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164Y1 -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 Google Patents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164Y1
KR200286164Y1 KR2020020006382U KR20020006382U KR200286164Y1 KR 200286164 Y1 KR200286164 Y1 KR 200286164Y1 KR 2020020006382 U KR2020020006382 U KR 2020020006382U KR 20020006382 U KR20020006382 U KR 20020006382U KR 200286164 Y1 KR200286164 Y1 KR 200286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ody portion
diameter
wall pipe
dou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2020020006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16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이중벽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목적은 2차 공정인 확관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함은 물론, 그에 따라 불량률을 낮추고자 하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소켓부(104)가 몸체부(103)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작은 크기의 클램핑 기구를 이용하여 연결부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밴드 클램프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관체로된 내측관(101)의 외주면에 요철형의 외측관(102)이 접착되어 몸체부(103)가 형성되고, 그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소켓부(104)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소켓부에 삽입되는 연결부(105)가 형성되는 이중벽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몸체부와 동일 공정에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관의 요철부는 몸체부의 요철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소형 요철부(102a)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관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소형 요철부(102b)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TWIN WALL PIPE}
본 고안은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이중벽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부의 외경이 몸체부의 외경과 동일하고, 연결부의 외경이 소켓부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이중벽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하수관은 쉽게 변형 또는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적절한 강도를 갖을 수 있는 이중벽(twin wall) 형태로 제작되어지는데, 필요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낮은 공사비용과 운반 및 설치의 용이성이 있어서, 그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한 연구개발의 결과로 현재는 재료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지중매설시 토압과 윤압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높은 이중벽 파이프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중벽 파이프들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이중벽 파이프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원형관체로된 내측관(1)의 외주면에 요철형으로 동일재질의 외측관(2)이 접착되어 2중벽체를 이루도록 몸체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몸체부(3)의 일단부에는 내측관(1)을 확관시켜서 내경이 몸체부(3)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한 소켓부(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의 이중벽 파이프를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때는 도 2에서와 같이, 1개의 이중벽 파이프(5)에 형성된 소켓부(4)의 내측에 다른 이중벽 파이프(5')의 연결부를 삽입하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밴드 클램프(6)를 이용하여 소켓부(4)를 감싸는 동시에 요철부위가 걸리도록 결합 고정하는 방법으로 여러개의 파이프(5)(5')들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3은 종래 이중벽 파이프의 다른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11)의 외주면에 요철형으로 동일재질의 외측관(12)이 접착되어 2중벽체를 이루도록 몸체부(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부(13)의 일단부에는 내측관(11)과 외측관(12)을 동시에 확관시켜서 내경이 몸체부(13)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한 소켓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중벽 파이프는 도 4에서와 같이, 1개의 이중벽 파이프(15)에 형성된 소켓부(14)의 내측에 다른 이중벽 파이프(15')의 연결부를 삽입하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밴드 클램프(16)를 이용하여 소켓부(14)를 감싸는 동시에 요철부위가 걸리도록 결합 고정하여 사용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이중벽 파이프의 소켓부(4)(14)는 이중벽 파이프의 몸체부를 완성한 후, 몸체부의 일단부를 2차 공정인 확관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다단계의 공정으로 인하여 생산원가가 상승됨은 물론 확관시 많은 불량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 1의 이중벽 파이프의 소켓부(4)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적재시 일그러지는 등의 강도상의 취약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이중벽 파이프는 소켓부(4)(14)의 외경이 몸체부(3)(13)의 외경보다 커서 운반이나 적재시 반듯한 적재가 곤란하여 소켓부와 연결부를 엿갈리게적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밴드 클램프(6)(16)를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할 경우, 도 2의 이중벽 파이프는 소켓의 외주면에 요철부가 없는 관계로, 밴드 클램프(6)가 소켓부(4)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도 4의 이중벽 파이프는 소켓부와 연결부의 높이가 차이가 있어, 소켓부에 걸리는 밴드의 높이와 연결부에 결리는 밴드의 높이가 상이하여, 밴드 클램프(16)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도 소켓부(14)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상기와 같이 소켓부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경우 밴드 클램프(6)(16)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 원가상의 문제는 물론, 밴드 클램프의 설치 작업에도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목적은 2차 공정인 확관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함은 물론, 그에 따라 불량률을 낮추고자 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켓부가 몸체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은 크기의 클램핑 기구를 이용하여 연결부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클램프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이중벽 파이프의 일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예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이중벽 파이프의 다른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예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연결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내측관 102 : 외측관
102a,102b : 소형요철부 103 : 몸체부
104 : 소켓부 105 : 연결부
