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651B1 - 파형 강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형 강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651B1
KR101871651B1 KR1020180048544A KR20180048544A KR101871651B1 KR 101871651 B1 KR101871651 B1 KR 101871651B1 KR 1020180048544 A KR1020180048544 A KR 1020180048544A KR 20180048544 A KR20180048544 A KR 20180048544A KR 101871651 B1 KR101871651 B1 KR 10187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steel pipe
corrugated steel
wat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영
김덕기
주지원
김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Priority to KR102018004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단된 각각의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과 다른 파형강관이 상호 맞물리는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띠형상으로 형성하며 틈새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팽창 지수재와, 상기 수팽창 지수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수밀성을 보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의 외측에 위치하며 파형강관 돌레 전 방향에서 압력을 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체결장치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심플 민자형 커플러밴드의 이음방식으로 인해 파형강관의 일측에 재골 성형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의 단순화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폼타입 또는 열가소성 고무밴드 재질의 가스켓 내면에 파형강관과 동일한 나선형의 가스켓을 형성하여 가스켓으로 하여금 파형강관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나선형 가스켓 체결시 실링 작업 없는 간편한 시공 방법으로 높은 수밀성을 제공하는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형 강관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ipe}
본 발명은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개의 파형강관을 맞댄 사이에 수팽창지수재를 감은 후 여러겹을 가스켓을 위치하고 마지막에 심플민자형 커플러밴드를 결합하되 볼트 및 너트로 조임으로서, 파형강관 골을 커플링밴드의 골과 일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재성형을 하지 않고도 수밀성 보안 및 공정간소화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파형강관은 용융아연도금강판을 물결모양으로 성형하여 강성을 높여 나선형으로 조관된 연성관을 말한다.
상기 파형강관은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 내부식성을 갖춰 수명이 길고 경제적이면서 시공이 간편한 이상적인 배수 구조물로 각종 토목공사의 배수관에 사용되며, 산업단지, 택지개발, 골프장, 아파트, 지하통로, 도로공사 현장과 우수저류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파형강관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길다란 철판을 주입하여 골을 형성한다. 골이 다 형성된 후에는 철판과 철판이 맞물리는 부분이 락심 날개를 형성하고, 락심이 형성된 철판을 조관기에 진입하여 강관이 나선형으로 조관되면서 락심의 좌측 아래쪽으로 보는 날개와 우측 위쪽으로 보는 날개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유압에 의하여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조관기에 진입한 철판은 30~60°정도의 기울기로 가지면서 나선형으로 조관될 수 있도록 한다.
조관이 완료된 파형강관은 30~180㎝의 길이로 재단될 수 있도록 하며, 재단이 완료된 파형강관은 현장으로 옮겨져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재단된 파형강관은 현장에서 커플링 밴드에 의해 접합방식으로 체결하게 되는데, 밴드 특성상 체결을 위해 나선형의 파형강관골을 커플링 밴드이 골과 모양이 일치하도록 재골 설비를 이용하여 재성형한다.
