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894A - 조인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인트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4894A KR20210104894A KR1020217023844A KR20217023844A KR20210104894A KR 20210104894 A KR20210104894 A KR 20210104894A KR 1020217023844 A KR1020217023844 A KR 1020217023844A KR 20217023844 A KR20217023844 A KR 20217023844A KR 20210104894 A KR20210104894 A KR 20210104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nut
- joint body
- tube
- joi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specially adapted for spigot-and-socket joint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관을 가공하지 않아도, 관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조인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제1 슬리브(2)는, 관(100)이 삽입되는 내강을 가지고, 일단부가 조인트 본체(1)와 맞닿는다. 제2 슬리브(3)는, 관(100)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고, 일단부가 제1 슬리브의 타단부와 맞닿는다. 너트(4)는, 조인트 본체(1)의 일단부와 제1 슬리브(2) 및 제2 슬리브(3)를 덮고, 제2 슬리브(3)에서의 제1 슬리브(2)는 반대측의 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조인트 본체에 나사결합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조인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체(流體)를 유통(流通)시키는 배관 설비에서는, 중공(中空)의 관을 다른 부재와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 구조체가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상기한 배관 설비에서는, 관과 같은 부품의 수리 또는 교환 등을 행하기 위해, 조인트 구조체에 의한 관의 접속을 해제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관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관 등의 복수의 부품이 조합된 배관 설비 등에서는, 관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3에는, 관을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조인트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조인트 구조체에서는, 관의 일단(一端)을 플레어(flare) 가공에 의해 가공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을 가공하지 않아도, 관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조인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구조체는, 중공의 조인트 본체와, 관이 삽입되는 내강(內腔)을 구비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一端部)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조인트 본체와 맞닿는 제1 슬리브와, 상기 관이 삽입되는 구멍부와, 상기 원통부의 타단부와 맞닿는 맞닿음부(abutment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슬리브와는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상승하는 제2 슬리브와, 상기 조인트 본체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덮고, 상기 제2 슬리브에서의 상기 제1 슬리브와는 반대측의 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에 체결되는 너트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을 가공하지 않아도, 관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접속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해제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역(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너트 고정 완료를 나타내고, 제2 슬리브 선단이 관의 외주에 파고든 상태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해제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역(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너트 고정 완료를 나타내고, 제2 슬리브 선단이 관의 외주에 파고든 상태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조인트 구조체(10)는, 중공의 관(100)을 다른 부재[도면의 예에서는, 매니폴드(manifold)(101)]와 접속하는 구조체이다. 도 1은, 관(100)과 매니폴드(101)를 접속한 접속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10)를 나타내고, 도 2는, 관(100)과 매니폴드(101)와의 접속을 해제한 접속 해제 상태의 조인트 구조체(10)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영역(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너트의 고정 완료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축 방향을 X방향, 반경 방향(축직각 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구조체(10)는, 중공의 조인트 본체(1)와, 제1 슬리브(2) 및 제2 슬리브(3)와, 접속 상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의 일단부와 관(100)의 일단부에 걸쳐 배치되는 너트(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속 상태에서는, 조인트 본체(1), 제1 슬리브(2), 제2 슬리브(3)의 순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조인트 본체(1) 측을 전방, 제2 슬리브(3) 측을 후방으로 한다.
조인트 본체(1)의 일단부[관(100) 측의 단부(端部)]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너트(4)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a)가 형성되고, 타단부[매니폴드(101) 측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매니폴드(101)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b)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a)와 수나사부(1b)의 사이에는, 반경 방향 Y을 따른 단면(斷面)이 대략 다각형상(예를 들면, 대략 육각 형상)으로 되는 피(被)파지부(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리브(2)는, 조인트 본체(1)와 제2 슬리브(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슬리브(2)는, 원통부(2a)와, 걸림부(2b)와, 경사면(2c)을 가진다.
