, 332: 광원
150, 311: 체결부
151: 돌기부
160, 460, 560, 660, 760, 860, 960, 1060, 1160: 고정부재
161, 461, 561, 661, 761, 861, 961, 1061, 1161: 기판 장착부
164, 466: 관통홀
165, 312: 체결홈
166: 체결부 삽입홀
167: 걸림홈
168: 투명 창 가압부
169: 돌출부 삽입홈
170, 370: 안착부
171: 제1 돌출부
172: 제2 돌출부
180: 밀봉부재
190, 314: 가이드부
313: 걸림부
333: 체결홀
334: 고정홀
335: 가이드홈
340: 체결부재
381: 제1 밀봉부재
382: 제2 밀봉부재
463, 563, 663: 제1 체결부
465, 565, 665: 제2 체결부
564, 666: 홈
763, 763, 963, 1063, 1163: 제1 지지부
765, 865, 965, 1065, 1165: 제2 지지부
860: 완충부재
960: 패턴부재

Claims (28)

  1. 물이 이동하거나 물이 고여있는 통로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살균 자외선이 통과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배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어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광원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배관과 상기 광원 모듈 사이에 위치하되,
    관통 형상의 관통홀; 및
    상기 광원이 상기 관통홀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이 장착되는 기판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배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로 상기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정수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관통 형상의 개구부;
    상기 개구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배관의 외벽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관통 형상의 체결홀을 더 포함하고,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정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외벽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일단이 구부러진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관통 형상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고정홀을 통과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외벽 사이에 삽입되는 정수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밀봉부재; 및
    상기 개구부 폐쇄하며, 상기 살균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명 창;
    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관통 형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벽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정수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 측면에 돌출 구조로 형성된 돌기부가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관통홈의 내측벽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구조의 홈인 걸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을 따라 이동하다 상기 돌기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정수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상기 살균 자외선이 통과하는 영역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투명 영역인 정수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판 장착부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배관의 외벽에 부착되는 제2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정수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배관이 위치한 방향인 상기 기판 장착부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홈을 포함하는 정수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배관의 외벽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살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인 상기 배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정수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제1 체결부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는 정수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기판 장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관이 위치한 방향인 상기 기판 장착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정수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정수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제2 체결부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는 정수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의 타단은 구부러진 구조를 포함하는 정수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제2 체결부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부의 구부러진 부분이 상기 제2 체결부의 상기 관통홀에 체결되는 정수기.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살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인 상기 배관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홈을 포함하는 정수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의 타단이 상기 제1 체결부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는 정수기.
  2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광원 모듈이 장착되는 기판 장착부; 및
    상기 기판 장착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기판 장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배관의 외벽을 가압하여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정수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판 장착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 장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의 타단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배관의 외벽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배관에 고정되는 정수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구부러진 구조로, 상기 기판 장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의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정수기.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한 힘을 받으면 안쪽으로 휘어져 상기 배관의 외벽을 감는 정수기.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배관이 상기 지지부로부터 받는 압력을 완충하는 정수기.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패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재는 상기 배관의 외벽과 접촉하는 면에 굴곡 패턴이 형성된 정수기.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광원 모듈을 고정하는 정수기.
KR1020180004998A 2017-01-16 2018-01-15 정수기 KR102467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0735 WO2018131983A1 (ko) 2017-01-16 2018-01-16 정수기
CN201880005045.4A CN110088046A (zh) 2017-01-16 2018-01-16 净水器
KR1020220151168A KR20220159307A (ko) 2017-01-16 2022-11-14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139 2017-01-16
KR20170007139 2017-01-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168A Division KR20220159307A (ko) 2017-01-16 2022-11-14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53A KR20180084653A (ko) 2018-07-25
KR102467975B1 true KR102467975B1 (ko) 2022-11-17

