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54B1 -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 Google Patents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54B1
KR101825354B1 KR1020170106396A KR20170106396A KR101825354B1 KR 101825354 B1 KR101825354 B1 KR 101825354B1 KR 1020170106396 A KR1020170106396 A KR 1020170106396A KR 20170106396 A KR20170106396 A KR 20170106396A KR 101825354 B1 KR101825354 B1 KR 10182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rrugated
pipe
wav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7010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게 연결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플랜지; 상기 외측플랜지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웨브; 상기 웨브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플랜지; 상기 외측플랜지, 웨브, 및 내측플랜지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설치되는 지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수판은, 상기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지수판과, 상기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지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상기 파형 하수관의 파형에 따라 형상이 변하여 상기 파형 하수관의 외측과 내측에 잘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게 연결할 수 있고, 수팽창성 지수재가 유입된 유체를 흡수하여 팽창함으로써, 수밀밴드와 파형 하수관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수밀밴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므로 제작 및 가공이 간편하고 파형 하수관들의 결합이 수밀밴드와 삽입하여 결합되므로 결합이 간단하고,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Wave pipe H-type water-tight band}
본 발명은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상세하게는 나선형의 파형 하수관을 이음부에서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고 수밀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선형의 파형관은 오수나 폐수 등의 배출을 위해 하수관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하수관 건설 시에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 문제로 인하여, 기존 콘크리트 배관의 대체 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배관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파형 하수관은 시공하고자 하는 길이에 따라 여러 개의 하수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연결 지점에서 상기 파형 하수관들의 견고한 연결과 함께 수밀성이 뛰어난 연결장치가 요구된다.
예컨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35078호 "파형강관 연결장치" (도 4a ~ 4c)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중공형상의 몸체가 파형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음 대상이 되는 각 파형강관 외측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관(22); 파이프 형상의 몸체 내측벽 횡방향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양측면에는 수밀용 가스켓이 부착되며, 상기 돌기를 기준으로 그 양측 내부에 이음 대상 되는 파형강관을 수용하여 상기 양측 파형강관을 이음하는 이음관(21); 및 상기 체결관의 외주연에 돌출되는 체결블록, 상기 양측 체결블록을 관통체결하여 양측 파형강관 측단면이 이음관의 가스켓에 밀착되게 하는 보울트 및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를 체결할 때 보울트가 상기 각 파형강관에 체결된 양측 체결관을 잡아당겨 이음 대상이 되는 2개의 파형강관 단부가 상기 가스켓에 밀착되게 하여 파형강관을 수밀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수단(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음 대상이 되는 2개의 파형강관을 이음관 내부에 삽입하여 내부에 돌출된 돌기 양측면에 밀착되게 이음하여 내부이음관과 파형강관 사이에 발생된 틈새를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이 틈새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파형강관이 부식되는 문제, 내부이음관과 틈새의 방해로 인한 유량감소 및 유속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이음관 내부에 이음 대상이 되는 2개의 파형강관을 삽입하여 관이음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파형강관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각각 분리된 체결관(22)과 이음관(21)으로 구성되어 일체성이 결여됨으로써, 이음부에서 굴곡이나 꺾임 등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구조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파형강관(11)의 직경의 크기나 파의 형상이 변하는 경우 그에 맞는 체결관(22)과 이음관(21)를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파형강관(11)의 단부와 그에 접하는 가스켓(21b)의 선접촉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는 것으로 완벽한 수밀성의 확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35078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측플랜지, 웨브 및 내측플랜지로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지수판과 수팽창지수재를 삽입하고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시공성이 향상된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는,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게 연결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플랜지; 상기 외측플랜지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웨브; 