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723B1 -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 Google Patents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723B1
KR101616723B1 KR1020150165151A KR20150165151A KR101616723B1 KR 101616723 B1 KR101616723 B1 KR 101616723B1 KR 1020150165151 A KR1020150165151 A KR 1020150165151A KR 20150165151 A KR20150165151 A KR 20150165151A KR 101616723 B1 KR101616723 B1 KR 10161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ensing
value
illuminance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성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성 filed Critical 김보성
Priority to KR102015016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723B1/ko
Priority to PCT/KR2016/005091 priority patent/WO20170908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가 개시된다.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상기 본체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 상기 UV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조도값(P1)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조도값(P1)을 송신하는 조도센싱모듈; 상기 조도센싱모듈로부터 상기 UV램프의 감지조도값(P1)을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조도값(P1)을 미리 정해진 기준조도값(P2)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상기 조도가 상기 기준조도값(P2)보다 작으면 교체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교체 알림신호에 의해 외부로 상기 UV램프의 교체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수단을 구성한다. 상술한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에 의하면, UV램프에 조도센싱모듈을 부착하여 UV램프의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살균 작용을 위한 조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지 실시간 확인하고 UV램프의 교체 시기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DISINFECTOR EQUIPPED WITH ULTRAVIOLET LAMP REPLACEMENT ALERT MEANS FOR DISINFECTION}
본 발명은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살균소독용 UV(ultraviolet) 램프(lamp)가 구비된 소독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UV램프(ultraviolet lamp)는 식기 보관대나 각종 소독기에 구비되어 유해 세균을 살균하는 데 이용된다. UV램프가 구비된 소독기는 음식점, 병원, 단체 급식소는 물론 가정에서도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10-2005-0118042는 절전 기능을 갖는 소독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살균 성능은 UV램프의 조도에 따라 정해진다. 조도가 높을수록 살균 성능이 높아진다.
그런데, UV 수명이 다하여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살균 성능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UV램프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에는 천천히 그 조도가 저하되게 되는데, 조도가 일정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기능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여러 실험을 통해 알려진 바로는 UV램프의 초기 사용 100 시간 동안의 조도를 100%로 설정할 때 이를 기준으로 70% ~ 75% 정도로 조도가 낮아지면 살균 성능 역시 저하되어 정상적인 살균 작용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런데, UV램프의 자외선은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UV램프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사람에게 부작용도 많기 때문에 밀폐된 상태에서만 UV램프가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UV램프의 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 즉, UV램프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10-2005-0118042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상기 본체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 상기 UV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조도값(P1)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조도값(P1)을 송신하는 조도센싱모듈; 상기 조도센싱모듈로부터 상기 UV램프의 감지조도값(P1)을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조도값(P1)을 미리 정해진 기준조도값(P2)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상기 조도가 상기 기준조도값(P2)보다 작으면 교체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인 제어모듈;
상기 메인 제어모듈에서 출력된 교체 알림신호에 의해 외부로 상기 UV램프의 교체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도센싱모듈은, 상기 UV램프마다 각각 구비되며, 상기 UV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조도값(P1)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도센싱부; 상기 조도센싱부에서 출력된 감지조도값(P1)을 스위칭(switching)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스위치(switch);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각 조도센싱부의 감지조도값(P1)을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현재 스위치 온(switch on)된 조도센싱부의 ID(identificatio)을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조도센싱부의 감지조도값(P1)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감지조도값 수신부; 상기 감지조도값 수신부에서 수신된 감지조도값(P1)과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서 출력된 해당 조도센싱부의 ID를 하나의 신호로 변조하는 감지조도값 변조부; 상기 감지조도값 변조부에서 변조된 신호를 메인(main) 제어모듈로 실시간 송신하는 감지조도값 송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모듈은, 상기 감지조도값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조도값(P1) 및 해당 조도센싱부의 ID를 출력하고, 출력된 감지조도값(P1)과 상기 기준조도값(P2)의 대비 결과에 따라 해당 UV램프에 대한 교체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UV램프(2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도센싱모듈은,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조도센싱모듈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의 습기 또는 고정브라켓의 온도 차이에 발생하는 습기로부터 상기 조도센싱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방습커버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습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자외선이 이동하는 구멍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조도센싱모듈 사이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빛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도광관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에 의하면, UV램프에 조도센싱모듈을 부착하여 UV램프의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살균 작용을 위한 조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지 실시간 확인하고 UV램프의 교체 시기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적정 시기에 UV램프를 교체하여 소독기의 살균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의 정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 및 조도센싱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 및 조도센싱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센싱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 및 조도센싱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센싱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의 제어패널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의 정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 및 조도센싱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 및 조도센싱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센싱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이하, '소독기'라 함)(1)는 본체(10), UV램프(ultraviolet lamp)(20), 고정브라켓(fixed backet)(30), 조도센싱모듈(40), 방습커버(dampproofing cover)(50), 메인(main) 제어모듈(60) 및 알림수단(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독기(1)는 본체(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램프(20)를 구비하여 본체(10) 내부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피속독물(OB)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 소독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UV램프(20)는 자외선이 육안 식별이 안되므로 그 고장 여부나 살균에 필요한 조도값 미달 등의 상황에 대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소독기(1)는 그 조도값의 상시 측정하여 UV램프(20)를 제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0)는 내부에 피소독물(OB)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용공간(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2)가 구비되고, 도어(12)에는 수용공간(11)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13)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2)는 본체(10) 및 수용공간(11)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도어(12)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UV램프(20)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5)이 구비될 수 있다.
