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481B1 -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481B1
KR102217481B1 KR1020200138969A KR20200138969A KR102217481B1 KR 102217481 B1 KR102217481 B1 KR 102217481B1 KR 1020200138969 A KR1020200138969 A KR 1020200138969A KR 20200138969 A KR20200138969 A KR 20200138969A KR 102217481 B1 KR102217481 B1 KR 102217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rrugated steel
corrugated
steel pipe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원
전근식
임창희
임창길
한형산
김순희
한효익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주)삼명이엔씨
(주)구마이엔씨
㈜구마
㈜삼명종합건설
(주)구마건설
㈜구마엔지니어링
㈜구마환경건설
㈜구마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명이엔씨, (주)구마이엔씨, ㈜구마, ㈜삼명종합건설, (주)구마건설, ㈜구마엔지니어링, ㈜구마환경건설, ㈜구마씨앤씨 filed Critical (주)삼명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3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481B1/ko
Priority to PCT/KR2021/002536 priority patent/WO20220924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4Reinforced pipes

Abstract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는, 강판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의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형강관(10);
연성 재질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관(20); 및
상기 파형강관(10)의 내측면과 내부관(20)의 외측면 사이에 충진되어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을 일체화하는 충진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20)의 내측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Leak preventive corrugated complex pipe assembly}
본 발명은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 내부에 매끈한 내주면이 형성된 내부관을 충진재로 결합함으로써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한편, 내부관의 전방 단부는 파형강관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되 파형강관에 삽입된 내부관의 삽입부 후방에는 고무링이 삽입되어 시공현장에서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를 별도의 장비없이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항만, 하수종말처리장 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재의 흄관은 자체의 중량 및 부피 증가로 인해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고, 또한 시공 시 중장비의 투입이 요구되며, 거푸집 설치 및 해체와 관련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공사기한을 맞추기 힘든 단점이 있는 한편, 기초 시멘트 및 연결부의 동결로 인해 동절기에는 시공이 제한되고, 연결부위의 증가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져 전반적인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재의 흄관은 강도는 우수하나, 그 운반 및 시공 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쉽게 균열 또는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 등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여 표면에 나선형의 굴곡부를 형성한 형태의 파형강관을 일반배수관, 생활하수관, 공장배수관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파형강관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나선파형들이 반복되어서 우수 및 오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져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우수 및 오수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내부를 따라 흐르는 우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통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이렇게 파형강관의 굴곡면에 이물질 등이 잔류하게 됨에 따라 부패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파형강관은 이웃하는 파형강관과 결합할 때 충진재를 결합부에 바르고 클램프로 조이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몰탈과 같은 충진재를 시공현장에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고, 클램프의 조임력 감소에 따라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장비없이 시공현장에서 결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파형강관 조립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등록특허 10-18851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고 악취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없이 시공현장에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곡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판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의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형강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관; 및
상기 파형강관의 내측면과 내부관의 외측면 사이에 충진되어 파형강관과 내부관을 일체화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의 내측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부관은 전방 단부가 소정 길이로 상기 파형강관에 대해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파형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진재에 의해 파형강관에 고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형강관은 충진재에 의해 상기 내부관의 삽입부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와, 내측면의 오목홈에 나선형 고무링이 삽입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관의 제2 체결부는 이웃하는 내부관의 노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무링이 상기 제2 체결부와 노출부 사이에서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부관은 합성수지, 콘크리트, 석고, 강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노출부의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파형강관과 결합시 고무링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노출부는 삽입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된 제2 체결부가 구비된 이웃하는 파형강관과 결합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는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고 악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없이 시공현장에서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파형복합관 조립체로 곡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판으로 파형강관이 제작되어 내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가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제1 실시예는 직선관으로서, 파형강관(10), 내부관(20), 충진재(30)를 포함한다.
