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90Y1 -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90Y1
KR200393390Y1 KR20-2005-0007077U KR20050007077U KR200393390Y1 KR 200393390 Y1 KR200393390 Y1 KR 200393390Y1 KR 20050007077 U KR20050007077 U KR 20050007077U KR 200393390 Y1 KR200393390 Y1 KR 200393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kler
tube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익
Original Assignee
장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익 filed Critical 장재익
Priority to KR20-2005-0007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9/00Connecting arrangements, e.g.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ipes of brittle material, e.g. glass, earthenw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배관은 주 배관, 가지 배관, 연결관의 단계로 토너먼트 식으로 분배된다. 이에 따라 배관의 용량도 대구경에서 소구경으로 단계적으로 줄어든다. 본 고안은 가지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는 연결관 단계에서 사용하는 배관으로 주관을 플렉시블 튜브(주름관)로 하고 이에 연결구를 설치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에 전 단계의 대구경과 차 단계의 소구경과 연결 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설치된 연결구 특히 원가 점유율이 절대적인 이경 연결구(레듀사, 엘보 레듀샤 등)을 사용하던 것을 본 고안은 플렉시블 튜브의 연결구 설치용 직관부를 축소하여 축관된 직관부에 연결구를 설치함으로서 훨씬 작은 연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종래의 큰 레듀샤, 엘보 레듀샤를 사용하던 것을 본 고안으로 할 경우 직관부가 적어져 작은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어 종래에 절대적인 원가 점유율을 차지하던 연결구의 자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종 연결구인 스프링클러 헤드와 직결할 수 있어 이경 연결구(레듀샤, 엘보레듀샤 등)를 제거할 수 도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Splinkler Flexible Joint}
본 고안은 소방배관에 있어 가지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사용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관한 것이다. 소방배관은 소방 액의 공급단계에 따라 주 배관, 가지 배관, 연결관의 단계로 토너먼트 식으로 분배된다. 토너먼트 식으로 분기되는 배관의 특성상 연결관에 필요 용량을 공급하려면 이전 단계의 배관은 대용량을 요구 한다. 따라서 배관의 용량과 배관의 크기는 분기 단계에 따라 대구경에서 점점 줄어든다. 이렇게 단계적으로 구경을 달리하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경 연결구(레듀샤)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본 고안은 점점 적어지는 배관 단계 중에서 최종단계인 가지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는 연결관 단계에 사용하는 배관으로 주관을 플렉시블 튜브(주름관)로 하여 이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일명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도 전 단계인 대구경과 차 단계의 소구경과 연결 시 이경 연결구(레듀샤 또는 엘보 레듀샤 등)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의 문제는 주 배관과 가지 배관 등의 배관 단계에서 사용하던 이경 연결구와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설치되는 이경 연결구와는 단순한 이경 연결구라는 기능 외에는 원가 점유율과 용도에서 성격의 차이가 크게 다르다는 것이다. 즉, 주 배관과 가지 배관에는 상호 이경의 배관을 연결하는 단순한 연결구 기능을 하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는 이경 연결구(레듀샤, 엘보 레듀샤 등)는 충분한 길이(통상 5-15cm)를 확보하여 고정용 브라켓(도10의 9)에 아래위로 조정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리하여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의 이경 연결구는 차 단계 연결 대상인 소구경과 연결함에도 연결구의 크기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맞는 대구경의 연결구를 사용하여야 할 뿐 아니라 용도의 특성상 길이가 긴 연결구를 사용하여야 함으로 결국 목적에 비추어 지나치게 거대한 대구경의 연결구(2, 3)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 사용하는 플렉시블 튜브(도4)의 형상과 구조 그리고 생산 방법에 기인한다. 생산과정에서 우선 직관을 만들고 이 직관을 외부에서 다이스로 눌러서 환형 또는 나사선형의 주름을 형성하고 직관 부분은 다이스를 누르지 않는 방법으로 생산한다. 따라서 주름관의 외관과 직관의 외관은 거의 동일한 사이즈가 된다. 튜브의 용량이 내경에 의하여 결정되는 기준에 비추어 이러한 플렉시블 튜브의 직관 사이즈는 너무 큰 것이다. 이렇게 큰 직관부에 설치하는 연결구 역시 너무 비대하며 나아가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는 고정용 브라켓(9)을 이용하여 거치대(10)에 고정 설치하여 높이 조정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긴 구조를 가져야하므로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프렉시블 죠인트는 결국 지나치게 비대하고 긴 연결구를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튜브(도2)에 사용하는 플렉시블 튜브(1)가 문제를 안고 있음에도 모두가 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플렉시블 튜브로서 유체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이며, 각종 규격의 시험기준에 맞추기가 용이하며, 생산 스피드와 단위 생산 길이 조정력 등 생산성이 뛰어나고, 그리고 경제성에서 대단히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서 원가의 절대적 점유율을 차지하는 이경 연결구(레듀샤, 엘보 레듀샤)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과 