상기와 같은 제작 방식의 커플링밴드 체결방식은 제작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현재 파형강관 업체의 대부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커플링 밴드의 체결을 위해 기존 나선형 골이 형성된 강관에 커플링밴드의 골과 일치하는 일직선으로 된 골을 재성형 하므로 나선형 강관일 때의 외압강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재성형으로 인한 아연도금 및 PE의 박리 파괴가 일어나며 락심부분의 벌어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의 파형강관(길이 30~160cm)을 현장에서 재골형성하기 위하여 재골형성기로 재골형성하는 공정이 번거롭고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1735호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7920호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에서 파형강관의 재성형없이 나선형 강관의 외압강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볼트/너트 체결방식을 간소화하여 고정이 가능한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6각모양 클램프 방식이 아닌 폭이 좀 더 넓은 원형의 커플러밴드를 제작하여 파형강관 양 끝에 감겨져 있는 수팽창지수재 또는 가스켓을 더 고른 압력으로 압박하여 수밀성을 높이고, 제작되어지는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브라켓을 삽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체결방식을 더 간소화하는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단된 각각의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과 다른 파형강관이 상호 맞물리는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띠형상으로 형성하며 틈새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팽창 지수재와; 상기 수팽창 지수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수밀성을 보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의 외측에 위치하며 파형강관 돌레 전 방향에서 압력을 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체결장치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수팽창 지수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내측에 나선형이 형성된 제1가스켓과; 상기 제1가스켓의 외측에 위치하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성되는 제2가스켓과; 상기 제2가스켓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가스켓은 고무발포제로 형성되되, 내측에 나선형을 형성하여 실링 작업 없는 간편한 시공 방법으로 높은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가스켓은 네오플랜 소재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밴드는 스틸소재로 형성되되 얇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태로 벤딩될 수 있도록 하는 벤딩부재와; 상기 벤딩부재의 양측 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체결장치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각형상으로 상기 벤딩부재의 상면과 접합되는 고정판재와; 상기 고정판재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밴드와 체결장치는 플렌치형 접합방식을 채택하여 수밀성이 보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밴드는 민자형상으로 형성하며, 고정부에 체결되는 체결장치의 죔 정도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심플 민자형 밴드의 이음방식으로 인해 파형강관의 일측에 재골 성형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의 단순화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폼타입 또는 열가소성 고무밴드 재질의 가스켓 내면에 파형강관과 동일한 나선형의 가스켓을 형성하여 가스켓으로 하여금 파형강관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나선형 가스켓 체결시 실링 작업 없는 간편한 시공 방법으로 높은 수밀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러밴드를 고정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볼트의 죔정도에 따라 커플러밴드에 의한 압력이 파형강관 둘레 전방향에서 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며, 길이방향으로 긴 볼트를 이용하여 커플러밴드를 체결하므로 직경의 크기와 상관없이 모든 파형강관의 연결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맞물려 있는 가스켓의 하층 인입홈에 수팽창 지수재를 체결하여 파형강관내 유체가 흐를시 혹여의 누수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팽창하여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파형강관의 절단면과 절단면 사이의 틈새 수밀도 높이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포함된 민자형 커플러 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포함된 민자형 커플러 밴드에 체결장치가 결합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포함된 민자형 커플러 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포함된 민자형 커플러 밴드에 체결장치가 결합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파형 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된 각각의 파형강관(10)과, 상기 파형강관(10)과 다른 파형강관(10)이 상호 맞물리는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띠형상으로 형성하며 틈새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팽창 지수재(20)와, 상기 수팽창 지수재(20)의 외측에 위치하며 내측에 나선형이 형성된 제1가스켓(30)과, 상기 제1가스켓(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성되는 제2가스켓(40)과, 상기 제2가스켓(4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가스켓(50)과, 상기 제2가스켓(5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가스켓(30), 제2가스켓(40) 및 제3가스켓(50)을 차례로 가압한 상태로 체결장치(70)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밴드(60)를 포함한다.
상기 파형강관(10)은 강판 또는 아연 도금 강판 또는 55 % 알루미늄 아연 합금 도금 강판을 규정의 모양 치수로 냉간으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상기 강판을 이용하여 중앙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곡홈을 형성하고, 강판의 양측에 락심 날개를 형성하여 조관기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조관기에 진입한 강판은 나선형으로 조관되면서 강판의 좌우측에 형성된 락심 날개가 맞물려 압착되므로 나선형이 형성된 강관이 형성된다. 이때, 강판은 30~60°의 기울기로 조관되며, 내측의 직경은 대략 30㎝정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관된 강관은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재단되는데 이때의 길이는 30~180㎝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일정한 길이로 재단된 강관은 현장에 이송되어 현장에 필요한 길이만큼 다수개의 강관을 상호 결합하여 사용한다.
