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373B1 -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373B1
KR102223373B1 KR1020200115801A KR20200115801A KR102223373B1 KR 102223373 B1 KR102223373 B1 KR 102223373B1 KR 1020200115801 A KR1020200115801 A KR 1020200115801A KR 20200115801 A KR20200115801 A KR 20200115801A KR 102223373 B1 KR102223373 B1 KR 10222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utton
unit
sterilization
inner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송광섭
이재덕
Original Assignee
김승환
송광섭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송광섭, 이재덕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102020011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8Displaying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elevator, e.g. weather, publicity, internet or T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UV-C를 발광하는 UV LED램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되어 엘리베이터 구동시 신속하게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SYSTEM FOR STERILIZATION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UV-C를 발광하는 UV LED램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되어 엘리베이터 구동시 신속하게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유행 이후 전 세계는 많은 피해를 받고 있으며, 주요 바이러스 전파 및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주요 감염 경로는 비말과 접촉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이며, 사람들의 유동 인구가 많은 공공 장소와 개인의 위생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엘리베이터는 폐쇄된 공간과 유동 인구가 많은 공공 장소로 바이러스 감염의 주된 경로가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버튼의 경우 탑승 인원들이 필히 접촉하는 곳으로 바이러스의 주된 전파 경로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예로 든다면 에어로졸 상태로 3시간, 천과 나무에서 1일, 유리에서 2일, 스테인레스와 플라스틱에서 4일, 의료용 마스크 겉면에서 7일까지 생존한다는 연구 논문을 통해 엘리베이터 버튼에 붙어있는 바이러스가 상당 시간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Cu 성분을 포함한 필름을 엘리베이터 버튼 위에 붙혀 향균 효과를 기대하고 있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구리판에서도 4시간까지 생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Cu 필름이 감염 예방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때문에 향균 필름을 대체품으로써 UV LED를 활용한 엘리베이터 버튼 살균기를 개발이 절실하다.
UV 빛, 특히 UV-C는 DNA를 파괴하는 원리로 살균 효과를 얻기 때문에 모든 균과 바이러스에 강력한 살균 효과를 얻으며 빛의 세기에 따라 다르지만 수초에서 수분 사이의 짧은 시간에 살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UV 빛이 조사되는 부분만 살균된다는 제한도 있다.
엘리베이터 버튼의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174620호에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살균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엘리베이터 버튼의 살균 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에 설치해 살균빛을 발하는 살균등을 포함한다. 본체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상에 고정하고, 즉 또한, 살균등을 조작 패널상의 각 버튼으로 조사하고, 각 버튼으로 지속적인 살균을 실시한다. 본체의 바닥단에는 장형구멍을 마련하고 살균등이 발하는 살균빛은 장형구멍에서 외측에 조사되어 조사광의 범위는 각 버튼을 덮는 범위이며, 전체버튼에 대해서 지속적인 살균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살균등은 자외선 살균등으로 하고, 살균 효과를 구비하는 자외선빛을 조사한다.
또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157호에는 버튼 살균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 따른 버튼 살균 장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제어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을 살균할 수 있는 버튼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튼 살균 장치는 외부 접촉을 인지하여 접촉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접촉신호가 인가되면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만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자외선을 상기 버튼으로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버튼 살균 장치는 공공장소에서 노출빈도가 높은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와 같은 장치를 저전력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오염 대상에 대한 우려를 버릴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035호에는 자제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자체살균 기능을 갖는 스위치, 버튼 및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버튼 또는 손잡이 내측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내장시켜 주기적으로 버튼 주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노출빈도가 높은 버튼 또는 손잡이의 표면 및 주위를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유니트가 스위치, 버튼 및 손잡이들의 외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광함으로 해서 스위치, 버튼 및 손잡이의 표면 및 주위를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 버튼 및 손잡이가 자체 살균기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174620호(2012.03.07.)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157호(2008.11.06.)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035호(2006.08.02. 공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766호(2005.03.1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UV-C를 발광하는 UV LED램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되어 엘리베이터 구동시 신속하게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ED의 배치를 최대한 버튼과 가깝게 가져가고 기구물의 체적을 줄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설치와 제작의 용이성을 키우는 것과,
아울러, 설계한 광학계를 통해 엘리베이터 버튼 면의 조도값 균일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인 살균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은, UV-C를 발광하는 LED부와; 상기 LED부의 제어 시작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제어 시작에 대한 신호가 발생되면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이, 기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LED부에 따른 살균정보 및 소정의 광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 LED부, 입력부, 제어부 및 전원부는 살균모듈에 구비되되, 상기 살균모듈은 판부로 구성되어 다수의 살균모듈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 LED부, 입력부, 제어부 및 전원부는 살균모듈에 구비되되, 상기 살균모듈은 단일모듈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버튼에 개별로 탈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거나,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거나,
엘리베이터의 버튼이 눌리거나,
엘리베이터에 사람이 탑승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에 사람이 하차하는 경우,
상기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버튼 또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에 기반하여 일정 주기마다 상기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의하면, UV-C를 발광하는 UV LED램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되어 엘리베이터 구동시 신속하게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이 구성되는 일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UV-C를 발광하는 UV LED램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되어 엘리베이터 구동시 신속하게 버튼을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램프가 아닌 LED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광원의 체적이 작아 기구물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하다.