구조를 찾거나 아니면 이경 연결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본 고안은 이경 연결구의 크기는 연결구를 설치 할 주름관의 직관부의 크기에 좌우되며, 종래의 플렉시블 튜브가 주름관의 규격에 비추어 주름관의 직관부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너무 큰 연결구를 채용하던 것을 고려하여 주름관 직관부의 필요 부위 사이즈를 축소하여 보다 작아진 연결구(이경연결구를 포함함)를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최종 연결 목적물인 스프링클러 헤드와 바로 직결할 수 있도록하여 이경 연결구(레듀샤 또는 엘보 레듀샤 등)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플렉시블 튜브를 다른 배관과 배관 또는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조인트(커넥트)로 사용하려면 상호 연결하고자하는 대상에 맞는 결합용 연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플렉시블 튜브에 결합용 연결구를 설치하려면 특히 나사선형 주름으로 된 플렉시블 튜브에 연결구를 바로 설치하려면 나사선형의 주름 특성으로 인하여 연결구를 설치하기가 어려워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튜브에 직관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플렉시블 튜브에 조성된 직관부에는 연결구를 용접 설치하거나, 직관부에 너트를 설치하고 이 너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을 만들면 각종 유니온, 소켓, 레듀샤, 엘보 등과 결합하여 하나의 연결관이 되어 다른 배관과 배관 또는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이루어진 구조의 연결관으로 가지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라한다.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도2)의 플렉시블 튜브(1)를 조관하는 과정에서 우선 와관이 직선인 직관을 조관한 다음 이 직관을 외부로부터 다이스로 누르게 되면 직관에 파형의 주름이 생기는데 이것이 주름부(11)가 되며 그리고 다이스로 누르지 않으면 원래의 조관 상태 그대로인 직관부(12)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하여 주름부와 직관부가 형성되며 이둘의 외경은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는 이와 같이 플렉시블 튜브의 최초 조관 상태의 직관부(12)를 그대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플렉시블 튜브의 직관부에는 그에 상응한 크기의 결합용 연결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연결관으로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튜브는 소화액이 들어오는 가지 배관의 구경은 커야하나 소화액이 나가는 스프링클러용 헤드와 결합하는 쪽은 소구경이어야 한다. 이렇게 연결관의 양쪽 구경을 조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소화액이 나가는 쪽의 구경을 소구경으로 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튜브의 직관부(12)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경연결구(3,레듀사)를 사용하였다. 이경연결구의 가격의 결정은 소구경의 가격과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대구경의 가격에 추가 가공비를 합한 가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소구경으로 하는 것에 3제곱 가격 이상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로는 지나치게 큰 연결구(2,3,4)를 설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연결구 설치 방법에는 직관부에 연결구를 용접(c)을 하거나 또는 직관부에 너트(2)를 삽입한 후 걸림턱(121, 122)을 형성하여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고 타 연결구(3,4)와 결합하게 하였다. 이러한 너트 결합 방식에는 패킹의 사용 유무에 따라 패킹 사용구조(도8의 a, b)와 패킹 무사용 구조(도2의 d)가 있으며, 이종 금속간에 접촉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하는 절연체의 유무에 따라 절연체(6) 사용구조(a)와 무 사용구조(b, d)로 구분하여 공지 사용되어 왔으며 이경연결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원가의 과중한 부담 문제는공히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튜브(도2)에 사용되어온 주름부(11)와 직관부(12)의 외경이 거의 동일한 플렉시블 튜브(1) 직관부의 필요한 부위를 축소하여 축관된 직관부(12a)를 형성한 플렉시블 튜브((1a, 1b, 1c)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플렉시블 튜브에 있어서 연결구 설치용 직관부(12)를 크게 하면 큰 연결구(2, 3)를 사용하여야 하나 연결구 설치용 직관부(12a)를 축관하면 작은 연결구(2a, 3a)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플렉시블 튜브의 연결구 설치 부위인 직관부를 축관 조절함으로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에 요구되는 튜브의 용량은 충족 시키면서도 궁극적으로 작은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축관된 플렉시블 튜브의 직관부에 설치하는 연결구는 크기만 줄어들었을 뿐 종래에 공지된 연결구를 공지된 연결구 설치방법(도 8의 a, b, c ,그리고 도2의 d)을 그대로 채용하므로 기능과 성능은 거의 동일하나 연결구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서 원자재의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원가의 절대액을 크기 감소 개선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도1)가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너트(2a)에 최종 결합물인 스프링클러 헤드(7)를 바로 직결하고 고정용 브라켓(9)로 거치대(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대(8)를 설치하게 되면 종래에 필수 구성품인 이경 연결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에서 사용하던 이경연결구가 본 고안의 플렉시블 튜브로 직관부를 축관함으로서 소형의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사용되는 이경 연결구(레듀샤와 엘보 레듀샤 등)는 구조의 성격상 그 길이가 특히 길어야 하므로 그 크기가 지나치게 비대하다. 따라서 원가 부담이 대단히 클 수 밖에 없다.
