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556Y1 -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 Google Patents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556Y1
KR200255556Y1 KR2020010026738U KR20010026738U KR200255556Y1 KR 200255556 Y1 KR200255556 Y1 KR 200255556Y1 KR 2020010026738 U KR2020010026738 U KR 2020010026738U KR 20010026738 U KR20010026738 U KR 20010026738U KR 200255556 Y1 KR200255556 Y1 KR 200255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flange
cap
pip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섭
Original Assignee
이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섭 filed Critical 이장섭
Priority to KR2020010026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556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굴곡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파형강관 및 맞대어지는 상기 각 파형강관의 양단 테두리에 끼워져 용융접합되는 플랜지와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호 맞대어진 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링 및 맞대어진 플랜지에 씌워져 체결되는 한쌍의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파형강관의 재질은 아연도금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랜지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맞대어진 플랜지는 캡과 더불어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대응되는 너트로 체결된다.

Description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A Corrugated Steel Pipe Device With A Cap}
본 고안은 각종 토목공사의 배수관으로 주로 사용되며, 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통로 및 배수용 암거로 사용되는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여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높은 파형강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토압과 압축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강판에 골을 형성하여 내하력을 부여한 연성관으로서, 연결부위의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형강관 양단 테두리에 끼워져 용융접착되는 플랜지와 한쌍의 캡이 씌어져 체결되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 및 소형터널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재의 흄관이나 암거는 자체 중량이 너무 무겁고, 또한 외부의 충격에 너무 쉽게 파손되며, 재시공 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지체되어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시공시 중장비 투입이 요구되며,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공사기한을 맞추기가 상당이 어렵고 공사비 증가에 따른 손실과 이에따른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아연도금강판에 파형을 성형하여 나선형의 굴곡이 형성된 관의 형태로 쓰여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종래의 파형강관창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파형강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강관장치(9)는 파형강관(1)과, 상기 맞대어진 파형강관(1)에 끼움체결되는 밴드(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파형강관(1)은 나선으로 감겨있는 원통형상을 취하며, 상기 각 맞대어진 파형강관(1) 형상에 따른 밴드(3)의 굴곡부분이 산(1a)과 골(1b)에 일치하게 맞대어 볼트(5)와 너트(7)로 체결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3)는 상기 각 파형강관(1)의 연결수단으로서, 상기 파형강관(1) 양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져서 약 2~3개 정도의 볼트(5) 및 상기 볼트(5)에 대응되는 너트(7)로 체결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의 파형강관장치(9)는 토목공사의 배수관 및 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통로로 지하에 매설되며, 그 내부를 따라 가정이나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오수 및 폐수 등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종래의 파형강관장치(9)에서 각 파형강관(1)의 연결부위는 상부에서 적층되는 매설도에 의한 사하중과 압축응력으로 부터 비교적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아 파손및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파형강관장치(9)는 상기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각 파형강관(1)의 연결부위에 오수 및 폐수에 함유된강한 독성들로 인하여 아연도금이 벗겨져서 쉽게 부식이되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불규칙한 하중으로부터 변형이나 파손에 견딜 수 있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부식이나 내부 수압으로 인한 누수의 발생없이 견고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굴곡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파형강관(10);
맞대어지는 상기 각 파형강관(10)의 양단 테두리에 끼워져 용융접합되는 플랜지(20);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호 맞대어진 플랜지(20)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링(30); 및 맞대어진 플랜지(20)에 씌어지는 한쌍의 캡(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100)로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형강관(10)의 재질은 아연도금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2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맞대어진 플랜지(20)는 캡(40)과 더불어 볼트(50) 및 상기 볼트(50)에 대응되는 너트(60)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그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형강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선에 따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형강관 1a : 산
1b : 골 3 : 밴드
5 : 볼트 7 : 너트
9 : 파형강관장치 10 : 파형강관
11 : 산 12 : 골
20 : 플랜지 30 : 고무링
31 : 끼움홈 40 : 캡
50 : 볼트 60 : 너트
100 :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200 : 포장도로
300 : 매설토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관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다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C선에 따른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100)는 원통형상의 파형강관(10)과, 상기 파형강관(10)의 양단 테두리에 끼워져 용융접합되는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의 내부에 삽입되어진 고무링(30)과,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20)에 씌어져 체결되는 한쌍의 캡(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파형강관(10)은 축방향을 따라 굴곡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써, 굴곡진 부위가 산(11)과 골(12)로 이루어진 나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형강관(10)의 내부 단면은 수동토압과 압축응력, 또는 내부수압에 의한 변형에 대해 비교적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물결무늬 파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파형강관(10)의 판 두께는 약 1.6mm 정도이며, 호칭지름에 따라서 2.0mm, 2.7mm, 및 3.2mm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파형강관(10)의 재질은 표면에 용융된 아연을 단위면적당 600g/m2의 아연을 부착하여 내산성, 내약품성을 높여줄 수 있는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오수 및 폐수등의 강한 독성으로 인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형강관(10)의 표면에 클로로플렌피복(CR-CSP), 아스팔트코팅, 역청실피복(Bituminous Coating), Hy-Road코팅 및 폴리에틸렌코팅 등의 산화피막이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0)는 상기 파형강관(10)이 외부의 하중으로 부터 변형됨이 없이 견고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단 테두리에 끼워져 용융접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20)는 폴리에틸렌이 주재질이며, 각 파형강관(10)의 연결시 맞대어지는 부분으로서, 안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홈(3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끼움홈(31)은 상기 파형강관(10) 내부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무링(30)이 삽입되어지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캡(40)은 아연이 표면에 도금되어진 강판이 주재질이며,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시 맞대어지는 플랜지(20)에 씌워져서 서로 상통하게 길이방향으로 4개의 볼트(50) 및 너트(60)로 체결됨으로써, 양단에는 각 1개의 볼트(50) 및 이에 대응하는 너트(60)로 체결되어 비교적 취약한 플랜지(20)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형강관장치(100)는 내부를 통해 가정이나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오수 및 폐수 등이 원활하게 유동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시공될 경우 지면의 포장도로(200) 및 매설토(300) 두께와 차량의 유동성을 고려하여 약 1.2m 이상으로 굴토한 다음, 상기 파형강관(10)의 접합 작업에 보편적으로 편리하고 자연구배로 인한 유수가 역순환되지 않도록, 낮은 지형에서부터 높은 지형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관(10)의 1개의 연결구조에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파형강관(10) 1개의 연결구조는, 통상적인 복수개의 압연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술한 아연도금강판을 이송시키면서 이송되는 아연도금강판에 파형을 성형함과 동시에 성형된 아연도금강판의 좌측 및 우측단에는 절곡방향이 상호 반대방향이 되도록 각도 성형롤러에 의해 절곡부를 성형하여 상호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는 상측 및 하측 롤러의 구동에 의해 압착되어 용접면이 없는 락심이음(Lock Seam)이 이루어지며, 결국 하나의 파형강관(10)이 제작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다른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100)에서, 상기 한쌍의 캡(40)은 서로 체결로 결합되는 것 이외에, 리벳, 열수축 및 전기융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형강관(10)의 재질은 아연도금강판 이외에, 크롬도금강판, 클로르피렌피복(CR-CSP)강판 및 폴리에틸렌 중에서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40)의 재질은 상기 파형강관(10)과 마찬가지로, 아연도금강판 이외에, 크롬도금강판, 클로르피렌(CR-CSP)강판 및 폴리에틸렌 중에서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 장치에 의하면, 파형강관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굴곡이 형성되는 파형강관으로, 외부의 사하중과 압축하중으로 찌그러짐이나 변형되지 않고, 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융아연도금강판을 나선형으로 가공하여 외압강도를 지지하고 용접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콘크리트흄관에 비해 운반비, 노무비 절약 등의 경제적인 효과와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의 보강을 위한 캡을 구비하기 대문에, 불규칙한 외력과 내부 수압으로 인한 플랜지 연결부위가 벌어져 발생될 수 있는 오수 및 폐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재시공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굴곡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파형강관(10);
    맞대어지는 상기 각 파형강관(10)의 양단 테두리에 끼워져 용융접합되는 플랜지(20);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호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20)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링(30); 및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20)에 씌워져 체결되는 한쌍의 캡(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10)의 재질은 아연도금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대어진 플랜지(20)는 상기 캡(40)과 더불어 볼트(50) 및 상기 볼트(50)에 대응되는 너트(60)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KR2020010026738U 2001-09-01 2001-09-01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KR200255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38U KR200255556Y1 (ko) 2001-09-01 2001-09-01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38U KR200255556Y1 (ko) 2001-09-01 2001-09-01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556Y1 true KR200255556Y1 (ko) 2001-12-13