2. 소비 전력이 적다.
3. 특정 살균 파장만을 방사할 수 있어서 효율이 좋다.
4. 램프에 비하여 LED의 수명이 길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에서 블록도로 표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은,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부와; UV-C를 발광하는 LED부와; 상기 LED부의 제어 시작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제어 시작에 대한 신호가 발생되면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기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부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출력부에 의해 기설정된 소정의 광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LED부에서 UV-C를 발광하여 살균을 수행하면 살균에 대한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의 버튼영역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별도 기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이 구성되는 일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살균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하나의 판부로 구성되어 해당 판부에 디스플레이를 결합하고,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살균모듈을 결합하여 단일 구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인 출력부, 입력부, 제어부, 전원부, LED부 및 연동부는 살균모듈 각각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입력부에 설정된 ①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 또는 페쇄되는 경우, ②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이 제어되는 경우, ③ 버튼이 눌린 경우 등의 조건이 충족되면, 살균모듈이 엘리베이터 버튼 방향으로 UV-C를 조사하여 살균을 수행하도록 한다.
아울러,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스위칭 조작에 따른 살균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제어부는 정해진 타이머에 기반하여 일정주기마다 LED부에 기반한 살균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는 버튼 눌림 감지용 센서, 엘리베이터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스위치 혹은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어의 개방 및 폐쇄, 그리고 사람의 탑승 및 하차를 감지하는 비젼카메라일 수도 있다.
혹은 엘리베이터가 사람이 탑승할 때 불이 점등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 상기 입력부는 엘리베이터의 조명 시스템 혹은 이에 연동되는 연동구성일 수도 있다.
이때, UV 등의 광원을 버튼으로 조사하는 것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UV 광원을 조사하는 것이 살균에 가장 효율적일 수 있으나, LED는 일정한 발산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튼 전면에 광원이 조사되도록 하려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살균모듈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버튼 전면에 광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버튼 전면과 광원의 진행방향이 수평이 됨에 따라, 조도값이 낮아져 목표한 살균 효율을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본 출원인은 LED부에서 발광된 광원을 굴곡시킬 수 있는 광학부품을 적용하여 살균모듈을 완성하였고, 이때, 광학부품이란, 거울, 렌즈, COE(회정광학소자), HOE(홀로그래픽광학소자), 존플레이트, 빔스플리터, 필터, 프리즘, 편광자, 파장판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살균 효과의 실험은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하며, LED부와 광학부품을 이용한 살균모듈의 설계는 실험에서 사용된 형태를 참조하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1. LED + Flat mirror(평평한 거울)을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1
그 결과, 조도의 균일도가 개선되었고, 조도값이 평균적으로 증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품 체적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살균모듈의 체적을 줄일 수 있는 광학부품의 적용을 실험하였다.
실험예 2. LED + Spherical mirror(R=11)(오목거울)를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2
실험예 3. LED + Conic(k=1) mirror(R=11)를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3
실험예 4. LED + Conic(k=-8) mirror(R=11)를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4
실험예 5. LED + X Cylinder mirror(R=11)를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5
실험예 6. LED + Y Cylinder mirror(R=11)를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6
실험예 7. LED + Prism(프리즘)을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7
실험예 8. LED + Lens + Prism을 활용한 살균 광학계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8
결과적으로, UV-C 광원이 광학부품으로부터 반사 또는 굴절되거나, 투과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버튼 전면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적을 감소시키는 한편, 버튼 전면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살균모듈을 부연하면 [표 9]를 참조할 수 있다.