본 고안과 같이 플렉시블 튜브의 직관부를 축소하면 작은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어 획기적인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최종 연결물인 스프링클러 헤드와 바로 직결할 수 있어 이경 연결구 없이 결합할 수 있어 더 큰 원가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도1 : 본 고안의 대표도
도2 : 종래의 결합 구조도
도3 : 본 고안과 종래의 제품과 크기 비교도
도4 : 종래의 플렉시블 튜브
도5 : 본 고안의 플렉시블 튜브
도6 : 본 고안의 다른 플렉시블 튜브
도7 : 본 고안의 또 다른 플렉시블 튜브
도8 : 공지의 연결구 설치 방법
도9 :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헤드 직접 결합도
도10: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의 고정 설치도

Claims (3)

  1. 파형으로 주름을 형성한 주름부(11)와 끝단이 직관인 직관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튜브(1)의 양 끝단에 너트, 니플, 연결관을 이용한 공지의 연결구 설치 구조(도8의 a, b, c 또는 도2의 d)로 결합한 연결관에 있어서,
    플렉시블 튜브의 직관부(12)의 1개소 이상을 축관(12a)하여 연결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튜브가 브라켓(9)을 삽입하여 지지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 튜브의 표면을 감싸 결합하고 동시에 브라켓(9)와 결합할 수 있도록 원주(표면에 각을 삽입할 수 도 있음)형상으로 한 보조대(8)를 플렉시블 튜브의 표면에 결합하여 스프링클러 혜드와 직접 너트(2a) 결합하도록 함(도9)을 특징으로 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튜브의 한쪽 끝단을 확관한 직관부(12b)를 1개소 형성하여 연결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조인트.
KR20-2005-0007077U 2005-03-16 2005-03-16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KR200393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77U KR200393390Y1 (ko) 2005-03-16 2005-03-16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77U KR200393390Y1 (ko) 2005-03-16 2005-03-16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90Y1 true KR200393390Y1 (ko) 2005-08-22

Family

ID=4369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077U KR200393390Y1 (ko) 2005-03-16 2005-03-16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45B1 (ko) * 2008-10-02 2009-06-1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조인트의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45B1 (ko) * 2008-10-02 2009-06-1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조인트의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1983A (en) Plumbing connection
US20060225281A1 (en) Process for forming a connector for tube and pipe fittings
JP2005511990A5 (ko)
CN103644413A (zh) 一种管件
KR20039339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죠인트
EP2404094A1 (en) Tube connector
US20030209906A1 (en) Fluid line connector assembly
KR20200119025A (ko) 관 연결 장치
CN210739662U (zh) 滑挤式卡压螺纹直通异径接头
CN101382218B (zh) 一种管材连接装置
KR102383855B1 (ko) 플렉시블 조인트
CN109296858B (zh) 一种海洋柔性管接头结构
WO2001031243A3 (en) Pipe fit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plastic pipes
CN202091700U (zh) 管道弯头
CN210739686U (zh) 一种用于流体导管的y型三通快插接头
CN1271068A (zh) 挤压连接管配件
US2026954A (en) Pipe fitting
RU2187737C2 (ru) Соединение гладких труб
CN101649936B (zh) 管道接头件
CN2714930Y (zh) 直插式管道连接装置
CN201090854Y (zh) 管材连接装置
KR200310138Y1 (ko) 배관용연결구
CN212479669U (zh) 一种油雾分离排烟风机
CN111051758A (zh) 管道的成型管端部段和管螺纹连接
CN110005883B (zh) 一种燃气管道不动火的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