일렬로 나열된 다수개의 파형강관(10)은 커플링밴드, 헬리컬플랜지, 스크루 플랜지 등의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커플링밴드를 이용한 방법은 시공이 쉽고 간편하며, 수밀성이 뛰어나 오,폐수 등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일반 파형강관에 많이 적용되나, PE 피복파형강관의 양끝을 나선파형에서 곡선파형으로 재굴록하여 곡선 파형으로 되어 있는 커플링 밴드와 골과 골이 맞아 틈새가 없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핼리컬플랜지나 스크루 플랜지 방법 또는 상기 커플링밴드 방법과 같이 곡선이 형성되어 있어 재골하는 성형방법이 추가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플링밴드와 스크루플렌치 접합방식의 장점을 각각 착안하여 수밀도 높임과 동시에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제결방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내용은 후술되는 커플러밴드(50)와 체결장치(6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팽창 지수재(20)는 띠형상으로 형성하며 맞대어진 파형강관(10)과 다른 파형강관(10)의 사이에 감싸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팽창 지수재(20)는 물과 접촉하면 400%이상 팽창하여 6KG/㎠이상의 수팽창 압을 유지하여 빈공간 및 물길을 완전히 밀폐시켜 지수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서, 파형강관(10)내 유체가 흐를시 혹여의 누수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팽창하여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파형강관의 절단면과 절단면 사이의 틈새 수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팽창 지수재(20)는 변성고무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고무재, 벤토나이트, 천연산 소디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스켓(30)은 상기 수팽창 지수재(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이어진 파형강관(10)과 다른 파형강관(10)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고무발포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가스켓(30)은 내측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팽창 지수재(20)에 의해 수밀성을 보안할 수 있도록 하며, 내측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파형강관(20)과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나선형 가스켓 체결시 실링 작업 없는 간편한 시공 방법으로 높은 수밀성을 제공한다.
상기 제2가스켓(40)는 상기 제 1가스켓(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스켓(30)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네오프렌 소재로 사용된다.
네오프렌 소재의 가스켓을 이용하는 것은 상기 네오프렌이 내유성을 가진 합성고무로 화학 약품에도 강하며, 내후, 내오존성이 좋고 내굴곡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3가스켓(50)는 상기 제2가스켓(4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커플러밴드(60)의 체결시 압력을 파형강관 둘레 전방향에서 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가스켓(50)은 발수 처리된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커플러밴드(60)는 상기 제3가스켓(5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체결장치(70)에 의해 제1가스켓(30), 제2가스켓(40) 및 제3가스켓을 차례로 가압하여 후술되는 체결장치(70)의 조임에 따른 압력으로 파형강관의 원둘레 전체에 고른 압력으로 단단한 체결과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플러밴드(60)는 스틸소재로 형성되되 얇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태로 벤딩될 수 있도록 하는 벤딩부재(61)와, 상기 벤딩부재(61)의 양측 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체결장치(7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6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62)는 상기 사각형상으로 상기 벤딩부재(61)의 상면과 접합되는 고정판재(621)와, 상기 고정판재(62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623)이 형성된 결착부(6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밴드(60)는 상기 제3가스켓(50)을 감싸면서 일단과 타단이 겹쳐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밴드(60)의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고정부(62)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62)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623)이 동일한 위치 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도 5a 참조).
상기 체결장치(70)는 볼트(71)와 너트(72)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71)는 일단이 상기 각각의 관통공(623)에 삽입되며 너트(7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너트(72)의 죔정도에 따라 상기 커플러밴드(60)에 의한 가압력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도 5b 참조).