[표 9]에 따른 살균모듈은 상기 살균모듈을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단일모듈로 구성한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Figure 112020095867911-pat00009
[표 2]에 따르면 살균모듈은 내삽몸체와 몸체의 결합을 통해 버튼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내삽몸체는, 버튼 주변부의 벽면에 접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삽체와; 상기 내삽체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출체와; 상기 내삽체의 외측으로 결합된 유동내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유동내삽체의 외측면으로는 높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요철(凹凸)이 형성되며, 내측면으로는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삽체의 유동내삽체에 맞닿는 측면으로는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는, 유동내삽체가 내삽체에 일직선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오목홈의 상측방향에 위치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내삽몸체는 버튼의 크기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내삽몸체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안착되면서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돌출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몸체의 하면 일측으로는 관통홀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하는 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는 내삽몸체의 유동내삽체와 내삽체의 크기만큼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몸체와 내삽몸체가 결합되는 경우, 유동내삽체와 내삽체가 홈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삽몸체의 돌출체는 몸체의 관통홀 내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홈부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유동내삽체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버튼의 주변부로 내삽체가 접착되어 내삽몸체가 버튼을 노출시키면서 결합되게 되고, 상기 내삽몸체의 상측으로 몸체가 결합된다.
이때, 몸체의 홈부에 형성된 요철과 유동내삽체의 요철이 외력(外力)이 가해짐에 따라, 억지끼워 맞춤으로 결합되게 되어 결합된다.
이때, [표 9]의 (가)와 같이 몸체의 상면으로 광학부품과 LED부가 결합되어 LED부의 광원이 버튼의 전면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LED부 또는 광학부품의 교체를 위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몸체만 교체함으로서 쉽게 목적이 달성이 가능하다.
이때, 몸체를 내삽몸체로부터 분리하려는 경우, 요철 간의 결합으로 어려울 수 있는데, 이는 몸체와 내삽몸체 간에 결합이 견고함에 의해 임의적인 이탈이 어렵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몸체의 교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분리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는데, 이는 몸체를 버튼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유동내삽체가 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따라 올라가게 되고, 이때, 내삽체에 맞닿는 유동내삽체의 일면이 내삽체와 면접촉이 해제되게 되면서 몸체의 홈부에 형성된 요철과 유동내삽체의 요철 사이의 간격이 다소 벌어짐에 의해 적은 힘으로 몸체를 유동내삽체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일예로서, [표 10] 및 [표 11]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Figure 112020095867911-pat00010
LED 2개의 경우
Figure 112020095867911-pat00011
LED 4개의 경우
[표 10]의 경우, 프리즘(Prism)을 사용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LED가 버튼면에 평행하게 방사할 때의 예시이다.
소정의 형상을 가지되 최상측에서 경사면을 가지도록 구성된 조명 베이스판과; 상기 조명 베이스판 일측에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발광하는 LED와; 상기 조명 베이스판의 경사면에 LED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광학부품과; 상기 조명 베이스판의 일부를 감싸도록 조명 베이스판에 결합된 조명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광학부품은 빛의 반사를 통해 LED의 광원이 버튼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때, LED는 UV-C의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가시광을 발광하는 LED와 적절하게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 하우징의 LED의 광원 진행방향에 해당하는 일면은 개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일면은 조명 하우징으로부터 결합된 보호시창(Window)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표 11]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Figure 112020095867911-pat00012
LED 2개의 경우
Figure 112020095867911-pat00013
LED 4개의 경우
[표 11]의 경우, [표 10]과 같이 상술된 구조에 있어서, 조명 베이스판의 경사면을 제외하고, LED가 버튼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측방향 결합되며, 광학부품을 LED의 발광 라인에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방에서 상방으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광학부품은 LED의 광원을 투과시켜 굴절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9)

  1. 디스플레이와;
    UV-C를 발광하는 LED부와;
    상기 LED부의 제어 시작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제어 시작에 대한 신호가 발생되면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부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 LED부, 입력부, 제어부 및 전원부는 살균모듈에 구비되되,
    상기 살균모듈은 단일모듈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버튼에 개별로 탈부착되어 내삽몸체와 몸체의 결합을 통해 버튼에 결합되며,
    상기 내삽몸체는,
