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08Y1 - 파형관용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파형관용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08Y1
KR0140708Y1 KR2019920019037U KR920019037U KR0140708Y1 KR 0140708 Y1 KR0140708 Y1 KR 0140708Y1 KR 2019920019037 U KR2019920019037 U KR 2019920019037U KR 920019037 U KR920019037 U KR 920019037U KR 0140708 Y1 KR0140708 Y1 KR 0140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spiral
connector
cross
flexi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9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121U (ko
Inventor
시로오 가나오
Original Assignee
시로오 가나오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오 가나오,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시로오 가나오
Publication of KR930009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Abstract

본 고안은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끼리 접속하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전체가 단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한쪽이 축선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이 분할부분을 따라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체결용 돌출연(2),2)을 가지는 경질소재제의 분할통형의 연결구본체(1)와 이 연결구본체(1)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환상으로 형성되고, 연결하는 2개의 나선파형관(A),(A)의 각각의 정상부(a),(a)에 접합하는 유연질소재로 형성된 패킹부(5),(5)와 이 패킹부(5),(5)의 내주면 보다도 더 내주면측에 돌출하는 돌조로서 최소한 일부분의 단면형상이 연결하는 나선파형관(A)에 있어서의 요입부(b)의 단면형상과 거의 동일형상 및 동일크기로 하거나 그것보다는 대형으로 형성되어 그 전체 또는 최소한 그 외표면이 유연질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물막이용 돌조(6),(6)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파형관용 관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돌출연측의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5도는 제2도의 V-V선에서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VI-VI선에서의 단면도.
제7도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중앙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돌출연측의 정면도.
제13도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4도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용상태의 단면도.
제15도는 종래구조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구본체 2 : 돌출연
5 : 패킹부 6 : 물막이용돌조
7 : 걸림용돌조 A : 나선파형관
a : 정상부 b : 요입부
c : 관단부
본 고안은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2개의 파형관을 수밀상태로 접속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형관용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런 종류, 즉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형관을 접속연결하려면 내주면을 나선파형관의 외주면과 거의 동일형상 및 동일크기의 나선파형으로 형성한 짧은 통모양의 관연결구와 물막이용의 퍼티를 사용하여 관연결구를 한쪽 나선관에 완전히 비틀러꼽고 한쪽 나선관단에 접속하는 다른쪽 나선관단을 마주대고 관연결구를 역회전시켜서 양관의 이음매가 중앙에 오도록 한 후 관연결구의 양단에 각각 물막이용 퍼티를 도포하는 수단이 제15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두 개로 갈라진 상태의 2개의 반분할 연결구(21)와 물막이용 패킹시트(22)와 물막이용 코킹재(도면에 표시 안함)와 고무블럭(23)과 양단을 절곡하여형상으로한 철제 스토퍼(24)와 점착테이프(도면에 표시 안함)를 사용하여 한쪽의 반분할 연결구(21)위에 패킹시트(22)를 깔고 그위에 접속하는 양관(A),(A)의 관단부(C)끼리 마주대고 평행으로 재치하여, 양 나선파형관(양관이라고도 함)(A),(A)의 요입부(b),(b)에 각각 물막이용 코킹재를 늘려서 도포하고 그 속에 고무블럭(23)을 밀어넣어 이 고무블럭(23)을 코킹재로 감싸고 그위에 물막이용 패킹시트(22)를 잡아 당기면서 양관(A),(A)의 둘레를 감고 일부를 겹쳐서 그끝을 점착테이프로 임시로 묶고 관의 둘레방향의 등간격을 둔 수개소 위치에 철제스토퍼(24)의 양단의 절곡부분(24a),(24a)을 각각 양관의 요입부분에 걸고 물막이용 패킹시트(22)위에 점착테이프로 임시로 묶고 난 다음 물막이용 패킹시트(22)의에 다른쪽의 반분할 연결구(21)를 겹쳐서 각각 대향하는 플랜지부분(도면에 표시 안함)들을 여러개의 볼트로 체결하는 수단을 채택하고 있었다. 하나의 부재로 나선파형관 끼리를 완전한 물막음 상태로 접속하는 관연결구는 종래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위와같이 종래의 나선관의 접속수단은 어느 경우에도 대단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였다. 또 주의깊고 신중한 작업이 요구되어 난잡한 작업을 하면 누수되는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간단한 작업이고 단시간에 확실한 물막이를 할 수 있는 물막이 수단이 강구되어 왔었다.