UV램프(2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면서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피소독물(OB)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V램프(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직관형 이외에도 2중관, U자관, 원형관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UV램프(20)의 방전방식은 열음극방전방식과 냉음극방전방식, 전자방식 등이 있는데 본원발명에서는 그러한 방전방식에 대해 특별한 한정이 없으며, UV램프(2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한 안정기(미도시) 및 시동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UV램프(20)는 본체(10) 및 수용공간(11)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로는 수용공간(11)의 상방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수용공간(11)의 측면 또는 후방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브라켓(30)은, UV램프(20)를 본체(10) 내측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UV램프(20)가 결합되는 램프소켓(lamp socket)(31)이 구비되며 UV램프(20)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하는 관통홀(32)이 형성된다.
관통홀(32)은 UV램프(20)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통과되는 구멍 내지는 통로로서 고정브라켓(30)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통홀(32)의 외측에는 조도센싱부(40a)가 배치되어 관통홀(32)을 통과한 UV램프(20)의 자외선이 조도센싱부(40a)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공(33)은 관통홀(32)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공(33)에는 조도센싱모듈(40)과 방습커버(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B)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브라켓(30)은 도면 중 수평방향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본체(10) 및 수용공간(11)의 크기에 따라 수용공간의 상부, 후방, 측면 등 다양한 방향에 동시에 다수개가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30)에는 UV램프(20)에서 조사된 자외선 중 상방으로 조사된 자외선을 피소독물(OB)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조도센싱모듈(40)은 도면에서 보듯이 조도센싱부(40a)를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싱모듈(40)은 고정브라켓(30)에 형성된 관통홀(3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싱모듈(40)의 조도센싱부(40a)는 관통홀(32)을 통과한 자외선의 조도를 감지하며, 조도센싱부(40a)는 조도센싱모듈(40)의 PCB에 실장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30)의 관통홀(32)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싱부(40a)는 UV램프(20)의 형태나 길이에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조도센싱모듈(40)에 하나의 조도센싱부(40a)가 구비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조도센싱부(40a)가 구비될 수 있다.
