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989Y1 -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989Y1
KR200191989Y1 KR2020000001201U KR20000001201U KR200191989Y1 KR 200191989 Y1 KR200191989 Y1 KR 200191989Y1 KR 2020000001201 U KR2020000001201 U KR 2020000001201U KR 20000001201 U KR20000001201 U KR 20000001201U KR 200191989 Y1 KR200191989 Y1 KR 200191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flange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중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시공성 등이 우수하여 오폐수관, 도로배수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이중으로 피복처리하여 성형되는 나선형 이중코팅 파형강관을 이음연결시, 고밀도 폴리에틸렌재의 플랜지와 파형강관사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접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된 이중의 피복시이트층이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되어 성형되는 파형강관 및 상기 파형강관 외측으로 결합되는 플랜지부의 내주연 입출구단에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형강관의 피복시이트층을 용융시켜 수밀가능하게 접합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충입되는 융착부가 형성되며,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이음연결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오폐수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중으로 피복처리하여 성형되는 나선형 이중코팅 파형강관을 이음연결시, 고밀도 폴리에틸렌재의 플랜지와 파형강관사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접합함에 따라 작업공수 단축으로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나선형 파형강관의 외주연 틈새를 통하여 오폐수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파형강관의 강도, 내산화성, 내부식성이 강화되어 파형강관의 사용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flange conneted structure of double PE coating corrugated steel pipe}
본 고안은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시공성 등이 우수하여 오폐수관, 도로배수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HDPE)을 이중으로 피복처리하여 성형되는 나선형 이중코팅 파형강관(corrugated steel pipe)을 이음연결시, 고밀도 폴리에틸렌재의 플랜지와 파형강관사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접합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항만, 하수종말처리장 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재의 흄관은 자체의 중량 및 부피 증가로 인해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게 된다. 또한 시공시 중장비 투입이 요구되며, 거푸집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공사기한을 맞추기가 힘들며, 기초 시멘트 및 연결부의 동결로 인해 동절기에는 시공이 제한되며, 연결부위의 증가로 인해 공사기간이 길어져 전반적으로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재의 흄관은 이의 강도는 우수한 반면에, 운반 및 시공시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균열 또는 파괴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시공성 등이 우수하여 일반 배수관, 오염도가 심한 생활하수관, 공장배수관 등으로서 아연도금강판재를 이용하여 나선형의 굴곡부를 표면에 형성한 파형강관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아연도금강판재의 파형강관은 오폐수관, 생활하수관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오수(汚水), 폐수(廢水), 생활하수의 독성(毒性)으로 인해 파형강관이 부식 및 산화되어 사용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전술한 아연도금강판재의 파형강관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중으로 피복처리한 후 파형강관을 성형함에 따라, 강도, 내부식성, 내산화성이 강화되어 파형강관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파형강관을 이음연결하는 경우 애뉼라 밴드 체결방식(annular band type)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즉, 전술한 애뉼라 밴드 체결방식은, 나선형 파형강관(1)의 양단부를 곡선파형 형상으로 재굴곡(再屈曲)한 다음, 곡관부(4)의 외주연에 오링 또는 가스킷(2)을 삽입하여 곡관부(4)파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밴드(3)를 이용하여 파형강관(1)을 수밀(水密)되도록 접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애뉼라 밴드 체결방식은 공사 현장에서 파형강관(1)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이 간편한 이점을 갖게된다.
그러나, 나선형으로 성형되는 파형강관(1)의 양단부를 곡선파형의 곡관부(4)로 재굴곡하여 밴드(3)를 이용하여 접합함에 따라, 작업공수 증가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사용되는 부품수 증가로 인해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또한, 전술한 파형강관(1)의 곡관부(4)와 밴드(3)사이에 틈새가 발생됨에 따라 전술한 틈새를 통하여 오폐수의 누수(漏水)되는 문제점과, 파형강관(1)의 내부식성 및 내산화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폐수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중으로 피복처리하여 성형되는 나선형 이중코팅 파형강관을 이음연결시, 고밀도 폴리에틸렌재의 플랜지와 파형강관사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접합함에 따라, 작업공수 단축으로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나선형 파형강관의 외주연 틈새를 통하여 오폐수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파형강관의 강도, 내산화성, 내부식성이 강화되어 파형강관의 사용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파형강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형강관 접합구조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를 접합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파형강관(corrugated steel pipe)
11; 피복시이트층
12; 플랜지(flange)
13; 플랜지부
14,15; 융착부
16; 체결부
17; 보강편
18; 볼트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된 이중의 피복시이트층이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되어 성형되는 파형강관 및 상기 파형강관 외측으로 결합되는 플랜지부의 내주연 입출구단에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형강관의 피복시이트층을 용융시켜 수밀가능하게 접합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충입되는 융착부가 형성되며,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이음연결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랜지의 체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를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시 상기 체결부의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편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랜지의 재질은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융착에 의해 성형되는 피복시이트층과 동일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중의 피복시이트층이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중 어느 일면에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된 이중의 피복시이트층(11)이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되어 성형되는 파형강관(10)과, 파형강관(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플랜지부(13)의 내주연 입출구(入出口)단에 플랜지(flange)(12)와 파형강관(10)의 피복시이트층(11)을 용융시켜 수밀가능하게 접합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충입되는 융착부(14,15)가 형성되며, 볼트(18)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파형강관(10)을 이음연결하는 플랜지(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플랜지(12)의 체결부(16)에 형성되어 플랜지(12)를 볼트(18)에 의해 체결시 체결부(16)의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편(17)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플랜지(12)의 재질은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융착에 의해 성형되는 피복시이트층(11)과 동일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된다.
이때, 전술한 이중의 피복시이트층(11)이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중 어느 일면에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 된다.
그리고, 전술한 플랜지(12)를 프레스 압출방식 등에 의해 제작하며, 전술한 플랜지(12)와 파형강관(10)외주연 사이에 유입되어 이들을 접합시키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전기로 등에 의해 융융되어지며, 이들을 동업종 분야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한편, 전술한 파형강관(10)을 성형하는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이중으로 피복처리되는 피복시이트층(11)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극성기를 부여한 제1피복층(변성 PE)과, 이 제1피복층 외측으로 접합되는 광택(UV)처리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제2피복층(일반 PE)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이중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피복처리하는 기술내용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26201호의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 및 이를 성형하는 장치'에 게시된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된 이중의 피복시이트층(11)을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하며, 내외측면이 이중으로 코팅된 아연도금강판재를 성형장치에 의해 나선형 파형강관(10)으로 성형하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성형되는 파형강관(10)의 이음연결부위를 프레스 압출방식에 의해 성형되는 전술한 플랜지(12)의 플랜지부(13)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플랜지(12)의 융착부(14,15)와 파형강관(10)의 외주연에 피복처리된 피복시이트층(11)사이의 공간부에 전기로 등에서 용융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재를 충입시켜 용융시킴에 따라, 전술한 플랜지(12)의 내주연과 파형강관(10)의 피복시이트층(11)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않게되어 전술한 플랜지(12)와 파형강관(10)외주연 사이를 수밀되도록 접합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다음, 전술한 파형강관(10)의 일단부에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랜지(12)의 체결부(16)를 밀착시켜 볼트(18)에 의해 체결시킴에 따라, 나선형의 파형강관(10)의 이음연결시 완전한 수밀이 확보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전술한 플랜지(12)를 볼트(18)로서 체결시 플랜지(12)의 체결부(16)에 형성된 보강편(17)에 의해 체결부(16)의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오폐수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중으로 피복처리하여 성형되는 나선형 이중코팅 파형강관을 이음연결시, 고밀도 폴리에틸렌재의 플랜지와 파형강관사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접합함에 따라, 작업공수 단축으로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나선형 파형강관의 외주연 틈새를 통하여 오폐수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파형강관의 강도, 내산화성, 내부식성이 강화되어 파형강관의 사용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4)