본 고안은 이런 요구에 응할 수 있고 종래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수단에 비하여 극히 간단하고 확실하게 물막이가 되는 나선파형관의 관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구된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관연결구의 구성은 연결구 본체의 전체를 짧은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한쪽이 축선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이 분할부분에서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체결용 돌출연(2), (2)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질소재제의 분할통형의 연결구본체(1)와 이 연결구본체(1)의 내주면에 환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패킹부가 있고 접속되는 2개의 나선파형관(A), (A)의 각각 정상부(a), (a)에 접합하는 패킹부(5), (5)를 유연질 소재로 형성하여 이 패킹부(5), (5)의 내주면보다도 더 내주면측에 돌출시킨 돌조로서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형상을 대응하는 나선파형관(A), (A)의 요입부(b)의 단면형상과 동일형상 및 동일크기 이상의 대형으로 형성하여 그 전체 또는 최소한 그 외표면을 유연질 소재로한 물막이용돌조(6)를 형성한 본 고안의 연결구본체(1)는 경질소재로 2개의 반통형상부재(3), (3)를 형성하고 돌출연(2), (2)과 대향하는 연결부(4)측을 유연질소재로 하여 분할통형으로 하여도 좋고 또 연결구본체(1)의 전체를 동질의 경질소재로 분할통형으로 하여도 좋다.
또 패킹부(5), (5)의 내주면 측에는 물막이용돌조(6), (6)와는 다른 돌조로서, 연결하는 나선파형관(A)의 요입부(b)와 감합하는 걸림용돌조(7), (7)를 형성하여 있는 것이어도 좋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구조를 한 것이기 때문에 체결용 돌출연(2), (2)을 벌어지게 열면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하는 각각의 나선파형관(A), (A)의 관단부(C)들을 마주댄 상태로 함과 동시에 연결구 내면의 물막이용돌조(6), (6)를 양 나선파형관(A), (A)의 요입부(a), (a)에 각각 감합하도록 위치를 맞추고 난 후 체결용 돌출연(2), (2)들을 소요철물(이 실시예에서는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면 된다.
이와같이 하는 것만으로 연결구는 그 내면의 패킹부(5)가 양 나선파형관(A), (A)의 정상부(a), (a)를 봉하고 물막이용돌조(6), (6)가 요입부(b), (b)를 봉하여 완전히 누수를 방지함으로 양 나선파형관(A), (A)을 수밀상태로 접속연결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기초로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구본체를 2개의 반통형상부재(3), (3)에 의하여 형성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관연결구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외관도이고, 제2도는 그 측면형상을 도시하고, 돌출연측의 형상을 도시하고, 제4도는 평면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제2도의 V - V 선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을 도시하고, 제6도는 제4도의 VI - VI 선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을 도시하고, 제7도는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5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그러나 제7도에 도시한(A)는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나선파형관으로서 이 실시예의 관연결구는 이와같은 나선파형관의 접속에 알맞은 구조를 한 것이다.
