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855B1 - 플렉시블 조인트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855B1
KR102383855B1 KR1020170096617A KR20170096617A KR102383855B1 KR 102383855 B1 KR102383855 B1 KR 102383855B1 KR 1020170096617 A KR1020170096617 A KR 1020170096617A KR 20170096617 A KR20170096617 A KR 20170096617A KR 102383855 B1 KR102383855 B1 KR 10238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rrugation
flexible
incomplet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568A (ko
Inventor
박미순
Original Assignee
박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순 filed Critical 박미순
Publication of KR2018011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specially adapted for hos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3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bonding obtained by vulcanisation, gluing, melt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관으로 주름을 이루는 플렉시블관과 타 배관 혹은 타 결합물를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중간 단계에 설치하는 중간 연결구와 보조 연결구를 패킹, 절연체 등과 함께 설치하는 단위결합체로 하는 종래의 플렉시블 조인트가 다양한 구성 부품과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도 누수 발생이 많이 일어나고 관리의 어려움가지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플렉시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시블 조인트의 일측에 플렉시블관에 직접 나사를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어 중간 연결구와 보조 연결구 그리고 부대 부품을 절감하거나 저렴한 재료로 대체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잠재적 누수 개소의 감소와 획기적인 원가 절감을 이루는 플렉시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조인트{a flexible joint}
플렉시블관은 가요성에 의한 길이 변화, 방향 전환, 진동과 충격 흡수 기능을 배관에 반영할 필요로 사용된다. 이러한 플렉시블관은 박판으로 저렴하게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얇은 박판으로 아르곤 용접하여 우선 직관 파이프로 조관하여 연결구를 설치할 곳에는 직관 상태로 두고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교대한 주름으로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플렉시블관을 사용하여 하나의 단위 결합체로 하여 주로 일측은 소방배관의 가지관에 결합하고 타측은 스프링클러용 헤드와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사용하는 플렉시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도4와 같이 플렉시블 조인트는 파이프를 산과 골을 교차한 주름을 형성하여 가요성을 부여한 플렉시블관과 플렉시블관에 설치하는 중간 연결구(9)와 결합하는 배관 혹은 결합 대상물에 결합하기 위하여 위 중간 연결구에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레듀샤, 니플, 소켓, 티, 엘보 및 타 브라켓에 결합하여 승강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엘보 혹은 고정하는 연결구 등을 포함하는 보조 연결구(10)를 기밀을 위하여 설치하는 패킹(11)을 사이에 두고 결합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종 금속간의 접촉으로 전위차로 인한 부식을 우려한다면 이종 금속간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절연하도록 절연링(12)을 설치 사용하기도 한다.
통상 플렉시블관은 타 배관 혹은 상대 결합물과 결합하려면 그 자체 바로 연결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약해 중단 단계에 견고한 중간 연결구 단독 혹은 보조 연결구를 설치 결합한 단위 결합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오늘 날 일반화된 CPVC 등 플라스틱 배관과 결합 시에는 플렉시블관에 CPVC 등의 플라스틱으로 된 중간 연결구를 사용하며 플렉시블관의 외주면에 기밀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패킹(11)을 압착하여 기밀을 확보하도록 결합관계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는 중간 연결구와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단계의 결합관계로 기밀의 불완전성으로 근원적으로 누수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군다나 직관을 외부의 다이스로 눌러 주름을 형성하는 구조 상 눌러진 주름의 내경이 배관의 용량임을 고려하면 눌러지지 않은 직관에 설치하는 결합용 너트와 중간 연결구는 배관 용량에 비추어 지나치게 과잉 규격이 되고 있어 이 역시 약한 구조의 플렉시블관과는 구조적 모순일 뿐 아니라 원가의 부담이 큰 구조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관에 결합하는 다단계에 소요되는 중간 연결구와 그에 부수되는 패킹 그리고 절연체 등의 부품을 제거하려 한다. 특히 종래의 결합 구조가 추가의 부품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부품의 품질, 제조자의 조립 실수 그리고 현장 시공자의 시공 품질에 따라 누수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구조에서 탈피하려는 것이다.