    버튼 주변부의 벽면에 접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삽체와; 상기 내삽체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출체와; 상기 내삽체의 외측으로 결합된 유동내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동내삽체의 외측면으로는 높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요철(凹凸)이 형성되며, 내측면으로는 외측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삽체의 유동내삽체에 맞닿는 측면으로는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는, 유동내삽체가 내삽체에 일직선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오목홈의 상측방향에 위치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내삽몸체는 버튼의 크기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내삽몸체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안착되면서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돌출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몸체의 하면 일측으로는 관통홀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하는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홈부는 내삽몸체의 유동내삽체와 내삽체의 크기만큼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몸체와 내삽몸체가 결합되는 경우, 유동내삽체와 내삽체가 홈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내삽몸체의 돌출체는 몸체의 관통홀 내면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홈부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유동내삽체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의 주변부로 내삽체가 접착되어 내삽몸체가 버튼을 노출시키면서 결합되게 되고, 상기 내삽몸체의 상측으로 몸체가 결합되고, 몸체의 홈부에 형성된 요철과 유동내삽체의 요철이 외력(外力)이 가해짐에 따라, 억지끼워 맞춤으로 결합되게 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이, 기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LED부에 따른 살균정보 및 소정의 광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거나,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거나,
    엘리베이터의 버튼이 눌리거나,
    엘리베이터에 사람이 탑승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에 사람이 하차하는 경우,
    상기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버튼 또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에 기반하여 일정 주기마다 상기 LED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KR1020200115801A 2020-09-10 2020-09-10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KR10222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01A KR102223373B1 (ko) 2020-09-10 2020-09-10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01A KR102223373B1 (ko) 2020-09-10 2020-09-10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373B1 true KR102223373B1 (ko) 2021-03-05

Family

ID=7516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801A KR102223373B1 (ko) 2020-09-10 2020-09-10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3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66Y1 (ko) 2004-12-06 2005-03-18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엘리베이터 버튼
KR200423035Y1 (ko) 2006-04-01 2006-08-02 이찬봉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
KR20070060067A (ko) * 2007-01-02 2007-06-1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살균식 엘리베이터 승객 인터페이스
KR20080005157U (ko) 2007-05-02 2008-11-06 이찬봉 버튼 살균 장치
JP3174620U (ja) 2012-01-18 2012-03-29 宗澤 莊 エレベーターボタンの殺菌装置
KR101655187B1 (ko) * 2016-03-14 2016-09-08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승강기용 탈부착 자외선살균장치
KR20200019338A (ko) * 2018-08-14 2020-02-24 황성수 공기 순환형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66Y1 (ko) 2004-12-06 2005-03-18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엘리베이터 버튼
KR200423035Y1 (ko) 2006-04-01 2006-08-02 이찬봉 자체살균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버튼
KR20070060067A (ko) * 2007-01-02 2007-06-1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살균식 엘리베이터 승객 인터페이스
KR20080005157U (ko) 2007-05-02 2008-11-06 이찬봉 버튼 살균 장치
JP3174620U (ja) 2012-01-18 2012-03-29 宗澤 莊 エレベーターボタンの殺菌装置
KR101655187B1 (ko) * 2016-03-14 2016-09-08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승강기용 탈부착 자외선살균장치
KR20200019338A (ko) * 2018-08-14 2020-02-24 황성수 공기 순환형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355B1 (ko) 가시광 살균기능 겸용 led 조명등기구
KR102482762B1 (ko) 포충기
US11293665B2 (en) Wall or surface mounted light fixture with an air decontamination system
KR101655187B1 (ko) 승강기용 탈부착 자외선살균장치
US2024014892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point of contact
KR101924119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등기구용 전원공급장치
US20110291995A1 (en) Steriliz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terilizing device
KR102203674B1 (ko) 면조명 살균장치
KR101618251B1 (ko) 승강기용 탈부착 자외선살균장치
CN110430752B (zh) 黏着型捕虫器
US2014028449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door opening device or other point of contact
KR102189230B1 (ko) 휴대 지능형 uvc led 살균기
KR102223373B1 (ko)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KR102233129B1 (ko) 자외선 살균 모듈이 구비된 가구
KR102294968B1 (ko) 엘리베이터용 가시광 항균조명장치
US20230248860A1 (en) Inactivation device for bacteria and/or viruses and method of inactivation treatment for bacteria and/or viruses
KR102577495B1 (ko)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US11318220B1 (en) Sanitizing light fixture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210441056U (zh) 一种节能灯照明消毒装置及节能灯
KR101202149B1 (ko) 전선을 제거한 칫솔살균기
US11471547B1 (en) Light fixture with illumination and germicidal light engines
JP2007186874A (ja) 面材ユニット及びその面材ユニットを備えた建物
CN212841061U (zh) 一种杀菌消毒灯
KR20210002218U (ko) 살균기능이 있는 스위치 제어 엘이디 램프
KR102557948B1 (ko) 이격형 전등 스위치 살균기 및 일체형 전등 스위치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