원통부(2a)는, 관(100)이 삽입되는 내강을 가지는 부위이다. 원통부(2a)의 후단면(後端面)에서의 관(100) 측의 단부에 경사면(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원통부(2a)의 후단부와 관(1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형(環形)의 간극이 형성된다.
걸림부(2b)는, 조인트 본체(1)와 원통부(2a)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조인트 본체(1)의 일단부와 맞닿는다. 걸림부(2b)는, 반경 방향 Y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된다. 이로써, 원통부(2a)에 삽입된 관(100)이 걸림부(2b)와 맞닿아, 조인트 본체(1)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제2 슬리브(3)는, 제1 슬리브(2)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슬리브(3)는, 환형부(3a)와 맞닿음부(3b)를 구비한다.
환형부(3a)는, 관(100)이 삽입되는 구멍부를 가지는 부위이다. 환형부(3a)의 후단면(3c)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 방향 Y 외측을 향해 전방측[조인트 본체(1) 측]으로 경사져 있다.
맞닿음부(3b)는, 환형부(3a)에서의 제1 슬리브(2) 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부위이다. 맞닿음부(3b)는, 제1 슬리브(2)의 경사면(2c)과 서로 마주하도록 경사져 있다. 즉, 맞닿음부(3b)는, 후방을 향해 굵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맞닿음부(3b)는, 제1 슬리브(2)의 경사면(2c)[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2c)으로 형성되는 환형의 간극]에 들어간다.
너트(4)는, 관(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인트 본체(1)에 체결되는 중공의 부재이다. 너트(4)는, 수용실(4a)과, 암나사부(4b)와, 내벽면(4c)을 구비한다.
수용실(4a)은, 접속 상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의 일부(후단부), 제1 슬리브(2) 및 제2 슬리브(3)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다. 수용실(4a)의 후부(後部)의 내벽면(4c)은, 제2 슬리브(3)[구체적으로는, 환형부(3a)]의 후단면(3c)에 맞닿는다. 내벽면(4c)은, 반경 방향 Y 외측을 향해 전방측[조인트 본체(1) 측]으로 경사져 있다. 내벽면(4c)의 경사 각도(테이퍼 각도)와 후단면(3c)의 경사 각도는, 서로 같아도 되고, 서로 상이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암나사부(4b)는, 수용실(4a)의 전단부(前端部)의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되고, 접속 상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부(1a)와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도면의 예에서는, 조인트 본체(1)에 수나사부(1a)가 형성되고, 너트(4)에 암나사부(4b)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조인트 본체(1)와 너트(4)를 나사결합할 수 있으면,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인트 본체(1)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너트(4)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조인트 구조체(10)를 사용하여 관(100)과 매니폴드(101)와 접속하는 경우, 먼저, 매니폴드(101)에 조인트 본체(1)를 장착하고, 관(100)에 대하여 너트(4), 제2 슬리브(3), 제1 슬리브(2)의 순으로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조인트 본체(1)와 제1 슬리브(2)의 걸림부(2b)를 맞닿게 한다. 그 후, 조인트 본체(1)의 수나사부(1a)와 너트(4)의 암나사부(4b)를 나사결합시키면서 너트(4)를 조인트 본체(1)에 체결한다. 이로써, 너트(4)의 수용실(4a)의 내벽면(4c)이 제2 슬리브(3)의 후단면(3c)에 맞닿고, 너트(4)가 제2 슬리브(3)를 압압(押壓)하고, 또한 제2 슬리브(3)가 제1 슬리브(2)를 압압한다. 그 결과, 조인트 본체(1)와 제1 슬리브(2)의 걸림부(2b)가 맞닿고, 또한 제1 슬리브(2) 및 제2 슬리브(3)가 조인트 본체(1)와 너트(4)와의 사이에 협지된다[이 상태는, 통상, 핑거 타이트(finger tight)라고 한다]. 여기로부터 다시 너트를 체결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슬리브(3)의 맞닿음부(3b)는, 제1 슬리브(2)의 경사면(2c)에 안내되어 관(100)에 파고든다. 이로써, 관(100)을 지나는 유체에 의한 압력에 의해, 관(100)이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제2 슬리브(3)와 제1 슬리브(2)가 서로 밀착되므로, 실링성(sealing characteristic)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관(100)과 매니폴드(101)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너트(4)의 조인트 본체(1)에 대한 체결을 해제하고, 너트(4)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보다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1) 및 제1 슬리브(2)의 한쪽 또는 양쪽을, 도 2의 화살표 D의 방향, 즉 반경 방향 Y로 슬라이딩시킨다. 