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842B1 -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842B1
KR102396842B1 KR1020210154996A KR20210154996A KR102396842B1 KR 102396842 B1 KR102396842 B1 KR 102396842B1 KR 1020210154996 A KR1020210154996 A KR 1020210154996A KR 20210154996 A KR20210154996 A KR 20210154996A KR 102396842 B1 KR102396842 B1 KR 10239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hollow
fix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정
배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텍
Priority to KR102021015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54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specially shaped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Abstract

관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에 대한 구조 변형에도 수밀성이 유지되며,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의 일정한 체결 거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토크 값을 유지하여 균일한 수밀부재에 대한 압축에 의하여 수밀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연결부의 강성이 크게 증가되며, 설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는, 파형강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파형강관 사이를 연결하는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파형강관의 단부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플랜지; 파형강관의 단부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슬리브; 플랜지에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며, 서로 다른 파형강관 단부의 플랜지 사이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제1 고정부 사이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동시에. 제1 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슬리브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폭 방향으로 중심부의 외면에 원주형의 돌출 리브가 형성된 슬리브 본체와, 돌출 리브에 부착되며, 적어도 파형강관의 단부 및 플랜지의 단부가 밀착 접촉되는 고탄성의 링형의 수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IPE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본 발명은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관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에 대한 구조 변형에도 수밀성이 유지되며,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의 일정한 체결 거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토크 값을 유지하여 균일한 수밀부재에 대한 압축에 의하여 수밀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연결부의 강성이 크게 증가되며, 설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나 오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지름이 큰 주름관인 파형강관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관은 크기가 매우 큰 관계로, 제조장소에서 설치장소까지 운반을 하여 설치해야 하는 특성 상, 설치 및 운반의 용이성에 의하여 단위 길이로 운반하여 강관 사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파형강관은 단위 길이의 다수의 강관을 서로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데, 이 경우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은, 유체, 즉 하수나 오폐수가 연결 영역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수밀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연결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파형강관의 연결구조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파형강관의 연결영역에 대응되는 각 파형강관의 단부 측에 링, 즉 원기둥 형상의 플랜지를 고정하고, 각 플랜지 사이를 볼트결합 등의 고정방식을 이용하여 조임힘을 가함으로써, 단부를 서로 밀착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름이 큰 파형강관의 경우, 플랜지 사이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플랜지 사이를 고정하는 것이 쉽지 않아, 최근에는 다양하게 플랜지 사이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0820860호 등에서는, 파형강관의 단부에서 각 파형강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의 기술문헌에서는,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플랜지 측의 연결밴드를 다수의 고정밴드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이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파형강관을 들어올이지 않고 결합 가능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파형강관의 용도 특성 상 유체가 연결 영역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연결영역의 수밀성이 완전하게 확보되어야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연결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영역이 휘어지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연결밴드의 볼트결합 영역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벌어지게 되며, 이 경우 연결영역이 벌어져 이를 통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관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에 대한 구조 변형에도 수밀성이 유지되며,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의 일정한 체결 거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토크 값을 유지하여 균일한 수밀부재에 대한 압축에 의하여 수밀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연결부의 강성이 크게 증가되며, 설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는, 파형강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파형강관 사이를 연결하는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플랜지;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슬리브; 상기 플랜지에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며, 서로 다른 파형강관 단부의 플랜지 사이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 사이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동시에. 