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149B1 -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149B1
KR102277149B1 KR1020210055473A KR20210055473A KR102277149B1 KR 102277149 B1 KR102277149 B1 KR 102277149B1 KR 1020210055473 A KR1020210055473 A KR 1020210055473A KR 20210055473 A KR20210055473 A KR 20210055473A KR 102277149 B1 KR102277149 B1 KR 10227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double corrugated
flang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억
김동일
Original Assignee
대한강관 주식회사
신한스틸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강관 주식회사, 신한스틸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강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5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54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specially shaped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은 나선굴곡부로 형성되고, 내주면은 평활부로 형성되는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링 형상의 밴드부(100)를 구비하되, 상기 밴드부(100)는 외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와, 양측 단부에 볼트홀을 가진 브라켓(bracket; 130, 140)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구비된 플렌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10)와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 외부면에 고정된 밴드부의 돌출면(150)이 동시에 끼워지는 수밀고무(300)를 구비하고, 연결하는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플렌지(200, 200a)를 체결볼트(410)와 너트(420)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Connection of double corrugated steel pipe with rotatable flange and double corrugated steel pipe with same}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되는 내부평활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밴드를 체결한 후에 파형강관의 단부와 밴드 단부가 동시에 끼워지는 수밀고무를 고정시킨 후에 상호 맞대기 한 후 양쪽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할 때 수밀고무가 밀리거나 변형되지 않아 현장 시공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킨 파형강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관은 토목 분야에서 오수 및 폐수의 배수, 생활용수 또는 산업용수의 급수, 건축분야에서 중공 거푸집이나 건축 슈트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배수관로 시공시 증가되는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증대로 말미암아 기존의 콘크리트재 배수관의 대체 자재로서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전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배수 구조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관은 적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고, 시공현장에서 그 길이만큼 절단하여 다수 개를 연결하여 설치하는데, 초기에는 두 개의 파형강관의 각 단부를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접기를 이용하여 연결하였으나, 인건비가 비싸고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 다수개의 연결부품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연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무용접 체결 방식의 연결장치 일체형 파형강관'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1908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밴드부의 원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삽입되어 파형강관의 파형홈에 고정되는 고정나사부,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에 끼워져 매끈한 단면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마감링 등의 구성품을 조립하여 파형강관에 밴드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작업의 불편함이 있고, 밴드부에 고정되는 연결머리볼트의 높이와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599025호(2016. 02. 24. 등록)는 파형강관의 단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고리형태의 연결띠가 성형되고, 상기 연결띠를 감싸 파형강관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고무링에 결속홈을 형성하여 파형강관이 끼워져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양쪽을 맞대기 하여 외경으로 고정밴드를 감싸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무링에 고정밴드의 결합시에 원주방향에서 강한 결합력이 가해지며 고무링이 변형되고, 이러한 고무링의 변형으로 고무링의 형태를 상실해 원주방향에서 부분적인 찌그러짐 등이 발생하면서 수밀유지가 어려운 결점이 있으며, 고무링만으로 이루어진 연결부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무링의 결합력이 약해지게 되므로 파형강관의 수평이 다하기 전에 부식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055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9902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8190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링 형상의 밴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렌지를 구비하여, 연결되는 파형강관 단부에서 플랜지를 회전시켜, 양 플랜지의 볼트공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대형경의 파형강관에서는 볼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를 회전시켜 체결하기 편리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체결 가능한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파형강관의 연결시에 사용되는 고무링은 경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Hard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s; 이하 ‘HARD EPDM’)로 구성되되, 파형강관의 단부와 파형강관의 고정시키는 밴드의 일 단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삽입홈 