  1.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된 이중의 피복시이트층이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되어 성형되는 파형강관; 및
    상기 파형강관 외측으로 결합되는 플랜지부의 내주연 입출구단에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형강관의 피복시이트층을 용융시켜 수밀가능하게 접합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충입되는 융착부가 형성되며,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이음연결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체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를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시 상기 체결부의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재질은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에 융착에 의해 성형되는 피복시이트층과 동일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되는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의 피복시이트층이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내외측면중 어느 일면에 융착에 의해 피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KR2020000001201U 2000-01-17 2000-01-17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KR20019198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33A KR20010080839A (ko) 2000-01-17 2000-01-17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33A Division KR20010080839A (ko) 2000-01-17 2000-01-17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989Y1 true KR200191989Y1 (ko) 2000-08-16

Family

ID=196390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201U KR200191989Y1 (ko) 2000-01-17 2000-01-17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KR1020000002033A KR20010080839A (ko) 2000-01-17 2000-01-17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33A KR20010080839A (ko) 2000-01-17 2000-01-17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19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5121A (zh) * 2012-09-19 2012-12-19 浙江双林机电科技有限公司 钢带压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85B1 (ko) * 2001-09-25 2005-05-10 대림산업 주식회사 전기융착시트로부터 형성되는 후렌지를 가지는 합성수지관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008710B1 (ko) * 2010-10-18 2011-01-1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주철관 플랜지 결합구조 및 이의 결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5121A (zh) * 2012-09-19 2012-12-19 浙江双林机电科技有限公司 钢带压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839A (ko) 200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531B1 (ko) 금속 리브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102217481B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200198028Y1 (ko) 이중 피이시이트 피복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 접합구조
KR200191989Y1 (ko)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CN105240626B (zh) 预制拼装钢—混凝土组合结构管道及其制作方法
CA2793590C (en) A pipe connection to form a liquid tight sea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255556Y1 (ko)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KR20070024010A (ko) 리브로 보강된 섬유보강 플라스틱 관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105240627B (zh) 预制拼装钢混复合式钢管及其制作方法
KR20180009277A (ko) 누수방지가 용이한 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5078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62348Y1 (ko) 조립형 이음관
KR101871651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JP3556895B2 (ja) 埋設管の性能向上が可能な更生工法
KR20050120232A (ko) 조립형 이음관
KR10258153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39306Y1 (ko) 콘크리트 맨홀과 지수단관의 결합구조
CN219413892U (zh) 一种衬塑可伸缩防水套管组
KR102268288B1 (ko) 충진캡이 구비된 파형복합관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68287B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소켓 조립체
CN220688382U (zh) 市政排水管
CN212480383U (zh) 一种新型混凝土管
KR970009366B1 (ko) 분리형조립식배수관및그시공방법
CN210032032U (zh) 管道周向连接结构及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