제1 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폭 방향으로 중심부의 외면에 원주형의 돌출 리브가 형성된 슬리브 본체와, 상기 돌출 리브에 부착되며, 적어도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 및 플랜지의 단부가 밀착 접촉되는 고탄성의 링형의 수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외주면의 지름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제1 중공부를 갖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부를 통한 볼트 결합을 통해 상기 서로 다른 파형강관 단부의 플랜지 사이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디귿자 형태의 판형 부재로서, 양 단측의 절곡된 영역 중 제1 단측에는 제2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1 단측과 반대측의 제2 단측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일 파형강관 측의 연결판의 양 단면 중, 파형강관 사이의 연결 영역과 반대측 단면에 상기 제1 단측을 접촉시킨 후, 상기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를 통한 볼트 결합을 시작하고, 볼트 결합 도중,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제1 단측을 회전 축으로 회동시켜 제2 단측의 슬릿을 다른 파형강관 측의 연결판의 양 단면 중, 파형강관 사이의 연결 영역 측 단면에 진입시키면서 연결 영역 측의 볼트에 안착시킨 뒤, 볼트 결합을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는, 일 측이 절개된 원기둥 형상으로서, 원기둥 형상의 절개된 면에는 플랜지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된 면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절개된 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절개된 면으로부터 원주면의 지름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 절곡된 제2 중공부를 갖는 절개 돌출 판; 및 상기 제2 중공부를 통하여 결합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부재와 상기 돌출 리브에는 동심의 제3 중공부 및 제4 중공부가 각각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리브 측의 중공부인 제4 중공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밀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5 중공부가 형성된 적어도 수밀부재의 폭 보다 넓은 판 형상의 보강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의 제5 중공부, 상기 제3 중공부 및 제4 중공부를 따라서 볼트가 삽입되면서 상기 제4 중공부의 나사선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강판이 상기 수밀부재의 상면에 압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고정부에 일정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의 일정한 체결 거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토크 값을 유지하여 균일한 수밀부재에 대한 압축에 의하여 수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스페이서의 구조 및 제1 고정부에 대한 설치 구조에 의하여, 연결부의 강성이 크게 증가되는 동시에 설치 용이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슬리브 및 수밀부재의 구조에 의하여, 관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파형강관의 연결 영역에 대한 구조 변형에도 수밀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에 대한 도면.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실시예에 따른 보강판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스페이서를 제1 고정부에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에 대한 도면,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실시예에 따른 보강판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스페이서를 제1 고정부에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 슬리브(3) 및 제1 고정부 및 스페이서(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는 플랜지(2)에 형성된 연결판(4)을 포함하고, 연결판(4) 사이는 볼트 구조(10)에 의하여 볼트결합으로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파형강관(1)은, 용융아연도금강판을 물결모양으로 성형하여 강성을 높여 나선형으로 조관한 연성관을 의미한다.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 내부식성을 갖춰, 수명이 길고 경제적이면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여 배수 구조물에 사용된다. 각종 토목공사 시의 배수관으로 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산업단지, 택지개발, 골프장, 아파트, 지하통로, 도로공사 현장과 우수저류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파형강관(1)의 사이즈는 유로의 사이즈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2)는 일종의 연결밴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파형강관(1)의 단부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 즉 링 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즉 하나의 단위 파형강관에는 한 쌍의 플랜지(2)가 양 단부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데, 고정은, 볼트결합 또는 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로서의 연결판(4)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로부터 외주면의 지름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제1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판형의 부재를 의미한다. 플랜지(2)의 제조 시 절단 및 절곡, 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공부는 볼트(11)가 삽입되기 위하여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4)에 형성된 홀을 지칭한다.
연결판(4)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중공부를 통한 볼트 결합을 통해 서로 다른 파형강관(1) 단부끼리 연결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 플랜지(2) 사이를 고정하게 된다. 연결판(4)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는, 은 고른 플랜지(2) 사이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3)는, 파형강관(1)의 단부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 즉 링 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슬리브(3)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2) 사이의 결합 영역, 즉 파형강관(1)의 연결영역에서, 그 단부 내면에 밀착 접촉되도록 삽입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외면의 직경이 파형강관(1)의 내경보다 어느 정도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3) 사이에 돌출 리브(31)를 형성하도록 요철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는, 파형강관(1)의 단부 내면에 삽입 시 내면과 이격거리가 있어야 원활하게 시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돌출 리브(31)는, 파형강관(1)의 연결 시, 후술하는 스페이서(5)와 더불어 볼트구조(10)가 과하게 조여져 적정 토크값이 유지되지 않음에 따라서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역시 수행하게 된다.