조도센싱부(40a)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관통홀(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방습커버(50)는 고정브라켓(30)과 조도센싱모듈(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방습커버(50)는 본체(10) 내부의 습기에 의해 조도센싱모듈(40)이 손상되거나 이로 인해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습커버(50)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지닌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소재의 탄성력에 의해 조도센싱모듈(40)을 외부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모터(motor), 실린더(cylinder) 등과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의 동작시 진동이 발생하며, 특히 도어(12)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이 자주 발생하므로 이로부터 PCB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방습커버(50)에는 조도센싱모듈(40)로 전달되는 UV램프(20)의 빛을 차단하지 않도록 상하로 관통된 구멍(51)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51)은 습기가 조도센싱모듈(40) 및 조도센싱부(40a)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구멍(51)의 저면에 실리콘(silicon),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투명한 소재의 막음판(5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 제어모듈(60)은 조도센싱모듈(40)로부터 전달된 감지조도값(P1)과 미리 저장된 기준조도값(P2)을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제어모듈(60)은 그 대비 결과에 따라 UV램프(20)의 교체 시기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알림수단(70)은 메인 제어모듈(60)에서 교체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그 메인 제어모듈(60)의 제어에 의해 발광수단(71) 또는 스피커(72)를 통해 교체 시기 알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 및 조도센싱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볼 때 고정브라켓(30)과 방습커버(50) 사이에 도광판(8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도광판(80)은 관통홀(32)을 통과한 빛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관통홀(32)을 통과한 빛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81)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V램프(20)에서 조사된 자외선의 방향이 조도센싱부(40a)로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할 때, 통로(81)를 통과하는 자외선이 통로(81)의 내벽에서 반사되면서 조도센싱부(40a)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통로(81)의 내벽에는 자외선의 반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반사판(미도시) 또는 반사도료가 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광관(80)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나사(B)가 결합되는 고정공(8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광판(80)은 고정공(82)을 통해 고정브라켓(30), 방습커버(50) 및 조도센서(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센싱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센싱모듈(40)은 조도센싱부(40a), 스위치(switch)(40b), 스위치 제어부(40c), 감지조도값 수신부(40d), 감지조도값 변조부(40e) 및 감지조도값 송신부(40f)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싱모듈(40)은 PCB로 제작될 수 있으며, UV램프(20)마다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UV램프(20)의 형상이 복잡하거나 길이가 길면 조도센싱모듈(40)도 여러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도센싱부(40a)는 조도 센서(sensor)로서 하나의 조도센싱모듈(40)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조도센싱부(40a)가 구비될 수 있다. UV램프(20)가 길이나 그 형태에 따라서 길이가 길거나 형태가 복잡하면 그 형태에 대응하여 여러 개의 조도센싱부(40a)가 구비될 수 있다.
조도센싱부(40a)는 UV램프(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조도값(P1)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40b)는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며, 조도센싱부(40a)에서 출력된 감지조도값(P1)을 스위칭(switching)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40c)는 스위치(40b)의 스위칭 동작을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40c)의 제어에 의해 스위치(40b)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각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P1)을 순차적으로 감지조도값 수신부(40d)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제어부(40c)는 순차적으로 각 조도센싱부(40a)에 스위칭하도록 제어하지 않고 특정 조도센싱부(40a)에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제어부(40c)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스위칭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스위치 제어부(40c)는 스위치(40b)에 의해 현재 스위치 온(switch on)된 조도센싱부(40a)의 ID(identificatio)를 감지조도값 변조부(40e)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현재 스위치 온 된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P1)이 어느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P1)인지 식별하기 위함이다.
감지조도값 수신부(40d)는 스위치 제어부(40c)의 제어에 따라 각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P1)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조도값 변조부(40e)는 감지조도값 수신부(40d)에서 수신된 감지조도값(P1)을 전달받고, 스위치 제어부(40c)로부터 조도센싱부(40a)의 ID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조도값 변조부(40e)는 현재 감지조도값(P1)과 현재의 조도센싱부(40a)의 ID를 상호 대응시켜 하나의 신호로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현재 스위치 온된 조도센싱부(40a)가 어느 조도센싱부(40a)인지 식별 가능해지고 또한 그 조도센싱부(40a)의 현재 감지조도값(P1)을 알 수 있게 된다. 감지조도값 변조부(40e)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감지조도값 송신부(40f)로 전달될 수 있다.
감지조도값 송신부(40f)는 감지조도값 변조부(40e)에서 변조된 신호를 메인 제어모듈(6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조도값 송신부(40f)는 RS-232C,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의 제어패널의 확대도이다.
도 7의 제어패널(15) 내부에는 메인 제어모듈(60)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제어모듈(60)은 감지조도값 송신부(40f)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조도값(P1) 및 해당 조도센싱부(40a)의 ID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제어모듈(60)은 실시간 출력되는 감지조도값(P1)을 미리 저장된 기준조도값(P2)과 대비하여 그 높고 낮음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준조도값(P2)은 살균 작용을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의 조도값으로서 그 이하가 되면 UV램프(20)를 교체해야 하는 기준값이다.