상기 커플러밴드(60)는 굴곡된 형상이 아닌 민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다단으로 형성된 가스켓의 외측을 가압하며, 상기 커플러밴드(60)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에 너트와 볼트를 직접적으로 체결된 것이 아니라 상기와 같이 일측에 고정부(6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62)에 체결장치(70)로 고정하게 되므로서, 관구경에 따라 커플러밴드(60)의 규격을 달리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편리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강관(10)의 일측을 재골성형하지 않고 플렌치형 접합방식을 채택함으로서 수밀성이 보안되며, 본래의 외압강도를 유지하고, 재골성형시 도금층의 파괴 및 박리 현상 또는 락심의 벌어짐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가스켓의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성되며 여러개의 가스켓의 적층시킴으로서 고도의 수밀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커플러 밴드를 민자형으로 형성하여 커플러 밴드의 양단 결착을 용이하게 하며, 길이가 긴 볼트를 이용하여 커플러 밴드의 양단을 결합하므로 강관의 직경에 상관없이 볼트의 죔 정도에 따라 모든 파형강관(10)의 결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파형강관
20 : 수팽창 지수재
30 : 제1가스켓
40 : 제2가스켓
50 : 제3가스켓
60 : 커플러밴드
70 : 체결장치

Claims (1)

  1. 재단된 각각의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과 다른 파형강관이 상호 맞물리는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띠형상으로 형성하며 고무재, 벤토나이트, 천연산 소디움을 포함하는 변성고무재로 이루어져 맞물려 있는 부분에 누수시 물과 접촉하여 400% 이상 팽창하여 틈새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팽창 지수재와,
    상기 수팽창 지수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고무발포제로 형성되되, 내측에 나선형을 형성한 제1가스켓; 상기 제1가스켓의 외측에 위치하며 네오플랜 소재의 제2가스켓과; 상기 제2가스켓의 외측에 위치하며, 발수 처리된 수지재로 이루어진 제3가스켓과;
    상기 제3가스켓의 외측에 위치하며 민자형상으로 되고, 스틸소재로 된 벤딩부재의 상면과 접합되는 사각의 고정판재와 상기 고정판재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결착부로 된 고정부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장치의 죔 정도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렌치형 접합방식의 커플러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1020180048544A 2018-04-26 2018-04-26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10187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544A KR101871651B1 (ko) 2018-04-26 2018-04-26 파형 강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544A KR101871651B1 (ko) 2018-04-26 2018-04-26 파형 강관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564A Division KR101854566B1 (ko) 2017-07-28 2017-07-28 파형 강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651B1 true KR101871651B1 (ko) 2018-08-02

Family

ID=6325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544A KR101871651B1 (ko) 2018-04-26 2018-04-26 파형 강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986B1 (ko) 2021-09-06 2021-12-03 주식회사 다은 재골부의 내부 보강 및 누수방지 기능이 구비된 파형강관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82Y1 (ko) 2002-03-07 2002-06-01 (주)청화금속 강관 연결구조
KR100886363B1 (ko) 2008-04-30 2009-03-03 양정현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1663260B1 (ko) 2015-12-24 2016-10-07 서상모 파형강관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82Y1 (ko) 2002-03-07 2002-06-01 (주)청화금속 강관 연결구조
KR100886363B1 (ko) 2008-04-30 2009-03-03 양정현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1663260B1 (ko) 2015-12-24 2016-10-07 서상모 파형강관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986B1 (ko) 2021-09-06 2021-12-03 주식회사 다은 재골부의 내부 보강 및 누수방지 기능이 구비된 파형강관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3922A (en) Pipe joint
US6938933B2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US81867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KR10159902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976588B1 (ko) 배관연결구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2217481B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100886363B1 (ko)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1871651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101854566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291976B1 (ko) 이중수밀구조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내부평활 파형강관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277282Y1 (ko) 강관 연결구조
KR101038511B1 (ko) 파형 강관의 연결 구조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200017023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KR100835078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11599920U (zh) 一种内衬管连接接头
KR101056929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RU2381408C2 (ru) Хомут-стяжка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зиновой манжеты на трубопроводе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200070166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방법
KR101589031B1 (ko)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