파형강관(10)은 재질이 강판으로 이뤄지며,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형강관(10)은 두께 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파형강관(10)의 내부에는 내부관(20)이 삽입된다.
내부관(20)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PE)이나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 콘크리트, 석고, 강철 중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내부관(20)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주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관(20)의 내주면이 매끈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수관으로 사용할 경우 이물질이 내주면에 부착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내부관(20)의 외주면에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내부관(20)은 노출부(21)와 삽입부(22)를 포함한다.
노출부(21)는 내부관(20)에서 전방 단부가 소정 길이로 파형강관(10)에 대해 노출되는 부분을 말한다.
삽입부(22)는 내부관(20)에서 파형강관(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관(10)에 삽입된 내부관(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충진재(30)를 주입한다.
충진재(30)로는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을 고정시키는 목적 이외에 강도, 수밀성, 시공편의성, 열손실차단 등을 고려하여 몰탈, 석고, 단열재 등을 용도에 따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파형강관(10)은 제1 체결부(11)와, 제2 체결부(12)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11)는 파형강관(10)에서 충진재(30)에 의해 내부관(20)의 삽입부(2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2 체결부(12)는 파형강관(10)에서 내부관(20)의 삽입부(22)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을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웃하는 후방에 배치된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체2 체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오목홈에는 나선형 고무링(40)이 삽입된다.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에는 이웃하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되고, 고무링(40)이 제2 체결부(12)와 노출부(21) 사이에서 억지끼움되어 두 개의 파형강관(10)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파형강관(10)은 이웃하는 파형강관(10)과 결합할 때 충진재(30)를 결합부에 바르고 클램프로 조이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몰탈과 같은 충진재(30)를 시공현장에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고, 클램프의 조임력 감소에 따라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 사이에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시키고, 내부관(20)이 삽입되지 않은 파형강관(10)의 내측면에 나선형 고무링(40)을 부착하는 작업은 공장에서 이뤄지도록 하고, 시공현장에서 이웃하는 파형복합관과 결합할 때는 노출된 내부관(20)의 노출부(21) 주위에 윤활유를 도포하여 고무링(40)이 고정된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현장에서는 별도의 장비 없이 이웃하는 파형강관(10)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고무링(40)은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와 내부관(20)의 노출부(21) 사이에 억지끼움되므로 누수를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내부관(20)의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노출부(21)에 감겨지는 고무링(40)을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삽입부(22) 외주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몰탈에 의한 고정력을 높여 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가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10) 조립체의 제2 실시예는 곡관이다.
종래에는 파형강관(10)을 곡관으로 형성하기 위해 짧은 길이의 직선관을 서로 용접하여 곡관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작방법은 용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곡관의 파형강관(10)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부(22)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파형강관(10) 조립체를 결합하기 위해,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 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된다.
이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노출부(21)에 이웃하는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 단부가 연이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사진 노출부(21)는 고무링(40)이 내측면에 고정된 이웃하는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를 경사지게 형성한 후, 일단부가 사선으로 절단된 파형강관(10)으로 상기 노출부(21)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파형강관(10)을 곡관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파형강관 내부에 매끈한 내주면이 형성된 내부관을 충진재로 결합함으로써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한편, 내부관의 전방 단부는 파형강관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되 파형강관에 삽입된 내부관의 삽입부 후방에는 고무링이 삽입되어 시공현장에서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를 별도의 장비없이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파형강관
11 : 제1 체결부
12 : 제2 체결부
20 : 내부관
21 : 노출부
22 : 삽입부
30 : 충진재
40 : 고무링

Claims (5)

