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281U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281U
KR20000009281U KR2019980022735U KR19980022735U KR20000009281U KR 20000009281 U KR20000009281 U KR 20000009281U KR 2019980022735 U KR2019980022735 U KR 2019980022735U KR 19980022735 U KR19980022735 U KR 19980022735U KR 20000009281 U KR20000009281 U KR 200000092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inclined surface
annular
tight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2830Y1 (ko
Inventor
박실조
Original Assignee
박실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실조 filed Critical 박실조
Publication of KR20000009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2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830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직경이 굵은 급수관, 송유관, 송기관 등의 유체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관체의 협지부를 결합 강도가 매우 견고하게 개선한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협지링의 외측을 테이퍼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면에 환상돌부를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삽입관의 요입홈에 환상돌기를 형성하여 파이프를 보다 견고하고 밀착성이 양호하게 접관되도록 한 것인바,
본 고안은 양측에 본체나사부(2)와 연결나사부(3)를 형성하여 연결나사부(3) 내부에 안내관(4)을 돌출하여 인입부를 마련하고 협지링(10)과 조임너트(20)로 연결관체(40)를 결합하는 파이프 연결구(1)에 있어서, 돌출된 안내관(4)에 요입홈(5)을 요설시켜 양측단에 패킹링(6)을 끼우고 패킹링 사이에 다수개의 환상돌부(7)를 형성하며, 또한 외면이 경사면부(13)로 되고 일측에 경사진 절개부(12)를 갖는 협지링(10)내벽에 다수개의 환상돌기(11)를 구비하여 경사면부(22)를 갖는 조임너트(20)를 협지링(10)의 경사면부(13)에 접합되도록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
본 고안은 비교적 직경이 굵은 급수관, 난방관, 송유관, 송기관 등 유체관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관체의 접관, 협지부를 개선한 구성에 관한 것으로 협지링을 테이퍼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면에 환상돌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와 대응되는 삽입관 요입홈에 환상돌부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보다 견고하고 밀착성이 양호하게 접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의 외경이 작은 관을 연결하는 부분에서는 판상형의 협지링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수 있으나 이는 협지부가 요입홈에 협지됨에 있어 협지력이 약하고 협지상태가 양호하지 못했다.
종래의 접관 상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내관4의 외면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패킹링6을 끼운 다음 연결관체40을 삽설한 후 평판형으로 협지링10을 외측에 위치시켜 조임너트20를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협지링10이 전후 균일한 압력으로 관체40를 압축하기 어렵고 관체의 내측이 굴곡 요철상으로 결합될 수 없어 밀착력이 약하므로 유체에 대한 수밀 효과가 저조하였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강한 인장력이 미치게 될때 연결부가 쉽게 이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특히 굵은 관체를 협지하는데 있어서 보다 견고하고 밀착성이 양호하게 개선함에 그 특징이 있다.
파이프 연결장치는 협지부로부터 접관부의 밀착성이 충분히 유지되게 관체를 연결시키면서 관체와 연결구의 이탈 현상이 없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연결관체의 안내관에 마련된 치차형으로 된 환상돌부를 다수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협지링 내면에 환상돌부를 형성하여 요철상 결합상태로 구성하고 또한 조임너트의 내부 또는 협지링 외벽에 수개의 압력돌기를 돌설하여 접관함으로서 조임너트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마찰면적을 대폭 축소시켜 조임너트를 조일시에 힘이 적게 들이면서 강력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보다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3은 협지링에 돌기가 돌설된 예시도
도 4는 조임너트의 내부에 돌기가 돌설된 예시도
도 5는 도3의 협지링이 조립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4의 조임너트가 조립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결구 2:본체나사부
3:연결나사부 4:안내관
5:요입홈 6:패킹링
7,11:환상돌부 10:협지링
12:절개부 13,22:경사면부
14,23:압착돌기 20:조임너트
21:연결나사부 30,40:연결관체
도 1은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구1는 통상의 구조와 같이 양측으로 본체나사부2와 연결나사부3가 형성되고 연결나사부3 내부에 안내관4을 돌출 형성하여 관체삽입부를 마련하고 돌출된 안내관4에 요입홈5을 요설시켜 양측단으로 패킹링6을 끼우고 패킹링 사이에는 수개의 환상돌부7를 돌출시킨다.