상기 웨브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플랜지; 상기 외측플랜지, 웨브, 및 내측플랜지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설치되는 지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수판은, 상기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지수판과, 상기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지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상기 파형 하수관의 파형에 따라 형상이 변하여 상기 파형 하수관의 외측과 내측에 잘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상기 외측플랜지와 내측플랜지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는 수평판과, 일측은 상기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평판에서 점차적으로 이격되다가 다시 접근하는 형상인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날개판은, 일정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형 하수관의 파형에 따라 형상이 잘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지수재로 코팅되어 상기 날개판이 상기 절개부에서 절개될 때 상기 지수재는 늘어나 절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상기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단순히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의 수평판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의 내측에는 수팽창지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측플랜지와 내측플랜지는, 관축방향의 단부에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측플랜지는, 관원주방향의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고, 볼트공이 형성된 연결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브는 일정 간격으로 단락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외측플랜지, 웨브 및 내측플랜지로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지수판과 수팽창지수재를 삽입하고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시공성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를 이용하여 파형 하수관을 연결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의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의 날개판이 파형 하수관의 파형의 형상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의 수팽창지수재에 요홈이 형성된 모습과 수평창지수재가 격자 형상으로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의 내외측 지수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의 웨브가 일정 간격으로 단락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는 나선형의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게 결합하는 것이나, 송수관, 배수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10)는,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게 연결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플랜지(20), 상기 외측플랜지(20)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웨브(22), 상기 웨브(22)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플랜지(24), 상기 외측플랜지(20), 웨브(22), 및 내측플랜지(24)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설치되는 지수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플랜지(20)는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내측 즉, 관의 중심방향으로 압박하여 결속함으로써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플랜지(20)는 후술하는 내측플랜지(24)보다 폭이 다소 넓게 형성되고,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긴밀히 접하여 설치되며, 폭방향의 양 단부 즉, 관축방향의 양 단부는 파형 하수관의 파형을 과도하게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결속이 가능한 정도로 내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웨브(22)는 외측플랜지(20)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사이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내측플랜지(24)가 외측플랜지(20)에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웨브(22)의 폭은 파형 하수관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폭을 조금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은 후술하는 지수판(30) 등을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웨브(22)는 길이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연속된 판 형상이거나, 또는 일정 간격으로 단락된 형상일 수 있다. 웨브(22)가 일정 간격으로 단락된 경우 다양한 직경의 파형 하수관에 유연하게 적용 할 수 있다.
내측플랜지(24)는 상기 웨브(22)의 내측에 수직으로 즉, 외측플랜지(20)와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플랜지(24)는 웨브(22) 및 외측플랜지(20)와 함께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여 파형 하수관의 단부가 삽입되고, 후술하는 지수판(30), 수팽창지수재(40) 등이 삽입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측플랜지(24)의 폭은 외측플랜지(20)보다 다소 작을 수 있다.
또한, 내측플랜지(24)는 폭방향 즉, 관축방향의 양 단부에 파형 하수관의 파형을 과도하게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결속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즉, 외측플랜지(20)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내측플랜지(24)의 굴곡부(26)는 후술하는 지수판(30)과 수팽창지수재(40) 등이 잘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다.
