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05B1 -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 Google Patents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05B1
KR100866905B1 KR1020080073010A KR20080073010A KR100866905B1 KR 100866905 B1 KR100866905 B1 KR 100866905B1 KR 1020080073010 A KR1020080073010 A KR 1020080073010A KR 20080073010 A KR20080073010 A KR 20080073010A KR 100866905 B1 KR100866905 B1 KR 10086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p nut
plug
pack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복현
Original Assignee
국제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구의 양단에 캡너트가 각각 나사결합 되어지도록 구성된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중공인 연결구 몸체의 양측 외주연부에 숫나사가 형성된 캡너트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캡너트 연결부의 입구측 내면으로 플러그링에 끼워진 패킹이 안치되어지는 패킹안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플러그링은 중공형태의 외주연부에 상기 패킹에 각각 맞대어지는 가압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캡너트는 상기 캡너트 연결부의 숫나사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암나사가 각각 내주연부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캡너트의 외측단 내부에는 상기 가압링부를 압박하는 각각의 압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 캡너트, 압박부, 플러그링, 가압링부, 패킹

Description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both sides direction junction coupling device of airtightness}
본 발명은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의 관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융착이음으로 접합되어진 플러그링의 외주연부 내측으로 패킹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구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캡너트 연결부에 형성된 숫나사에 캡너트가 나사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캡너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이 패킹안치부 및 플러그링의 외주연부 사이로 밀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관의 기밀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작업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관의 내부에 작용하는 고압력에 의하여 연결구 몸체의 내부로 삽입 고정된 플러그링이 연결구 몸체의 외부로 밀리면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캡너트의 균일한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이 균일하게 조여 압착되어짐으로써,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처로부터 사용처로 유체를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방안으 로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의 호스, 파이프(이하, "관"이라 칭함)를 지상 또는 지면속에 설치하여 사용되어지고 있고, 이러한 관은 길이가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별도의 연결구인 커플러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사용처까지 설치되어 있다.
일측의 관과 타측의 관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 커플러는 관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관통홈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각각의 플랜지가 패킹으로 맞대어지도록 한 후 관통홈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조이는 것이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관의 양측단에 각각 플랜지를 형성하는 과정이 소요되어짐에 따라 제조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낮아지고, 관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조된 관의 보관 및 운반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1은 이러한 관의 제조와 보관 및 운반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커플러인 양방향 접합 연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중공형태를 갖는 연결구(800)의 내부 중앙에 상기 연결구(800)의 중심으로 돌출되어지는 단턱(810)이 형성되어 일측의 관(900)과 타측의 관(900)이 임의 길이 이상으로 더 삽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턱(810)의 양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실링안치부(820)가 단턱(810)의 내주연부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실링(830)이 실링안치부(820)에 의하여 연결구(800)의 내부 중심으로 가압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연결구(800)의 외주연부 내측으로 다수개의 관통홈(840)이 형성되어 각각의 가압디스크 또는 가압플랜지(850)가 연결구(800)의 양측에서 볼팅(860)으로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플랜지(850)는 중심에 관(900)이 용이하게 삽입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삽입홈(851)이 관통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삽입홈(851)의 가장자리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진 실링가압부(85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실링가압부(852)가 볼팅(860)의 조임력에 의하여 실링안치부(820)로 삽입되어 실링(830)을 가압시킴으로써, 기밀이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구(800)의 단턱(810)에 양측으로 각각 관(900)이 삽입되어지며 실링안치부(820)에 실링(830)이 끼워지고, 가압플랜지(850)를 볼팅(860)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연결구(800)의 둘레로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홈(840)에 볼트를 끼워 볼팅(860)하는 과정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팅(860)의 조임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하부측에 있는 볼팅(860)은 굴토된 지반 또는 지면과 거의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에 따라 공간협소로 인하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팅(860)은 각각 체결하는 체결력이 또는 조임력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실링안치부(820)에 삽입된 실링(830)의 일측이 과도하게 압착되어지거나 압착되지 않음에 따라 미세한 공간 또는 틈이 발생되어지게 되며 이러한 틈을 통해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900)의 내부에 간혹 고압력이 작용할 경우, 단턱(810)의 양측에 맞대어져 있는 각각의 관(900)이 연결구(800)의 양측방향인 외측으로 미소간격 미끌려 이동되어 단턱(810)과 간격이 발생되어지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실링(830)의 압착력이 낮아져 누수가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고, 심지어 관(900)이 연결구(800)에서 분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관의 기밀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작업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관의 내부에 작용하는 고압력에 의하여 연결구 몸체의 내부로 삽입 고정된 플러그링이 연결구 몸체의 외부로 밀리면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캡너트의 균일한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이 균일하게 조여 압착되어짐으로써,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연결구(10)의 양단에 캡너트(20)(20')가 각각 나사결합 되어지도록 구성된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A)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는 중공인 연결구 몸체(11)의 양측 외주연부에 숫나사(121)(121')가 형성된 캡너트 연결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캡너트 연결부(12)(12')의 입구측 내면으로 플러그링(30)(30')에 끼워진 패킹(40)(40')이 안치되어지는 