그럼에도 플렉시블관에 설치한 중간 연결구와 보조 연결구인 일자 유니온, 레듀사, 니플 그리고 엘보의 기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에 이러한 구조를 기초로 하는 일반 배관, 소방 배관 등에 원활하게 적용하는 소방 배관의 고정 브라켓이나 승강 장치를 반영한 고정 브라켓과 결합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려 한다.
가장 어려운 난제가 기본 구경이 큰 주름관을 현장의 환경적 조건에 적용이 가능한 짧은 곡반경과 소구경의 나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파이프를 축관하는 것에 있고 이를 직관부로 축관하여 구성하는 것은 비록 다단계의 공정을 투입한다 하여도 지난한 것이며 이로 인한 하자율 감소가 사실 상 기대할 수 없어 이를 해결하는 방법과 구조를 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조인트에 있어 플렉시블관의 일측에는 몸통을 이루는 주름부로 주름의 외경을 영역별로 주관을 이루는 몸통 주름부에서 단계별로 적어도 2단계 이상의 감소된 영역을 둔 플렉시블관을 형성하여 해결하려 한다.
즉, 플렉시블관을 대부분의 영역을 이루는 몸통의 주름부 영역과 주름을 펴서 직관과 주름의 중간 과도기 단계의 불완전한 주름으로 되는 불완전 주름부로 된 영역과 끝단에 나사를 이루는 주름으로 형성한 나사부 영역을 이루거나 끝단에 연결 너트 혹은 도3의 A와 같이 주름 너트 등 독자적인 구조력을 가진 암나사체로 하여 용접 연결한 영역으로 최소한 3단계 이상의 기본구간을 이루고자 한다.
몸통 주름부 영역이 가장 크고 불완전 주름부 영역이 그 다음으로 크고 나사 주름부 영역 혹은 굴곡을 위한 축관 주름부가 가장 작은 구조를 이루고, 주름의 형상은 몸통 주름부의 산과 산의 피치는 불완전 주름부가 가장 크고 몸통 주름부는 그 다음이 되며 축관 주름부와 나사 주름부는 차례데로 가장 작은 형상이 되며 내경은 몸통 주름부와 불완전 주름부는 비슷하나 축관 주름부와 나사 주름부는 가장 작게 하여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상이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주름을 하나의 플렉시블관의 일측에 형성한 특수한 구조를 구비한 단위 결합체로 된 플렉시블 조인트를 형성하여 해결하려는 것이다.
결합 나사를 직관부의 관말에 직접 형성하는 경우는 나사가 구조적으로 약하여 결합 시 응력을 받아 펴지는 성향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링 부재를 직관부 관말에 포갠 구조로 중첩 설치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려 한다. 즉, 직관부 관말의 외부 나사 표면과 이에 상응한 내부 나사를 형성한 보강링 부재가 나사 결합으로 결합하여 이루는 중첩구조로 직관부 관만의 결합나사가 응력을 받더라도 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축관 주름부는 절곡하게 되면 시공 현장의 각종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활용도에 있어 획기적인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절곡 형은 고정 브라켓이나 혹은 승강 장치를 반영한 고정 브라켓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보강링 부재 구조 역시 다양화하고 경제성을 고려하여 수지 재질의 보강링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사출로 엘보를 입혀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부여하여 현장의 요구조건에 맞도록 하여 해결한다.
본 발명에 있어 주름을 펴 불완전 주름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필요한 곳에 만 직관으로 형성하면 되어 종래의 직관을 축관하는 공정으로는 도저히 이룰 수 없는 대폭적인 축관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정이 훨씬 단순하고 저렴한 장점이 있어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경제적인 방법이 된다.