즉, 외측플랜지(20)와 내측플랜지(24)는 관축방향의 단부에 굴곡부(26)를 구비함으로써, 파형 하수관을 견고히 결합되게 하고, 동시에 지수판(30)과 수팽창지수재(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플랜지(20), 웨브(22) 및 내측플랜지(24)는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의 경우 상호 용접되어 일체로 제작되거나, H형상으로 압출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고, 합성수지의 경우 상호 접착되거나, H형상으로 압출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플랜지(20), 웨브(22) 및 내측플랜지(24)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지수판(3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지수판(30)은 삽입부의 내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지수판(32)과, 삽입부의 내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지수판(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은, 상기 ㄷ자 형상의 삽입부의 내측에 잘 밀착됨과 동시에 파형 하수관의 파형의 외측 또는 내측에 잘 접하도록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수판(30)은 금속, 합성수지 등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금속의 경우 두께가 얇은 금속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은 상기 외측플랜지(20)와 내측플랜지(24)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는 수평판(36)과, 일측은 상기 수평판(36)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평판(36)에서 점차적으로 이격되다가 다시 접근하는 형상인 즉, 파형 형상의 날개판(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평판(36)은 외측플랜지(20) 또는 내측플랜지(24)에 잘 밀착되는 평면 형상이고, 날개판(37)은 완만한 곡선인 파형 형상이며, 서로 마주보는 파형 형상 사이로 파형 하수관의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설치방법은 외측플랜지(20), 웨브(22), 및 내측플랜지(24)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을 먼저 삽입한 수 후술하는 수팽창지수재(40)를 삽입하거나,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의 사이에 수팽창지수재(40)를 끼워서 함께 삽입하거나, 수팽창지수재(40)를 먼저 삽입한 후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을 삽입하는 등 다양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날개판(37)은 일정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날개판(37)에 길이방향 즉,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절개부(39)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나선형의 파형 하수관이 삽입되어 결합될 때 파형에 따라 날개판(37)의 형상이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즉, 수평판(36)은 외측플랜지(20)와 내측플랜지(24)에 긴밀히 접하여 설치되고, 날개판(37)은 파형에 따라 변하면서 파형면에 긴밀히 접하여 설치됨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수판(30)은 탄성력을 가진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날개판(37)은 얇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날개판(37)은 나선형의 파형 하수관의 파형에 따라 단차적으로 변함과 동시에 미소하게 비틀리면서 나선형의 파형에 긴밀히 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은 지수재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지수재는 고무재질, 합성수지재질 등 적절히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가진 재질이 적절하다. 따라서 날개판(37)이 파형의 형상에 따라 절개부(39)에서 분리되어 변형될 때 지수재는 절개부(39) 부분에서 적절히 늘어나면서 양측의 날개판(37)을 상호 인장함으로써 날개판(37)이 파형에 긴밀히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수재는 지수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적절한 인장 능력을 갖춤으로써, 날개판(37)이 절개부(39)에서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판(36)에 코팅된 지수재는 수평판(36)과 외측플랜지(20) 또는 내측플랜지(24)와 잘 밀착되게 함으로써 지수판(30)과 외측플랜지(20) 또는 내측플랜지(24) 사이로의 누수를 잘 차단할 수 있다.
이 지수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재질, 합성수지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단순하게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삽입부에 접착 또는 용접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의 수평판(36)은 내측에서 즉,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의 내측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외측지수판(32)과 내측지수판(34)이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됨을 의미한다. 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웨브(22)에 접하여 설치되게 되는데, 웨브(22)와 동일하게 하나의 연속된 판 형상 또는 일정 간격으로 단락된 형상 어느 것도 가능하다.