Family

ID=6305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98A KR102467975B1 (ko) 2017-01-16 2018-01-15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7975B1 (ko)
CN (1) CN1100880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128567A (zh) 2019-07-31 2021-08-01 美商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水處理系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783Y1 (ko) * 2001-03-07 2001-10-18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JP2013113409A (ja) * 2011-11-30 2013-06-10 Daihatsu Motor Co Ltd パイププロテクタ
JP2014233646A (ja) * 2013-05-30 2014-12-15 日機装株式会社 水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837A (ja) * 2001-03-07 2002-09-17 Prima Meat Packers Ltd 飲料物殺菌装置
US7448717B2 (en) * 2005-03-31 2008-11-11 Seiko Epson Corporation Container having liquid detecting function, and sensor unit
CN101215017A (zh) * 2007-12-28 2008-07-09 李朝林 紫外消毒方法
CN201153156Y (zh) * 2008-01-02 2008-11-19 昆山宏致电子有限公司 连接器
CN201244203Y (zh) * 2008-08-27 2009-05-27 魏玉叶 鼻饲管固定装置
WO2010095707A1 (ja) * 2009-02-23 2010-08-26 ローム株式会社 浄水器
TWI428514B (zh) * 2009-11-12 2014-03-01 Hon Hai Prec Ind Co Ltd 固定結構
WO2011077875A1 (ja) * 2009-12-25 2011-06-30 森永乳業株式会社 電解水製造装置
CN102115227A (zh) * 2009-12-31 2011-07-06 上海广茂达光艺科技股份有限公司 明渠式紫外水体消毒装置
KR20140050216A (ko) * 2012-10-18 2014-04-29 코웨이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장치
CN103836032B (zh) * 2012-11-21 2017-05-03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旋转固定结构
US9533896B2 (en) * 2013-09-05 2017-01-03 Seoul Viosys Co., Ltd. Fluid sterilizer and associated connecting device
CN104706138A (zh) * 2013-12-12 2015-06-17 王书慧 便携式水杯
CN203673228U (zh) * 2014-01-16 2014-06-2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筒
CN103803675B (zh) * 2014-02-19 2015-04-15 北京碧水源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用紫外led杀菌装置
CN203733757U (zh) * 2014-03-07 2014-07-23 徐州工程学院 扫描电镜测试样品夹持装置
CN204208594U (zh) * 2014-09-19 2015-03-18 曹勇俊 一种试管夹具
CN106032291A (zh) * 2015-03-20 2016-10-19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紫外线杀菌装置及水处理机
CN104803445B (zh) * 2015-04-09 2016-08-17 国家海洋技术中心 水下紫外线杀菌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783Y1 (ko) * 2001-03-07 2001-10-18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JP2013113409A (ja) * 2011-11-30 2013-06-10 Daihatsu Motor Co Ltd パイププロテクタ
JP2014233646A (ja) * 2013-05-30 2014-12-15 日機装株式会社 水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53A (ko) 2018-07-25
CN110088046A (zh)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3820B (zh) 殺菌模組、淨水裝置及包括淨水裝置的系統
JP5734198B2 (ja) 照明兼空気清浄器
US11787707B2 (en)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80055984A (ko) 자외선 반사판이 형성된 공기정화살균기
KR101683351B1 (ko) 라이트 커튼형 led 광 조사기
WO2011032543A3 (de) Selbstdesinfizierender geruchsverschluss
KR102467975B1 (ko) 정수기
KR20180115978A (ko) 유체 살균 장치
KR20160053227A (ko) 싱크대 배수구 살균 장치
KR20220159307A (ko) 정수기
KR102052576B1 (ko)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KR101616723B1 (ko)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KR101811120B1 (ko) 양방향 살균시스템
CN117945500A (en) Water purifier
KR20040035315A (ko) 살균조명기구
KR20090123721A (ko) 자외선 소독기의 세척입자와 유체 흐름을 이용한무동력으로 램프 세척장치
KR20130067568A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등 장치
KR20190044880A (ko) 살균 장치
KR102526597B1 (ko) 디퓨저용 공기 살균 조립체 및 공기 살균 디퓨저
WO2019159984A1 (ja) 紫外線殺菌装置
CN214536472U (zh) 杀菌装置及空调室内机
KR20180130822A (ko) 살균 장치
KR102564525B1 (ko) 필기구용 살균장치
KR200302064Y1 (ko) 살균 조명기구
KR101039754B1 (ko) 살균소독기의 자외선 램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