  1. 유체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있어서,
    강판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의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형강관(10);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관(20); 및
    상기 파형강관(10)의 내측면과 내부관(20)의 외측면 사이에 충진되어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을 일체화하는 충진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20)의 내측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부관(20)은 전방 단부가 소정 길이로 상기 파형강관(10)에 대해 노출되는 노출부(21)와, 상기 파형강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진재(30)에 의해 파형강관(10)에 고정되는 삽입부(22)를 포함하며,
    상기 파형강관(10)은 충진재(30)에 의해 상기 내부관(20)의 삽입부(22)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11)와, 내측면의 오목홈에 나선형 고무링(40)이 삽입되는 제2 체결부(12)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는 이웃하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되어 상기 고무링(40)이 상기 제2 체결부(12)와 노출부(21) 사이에서 억지끼움되고,
    파형강관이 이웃하는 파형강관과 결합할 때, 내부관이 파형강관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20)은 합성수지, 콘크리트, 석고, 강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21)의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파형강관(10)과 결합시 고무링(4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21)는 삽입부(22)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된 제2 체결부(12)가 구비된 이웃하는 파형강관(10)과 결합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1020200138969A 2020-10-26 2020-10-26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10221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69A KR102217481B1 (ko) 2020-10-26 2020-10-26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PCT/KR2021/002536 WO2022092452A1 (ko) 2020-10-26 2021-03-02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69A KR102217481B1 (ko) 2020-10-26 2020-10-26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481B1 true KR102217481B1 (ko) 2021-02-19

Family

ID=7468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69A KR102217481B1 (ko) 2020-10-26 2020-10-26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7481B1 (ko)
WO (1) WO202209245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050B1 (ko) * 2021-05-20 2021-08-03 (주)삼명이엔씨 파형강관이 사용된 내진형 맨홀
WO2022092452A1 (ko) * 2020-10-26 2022-05-05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102487985B1 (ko) * 2022-07-21 2023-01-12 (주)광신공조 스파이럴 심덕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파이럴 심덕트 및 스파이럴 심덕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47A (ja) * 1994-06-24 1996-01-16 Torii Kasei Kk 二重コルゲート管
JPH09264461A (ja) * 1996-03-27 1997-10-07 Aron Kasei Co Ltd 波形管
JP2001268765A (ja) * 2000-03-21 2001-09-28 Torii Kasei Kk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KR20040049948A (ko) * 2002-12-05 2004-06-14 김복순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6296A (ko) * 2010-07-12 2012-01-18 황광진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1885149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164Y1 (ko) * 2002-03-05 2002-08-22 김선호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JP2003301560A (ja) * 2002-04-08 2003-10-24 Totaku Industries Inc シース用継手及びこれを使用したシースの接続構造
KR102217481B1 (ko) * 2020-10-26 2021-02-19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47A (ja) * 1994-06-24 1996-01-16 Torii Kasei Kk 二重コルゲート管
JPH09264461A (ja) * 1996-03-27 1997-10-07 Aron Kasei Co Ltd 波形管
JP2001268765A (ja) * 2000-03-21 2001-09-28 Torii Kasei Kk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KR20040049948A (ko) * 2002-12-05 2004-06-14 김복순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6296A (ko) * 2010-07-12 2012-01-18 황광진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1885149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452A1 (ko) * 2020-10-26 2022-05-05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102285050B1 (ko) * 2021-05-20 2021-08-03 (주)삼명이엔씨 파형강관이 사용된 내진형 맨홀
KR102487985B1 (ko) * 2022-07-21 2023-01-12 (주)광신공조 스파이럴 심덕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파이럴 심덕트 및 스파이럴 심덕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452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481B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JP5162499B2 (ja) 波形合成樹脂管の接続構造および該接続構造に用いる波形合成樹脂管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KR102268287B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소켓 조립체
KR102268288B1 (ko) 충진캡이 구비된 파형복합관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68285B1 (ko) 누수가 방지되는 t자 파형소켓 조립체
JP2001221390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構造
KR102256982B1 (ko) 파형강관이 사용된 맨홀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200198028Y1 (ko) 이중 피이시이트 피복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 접합구조
KR101871651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200191989Y1 (ko)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JP4495268B2 (ja) ライニング管の接続方法及びライニング管接続部材
KR100835078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3556895B2 (ja) 埋設管の性能向上が可能な更生工法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10258153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N214500379U (zh) 防渗型排污管道连接结构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240441Y1 (ko) 수로관
KR101589031B1 (ko)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200255556Y1 (ko)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CN214838995U (zh) 螺旋缠绕复合地下管道
JPH0633436A (ja) 水路トンネル内面の補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