또한,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의 내측에는 수팽창지수재(40)가 더 구비되어 파형 하수관의 단부를 통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수팽창지수재(40)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서 팽창함으로써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수팽창지수재(40)는 통상의 수팽창지수재(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수팽창지수재(40)는 도면에 보는 바와 같이 파형 하수관이 접하는 쪽에 V자 형상의 홈을 구비하여 파형 하수관의 단부가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V자 형상의 홈 대신, 파형 하수관이 접하는 쪽을 격자 형상으로 촘촘하게 절개할 수 있다. 이는 나선형의 파형 하수관의 단부가 수팽창지수재(40)의 절개된 부분에 삽입된 후 물을 흡수하여 팽창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으로 누수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V자 형상의 홈은 나선형 파형 하수관의 파형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플랜지(20)는 길이방향의 단부 즉, 관원주방향의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연결플랜지(28)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연결플랜지(28)에는 볼트공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연결플랜지(28)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파형 하수관을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10)는 연결되는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외측을 감싸는 2개, 3개, 또는 4개를 한조로 하여 연결플랜지(28)를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수밀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10)는 외측플랜지(20), 웨브(22), 내측플랜지(24) 및 지수판(30)과 지수재, 수팽창지수재(40)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비용이 절약되고, 지수재와 수팽창지수재(40)를 구비함으로써, 누수를 완벽히 차단하고, 파형 하수관을 H형 수밀밴드(10)에 단순히 끼운 후 외측플랜지(20)에 구비된 연결플랜지(28)의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H형 수밀밴드
20: 외측플랜지
22: 웨브
24: 내측플랜지
26: 굴곡부
28: 연결플랜지
30: 지수판
32: 외측지수판
34: 내측지수판
36: 수평판
37: 날개판
39: 절개부
40: 수팽창지수재

Claims (10)

  1.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을 수밀하게 연결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플랜지;
    상기 외측플랜지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웨브;
    상기 웨브의 내측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플랜지;
    상기 외측플랜지, 웨브, 및 내측플랜지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설치되는 지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수판은,
    상기 파형 하수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지수판과, 상기 파형 하수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지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상기 파형 하수관의 파형에 따라 형상이 변하여 상기 파형 하수관의 외측과 내측에 잘 접하고,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상기 외측플랜지와 내측플랜지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는 수평판과, 일측은 상기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평판에서 점차적으로 이격되다가 다시 접근하는 형상인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일정 간격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형 하수관의 파형에 따라 형상이 잘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지수재로 코팅되어 상기 날개판이 상기 절개부에서 절개될 때 상기 지수재는 늘어나 절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은,
    상기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에 단순히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수판과 내측지수판의 수평판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상의 양측 삽입부의 내측에는 수팽창지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플랜지와 내측플랜지는,
    관축방향의 단부에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플랜지는,
    관원주방향의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고, 볼트공이 형성된 연결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일정 간격으로 단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KR1020170106396A 2017-08-23 2017-08-23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KR101825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96A KR101825354B1 (ko) 2017-08-23 2017-08-23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96A KR101825354B1 (ko) 2017-08-23 2017-08-23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354B1 true KR101825354B1 (ko) 2018-02-05

Family

ID=6122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396A KR101825354B1 (ko) 2017-08-23 2017-08-23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42B1 (ko) 2018-07-10 2019-04-05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수밀결합밴드를 이용한 관연결장치
KR20210014842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KR20210014841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59Y1 (ko) * 2003-10-20 2004-01-24 성금화 파형강관 연결구
KR100889824B1 (ko) * 2008-11-25 2009-03-20 (주)한성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759Y1 (ko) * 2003-10-20 2004-01-24 성금화 파형강관 연결구
KR100889824B1 (ko) * 2008-11-25 2009-03-20 (주)한성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42B1 (ko) 2018-07-10 2019-04-05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수밀결합밴드를 이용한 관연결장치
KR20210014842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KR20210014841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KR20210093212A (ko) 2019-07-31 2021-07-27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KR20210098936A (ko) 2019-07-31 2021-08-11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354B1 (ko) 파형 하수관 h형 수밀밴드
US6126209A (en) Pipe having an in-line bell
US3453006A (en) Conduit coupling
EP1404504A2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a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US201002707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KR100886363B1 (ko)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US6899359B2 (en) Means for coupling conduit
KR101327446B1 (ko) 연결관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100665208B1 (ko) 연결관
JP3779037B2 (ja) 既設管ライニング用帯状体
KR101871651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200490588Y1 (ko)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KR101954242B1 (ko) 수밀결합밴드를 이용한 관연결장치
KR102211987B1 (ko) 파형관 hm 수밀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형관 연결구조
KR101157190B1 (ko) 관 결합구조
KR10108870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CN212561799U (zh) 管道周向连接结构及管道
KR100835078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396842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0140708Y1 (ko) 파형관용 관연결구
CN210032032U (zh) 管道周向连接结构及管道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JP2018065351A (ja) ライニング用帯状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