내주면에 연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이하 ‘SOFT EPDM’)로 이루어진 밀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고무링이 밀리거나 변형되지 않고,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은 나선굴곡부로 형성되고, 내주면은 평활부로 형성되는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링 형상의 밴드부(100)를 구비하되, 상기 밴드부(100)는 외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와, 양측 단부에 볼트홀을 가진 브라켓(bracket; 130, 14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구비된 플렌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10)와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 외부면에 고정된 밴드부의 돌출면(150)이 동시에 끼워지는 수밀고무(300)를 구비하고, 연결하는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플렌지(200, 200a)를 체결볼트(410)와 너트(420)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밀고무(300)는 파형강관의 단부와 밴드부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면을 따라 오목홈으로 형성되는 수용 홈부(310)와, 상기 수용 홈부의 타측면은 평탄한 단부로 형성되는 접촉면부(3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밀고무(300)는 경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Hard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s; 이하 ‘HARD EPDM’)이루어지되, 상기 수용 홈부(310)의 내측면(311)에는 연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SOFT EPDM)로 이루어진 밀폐부재(33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200)는 양쪽 끝단부가 다단 계단식으로 형성된 반원 형상의 플랜지 부품(210, 220)을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서 완전한 링 형상으로 조립되며,
상기 플랜지 부품(210, 220)의 조립되는 양단부는 일정한 길이로 겹쳐질 수 있도록 단차부가 형성되고, 조립되어 겹쳐진 단차부를 용접 또는 볼트 결합으로 접합하여 완전한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서 회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의 높이(H2)는 플렌지의 내경면에서 볼트 홀의 중심까지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부(100)는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브라켓(130, 140)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이중 파형강관 외주면에 1차 밀착시키고, 밴드부와 이중 파형강관 외주면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밀고무(300)는 상기 HARD EPDM는 Shore D 55~ 75이고, SOFT EPDM는 Shore A 50~ 80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렌지의 볼트 홀(230)은 볼트홀의 일측으로 볼트가 이동 가능한 장홀(240)과 단순 볼트가 삽입되는 단공(2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부(100)는 상기 밴드부의 일측은 브라켓 하면으로 형성된 홈부(170)와 타측은 상기 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밴드부(100)는 파형강관 단부를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밴드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선택된 관경에 따른 외향 돌출된 걸림부의 높이와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거리를 가진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와, 선택된 관경에 따른 일정 폭 및 길이의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와, 상기 선택된 금형과 프레스와 이용하여 상기 도금강판에 선택된 외향 돌출된 걸림부의 높이와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거리를 가지도록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해 돌출부가 완성된 도금강판을 밴딩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관경으로 밴딩하는 단계(S400)와, 상기 밴딩 작업에 의하여 링형으로 형성된 도금강판의 양단에 결합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500)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따라서 본 발명은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링 형상의 밴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렌지를 구비하여, 연결되는 파형강관 단부에서 플랜지를 회전시켜, 양 플랜지의 볼트공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대형경의 파형강관에서는 볼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를 회전시켜 체결하기 편리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체결 가능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형강관의 연결시에 사용되는 고무링은 경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재질로 구성되되, 파형강관의 단부와 파형강관의 고정시키는 밴드의 일 단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삽입홈 내주면에 연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고무링이 밀리거나 변형되지 않고, 수밀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체결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렌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무링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의 분해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체결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마련되는 외주면은 나선굴곡부로 형성되고, 내주면은 평활부로 형성되는 이중 파형강관(A),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밴드부(100), 상기 밴드부(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개의 볼트홀이 구비된 플렌지(200),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10)와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 외부면에 고정된 밴드부의 돌출면(150)이 동시에 끼워지는 수밀고무(300)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상기 파형강관(A)에 마련된 상기 밴드부의 플렌지(200)를 서로 결합하는 체결볼트(410)와 너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100)는 외주면은 나선굴곡부로 형성되고, 내주면은 평활부로 