이렇게 되면 종래의 플렉시블 조인트에서 기본 구조로 하였던 중간 연결구와 이와 결합하는 보조 연결구의 대체와 절감이 가능하며 부수적으로 설치하는 부대 패킹링, 절연링 그리고 이를 설치하기 위한 플렉시블관의 걸림턱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 공정과 비용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종래의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재료비와 공정비 및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플렉시블 조인트를 시공현장에서는 앵글을 이루는 방법은 종래의 구조로는 비싼 엘보를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이를 절감하고자 긴 길이의 플렉시블관을 사용함으로서 요구되었던 낭비 요인을 개선할 수 있으며, 좁은 천장 공간에서 일자형의 긴 레듀사와 기본 직관부가 점유하고 또한 최소 곡률 반경까지 차지하여 작업의 제약이 많았던 것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소요되는 부대 부품들은 대다수 소형이고 대형의 경우에는 저렴한 플라스틱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어 대체 비용이 대단히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누수에 의한 하자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고 시공성과 작업성 역시 종래와 다를 바 없거나 훨씬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대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부 분해 및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도.
도4는 종래의 구성도
본 발명의 대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이와 관련 대표적인 구현 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금속관으로서 통상 0.2에서 0.3미리미터의 두께의 얇은 금속판을 둥글게 말아 조관한 직관부(4)를 외부에서 다이스가 회전하며 눌러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교차한 주름부(1)를 형성한 플렉시블 관을 기초로 한다. 통상 소방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사용하는 플렉시블관은 통상 통칭 20A 규격이나 이는 25A인 외경 25 미리미터 이상의 직관을 다이스로 눌러 골의 내경은 21mm 산의 외경은 25mm 이상의 주름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렉시블관은 구조가 매우 약하여 소방배관으로 혹은 스프링클러 헤드와 직접 결합이 어렵다. 플렉시블관과 위 소방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려면 플렉시블관과 결합 대상물 간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중간 단계에 투입되는 중간 연결구를 단일 혹은 복합 결합구조를 이루어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플렉시블관을 타 결합 대상물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중간 연결구를 설치하여 단위 결합체로 구성한 것을 플렉시블 조인트라 한다.
플렉시블관에 중간 연결구(9)를 설치하는 방법은 대체로 플렉시블 관의 직관부(4)에 환상으로 외향 돌출 형성한 산을 압착한 외향하는 플렌지 혹은 주름의 골에 설치하는 삽입한 링으로 걸림턱(6)을 형성하여 중간 연결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 플렉시블관의 외주면에 설치하는 중간 연결구(9)는 플렉시블 관에 형성한 걸림턱에 대응 결합하여 이탈이 되지 않도록 몸통 내측에 환상으로 내향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루는 돌출턱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중간 연결구로는 결합용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너트 형태를 이루거나 혹은 도2와 같이 CPVC 같은 플라스틱으로 된 소켓 형태로 플렉시블관에 설치하게 된다. 이를 기초로 한 플렉시블 연결관은 소방배관의 가지관과 직접 혹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로 사용하는 연결구인 보조 연결구(10)인 연결 니플을 사용하여 연결하며,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결 시에는 일자형, 엘보형, 승강 돌출부를 외곡부에 형성한 엘보 등을 스프링클러 헤드의 구경을 적합하도록 레듀싱한 구조로 한 보조 연결구를 역시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종래의 전형적인 구조이다. 특히 결합하는 상대물이 금속이면 결합용 너트로 나사 결합하는 중간 연결구를 많이 사용하고 상대물이 CPVC 같은 플라스틱이면 동일한 재질의 CPVC 같은 플라스틱으로 된 소켓으로 된 중간 연결구와 융착 시멘트 등으로 접합하게 되며, 파이프나 결합 대상물과 결합 시 기밀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렉시블관의 외주면에 패킹(11)을 설치하여 단일 중간 연결구로 사용하거나 혹은 보조 연결구를 복합한 구조로 하여 결합체를 이루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시에는 패킹의 압착에 의한 기밀을 확보하며 추가로 이종 금속간의 접촉에 의한 전위 부식이 우려되면 플렉시블관 외주면에 절연체 링을 설치하여 중간 연결구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구조로 사용하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 구조이다.