Family

ID=7310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738U KR200255556Y1 (ko) 2001-09-01 2001-09-01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5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507B1 (ko) * 2016-11-29 2018-01-25 (주) 영일엔지니어링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115441B1 (ko) * 2019-11-21 2020-05-27 주식회사성호철관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한 코팅용 시트를 이용한 코팅 강관과 그 제조방법
KR102115439B1 (ko) * 2019-11-21 2020-05-27 주식회사성호철관 플랜지 융착 연결형 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507B1 (ko) * 2016-11-29 2018-01-25 (주) 영일엔지니어링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115441B1 (ko) * 2019-11-21 2020-05-27 주식회사성호철관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한 코팅용 시트를 이용한 코팅 강관과 그 제조방법
KR102115439B1 (ko) * 2019-11-21 2020-05-27 주식회사성호철관 플랜지 융착 연결형 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93585A (ja) プラスチツクパイプ
US5908266A (en) Flow drain
US20040207201A1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CN105240626B (zh) 预制拼装钢—混凝土组合结构管道及其制作方法
KR200255556Y1 (ko)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KR101317915B1 (ko) 파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198028Y1 (ko) 이중 피이시이트 피복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 접합구조
CN105240627B (zh) 预制拼装钢混复合式钢管及其制作方法
KR200191989Y1 (ko)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US202202283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 host pipe
KR20120006225A (ko) 이중구조를 갖는 맨홀
KR20180009277A (ko) 누수방지가 용이한 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62348Y1 (ko) 조립형 이음관
KR10258153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N215410629U (zh) 埋地排水排污用增强聚丙烯hrpp双壁波纹管
KR200313436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이용한 맨홀
CN216520037U (zh) 一种具有钢波纹管涵体的纵向管涵
CN216078661U (zh) 一种水泥pe复合管
CN213117832U (zh) 顶进施工法用钢筒混凝土管
CN216045892U (zh) 一种聚乙烯双层壁双高筋增强波纹管
CN210218954U (zh) 螺旋波纹管构造
EP3372394B1 (en) Flexible drainage system for wastewater containing hydrocarbon
CN220598639U (zh) 一种埋地波纹钢加强肋板渗排水管
CN215669101U (zh) 一种大跨径钢波纹拱涵加劲肋系统
KR20050120232A (ko) 조립형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