따라서, 관(1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관(100)과 매니폴드(101)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조인트 구조체를 나타낸 축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서는, 도 1의 영역(A)에 대응하는 부분이 나타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1 슬리브(2)의 반경 방향 Y으로의 어긋남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면, 도 5의 예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1 슬리브(2)의 외주면에, 제한부로서 링형(ring shape)의 볼록부(2d)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볼록부(2d)는, 제1 슬리브(2)의 원통부(2a)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4)가 조인트 본체(1)에 체결되면 제2 슬리브(3)가 제1 슬리브와 맞닿고, 제2 슬리브(3)로부터 제1 슬리브(2)에 대하여 도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힘 F가 가해진다. 힘F의 축 방향 성분 Fx는, 제1 슬리브(2)를 조인트 본체(1)에 가압하는 힘으로 된다. 한편, 힘 F의 반경 방향 성분 Fy는, 제1 슬리브(2)의 후단부가 반경 방향 Y로 어긋나도록[후단부가 Y방향으로 변형되도록(보다 구체적으로는, 넓어지도록)] 작용한다. 이로써, 제1 슬리브(2)의 전단부가 경사져, 조인트 본체(1)와 제1 슬리브(2)가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5의 예에서는, 제1 슬리브(2)의 후단부에 형성된 볼록부(2d)가 너트(4)와 맞닿으므로 제1 슬리브(2)의 후단부가 반경 방향 Y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의 예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너트(4)에서의 제1 슬리브(2) 및 제2 슬리브(3)와 대향하는 내주면(4d)이, 테이퍼(경사)가 형성된 경사부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부[내주면(4d)]은, 너트(4)의 내경(內徑)이 전방을 향해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내주면(4d)의 테이퍼 각도 α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너트(4)의 내주면(4d)과 제1 슬리브(2)의 외주면이 제1 슬리브(2)의 후부에서 접촉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도 5의 예와 마찬가지로, 제1 슬리브(2)의 후단부가 반경 방향 Y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의 예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너트(4)의 내주면(4d)에 단차부(段差部)(4e)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단차부(4e)는, 단차부(4e)의 전방이 단차부(4e)의 후방보다 내주면이 제1 슬리브(2)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차부(4e)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너트(4)의 내주면(4d)에서의 단차부(4e)보다 후방의 부분이 제1 슬리브(2)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도 5의 예와 마찬가지로, 제1 슬리브(2)의 후단부가 반경 방향 Y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이 조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너트(4)의 내주면에 경사부와 단차부(4e)와의 양쪽이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너트(4)의 내주면의 경사부와 단차부(4e) 중 적어도 한쪽과, 제1 슬리브(2)의 볼록부(2d)와의 양쪽이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맞닿는 조인트 본체(1)의 후단면과 제1 슬리브(2)의 전단면(前端面)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인트 본체(1)의 후단면과 제1 슬리브(2)의 전단면 중 적어도 한쪽이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때, 조인트 본체(1)의 후단면과 제1 슬리브(2)의 전단면과의 다른 쪽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오목 곡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8의 예에서는, 조인트 본체(1)의 후단면(1d)에 대하여, 제1 슬리브(2)의 전단면(2e)이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1)의 후단면(1d)과 제1 슬리브(2)의 전단면(2e) 중 적어도 한쪽에, 환형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에 O링이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9의 예에서는, 제1 슬리브(2)의 전단면(2e)에 오목부(2f)가 형성되고, 오목부(2f)에 O링(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1)의 후단면(1d)과 제1 슬리브(2)의 전단면(2e) 중 적어도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제1 슬리브(2)의 전단면(2e)에 볼록부(2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2g)의 정상면(頂面)은 평탄해도 되고, 볼록면이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구성은 단순한 일례로서, 이들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슬리브는, 3개 이상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슬리브보다 전방에, 제2 슬리브(3)보다 후방, 및 제1 슬리브(1) 및 제2 슬리브(2)의 사이 등에 다른 슬리브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이하의 사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조인트 구조체(10)는, 중공의 조인트 본체(1)와, 제1 슬리브(2)와, 제2 슬리브(3)와, 너트(4)를 구비한다. 