또한 협지링10은 내면에 다수의 환상돌부11를 형성하고 일측방에 절개부12를 가지며 외면은 경사면부13으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관4의 요입홈5과 대향으로 위치시키며,연결나사부3에는 협지링10 외벽에 접합되는 경사면부22와 연결나사부21를 갖는 조임너트20를 결합하여 연결관체40를 안내관4의 환상돌부7와 협지링10에 의해서 연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고안의 협지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내부에 다수의 환상돌부11를 경사지게 돌설(突設)하고 일측에 경사진 절개부12를 가지는 협지링10의 경사면부13에 다수 개의 압력돌기14를 형성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임너트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조임너트20의 경사면부22에 다수개의 압력돌기23를 형성한다.
조임너트20에 압력돌기23를 형성할 때에는 협지링10 측 절개부의12의 경사각을 작게 하므로서 조임너트20를 돌릴시 압력돌기23가 절개부12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상기 구성중 요입홈5의 구성과 협지링10의 구성에 대한 별도 실시예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관4에 요입홈5을 요설하여 그 내측에 환상돌부7를 형성 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요입홈4 대신 융기부5a를 안내관4의 표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하여 이에 패킹링6과 환상돌부7를 형성하였으며 협지링10은 상기 융기부5a에 상응한 요입홈10a을 형성하고 환상돌부11를 돌설하여 역시 연결관체40를 상하 방향에서 요철 상태로 협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구1의 본체나사부2에서는 큰 직경의 연결관체30를 나사결합하고 작은 직경의 연결관체40는 안내관4에 끼우고 협지링10을 요입홈5 외측에 위치시킨 후 조임너트20를 연결나사부3에 결합하고 조임너트20 내측의 경사면부22가 협지링10의 경사면부13와 밀착되도록 한 후 조임너트20를 돌리면 협지링10이 연결관체30측으로 강하게 밀려서 밀폐기능이 발휘되는 바 이의 연결장치 및 방법은 지금까지 일반화된 접관구조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안내관4 일측에 요입홈5을 형성하여 그 요입홉에 환상돌부7를 형성하고 또한 협지링10의 내부에도 환상돌부11를 형성하여 이들 환상돌부7,11가 연결관체40의 내, 외 표면에 요철상 결합이 되도록 한 것으로서 조임너트20의 연결나사부21를 조이게 되면 조임너트20의 경사면부22가 협지링10의 경사면부13를 밀어 연결관체40의 표면에 환상돌부7,11가 강제적으로 압착 침투되어 요철형으로 맞물리는 완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체40는 안내관4의 요입홈5 양측단으로 끼워진 패킹링6에 의해 밀폐상태가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환상돌부7,11패킹링6에서 3중으로 동시에 밀폐되어 종래의 접관 수단에 비해 밀폐면적이 더욱 넓어지므로 유체에 대한 밀폐효과가 대폭 향상되고 안내관4의 환상돌부7는 연결관체4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결착력을 높여주므로 외부에서 강한 인장력이 미치더라도 연결관체40의 이완이 없고 요입홈5에서 강한 협지력과 밀폐력을 발휘하여 양호한 접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조임너트20는 연결나사부3에 나삽하여 체결할 때 내측의 경사면부22와 협지링10의 경사면부13가 평면상태로 마찰되면서 체결되므로 마찰면적이 넓어져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 조작 작업을 할 시에 비교적 많은 힘이 들게 된다.
본 고안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코져 협지링10의 경사면13에 압력돌기14를 돌설하므로서 조임너트20를 돌릴 때 주로 압력돌기14 부분이 조임너트20의 경사면부22에 접촉되므로 마찰면적이 대폭 감소된다.
따라서 조임너트20를 돌릴시 힘이 적게 들어 관체연결 작업의 능률성이 보장된다.
또한 별도 실시예로서 도 4와 같이 조임너트20의 경사면부22에 압력돌기23를 돌출시켜도 상기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관체의 재질이나 배관수밀도의 소요특성에 따라서 상기 압력돌기14,23및 패킹6을 생략하고 본 고안을 실시 할수도 있다.
이때 협지링10의 절개부12는 절개각도를 작게하였으므로 조임너트20를 돌릴 시 내측의 경사면부에 돌출된 압력돌기23가 절개부12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작동이 이루어 진다.