패킹안치부(122)(12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플러그링(30)(30')은 중공형태의 외주연부에 상기 패킹(40)(40')에 각각 맞대어지는 가압링부(31)(31')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캡너트(20)(20')는 상기 캡너트 연결부(12)(12')의 숫나사(121)(12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암나사(21)(21')가 각각 내주연부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캡너트(20)(20')의 외측단 내부에는 상기 가압링부(31)(31')를 압박하는 각각의 압박부(22)(22')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관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융착이음으로 접합되어진 플러그링의 외주연부 내측으로 패킹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구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캡너트 연결부에 형성된 숫나사에 캡너트가 나사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캡너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이 패킹안치부 및 플러그링의 외주연부 사이로 밀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관의 내부에 작용하는 고압력에 의하여 연결구 몸체의 내부로 삽입 고정된 플러그링이 연결구 몸체의 외부로 밀리면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관의 기밀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작업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캡너트의 균일한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이 균일하게 조여 압착되어짐으로써,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A)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연결구(10)의 양단에 각각 플러그링(30)(30')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플러그링(30)(30')이 연결구(10)에 나사결합되어지는 각각의 캡너트(20)(20')에 의하여 패킹(40)(40')이 가압되어 기밀유지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구(10)는 소정 직경을 갖는 관통된 중공형태로 연결구 몸체(11)의 양측 외주연부에 연결구 몸체(11)의 외주연부 직경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숫나사(121)(121')가 형성된 캡너트 연결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 몸체(11)의 외주연부는 직경이 상이 하게 형성되어진 반면, 상기 연결구 몸체(11)의 내주연부는 플러그링(30)(3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캡너트 연결부(12)(12')의 입구측 내면으로는 각각 플러그링(30)(30')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가압링부(31)(31')의 내측에 끼워진 패킹(40)(40')이 안치되어지는 패킹안치부(122)(12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안치부(122)(122')는 각각 상기 패킹(40)(40')에 대응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패킹안치부(122)(12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여 내주연부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있다.
상기 연결구 몸체(11)의 내주연부 가운데 경계리브(111)가 형성되어 양측으로 삽입되어지는 각각의 관(50)이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삽입되어지는 각각의 관(50)은 연결구 몸체(11)의 가운 데 까지만 삽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캡너트(20)(20')는 상기 캡너트 연결부(12)(12')의 숫나사(121)(12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암나사(21)(21')가 각각 내주연부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캡너트 연결부(12)(12')의 외측단 내부에는 상기 가압링부(31)(31')을 축방향으로 압박하는 각각의 압박부(22)(2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너트 연결부(12)(12')의 숫나사(121)(121')는 각각 다수열로 형성되어 캡너트(20)(20')의 회전수를 줄이는 가운데 캡너트(20)(20')가 1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숫나사(121)(121')가 통상 일렬로 형성되었을 경우, 캡너트(20)(20')의 1회전에 1피치만 이송되어지는 것을 2열, 3열로 형성하였을 경우, 그 만큼 적은 회전수로 2피치, 3피치 만큼 1회전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러그링(30)(30')은 관(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외주연부에 패킹(40)(40')이 각각 맞대어지는 가압링부(31)(31')가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의 플러그링(30) 외측 단부에는 관(50)의 일측이 융착이음으로 접합되어지며 상기 타측의 플러그링(30')의 외측 단부에는 다른 관(50)의 타측이 융착이음으로 접합되어짐으로써, 각각 관(50)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링부(31)(31')가 형성된 내측은 캡너트 연결부(12)(12')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며 외측은 캡너트(20)(20')를 관통하여 캡너트(20)(20')의 외부로 노출 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가압링부(31)(31')는 각각 캡너트(20)(20')에 형성된 압박부(22)에 걸려 압박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40)(4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하여 외주연부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플러그링(30)(30')의 가압링부(31)의 가압력에 따라 플러그링(30)(30')의 외주연부측으로 더 압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A)를 이용하여 각각의 관(50) 결합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관(500)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캡너트(20)(20')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플러그링(30)(30')의 일측이 각각 융착이음을 통해 접합되어지도록 한 후 융착이음으로 접합된 플러그링(30)(30')에 각각 패킹(40)(40')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패킹(40)(40')이 플러그링(30)(30')에 형성된 가압링부(31)(31')에 밀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패킹(40)(40')이 삽입된 플러그링(30)(30')의 타측을 각각 캡너트 연결부(12)(1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하며 이때 플러그링(30)(30')의 단부가 연결구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경계리브(111)에 각각 걸려지게 된다. 이때 캡너트 연결부(12)(12')의 내주연부에 플러그링(30)(30')의 외주연부가 거의 맞닿은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에 따라 패킹(40)(40')의 중심이 패킹안치부(122)(122')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로 패킹안치부(122)(12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캡너트(20)(2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암나사(21)(21')를 캡너트 연결부(12)(12')에 형성된 숫나사(121)(121')에 맞추어 캡너트(20)(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캡너트(20)(2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지게 되며 캡너트(20)(20')에 형성된 압박부(22)가 플러그링(30)(30')에 형성된 가압링부(31)(31')를 축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플러그링(30)(30')에 형성된 가압링부(31)(31')가 패킹(40)(40')을 패킹안치부(122)(122')가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패킹(40)(40')이 패킹안치부(122)(122')의 경사진 내주연부에 압착되어지면서 플러그링(30)(30')의 외주연부에 압착되어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밀 시험이나 기타 관(50)의 내부에 고압력이 작용할 경우, 그 압력에 의하여 연결구 몸체(11)에 삽입, 결합된 관(50)이 양측방향으로 미끄러져 연결구 몸체(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분리되어지려고 하나, 이때 플러그링(30)(30')에 형성된 가압링부(31)(31')가 각각의 캡너트(20)(20')에 형성된 압박부(22)(22')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에 따라 관(50)이 미끄러져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연결구 10:연결구
11:연결구 몸체 12,12':캡너트 연결부
20,20':캡너트 21,21':암나사
22,22': 압박부 30,30':플러그링
31,31':가압링부 40,40';패킹
121,121':숫나사 122,122':패킹안치부