기준조도값(P2)은 UV램프(20)의 초기 사용 100 시간 동안의 조도를 100%로 설정할 때 이를 기준으로 70% ~ 75%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메인 제어모듈(60)은 감지조도값(P1)이 기준조도값(P2)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현재 수신된 조도센싱모듈(40)의 ID를 통해 어느 UV램프(20)가 문제인지를 파악하고, 그 UV램프(20)에 대한 대한 교체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알림 수단(70)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조도센싱모듈(40)에 여러 개의 조도센싱부(40a)가 구비된 경우, 어느 하나의 조도센싱부(40a)가 고장나거나 오작동을 하여 UV램프(20)의 감지조도값(P1)이 계속 낮게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UV램프(20)가 고장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여러 개의 조도센싱부(40a) 중 어느 하나의 조도센싱부(40a)의 고장이나 오동작에 의해 계속 교체 알림신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UV램프(20)를 새로 교체하여도 계속 교체 알림신호가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조도센싱모듈(40) 전체를 교체해 주어야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메인 제어모듈(60)은 그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40a)은 기준조도값(P2)와 대비하지 않고 무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조도센싱모듈(40)에 4개의 조도센싱부(40a)가 있다고 가정할 때 번째 조도센싱부(40a) 즉 4개의 감지조도값(P1) 중 4번째 감지조도값(P1)만 기준조도값(P2)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고 나머지 감지조도값(P1)은 기준조도값(P2)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메인 제어모듈(60은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P1) 중 4번째 조도센싱부(40a)에 대해서는 대비하지 않고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나머지 조도센싱부(40a)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굳이 전체 조도센싱모듈(40)을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알림수단(70)은 메인 제어모듈(60)에서 출력된 교체 알림신호에 따라 해당 UV램프(20)의 교체 시기를 빛, 소리 등을 통해 알려주는 구성으로서, 메인 제어모듈(60)과 연결되어 메인 제어모듈(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알림수단(70)은 본체(10)의 빛을 점등하기 위한 발광수단(71)과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7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알림수단(70)은 본체(10)에 구비된 제어패널(15)에 일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패널(15)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램프교체로 표현된 화상 아이콘을 일정 간격으로 점멸시키거나 제어패널(15)이 흰색 또는 파랑색 바탕으로 이루어질 때 점멸되는 색상은 빨강색 등과 같이 시인성이 높은 색을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UV램프(20)가 여러 개인 경우 알림수단(70)은 해당 UV램프(20)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V램프(20)마다 미리 번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번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UV램프(20)의 교체 시기를 놓치지 않고 즉각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소독기 10: 본체
15: 제어패널 20: UV램프
30: 고정브라켓 31: 램프소켓
32: 관통홀 40: 조도센싱모듈
40a: 조도센싱부 40b: 스위치
40c: 스위치 제어부 40d: 감지조도값 수신부
40e: 감지조도값 변조부 40f: 감지조도값 송신부
50: 방습커버 51: 구멍
52: 막음판 60: 메인 제어모듈
70: 알림수단 71: 발광수단
72: 스피커 80: 도광관
81: 통로 82: 고정공

Claims (5)

  1.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UV(ultraviolet lamp)램프(20);
    상기 UV램프(20)를 상기 본체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30);
    상기 UV램프(20)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조도값(P1)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조도값(P1)을 송신하는 조도센싱모듈(40);
    상기 조도센싱모듈(40)로부터 상기 UV램프(20)의 감지조도값(P1)을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조도값(P1)을 미리 정해진 기준조도값(P2)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상기 조도가 상기 기준조도값(P2)보다 작으면 교체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인 제어모듈(60);
    상기 메인(main) 제어모듈(60)에서 출력된 교체 알림신호에 의해 외부로 상기 UV램프(20)의 교체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수단(70)을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싱모듈(40)은,
    상기 UV램프(20)마다 각각 구비되며, 상기 UV램프(20)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조도값(P1)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도센싱부(40a);
    상기 조도센싱부(40a)에서 출력된 감지조도값(P1)을 스위칭(switching)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스위치(switch)(40b);
    상기 스위치(40b)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각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P1)을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현재 스위치 온(switch on)된 조도센싱부(40a)의 ID(identificatio)을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40c);
    상기 스위치 제어부(40c)의 제어에 따라 각 조도센싱부(40a)의 감지조도값(P1)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감지조도값 수신부(40d);
    상기 감지조도값 수신부(40d)에서 수신된 감지조도값(P1)과 상기 스위치 제어부(40c)에서 출력된 해당 조도센싱부(40a)의 ID를 하나의 신호로 변조하는 감지조도값 변조부(40e);
    상기 감지조도값 변조부(40e)에서 변조된 신호를 메인 제어모듈(60)로 실시간 송신하는 감지조도값 송신부(40f)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모듈(60)은,
    상기 감지조도값 송신부(40f)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조도값(P1) 및 해당 조도센싱부(40a)의 ID를 출력하고, 출력된 감지조도값(P1)과 상기 기준조도값(P2)의 대비 결과에 따라 해당 UV램프(20)에 대한 교체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상기 UV램프(2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통과하는 관통홀(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도센싱모듈(40)은,