제1 슬리브는, 관(100)이 삽입되는 내강을 포함하고, 일단부가 조인트 본체와 맞닿는다. 제2 슬리브는, 관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슬리브의 타단부와 맞닿는다. 너트는, 조인트 본체의 일단부와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를 덮고, 제2 슬리브에서의 제1 슬리브와는 반대측의 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조인트 본체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인트 본체와 제1 슬리브의 일단부가 맞닿고, 조인트 본체의 일단부와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덮는 너트가 제2 슬리브에서의 제1 슬리브와는 반대측의 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조인트 본체에 체결된다.
따라서, 너트에 의한 압압에 의해, 제2 슬리브를 통하여 제1 슬리브를 조인트 본체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실링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관을 가공하지 않아도, 실링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너트에 의한 체결을 해제하고, 조인트 본체와 제1 슬리브를 서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만으로 접속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관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접속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슬리브는, 내강을 가지는 원통부(2a)와 원통부의 일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b)를 구비하고, 돌출부가 조인트 본체와 맞닿는다. 그러므로, 관이 조인트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리브에서의 너트와 대향하는 면과 너트에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와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한쪽에, 제1 슬리브의 축방향으로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슬리브의 맞닿음부에 의해 제1 슬리브에서의 제2 슬리브 측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고, 그에 따라 제1 슬리브의 조인트 본체 측의 단부가 경사져, 조인트 본체와 제1 슬리브와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한부는, 제1 슬리브에서의 너트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볼록부(2d)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와 너트의 내주면을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1 슬리브가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을 접속했을 때, 너트와 제1 슬리브가 접촉하는 개소(箇所)를 볼록부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관의 접속을 해제할 때, 너트를 용이하게 분리해 내는(detach)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한부는, 너트에서의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와 대향하는 면(4d)에 형성되고, 너트의 내경이 조인트 본체를 향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슬리브의 후단부와 너트의 내주면이 맞닿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1 슬리브가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을 접속했을 때, 너트와 제1 슬리브가 접촉되는 개소를 제1 슬리브의 후단부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관의 접속을 해제할 때, 너트를 용이하게 분리해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한부는, 너트에서의 제1 슬리브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조인트 본체 측이 제2 슬리브 측보다 제1 슬리브로부터 이격되는 단차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슬리브의 후단부와 너트의 내주면을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1 슬리브가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을 접속했을 때, 너트와 제1 슬리브가 접촉되는 개소를 제1 슬리브의 후단부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관의 접속을 해제할 때, 너트를 용이하게 분리해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의 실시예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른 다양한 태양으로 본 개시를 실시할 수 있다.