슬리브(3)는 파형강관(1)의 연결영역에서 외력에 의한 처짐 및 변형에 대응하여 연결영역의 강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수밀부재(32)를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스페이서(5)는, 제1 고정부 사이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동시에. 제1 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상술한 슬리브(3)의 돌출 리브(31)의 기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볼트구조(10)가 과하게 조여져 적정 토크값이 유지되지 않음에 따라서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슬리브(3)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 즉 링 형상으로서 파형강관(1)의 단부 내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술한 바 및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즉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중심부의 외면에 원주형의 돌출 리브(31)가 형성된다. 이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돌출 리브(31)에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부재(32)가 부착된다. 수밀부재(32)는 돌출리브(31)에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는 고탄성의 링형의 부재를 의미한다. 수밀부재(32)는 수밀성의 향상을 위하여, 돌출 리브(31)에 부착되되, 적어도 파형강관(1)의 단부 및 플랜지(2)의 단부가 밀착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수밀부재(32)는 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서 수밀성을 완전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고탄성의 링형의 부재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EVA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탄성의 소재 특성을 고려하여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 사이에 상술한 삽입 홈에 따라서 “디귿”자 형상의 스페이스를 형성하여, 적정한 수축률에 의하여 수밀 성능이 유지되는 동시에, 파형강관(1)의 연결영역에 대한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시에도, 고탄력성에 의하여 수밀성능을 유지하고, 우수한 내구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한편, 수밀부재(32)는 경도가 고무에 비하여 매우 낮아,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 구조(10)에 의한 플랜지(2) 사이의 결합 시에 볼트(11)와 링(12) 및 너트(13)를 통해 조일 시, 소프트닝 현상에 의하여 파형강관(1) 사이가 거의 맞닿을 정도로 밀착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한 변형 시, 상술한 연결판(4)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 플랜지(2) 사이의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그 사이가 과도하게 밀착되어, 연결판(4)을 포함하여 플랜지(2)가 변형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리브(31)와 스페이서(5)를 포함함으로써, 과하게 볼트구조(10)가 조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들은 볼트구조(10)의 과한 조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적정 토크값을 유지하여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5)는 도 1을 포함하여 특히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및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페이서(5)는, 디귿자 형태의 판형 부재로서, 메인 바디(53)를 기준으로 양 단측의 절곡된 영역 중 제1 단측에는 제2 중공부(51)가 형성되며, 제1 단측과 반대측의 제2 단측에는 슬릿(5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페이서(5)가 연결판(4)과 볼트 구조(10)의 결합 영역에 설치될 시, 그 설치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스페이서(5)의 기능을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특징이다. 즉, 스페이서(5)를 양 플랜지(2)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볼트(11)를 삽입 시 설치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양 플랜지(2)의 연결판(4)끼리 볼트(11)로 결합을 시작한 후, 스페이서(5)를 걸치면서 설치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파형강관 측의 연결판(4)의 양 단면 중, 파형강관 사이의 연결 영역과 반대측 단면, 즉 도 9의 (a)에서 왼쪽 연결판의 도시 사항과 같이 제1 단측, 즉 제2 중공부(51)를 접촉시킨 후, 제1 중공부, 즉 연결판(4)의 중공부 및 제2 중공부(51)를 통해 볼트(11)를 삽입하면서 볼트 결합을 시작하게 된다.
볼트 결합의 시작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연결판(4)의 제1 중공부에 볼트를 끼우고, 링(12)과 너트(13)를 조이면서 양 연결판(4)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볼트 회전력을 가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후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결합 도중, 스페이서(5)를 제1 단측을 회전 축으로 회동시켜 제2 단측의 슬릿(52)을 다른 파형강관 측의 연결판(4)의 양 단면 중, 파형강관 사이의 연결 영역 측 단면, 즉 도 9의 오른쪽 연결판에 진입시키면서 연결 영역 측의 볼트(11)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후, 도 9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조여 볼트 결합을 완료하도록 하여, 스페이서(5)가 양 연결판(4)을 일정 거리로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하면서 그 설치를 완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구조(10)의 과한 조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적정 토크값을 유지하여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플랜지(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형강관(1)의 단부측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데, 용접 등을 통해 결합하는 방식과 함께, 더욱 그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고정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1)는 특히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가 일 측이 절개된 원기둥, 즉 링 형상으로서 구비되는 경우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플랜지(2)의 절개된 영역이 연결판(4)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부분이 제2 고정부(21)로서 기능한다.