    상기 관통홀(3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30)과 상기 조도센싱모듈(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의 습기 또는 고정브라켓(30)의 온도 차이에 발생하는 습기로부터 상기 조도센싱모듈(40)을 보호하기 위한 방습커버(50)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습커버(50)는,
    상기 관통홀(32)을 통과한 자외선이 이동하는 구멍(51)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0)과 상기 조도센싱모듈(40) 사이에 구비되어, 중앙에 상기 관통홀(32)을 통과한 빛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81)가 형성된 도광관(80)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KR1020150165151A 2015-11-25 2015-11-25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KR101616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51A KR101616723B1 (ko) 2015-11-25 2015-11-25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PCT/KR2016/005091 WO2017090847A1 (ko) 2015-11-25 2016-06-01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51A KR101616723B1 (ko) 2015-11-25 2015-11-25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723B1 true KR101616723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151A KR101616723B1 (ko) 2015-11-25 2015-11-25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6723B1 (ko)
WO (1) WO20170908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47A1 (ko) * 2015-11-25 2017-06-01 김보성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WO2018101527A1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해님 휴대폰 알림기능 및 원격조정기능이 구비된 젖병용 살균 건조기
US20210153529A1 (en) * 2019-11-26 2021-05-27 Ecolab Usa Inc. Automated sanitization of robotic food equipment using antimicrobial ligh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556A (ko) * 1995-11-30 1997-06-24 배순훈 자외선 식기건조기의 살균등 교환시기 알림장치
KR20050029482A (ko) * 2003-09-23 2005-03-28 (주)에스와이하이테크 살균효과 검출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살균장치
KR20050118042A (ko) 2004-06-11 2005-12-15 이순옥 소독램프 점등시간을 설정 제어하는 회로가 있는 소독기
JP2010103026A (ja) * 2008-10-27 2010-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器具
KR20150122019A (ko) * 2014-04-22 2015-10-30 남찬우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갖는 살균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723B1 (ko) * 2015-11-25 2016-04-29 김보성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556A (ko) * 1995-11-30 1997-06-24 배순훈 자외선 식기건조기의 살균등 교환시기 알림장치
KR20050029482A (ko) * 2003-09-23 2005-03-28 (주)에스와이하이테크 살균효과 검출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살균장치
KR20050118042A (ko) 2004-06-11 2005-12-15 이순옥 소독램프 점등시간을 설정 제어하는 회로가 있는 소독기
JP2010103026A (ja) * 2008-10-27 2010-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器具
KR20150122019A (ko) * 2014-04-22 2015-10-30 남찬우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갖는 살균등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47A1 (ko) * 2015-11-25 2017-06-01 김보성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WO2018101527A1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해님 휴대폰 알림기능 및 원격조정기능이 구비된 젖병용 살균 건조기
US20210153529A1 (en) * 2019-11-26 2021-05-27 Ecolab Usa Inc. Automated sanitization of robotic food equipment using antimicrobial light
US11985997B2 (en) * 2019-11-26 2024-05-21 Ecolab Usa Inc. Automated sanitization of robotic food equipment using antimicrobial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847A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723B1 (ko) 살균소독용 uv램프의 교체 알림수단이 구비된 소독기
KR20190065580A (ko)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KR101618251B1 (ko) 승강기용 탈부착 자외선살균장치
CN115175709A (zh) 消毒系统和方法
KR102189230B1 (ko) 휴대 지능형 uvc led 살균기
KR20170030166A (ko) 살균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130722A (ko) Usb충전식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WO2009065128A3 (en) Germicidal cleaning device
KR20190015963A (ko) 살균 장치
JP2009135009A (ja) 照明器具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6113752A (ja) 照明器具
CN211584454U (zh) 一种紫外线空气消毒装置
KR200343728Y1 (ko) 휴대용 살균장치
KR102532268B1 (ko) 자외선 소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129755A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일체로 구성된 센서등
US11883548B2 (en) Display device with ultraviolet germicidal lamp
CN209744204U (zh) 杀菌天花灯
CN212490851U (zh) 一种多功能紫外线杀菌灯
KR20210124015A (ko)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CN214596568U (zh) 一种消毒灯
CN210107327U (zh) 一种红外感应装置
US20230165984A1 (en) Sterilization bag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KR102223373B1 (ko)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JP2007049550A (ja) 近接スイッチ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