1: 조인트 본체
1a, 1b: 수나사부
1c: 피파지부
1d: 후단면
2: 제1 슬리브
2a: 원통부
2b: 걸림부
2c: 경사면
2d: 볼록부
2e: 전단면
2f: 오목부
2g: 볼록부
3: 제2 슬리브
3a: 환형부
3b: 맞닿음부
4: 너트
4a: 수용실
4b: 암나사부
4c: 내벽면
4d: 내주면
4e: 단차부
5: O링
10: 조인트 구조체
100: 관
101: 매니폴드
1a, 1b: 수나사부
1c: 피파지부
1d: 후단면
2: 제1 슬리브
2a: 원통부
2b: 걸림부
2c: 경사면
2d: 볼록부
2e: 전단면
2f: 오목부
2g: 볼록부
3: 제2 슬리브
3a: 환형부
3b: 맞닿음부
4: 너트
4a: 수용실
4b: 암나사부
4c: 내벽면
4d: 내주면
4e: 단차부
5: O링
10: 조인트 구조체
100: 관
101: 매니폴드
Claims (6)
- 중공(中空)의 조인트 본체;
관이 삽입되는 내강(內腔)을 가지고,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조인트 본체와 맞닿는 제1 슬리브;
상기 관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슬리브의 타단부와 맞닿는 제2 슬리브; 및
상기 조인트 본체의 일단부와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덮고, 상기 제2 슬리브에서의 상기 제1 슬리브와는 반대측의 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조인트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는, 상기 내강을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조인트 본체와 맞닿는, 조인트 구조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에서의 상기 너트와 대향하는 면과, 상기 너트에서의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와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1 슬리브의 반경 방향으로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1 슬리브에서의 상기 너트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조인트 구조체.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너트에서의 상기 제1 슬리브 및 상기 제2 슬리브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내경(內徑)이 상기 조인트 본체를 향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조인트 구조체. -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너트에서의 상기 제1 슬리브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조인트 본체 측이 제2 슬리브 측보다 상기 제1 슬리브로부터 이격되는 단차부(段差部)를 포함하는, 조인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34616A JP2020139541A (ja) | 2019-02-27 | 2019-02-27 | 継手構造体 |
JPJP-P-2019-034616 | 2019-02-27 | ||
PCT/JP2020/005406 WO2020175143A1 (ja) | 2019-02-27 | 2020-02-12 | 継手構造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4894A true KR20210104894A (ko) | 2021-08-25 |
Family
ID=7223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3844A KR20210104894A (ko) | 2019-02-27 | 2020-02-12 | 조인트 구조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2025245B2 (ko) |
EP (1) | EP3933242A4 (ko) |
JP (2) | JP2020139541A (ko) |
KR (1) | KR20210104894A (ko) |
CN (1) | CN113412387B (ko) |
TW (1) | TWI822965B (ko) |
WO (1) | WO20201751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05273B (zh) * | 2020-11-20 | 2022-11-29 | 青海蓝博检测科技有限公司 | 一种安装于家庭管道的生活饮用水质量检测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02940A (ja) | 2003-08-15 | 2007-02-15 | スワゲロック カンパニー | 金属製のパイプおよび管のための継手 |
JP2009522525A (ja) | 2006-01-04 | 2009-06-11 |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 金属のパイプおよび管の継手 |
JP3195332U (ja) | 2014-10-27 | 2015-01-15 |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 継手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6806Y2 (ko) * | 1973-02-17 | 1978-02-21 | ||
JPS53166115U (ko) * | 1977-06-03 | 1978-12-26 | ||
JP3894639B2 (ja) * | 1997-12-11 | 2007-03-22 |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 管継手構造 |
JP2005036947A (ja) * | 2003-07-18 | 2005-02-10 | Ihara Science Corp | 管継手 |
JP4895069B2 (ja) | 2004-03-29 | 2012-03-14 |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 管継手 |
JP4067016B2 (ja) | 2005-11-17 | 2008-03-2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管継手の蓋構造、仕切り蓋、冷凍装置、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給水配管、配管の接続方法、及び現地配管施工方法 |
JP3901207B1 (ja) * | 2005-11-29 | 2007-04-0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管継手 |