형성되는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또한, 상기 밴드부(100)는 외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와, 양측 단부에 볼트홀을 가진 브라켓(bracket; 130, 14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양측단부에 브라켓(bracket; 130, 140)을 구비된 밴드부(100)는 양단의 브라켓(130, 140)간의 간격의 조정에 의하여 이중 파형강관의 단부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구비된 플렌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10)와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 외부면에 고정된 밴드부의 돌출면(150)이 동시에 끼워지는 수밀고무(300)를 구비하고, 연결하는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플렌지(200, 200a)를 체결볼트(410)와 너트(420)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밀고무(300)는 파형강관의 단부와 밴드부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면을 따라 오목홈으로 형성되는 수용 홈부(310)와, 상기 수용 홈부의 타측면은 평탄한 단부로 형성되는 접촉면부(3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용 홈부(310)에는 파형강관의 단부와,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 외부면에 체결된 밴드부(100)의 돌출면(150)이 동시에 삽입되며, 수용 홈부(310)의 타측면인 접촉면부(320)는 연결되는 파형강관(B) 단부에 삽입되 고무링의 접촉면부와 맞댄 상태에서 마주보는 플렌지(200, 200a)를 체결볼트(410)와 너트(420)로 체결하여 밀착시킨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무링의 접촉면부 사이에는 밀폐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무링의 접촉면부에 접착제 또는 실링재를 도포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밀고무(300)는 경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HARD EPDM; Hard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s)이루어지되, 상기 수용 홈부(310)의 내측면(311)에는 연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SOFT EPDM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부재(3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밀고무(300)로 사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내유성 및 내산성이 있는 재질이며, 또한 내열성 및 내저온성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밀고무(300)는 상기 HARD EPDM는 Shore D 55~ 75이고, SOFT EPDM는 Shore A 50~ 80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밀고무(300)를 경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HARD EPDM)로 형성하는 것은 -50 ~ 150℃에서 사용가능하고, 축방향의 압축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이와 같은 축방향의 압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려면 쇼아 경도(Shore) D 55이상으로 되어야 하며, 쇼아 경도(Shore) D 75이상이 되면 취성이 있으므로 최적 조건으로 Shore D 55~ 75 내에 것으로 선택한다.
또한 밀폐부재(330)를 연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SOFT EPDM 재질로 선택하는 것은 파형강관 단부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의하여 파형강관 단부 접합면에서 일정한 수축되어 밀폐성을 높인다.
이와 같이 압축되어 밀폐성이 높아지는 SOFT EPDM는 Shore A 50~ 80이고, Shore A 50이하가 되면 높은 수축에 의하여 누설이 발생되고 Shore A 80 이상이 되면 수축량이 적게 되어 누설이 발생되어 최적 조건으로 Shore A 50~ 80으로 선택한다.
또한,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는 플렌지(200)는 반원 형상의 플랜지 부품(210, 220)을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서 조립하여 완전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반원 형상의 플랜지 부품(210, 220)을 조립하여 완전한 링 형상의 플렌지(200)로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플랜지 부품(210, 220)에서 조립되는 양단부는 일정한 길이로 겹쳐질 수 있도록 단차부가 형성된다.
즉, 조립되어 겹쳐지는 부분에서는 일정한 길이를 단차로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분이 겹친 상태에서 용접 또는 볼트 결합으로 접합하여 완전한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서 회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홀은 상기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의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홀에 삽입되는 볼트가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의 높이(H2)는 플렌지의 내경면에서 볼트홀의 중심까지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렌지에 형성되는 볼트 홀(230)은 볼트홀의 일측으로 볼트가 이동 가능한 장홀(24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렌지의 볼트 홀(230)은 볼트홀의 일측으로 볼트가 이동 가능한 장홀(240)과 단순 볼트가 삽입되는 단공(250)이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100)는 상기 밴드부의 일측은 브라켓 하면으로 형성된 홈부(170)와 타측은 상기 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밴드부의 일측 브라켓 하면에 형성된 홈부(170)는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180)가 삽입되어 밴드부의 돌출면(150)이 파형강관(A)의 단부 외주면을 완전하게 감쌀 수 있다.
상기 밴드부(100)는 파형강관 단부를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밴드부를 제조과정은 선택된 관경에 따른 외향 돌출된 걸림부의 높이와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거리를 가진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와, 선택된 관경에 따른 일정 폭 및 길이의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와, 상기 선택된 금형과 프레스와 이용하여 상기 도금강판에 선택된 외향 돌출된 걸림부의 높이와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거리를 가지도록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해 돌출부가 완성된 도금강판을 밴딩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관경으로 밴딩하는 단계(S400)와, 상기 밴딩 작업에 의하여 링형으로 형성된 도금강판의 양단에 결합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500)로 제조된다.