관연결구의 구성은 축선방향의 한쪽을 따라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체결용 돌출연(2), (2)을 가지는 경질소재제의 2개의 반통형상부재(3), (3)를 이 돌출연(2), (2)과 대향하는 측에서 유연질 소재에 의하여 연결부(4)에서 연결시켜 짧은 통형상의 연결구본체(1)를 형성하여 이 연결부(4)와 양 반통형상부재(3), (3)의 전내주면중, 후에 설명하는 걸림용돌조(7) 형성부분을 제외한 전주면에 일체적으로 연결시켜 제7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2개의 나선파형관(A), (A)의 각각의 정상부(a), (a)에 접합시키기 위한 패킹부(5)를 연결부(4)와 같은 유연질 소재로 형성하여 이 패킹부재의 일부를 내주면 보다도 더 내주면측에 돌출시켜 연결하는 나선파형관(A)의 요입부(b) 단면형상과 거의 동형으로 그것보다는 약간 대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짧은 물막이용돌조(6), (6)를 연결구본체(1)의 중앙부를 피한 양측대각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한 구조를 하여 또 이 물막이용돌조(6), (6)의 외측위치와 대향측 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한 것이다. 이 물막이용돌조(6), (6) 및 걸림용돌조(7), (7)는 접속하는 2개의 나선파형관(A), (A)의 관단부(C), (C)들을 마주대는 상태로 하였을 때 각각의 나선파형관(A), (A)의 요입부(b), (b)와 감압하는 위치에 요입부(b), (b)의 나선과 일치하는 나선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도면중 8은 체결용 돌출연(2), (2)에 각각 연통하도록 2개씩 마련한 볼트공, 9는 볼트끝감합공, 10은 좌금(座金)감합공, 11은 체결용 돌출연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반통형상부재(3) 및 걸림용돌조(7)를 형성하는 경질소재는 경도 90℃ 전후의 경질고무, 연결부(4), 패킹부(5) 및 물막이용돌조(6)를 형성하는 유연질 소재는 경도 25。 전후의 연질고무를 사용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형성된 관연결구는 연결부(4)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체결용 돌출연(2), (2)을 벌어지는 방향으로 열어서 제7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접속하는 양 나선파형관(A), (A)의 관단부(C)를 마주대는 상태로하여 연결구 내면의 물막이용돌조(6),(6)와 걸림용돌조(7), (7)를 양 나선파형관(A), (A)의 요입부(b), (b)에 각각 감합하도록 위치를 맞추고 난 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체결용 돌출연(2), (2)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공(8), (8)에 각각 볼트(12), (12)를 삽통하여 볼트끝을 볼트끝감합공(9), (9)에 감입시켜 좌금(도시생략)을 좌금감합공(10), (10)에 감합시켜 너트(13), (13)로 체결한다.
이와같이하여 나선파형관(A), (A)들의 연결을 완료한다. 체결용 돌출연(2), (2)이 체결된 연결구는 그 내면의 패킹부(5)가 양 나선파형관(A), (A)의 정상부(a), (a)를 압착하여 물막이용돌조(6),(6)가 요입부(b), (b)에 눌려들어가 완전히 누수를 방지한다. 또 걸림용돌조(7), (7)는 요입부(b), (b)와 감합하여 물막이용돌조(6), (6)와 함께 나선파형관(A), (A)이 빠지는 방향의 외력에 대향하여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양 나선파형관(A), (A)을 수밀상태로 유지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에 도시한 연결구본체(1)의 전내주면에 연질고무소재를 일체화하여 패킹부(5)를 형성하여 제9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체결용 돌출연(2), (2)부분의 대향측에도 일체적으로 연설형성하여 연질돌출연(5a)를 형성시키고 또 걸림용돌조(7), (7)도 이 연질고무소재로 형성하여 물막이용돌조(6), (6)내부에 반통형상부재(3), (3)를 형성하는 경질고무 소재를 넣어서 보강부(3a), (3a)를 가지는 구조를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를 한 관연결구는 돌출연(2), (2) 부분에서의 물막이 작용이 보다 더 확실하게 됨으로 대경관용의 연결구에 적합하다.