본 발명은 소방 배관의 가지관과 결합하는 측은 종래의 구조를 채용하나 스프링클러 헤드와 결합하는 측을 개선하려 하는 것이다. 관의 규격이 20A에 지나지 않음에도 중간 연결구와 부조 연결구는 25A용을 사용하여야 하였던 종래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특히 고가인 레듀사 혹은 훨씬 고가인 엘보나 승강 돌출부를 구비한 엘보 등의 보조 연결구를 사용함으로서 발생하는 원가 부담의 절감과 개선을 기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부수적인 절연체 링 혹은 패킹을 제거하고 그럼에도 다 단계의 연결 단계로 인한 누수의 잠재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플렉시블관의 몸통 주름부(1)의 일측을 주름을 펴서 산과 산사이의 폭을 넓혀 외경을 작게 하여 직관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도록 한 불완전 주름부(2)를 이루고 그 끝단에는 외측에서 내향하는 홈을 형성하여 골과 산이 교차하는 주름을 나사형으로 형성한 나사 주름부(3)를 이루려 한다. 불완전 주름부는 도3과 같이 그 자체로 굴곡하게 되면 곡율 반경을 줄인 엘보를 이룰 수 있게 되고 부다 더 곡률 반경을 줄인 엘보를 이루려면 불완전 주름부의 일부분을 외측에서 내향으로 압착하여 산과 골이 다수개가 연속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축관 주름부(5)를 필요한 각도로 굴곡하면 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불완전 주름부는 종래의 보조 연결구인 레듀샤나 엘보의 긴 길이에 대응하려면 불완전 주름부를 길게 형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관은 스프링클러 헤드와 결합하는 측은 몸통 주름부에서 외경이 작고 산과 산의 폭이 대폭 늘어나는 불완전 주름부의 완충 구역을 거쳐 내측으로 압착하여 내경이 줄어들고 산의 폭이 좁고 외경이 작은 나사 주름부(3) 구역이나 불완전 주름부의 끝단에 연결 너트를 용접하는 3단계로 대별되거나 혹은 불완전 주름부에 축관 주름부를 더한 4단계의 주름형태를 가진 일측을 형성한 플렉시블관이 기본이 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즉, 각 구간 별 주름의 크기와 형상과 외경을 달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주름을 하나의 몸통에 복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게 된다.
특히 내측으로 이음매 없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종래의 다단계 연결에 의한 잠재적 누수 개소를 제거한 획기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플렉시블관에 주름을 편 후 주름으로 나사를 형성하게 되면 스프링클러 헤드를 결합하는 연결관으로 사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대단히 취약한 나사가 되므로 구조 보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한 구조 보강방법으로는 나사 주름부의 외주면에 구조 보강용 링인 보강링(7)을 설치하거나 견고한 플라스틱 등으로 된 보조 커버(8)로 보강하거나 혹은 이를 복합한 방법인 보강링을 설치한 후 보조 커버를 설치하는 이중의 보강구조로 할 수 있다. 보강링이 금속이면 나사 결합을 하거나 브레이징 용접으로 결합하면 된다.