AU2006336580A1 (en) * | 2006-01-13 | 2007-08-02 | Swagelok Company | Fitting with adapted engaging surfaces |
US7806443B1 (en) * | 2007-03-16 | 2010-10-05 | Plattner Wesley M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ir conditioning coolant lines |
JP5457348B2 (ja) * | 2007-07-27 | 2014-04-02 |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 中心合わせを伴う管またはパイプ継手のための先細ナット |
DE102012103878A1 (de) * | 2012-05-03 | 2013-11-07 | Schwer Fittings Gmbh | Vorrichtung zur Festlegung eines Rohrs an einem Anschlussteil |
JP5231671B1 (ja) * | 2012-07-31 | 2013-07-10 |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 継手およびそのフェルール製造方法 |
US10024468B2 (en) * | 2014-05-09 | 2018-07-17 | Swagelok Company | Conduit fitting with components adapted for facilitating assembly |
DE202015105642U1 (de) | 2015-10-23 | 2015-10-28 | Schwer Fittings Gmbh | Keilring für eine Vorrichtung zum Festlegen eines Rohres |
JP6224806B2 (ja) | 2016-01-15 | 2017-11-01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管継手及び空気調和装置 |
-
2019
- 2019-02-27 JP JP2019034616A patent/JP2020139541A/ja active Pending
-
2020
- 2020-02-12 KR KR1020217023844A patent/KR202101048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2-12 EP EP20762038.6A patent/EP3933242A4/en active Pending
- 2020-02-12 WO PCT/JP2020/005406 patent/WO2020175143A1/ja unknown
- 2020-02-12 CN CN202080012894.XA patent/CN113412387B/zh active Active
- 2020-02-12 US US17/433,798 patent/US12025245B2/en active Active
- 2020-02-26 TW TW109106321A patent/TWI822965B/zh active
-
2021
- 2021-07-09 JP JP2021114382A patent/JP7358423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02940A (ja) | 2003-08-15 | 2007-02-15 | スワゲロック カンパニー | 金属製のパイプおよび管のための継手 |
JP2009522525A (ja) | 2006-01-04 | 2009-06-11 |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 金属のパイプおよび管の継手 |
JP3195332U (ja) | 2014-10-27 | 2015-01-15 |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 継手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358423B2 (ja) | 2023-10-10 |
CN113412387A (zh) | 2021-09-17 |
CN113412387B (zh) | 2024-05-07 |
US12025245B2 (en) | 2024-07-02 |
EP3933242A4 (en) | 2022-10-26 |
JP2020139541A (ja) | 2020-09-03 |
TWI822965B (zh) | 2023-11-21 |
TW202032054A (zh) | 2020-09-01 |
EP3933242A1 (en) | 2022-01-05 |
US20220136629A1 (en) | 2022-05-05 |
WO2020175143A1 (ja) | 2020-09-03 |
JP2021175919A (ja) | 2021-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93862B2 (en) | Tube joint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2312586B1 (ko) | 스웨이징 피팅 | |
US20050067835A1 (en) | Hydraulic connectors | |
EP1979663A1 (en) | Adaptor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tube fitting/port to push-to-connect tube fitting/port | |
US2930635A (en) | Fluid coupling connection with contractible sleeve | |
JPH0596678U (ja) | 管体継手構造 | |
US3438655A (en) | Fluid pressure coupling | |
KR20210104894A (ko) | 조인트 구조체 | |
JP2002061785A (ja) | ワンタッチ継手 | |
JP5911895B2 (ja) | 樹脂管用継手 | |
US20070252388A1 (en) | Pipe joint | |
JP4045305B1 (ja) | 管継手 | |
JP2011021678A (ja) | 樹脂管用継手 | |
CN113167415A (zh) | 管接头 | |
JP2009079750A (ja) | 樹脂管の端部拡径管、樹脂管用継手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 |
US9677696B2 (en) | Fluid-conducting connection with clamping ring | |
KR102013451B1 (ko) | 배관 결합체 | |
JP6294986B1 (ja) | 直管パイプ用継手 | |
JPH06229488A (ja) | コネクタ | |
CN118234988A (zh) | 压环、管接头以及管的接合方法 | |
JP6071532B2 (ja) | 管継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2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023 Effective date: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