제10도내지 제13도는 제3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는 연결구본체(1)의 전체를 동질의 경질소재에 의하여 분할통형으로 일체형성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본체(1)의 구조를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연결구본체(1)에 있어서 경질소재제의 2개의 반통형상부재(3), (3)를 유연질소재의 연결부(4)에 의하여 연결시킨 구조로 바꾸어 대향하는 반통형상부분(30), (30)과 체결용 돌출연(2), (2)에 대향하는 부분(40)을 경도 90°의 경질고무소재로 일체적으로 짧은 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체결용 돌출연(2), (2)에 대향하는 부분(40)은 실시예 도면에서는 외측에 리브형상으로 돌출하여 있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통형상부분(30), (30)과 일련으로 연결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은 것을 말할것도 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구본체(1)의 전 내주면에 제1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연결하는 2개의 나선파형관(A), (A)의 관단부(C)를 마주대었을 때, 각각 정상부(a), (a)과 접합하는 패킹부(5)와 패킹부(5)의 일부를 더 내주면측에 돌출시켜서 접속하는 나선파형관(A)의 요입부(b),(b)의 단면형상과 거의 동형이며 그것보다는 좀 더 대형으로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물막이용돌조(6), (6)를 접속하는 나선파형관(A), (A)의 외주면의 나선파형과 거의 같은 나선파형이 되도록하여 경도 30∼35。의 연질고무소재로 연결구본체(1)와 일체적으로 연결형성한 구조를 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의 연결구는 체결용 돌출연(2), (2) 부분의 외측에 ABS 수지제의 눌림판(14), (14)을 접착해있고 한쪽(제11도에 있어서 하측)의 눌림판(14)에는 볼트(12)에 의한 체결용 너트(13)가 일체적으로 묻히게 형성되어 진다. 이와같이하여 양 눌림판(14), (14)에 의하여 양 돌출연(2), (2)의 협지력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양 돌출연(2), (2) 사이에는 제10도에 도시한 스폰지제의 물막이용패킹(15)을 사이에 장치하여 양 돌출연(2), (2)의 간격(11)에서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14도는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유연질부재는 제1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나선파형관(A), (A)의 정상부(a), (a)에 접합하는 패킹부(5)의 두께를 얇게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이 패킹부(5)는 제1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필요에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서 실시할 수가 있다. 이 패킹부(5)의 두께는 임의로 설정되는 사항이다.
위의 각 실시예에서는 경질소재로서 경질고무를 유연질소재로서 연질고무를 사용한 것으로 설명했으나 고무소재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도 좋고 또 경질소재로서 고무와 접착성이 있는 경질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유연질소재로서 연질고무를 사용하든지; 경질소재로서 경질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유연질소재로서 압축변형이 가능하고 수밀성이 좋은 연질합성수지를 사용한다든지, 적당한 소재를 선택하여 짜맞추어 사용할 수가 있다. 또 각각의 경도는 접속하는 나선관의 관경이나 경도, 또는 관내 압력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경도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체결용 돌출연(2), (2)은 실시예에 도시한 볼트공을 마련하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수단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 돌출연(2), (2)의 한쪽에 결합공을 마련하여 다른쪽에 이 결합공과 결합하는 걸림돌기를 마련하여 서로 걸리면서 걸리는 걸림수단을 갖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물막이용돌조(6)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3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패킹부의 전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좋고 걸림용돌조(7)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일부를 물막이용돌조로 하여도 좋다. 한편, 패킹부(5)는 연결구본체(1)의 전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폭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물막이용돌조(6)와 인접하는 위치에 적어도 나선관의 정상부(a)의 1주분(周分)에 접합하도독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좋다. 또 돌출연(2), (2)은 비사용 상태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혹은 제6도 이상의 간격(11)을 가지는 상태로 형성하여 두면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위와같이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실시예만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구성요건을 갖추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다음의 효과를 가지는 범위내에서 적당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설명으로 이미 밝혀진 바와같이 본 고안의 연결구는 연결구 본체를 경질소재로 체결용의 돌출연을 가지는 짧은 통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여, 이 돌출연측 부분을 개폐가능한 것으로하여 그 내주면을 유연질소재로 연결하는 나선파형관에 있어서, 나선파형의 정상부와 접합하여 물막이를 하는 패킹부와 요입부에 감입감합하여 물막이하는 물막이용돌조를 형성한 것으로서 체결용 돌출연을 벌어지는 방향으로 열어서 접속하는 양 나선관을 관단부를 마주대는 형상이 되도록하여 넣고 물막이용 돌조를 양관의 요입부에 감합되도록 위치를 맞춘 뒤 체결용 돌출연을 연결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나선관을 