만일 보강링의 설치가 번거로우면 아예 연결 너트(9)나 내측으로 나사를 형성하는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암 나사체를 도3의 A와 같이 불완전 주름부의 끝단에 용접 연결하면 된다. 이때 사용되는 암나사체는 위 주름 나사에 보강링을 결합하는 구조를 하나의 구조물로 대체하는 것이므로 충분한 강도와 구조력이 가능한 형태를 채택하면 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플렉시블관의 일측은 도3과 같이 외부를 사출로 일체로 하거나 별도의 커버 형태를 이루어 조립식으로 하거나 접착제로 접합 결합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 보강 형태는 도2와 같이 종래의 일자 레듀사의 긴 몸통과 외표면과 유사하도록 불완전 주름부와 나사 주름부의 외주면을 길고 다각을 이룬 다각부(81)를 형성한 플라스틱 커버로 대체하려 하며, 엘보를 이루고자 하면 도3과 같이 플렉시블관의 불완전 주름 부분을 다양한 각도로 굴절 형성하여 이 역시 외면을 형상에 맞게 A와 같이 엘보형을 플라스틱으로 보조 커버를 결합하면 된다. 특히 단순한 보강링에 비하여 보다 복잡한 형태와 구조를 커버할 수 있는 보조 커버는 종래의 아파트나 주상 복합 등의 천장 속의 슬라브에 고정하여 승강 조절하도록 구조를 이룬 고정 브라켓과 결합하는 엘보 구조가 있다. 승강 조정이 가능하도록 B와 같이 가이드 홈(83)을 형성한 돌출부(82)를 엘보의 외곡부와 연장되는 외측면에 형성하는 구조를 취하여 사용하면 된다.
위와 같이 엘보 형과 결합하는 보조 커버로 고정 브라켓과 결합 사용하는 방법은 브라켓과 단순히 결합 고정하여도 되고 브라켓과 결합하여 승강 사용하는 결합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승강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면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하는 기능도 요구되어 이를 위하여 위 돌출부를 연장하여 이 연장된 돌출부의 중앙에 나사 홀(84)을 형성하게 되면 브라켓과 결합되는 장볼트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택할 수도 있고 엘보 형의 외측 수직면에 양측에는 凹형의 홈이 상하로 이루어진 가이드 홈을 이룬 돌출부 하부에 凹凸이 상하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부(85)로 하게 되면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려면 스프링 판의 삽입과 해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플라스틱으로 된 보조 커버로 구성하면 된다.
굴절을 편리하게 하고 굴곡반경을 작게 하려면 불완전 주름부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눌러 홈을 형성하게 되면 골과 산이 교대하는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하는 축관 주름부를 형성하게 되면 작은 곡률반경의 엘보를 이루어 낮고 좁은 천장 공간에 적용하기에 편리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엘보 형은 보조 커버를 별도로 준비하여 조립할 수도 있고 사출로 일체로 이룰 수 있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몸통 주름부(1)를 골곡하여 사용하거나 일자 레듀사를 굴곡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큰 구경이 바탕을 두어 곡율 반경이 너무 큰 엘보를 이루게 되어 현장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좁은 천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적용할 수 없어 극히 제한된 현장에 예외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과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종래에는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였던 절연체와 패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플렉시블관의 직관부에 형성하여야 하였던 이탈 방지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중간 연결구인 결합용 너트의 사용도 불필요하며 비싼 엘보 레듀사를 저렴한 플라스틱 커버로 대체하여 이로 인한 재료비와 인건비의 절감은 물론 누수의 개소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난이한 보온재의 삽입 결합에 대단히 편리하다는 부수적인 장점도 가지게 된다.
플렉시블관(1), 불완전 주름부(2), 나사 주름부(3), 직관부(4), 축관 주름부(5), 걸림턱(6),보강링(7), 보조 커버(8), 중간 연결구(9), 보조 연결구(10).

Claims (5)

  1. 금속판으로 조관한 직관에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교대하여 가요성을 부여한 주름으로 이루어진 몸통 주름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은 외주면에 외향하는 환상의 돌출부를 플렌지로 형성한 걸림턱을 형성하며, 타측은 몸통 주름부에서 연장되는 주름을 몸통 주름부 대비 외경이 작고 산 폭이 넓게 펴 직관에 가까운 과도기 주름으로 이루어진 불완전 주름부와 불완전 주름부의 관말을 외측에서 내향하는 압착으로 내주면을 암나사로 하는 주름으로 이루어진 나사 주름부를 형성한 플렉시블 관; 위 플렉시블 관의 걸림턱 측에 내향하는 환상의 돌출 턱을 구비하여 타 연결물과 결합하도록 설치되는 중간 연결구와 패킹 부재; 위 플렉시블관의 나사 주름부 외주면에 중첩 결합하는 보강링 부재; 그리고 불완전 주름부와 나사 주름부 외부를 플라스틱으로 된 보조 커버를 기본으로 구성 결합하는 플렉시블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불완전 주름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환상의 홈을 다수개 형성하여 산과 골이 교차하는 주름으로 이루어진 축관 주름부를 굴곡하여 엘보 기능을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조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엘보 형의 외측 수직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의 양측에는 凹형의 홈이 상하로 이루어진 가이드 홈과 후측에는 위 돌출부에서 연장한 돌출부의 중앙에 나사 홀 부재를 플라스틱으로 된 보조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조인트.