또한,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는 이중 파형강관(A)의 제조 공정에서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에 조립된 상태로 출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중 파형강관 제조 공정 중에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를 조립하면 용접에 의하여 손상된 부분을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현장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파형강관의 결합과 설치 및 시공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밴드부 110 : 제1 걸림부
120 : 제2 걸림부 130 : 브라켓
200 : 플렌지 210 : 플랜지 부품
300 : 수밀고무 310 : 수용 홈부
320 : 접촉면부 330: 밀폐부재
410 : 체결볼트 420 : 너트
A : 이중 파형강관

Claims (5)

  1. 외주면은 나선굴곡부로 형성되고, 내주면은 평활부로 형성되는 이중 파형강관(A)의 양측 단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링 형상의 밴드부(100)와,
    상기 밴드부(100)는
    외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와, 양측 단부에 볼트홀을 가진 브라켓(bracket; 130, 140)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형성된 플렌지(200)와,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10)와 상기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 외부면에 고정된 밴드부의 돌출면(150)이 동시에 끼워지는 수밀고무(300)를 구비하고,
    연결되는 이중 파형강관의 양측 단부에서 마주보는 플렌지와 플랜지를 결합시키는 체결볼트(410)와 너트(420)를 포함하며,
    상기 수밀고무(300)는,
    파형강관과 밴드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원주면을 따라 오목홈으로 형성되는 수용 홈부(310)와,
    상기 수용 홈부(310)의 타측면은 평탄한 단부로 형성되는 접촉면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200)는,
    양쪽 끝단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반원 형상의 플랜지 부품(210, 220)을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서 완전한 링 형상으로 조립하여,
    조립된 양쪽 단부를 용접 또는 볼트 결합으로 접합하여 완전한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밴드부의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 사이에서 회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걸림부(110)와 제2 걸림부(120)의 높이(H2)는 플렌지(200)의 내경에서 볼트 홀의 중심까지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0)는,
    상기 밴드부의 일측은 브라켓 하면으로 형성된 홈부(170)와, 타측은 상기 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가 부착된 이중 파형강관.
KR1020210055473A 2021-04-29 2021-04-29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10227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473A KR102277149B1 (ko) 2021-04-29 2021-04-29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473A KR102277149B1 (ko) 2021-04-29 2021-04-29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149B1 true KR102277149B1 (ko) 2021-07-14

Family

ID=7686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473A KR102277149B1 (ko) 2021-04-29 2021-04-29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1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353B1 (ko) * 2006-04-20 2006-10-02 (주)픽슨 강관 연결구조
KR101431591B1 (ko) * 2014-04-18 2014-08-20 대한강관 주식회사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20150090550A (ko) 2014-01-29 2015-08-06 이석정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KR101599025B1 (ko) 2015-11-13 2016-03-02 동원철강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681908B1 (ko) 2016-06-30 2016-12-05 대한강관 주식회사 무용접 체결 방식의 연결장치 일체형 파형강관
KR101907984B1 (ko) * 2018-01-08 2018-10-15 (주)희망철강 파형 강관의 결속장치
KR102090172B1 (ko) * 2019-09-10 2020-03-1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리브강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353B1 (ko) * 2006-04-20 2006-10-02 (주)픽슨 강관 연결구조
KR20150090550A (ko) 2014-01-29 2015-08-06 이석정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KR101431591B1 (ko) * 2014-04-18 2014-08-20 대한강관 주식회사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101599025B1 (ko) 2015-11-13 2016-03-02 동원철강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681908B1 (ko) 2016-06-30 2016-12-05 대한강관 주식회사 무용접 체결 방식의 연결장치 일체형 파형강관
KR101907984B1 (ko) * 2018-01-08 2018-10-15 (주)희망철강 파형 강관의 결속장치
KR102090172B1 (ko) * 2019-09-10 2020-03-1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리브강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2046B2 (ja) ガスケット付中心リブを備えた単一ボルトバンドク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るパイプ重ね継手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US81867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US11193611B2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101146829B1 (ko) 루즈 플랜지식 플레어 관 조인트 및 그것을 사용한 강관의 접합 방법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102291976B1 (ko) 이중수밀구조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내부평활 파형강관
US6994381B1 (en) Stab joint coupling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7413006B2 (ja) 合成樹脂フランジ管継手
KR101871651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1599920U (zh) 一种内衬管连接接头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102013248B1 (ko) 러그 플랜지 타입 배관 조립체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20038421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2396842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CN218563666U (zh) 一种大直径的盾构管片结构
CN219734489U (zh) 一种钢带增强螺旋波纹管
CN220581917U (zh) 管道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