D,D',d : 외경치수 d' : 내경치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관체로된 내측관의 외주면에 요철형의 외측관이 접착되어 몸체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일정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확관된 소켓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소켓부에 삽입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중벽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몸체부와 동일 공정에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관의 요철부는 몸체부의 요철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소형 요철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관에도 상기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형 요철부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관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비교적 평활한 돌기부(200)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이중벽 파이프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 크기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원형관체로된 내측관(101)의 외주면에 요철형으로된 동일재질의 외측관(102)이 접착되어 2중 벽체를 이루도록 몸체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몸체부(103)의 일단부에는 소켓부(104)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소켓부(104)의 외경치수(D)는 몸체부(103)의 외경치수(d)와 동일하도록 요철부의 높이를 낮게 한 소형 요철부(10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부는 몸체부와 동일 공정에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104)의 반대쪽에는 소켓부(104)에 삽입할 수 있도록 연결부(105)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연결부(105)의 외경치수(D')는 소켓부(104)의 내경치수(d')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도록 요철부의 높이가 낮은 소형 요철부(102b)가 형성되어 연결부(105)가 소켓부(104)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부도 몸체부와 동일 공정에서 셩형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이중벽 파이프를 공사 현장에서 연결할 때는 도 7에서와 같이, 1개의 이중벽 파이프(106)에 형성된 소켓부(104)의 내측에 다른 이중벽 파이프(106')의 연결부(105')를 삽입하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밴드 클램프(107)를 이용하여 요철부위가 걸리도록 고정하여 연결하는데, 이때는 동일 높이로 형성된 소켓부(104)의 소형 요철부(102a)와 몸체부(103)의 요철부를 연결하면 되므로 작은 크기의 밴드 클램프(107)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소형관에 적용되는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원형관체로 되어 있는 내측관(101)의 외주면에 요철형의 외측관(102)이 접합되어 몸체부(103)가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는 연결부(105)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연결부(105)는 소켓부의 내경(d') 보다 조금 작으며 비교적 평활한 2개 이상의 돌기부(200)가 형성되며, 그 돌기부(200)의 사이에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오-링(20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확관 공정이 없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됨은 물론, 그에 따라 확관시 발생하는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소켓부의 외주부에도 요철부가 형성되므로 몸체부와 대등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부의 외경과 몸체부의 외경이 동일하므로 운반시나 보관을 위한 적재시 수평적재가 용이하다. 또한, 파이프의 연결시 작은 밴드 클램프를 이용하여 소켓부의 요철부와 몸체부의 요철부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관체로된 내측관의 외주면에 요철형의 외측관이 접착되어 몸체부가 형성되고, 그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소켓부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소켓부에 삽입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이중벽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몸체부와 동일 공정에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관의 요철부는 몸체부의 요철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소형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관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소형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파이프.
  2.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관체로된 내측관의 외주면에 요철형의 외측관이 접착되어 몸체부가 형성되고, 그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소켓부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소켓부에 삽입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이중벽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몸체부와 동일 공정에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관의 요철부는 몸체부의 요철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소형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관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비교적 평활한 돌기부(2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파이프.
KR2020020006382U 2002-03-05 2002-03-05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KR200286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82U KR200286164Y1 (ko) 2002-03-05 2002-03-05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82U KR200286164Y1 (ko) 2002-03-05 2002-03-05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164Y1 true KR200286164Y1 (ko) 2002-08-22

Family

ID=7311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382U KR200286164Y1 (ko) 2002-03-05 2002-03-05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452A1 (ko) * 2020-10-26 2022-05-05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452A1 (ko) * 2020-10-26 2022-05-05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7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82568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KR200286164Y1 (ko)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KR100519784B1 (ko) 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무링과, 어댑터를 구비한 관 및 이들을 구비한 관 연결구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KR101656219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AU673767B2 (en) A method and mould for forming an expansion, such as a socket, in a pipe, and a plastic pipe
RU225611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KR200367099Y1 (ko) 소켓부 보강구조가 형성된 편수식 이중벽 코러게이트관
KR20140068406A (ko) 관 연결구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JP2009534624A5 (ko)
KR101676735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EP0486962A1 (en) Multi-purpose flexible sleeve
KR960009117Y1 (ko) 관연결구
KR200365436Y1 (ko) 관연결 소켓
KR200374224Y1 (ko) 합성수지관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KR200458177Y1 (ko) 하수관 파이프
KR100768794B1 (ko) 상하수관 또는 전선관용 접철식 파이프
KR101676739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