  4. 제 2항에 있어서,
    엘보 형의 외측 수직면에 양측에는 凹형의 홈이 상하로 이루어진 가이드 홈을 이룬 돌출부와 凹凸이 상하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으로 된 보조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조인트.
  5. 몸통이 주름으로 이루어진 몸통 주름부를 사이에 두어 일측은 외향하는 플렌지로 형성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타측은 몸통 주름부에서 연장되는 주름을 몸통 주름부 대비 외경이 작고 산 폭이 넓게 펴 직관에 가까운 과도기 주름으로 이루어진 불완전 주름부로 형성하고, 위 불완전 주름부의 일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환상의 홈을 다수개로 이루어진 축관 주름부를 형성하며, 위 불완전 주름부의 끝단에는 내주면을 암나사로 한 암 나사체를 용접 연결한 플렉시블 관; 플렉시블관의 걸림턱 측에 설치하는 중간 연결구와 패킹 부재; 그리고 위 플렉시블관의 불완전 주름부에 형성한 축관 주름부를 굴곡하여 이루는 엘보 형상과 불완전 주름부 그리고 용접 연결한 암나사체의 외부를 플라스틱으로 된 보조 커버로 씌운 것을 기본으로 구성 결합하는 플렉시블 조인트.
KR1020170096617A 2017-03-29 2017-07-31 플렉시블 조인트 KR102383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828 2017-03-29
KR20170039828 2017-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68A KR20180110568A (ko) 2018-10-10
KR102383855B1 true KR102383855B1 (ko) 2022-04-07

Family

ID=6387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617A KR102383855B1 (ko) 2017-03-29 2017-07-31 플렉시블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6911B (zh) * 2020-08-13 2021-11-16 浙江臻龙能源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连接的高效不锈钢波纹管
KR102631575B1 (ko) * 2023-05-18 2024-01-31 이희태 소방용 신축배관 자동 너트 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309B1 (ko) * 2015-09-14 2021-03-18 박미순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20170033679A (ko) * 2015-09-17 2017-03-27 박미순 플렉시블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68A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9951B2 (ja) 波形管体と接続部片との間の結合部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US20060225281A1 (en) Process for forming a connector for tube and pipe fittings
KR102383855B1 (ko) 플렉시블 조인트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CN212273352U (zh) 一种伸缩管件及连接管道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77810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2253A (ko) 플렉시블 조인트 결합구조
KR20170032168A (ko)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JP2011112169A (ja) スプリンクラー用巻き出し配管の施工方法
KR101548113B1 (ko) 플렉시블 조인트
KR101136912B1 (ko) 경관 구조물용 원형관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33679A (ko) 플렉시블 조인트
KR101198331B1 (ko) 플렉시블 튜브의 무용접 커플링 장치
KR102256443B1 (ko)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
JP7096894B2 (ja) 蛇腹管連結装置、及びその結合方法
KR20160110031A (ko) 플렉시블 조인트
CN214008447U (zh) 位置可调三通接头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20039339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KR102592074B1 (ko) 주름관 연결 장치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JP3084197U (ja) 給湯用配管ユニット
KR20190081878A (ko) 플렉시블 조인트
KR20100000913U (ko) 에어컨용 냉매순환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