도 9는 연관관체40의 협지장치에 대한 별도 실시예로서 상기한 안내관4의 요입홈5과는 달리 동일한 규격의 융기부5a를 안내관4 위에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이에 패킹링6과 환상돌부7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협지링10 내측에는 상기 융기부5a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요입홈10a 및 환상돌부7를 형성 하였는바 이 역시 조임너트20를 연결나사부3 쪽으로 조여 주면 전기한 바와 같이 연결관체40는 상하측의 환상돌부11, 7에 의해 톱니처럼 맞물리는 완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양호한 접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연결관체40의 협지를 담당하는 요입홈5의 폭W은 협지링10의 폭W′보다 커야하고 [W〉W′], 융기부5a의 폭W은 협지링10측 요입홈10a의 폭W′보다 작은 [W〈W′] 규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수도관등 유체관은 합성수지 재질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므로 본 고안의 이러한 환상돌부7,11에 의한 접관 구조는 연결관체4의 표면에 상기 환상돌부7,11가 재질 자체의 유연성으로 인해 강제적으로 침투되어 견고한 요철상 결합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종래의 평면 접합에 의한 접관 구조보다 접관 강도 및 밀폐성이 월등히 개선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대소 구경의 관체를 접관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측관체가 삽입되는 안내관측에는 환상돌부7를 돌설한 요입홈5을 환설하고 또한 조임 협지링10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환상돌부11를 돌설하여 연결관체의 내외측을 동시에 요철상태로 고정시키므로서 관체의 접관시 견고성과 수밀성(水密性)을 종래보다 월등이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측에 본체나사부2와 연결나사부3가 형성되고 연결나사부3 내부에 안내관4은 돌출하여 삽입부를 마련하고 협지링10과 조임너트20로 연결관체40로 결합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연결관체가 접관되는 안내관4에 요입홈5을 요설하며 양측면에 패킹링6을 끼우고 패킹링 사이에 다수개의 환상돌부7를 형성하여
    외면이 경사면부13로 되고 일측방에 경사진 절개부12를 갖는 협지링10 내부에 다수개의 환상돌부11를 돌설하여 협지링10의 경사면부13가 조임너트20의 경사면부22에 결합되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관4에 요입홈5과 동일 규격의 융기부5a를 돌설하여 이에 패킹링6을 끼우고 환상돌부7를 돌설하며, 협지링10에는 요입홈10a을 요설하여 그 내측에 환상돌부7를 돌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협지링10의 경사면부13에 다수개의 압력돌부14를 돌출시켜 회동시에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조임너트20의 경사면부22에 압력돌부23를 돌출시켜서 회동시에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협지링10의 폭W'을 요입홈5의 폭W보다 작게하고 환상돌부7의 높이를 안내관4 보다 낮게하여여 관체가 요입홈5쪽으로 절곡되어 밀폐력이 강화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장치.
KR2019980022735U 1998-10-28 1998-11-18 파이프연결장치 KR2002328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1247 1998-10-28
KR2019980021247 1998-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281U true KR20000009281U (ko) 2000-05-25
KR200232830Y1 KR200232830Y1 (ko) 2001-08-07

Family

ID=6951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735U KR200232830Y1 (ko) 1998-10-28 1998-11-18 파이프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8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948B1 (ko) * 2002-08-14 2005-04-29 태광농자재주식회사 농업용수 연결부재와 수지재 파이프의 결합구조
KR100815356B1 (ko) * 2001-05-03 2008-03-19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밸브수단
KR20200080091A (ko) 2018-12-26 2020-07-06 김경민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670B1 (ko) * 2016-11-16 2018-11-22 (주)태진에스티아이 강관 전신주 연결 커플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56B1 (ko) * 2001-05-03 2008-03-19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밸브수단
KR100485948B1 (ko) * 2002-08-14 2005-04-29 태광농자재주식회사 농업용수 연결부재와 수지재 파이프의 결합구조
KR20200080091A (ko) 2018-12-26 2020-07-06 김경민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200084840A (ko) 2018-12-26 2020-07-13 김경민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830Y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472Y1 (ko) 파이프 이음관용 홀더
KR20000009281U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RU98112586A (ru) Пробка с уплотняющей прокладкой для патрона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крана
KR950008948Y1 (ko) 복합관 연결구
JP3954737B2 (ja) エンジンおよびラジエータ間を連結する合成樹脂製上、下部水ホースの接続構造
KR102465296B1 (ko) 수도관 체결 소켓
JPH02159492A (ja) ホース口金具
KR880000385Y1 (ko) 관 접 속 구
KR200339779Y1 (ko) 배관연결구조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JP4229246B2 (ja) 可撓性の管継手
KR100312159B1 (ko) 관이음구
KR100515135B1 (ko)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KR200419731Y1 (ko) 파이프 연결용 고무패킹
KR200220053Y1 (ko) 관 연결구
JP2544629Y2 (ja) プラスチック管の継手装置
KR880003813Y1 (ko) 나선형 코러게이트관 연결구
KR200288643Y1 (ko) 나사 조임식 이음관
KR910008561Y1 (ko) 관체의 접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