연결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와같은 간단한 수단에 의하여 물막이 상태를 확실히 유지시킨 상태로 나선관의 접속연결을 할 수 있으므로 나선관의 접속이 극히 단시간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된다는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관연결구는 제조하기도 용이하고 싼값으로 시장에 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들을 접속하는 연결구로서 전체가 짧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한쪽이 축선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이 분할부분을 따라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체결용 돌출연(2), (2)을 가지는 경질소재제의 분할통형의 연결구본체(1)와 이 연결구본체(1)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환상으로 형성되고, 접속되는 2개의 나선파형관(A), (A)의 각각의 정상부(a), (a)에 접합하는 유연질소재로 형성된 패킹부(5), (5)와 이 패킹부(5), (5)의 내주면 보다도 더 내주면측에 돌출하는 돌조로서 일부분의 단면형상이 접속하는 나선파형관(A)의 요입부(b) 단면형상과 동일형상이고 동일크기 이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표면이 유연질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물막이용 돌조(6), (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파형관용 관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본체(1)가 2개의 반통형상부재(3), (3)로 형성되어 있어 돌출연(2), (2)과 대향하는 측이 유연질소재의 연결부(4)에 의하여 연결되어 분할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형관용 관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본체(1)의 전체가 동질의 경질소재로 분할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형관용 관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패킹부(5), (5)의 내주면측에 물막이용돌조(6),(6)와는 별개의 돌조로서 접속하는 나선파형관(A)의 요입부(b)와 감합하는 걸림용돌조(7), (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형관용 관연결구.
KR2019920019037U 1991-10-21 1992-10-06 파형관용 관연결구 KR01407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94586 1991-10-21
JP1991094586U JP2550157Y2 (ja) 1991-10-21 1991-10-21 波形管用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121U KR930009121U (ko) 1993-05-25
KR0140708Y1 true KR0140708Y1 (ko) 1999-04-01

Family

ID=1411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9037U KR0140708Y1 (ko) 1991-10-21 1992-10-06 파형관용 관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50157Y2 (ko)
KR (1) KR01407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68B1 (ko) * 2006-10-18 2008-01-08 김동응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장치
KR100834643B1 (ko) * 2006-11-02 2008-06-02 김선홍 삼중관용 소켓 결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584Y2 (ja) * 1992-12-25 1999-03-24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螺旋管の継手用パッキン
JP4732838B2 (ja) * 2005-08-31 2011-07-27 東拓工業株式会社 螺旋管継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68B1 (ko) * 2006-10-18 2008-01-08 김동응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장치
KR100834643B1 (ko) * 2006-11-02 2008-06-02 김선홍 삼중관용 소켓 결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6189U (ja) 1993-05-18
KR930009121U (ko) 1993-05-25
JP2550157Y2 (ja) 199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907A (en) Pipe coupler
EP1832793B1 (en) Pipe coupling with a grip washer
US4202568A (en) Tube joint
US6142484A (en) Composite multi-pressure gasket
US10415728B2 (en) Seal for a pipe coupling
KR0140708Y1 (ko) 파형관용 관연결구
JPH074988U (ja) 管継手
US5280927A (en) Divided sealing ring for seal members in cable fittings
JPH08152084A (ja) 管継手
KR100674497B1 (ko) 공동주택용 전선의 파형보호관 접속체결구
JPS5842893A (ja) ホ−ス用管継手
KR200490588Y1 (ko)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JP2001177964A (ja) 接続部への埋設管の接合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接合構造
JPH0752464Y2 (ja) 異種管接続用継手
GB1561770A (en) Method of joining tubes having a corugated wall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0140709Y1 (ko) 나선파형관용의 이음용 패킹
JP4229246B2 (ja) 可撓性の管継手
KR960009792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JP3386744B2 (ja) 管継手
KR20000009281U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679287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KR100256514B1 (ko)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JPS5916632Y2 (ja) ホ−スの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