Claims (4)

  1. 연결구(10)의 양단에 캡너트(20)(20')가 각각 나사결합 되어지도록 구성된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A)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는 중공인 연결구 몸체(11)의 양측 외주연부에 숫나사(121)(121')가 형성된 캡너트 연결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캡너트 연결부(12)(12')의 입구측 내면으로 플러그링(30)(30')에 끼워진 패킹(40)(40')이 안치되어지는 패킹안치부(122)(12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플러그링(30)(30')은 중공형태의 외주연부에 상기 패킹(40)(40')에 각각 맞대어지는 가압링부(31)(31')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캡너트(20)(20')는 상기 캡너트 연결부(12)(12')의 숫나사(121)(12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암나사(21)(21')가 각각 내주연부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캡너트(20)(20')의 외측단 내부에는 상기 가압링부(31)(31')를 압박하는 각각의 압박부(22)(2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일측의 플러그링(30) 외측 단부에는 관(50)의 일측이 융착이음으로 접합되어지고, 상기 타측의 플러그링(30')의 외측 단부에는 다른 관(50)의 타측이 융착이음으로 접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몸체(11)의 내주연부에 경계리브(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캡너트 연결부(12)(12')의 숫나사(121)(121')는 각각 다수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0)(4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향하여 외주연부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패킹안치부(122)(122')는 각각 상기 패킹(40)(40')에 대응되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4. 삭제
KR1020080073010A 2008-07-25 2008-07-25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KR100866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010A KR100866905B1 (ko) 2008-07-25 2008-07-25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010A KR100866905B1 (ko) 2008-07-25 2008-07-25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905B1 true KR100866905B1 (ko) 2008-11-04

Family

ID=4028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010A KR100866905B1 (ko) 2008-07-25 2008-07-25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14Y1 (ko) * 2016-07-28 2017-09-13 이성진 세면대의 자동팝업 배관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168Y1 (ko) * 1989-02-23 1991-07-20 김종현 접속용 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
KR950019707U (ko) * 1993-12-04 1995-07-24 부덕실업 주식회사 관 이음매
KR100822219B1 (ko) 2007-10-26 2008-04-1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관 커플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168Y1 (ko) * 1989-02-23 1991-07-20 김종현 접속용 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
KR950019707U (ko) * 1993-12-04 1995-07-24 부덕실업 주식회사 관 이음매
KR960006391Y1 (ko) * 1993-12-04 1996-07-24 부덕실업 주식회사 관 이음매
KR100822219B1 (ko) 2007-10-26 2008-04-1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관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14Y1 (ko) * 2016-07-28 2017-09-13 이성진 세면대의 자동팝업 배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187A (en) Multiple synchronized thread connector
TWI616609B (zh) 管連接裝置
KR20010033868A (ko) 수지제관 조인트
US10663098B2 (en) Dismantling joint
US3653688A (en) Pipe coupling device
CA2637939A1 (en) Adaptor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tube fitting/port to push-to-connect tube fitting/port
KR102158368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 배관 연결구
KR100866905B1 (ko) 기밀용 양방향 접합 연결구
RU138954U1 (ru) Обжимной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10215736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US3356391A (en) Pipe or tube coupling device
KR100866906B1 (ko) 기밀용 일방향 접합 연결구
KR100866907B1 (ko) 기밀용 접합 연결구
JP4597889B2 (ja) 管継手
JPH0341286A (ja) 管継手密封装置
US20080272550A1 (en) Hydraulic tubing fitting seal
CN106704744A (zh) 一种试验用管接头装置
JPH07103379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CN219796431U (zh) 一种管路接头装置
JPH0262498A (ja) 管継手
KR200213672Y1 (ko) 배관 연결 구조
RU7394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 гладкими концами
KR10118148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GB2113788A (en) Pipe coupl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