제2 고정부(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절개된 면에 형성되며, 플랜지(2)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된 면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절개된 면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21)는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면으로부터 원주면의 지름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 절곡된 제2 중공부(212)를 갖는 절개 돌출 판(211)을 포함하고, 양 측의 절개 돌출 판(211)의 제2 중공부(212)를 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절개된 면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착하는 체결 볼트(2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밀부재(32)는 슬리브(3)에 접착재 등으로 고정되나, 플랜지(2) 및 파형강관(1)의 단부 사이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수밀부재(32)가 슬리브(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5 및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61)과 볼트(62)를 포함하는 보강부재(6)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보강부재(6)가 설치되는 영역의, 수밀부재(32)와 돌출 리브(31)에는 동심의 제3 중공부 및 제4 중공부가 각각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며, 적어도 돌출 리브(31) 측의 제4 중공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볼트(62)가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판(61)은 수밀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3 중공부 및 제4 중공부와 동심의 제5 중공부가 형성된 적어도 수밀부재(32)의 폭 보다 넓은 판 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때, 보강판(61)의 제5 중공부, 제3 중공부 및 제4 중공부를 따라서 볼트(62)가 삽입되면서 제4 중공부의 나사선에 고정됨으로써, 보강판(62)이 수밀부재(32)의 상면에 압착 고정된다. 이를 통해서, 수밀부재(32)가 슬리브(3) 본체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어 수밀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파형강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파형강관 사이를 연결하는 파형강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플랜지;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슬리브;
    상기 플랜지에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며, 서로 다른 파형강관 단부의 플랜지 사이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 사이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동시에. 제1 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폭 방향으로 중심부의 외면에 원주형의 돌출 리브가 형성된 슬리브 본체와, 상기 돌출 리브에 부착되며, 적어도 상기 파형강관의 단부 및 플랜지의 단부가 밀착 접촉되는 고탄성의 링형의 수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외주면의 지름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 형성된 제1 중공부를 갖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공부를 통한 볼트 결합을 통해 상기 서로 다른 파형강관 단부의 플랜지 사이를 고정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디귿자 형태의 판형 부재로서, 양 단측의 절곡된 영역 중 제1 단측에는 제2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1 단측과 반대측의 제2 단측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 파형강관 측의 연결판의 양 단면 중, 파형강관 사이의 연결 영역과 반대측 단면에 상기 제1 단측을 접촉시킨 후, 상기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를 통한 볼트 결합을 시작하고, 볼트 결합 도중,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제1 단측을 회전 축으로 회동시켜 제2 단측의 슬릿을 다른 파형강관 측의 연결판의 양 단면 중, 파형강관 사이의 연결 영역 측 단면에 진입시키면서 연결 영역 측의 볼트에 안착시킨 뒤, 볼트 결합을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일 측이 절개된 원기둥 형상으로서, 원기둥 형상의 절개된 면에는 플랜지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된 면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절개된 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절개된 면으로부터 원주면의 지름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 절곡된 제2 중공부를 갖는 절개 돌출 판; 및
    상기 제2 중공부를 통하여 결합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와 상기 돌출 리브에는 동심의 제3 중공부 및 제4 중공부가 각각 원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리브 측의 중공부인 제4 중공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밀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5 중공부가 형성된 적어도 수밀부재의 폭 보다 넓은 판 형상의 보강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의 제5 중공부, 상기 제3 중공부 및 제4 중공부를 따라서 볼트가 삽입되면서 상기 제4 중공부의 나사선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강판이 상기 수밀부재의 상면에 압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1020210154996A 2021-11-11 2021-11-11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10239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96A KR102396842B1 (ko) 2021-11-11 2021-11-11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96A KR102396842B1 (ko) 2021-11-11 2021-11-11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842B1 true KR102396842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96A KR102396842B1 (ko) 2021-11-11 2021-11-11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8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63B1 (ko) * 2008-04-30 2009-03-03 양정현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2231770B1 (ko) * 2020-06-19 2021-03-24 주식회사 중원 파형강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63B1 (ko) * 2008-04-30 2009-03-03 양정현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2231770B1 (ko) * 2020-06-19 2021-03-24 주식회사 중원 파형강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8060B2 (en) Rehabilitating pipe segment and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ing same
US6938933B2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US8240339B2 (en)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3341232A (en) Pipe joint
KR10159902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396842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102140703B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101825354B1 (ko)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KR101663260B1 (ko) 파형강관 커플러
US6581984B1 (en) Corrugated spiral pipe with a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WO2008082040A1 (en) Corrugated steel pipe haved dual type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291976B1 (ko) 이중수밀구조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내부평활 파형강관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40049948A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KR10108870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100326547B1 (ko)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JP2012067555A (ja)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KR102211987B1 (ko) 파형관 hm 수밀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형관 연결구조
KR101773392B1 (ko) 하수관용 맨홀 연결구 및 그 맨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관 연결방법
JP2989544B2 (ja) 暗渠用内面平滑可撓継手
JP2008082072A (ja) 土木構造用の波付け鋼板および同波付け鋼板の製造方法ならびに同波付け鋼板を用いて構築される構造物
CN213173751U (zh) 护壁用预制组合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