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2452A1 -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2452A1
WO2022092452A1 PCT/KR2021/002536 KR2021002536W WO2022092452A1 WO 2022092452 A1 WO2022092452 A1 WO 2022092452A1 KR 2021002536 W KR2021002536 W KR 2021002536W WO 2022092452 A1 WO2022092452 A1 WO 20220924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
corrugated
corrugated steel
steel pipe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5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태원
전근식
임창희
임창길
한형산
김순희
한효익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주)삼명이엔씨
㈜구마이엔씨
㈜구마
㈜삼명종합건설
㈜구마건설
㈜구마엔지니어링
㈜구마환경건설
㈜구마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명이엔씨, ㈜구마이엔씨, ㈜구마, ㈜삼명종합건설, ㈜구마건설, ㈜구마엔지니어링, ㈜구마환경건설, ㈜구마씨앤씨 filed Critical (주)삼명이엔씨
Publication of WO20220924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4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4Reinforced pip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in which leakage is prevented, and more particularly, by combining an inner pipe having a smo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ide the corrugated steel pipe with a filler to minimize flow resistance, while the front end of the inner pipe is exposed from the corrugated steel pipe
  •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that prevents leakage by inserting a rubber ring into the rear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inner pipe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steel pipe so that it is possible to firmly couple the adjacent corrugated pipe assembly at the construction site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 the Hume pipe made of concrete used for roads, ports, and sewage treatment plants is inconvenient to transport and handle due to its increased weight and volume, and it requires heavy equipment to be used during construction.
  • construction is limited in the winter season due to the freezing of the foundation cemen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nnection part, which increases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 the Hume pipe of concrete material has excellent streng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ily cracked or destroyed by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its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 a corrugated steel pipe in the form of a spiral bend on the surface using a galvanized steel sheet with high external pressure strength, durability, and workability, etc. is widely used for general drainage pipes, domestic sewage pipes, and factory drainage pipes.
  • the conventional corrugated steel pipe took a method of applying a filler to the coupling portion and tightening it with a clamp when combining with a neighboring corrugated steel pip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flow resistance and prevent od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oupling at a construction site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leakag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urved pipe without a separate welding op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rugated steel pipe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with a steel plate, the corrugated steel pipe having corrugations and concave gro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spir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filler fillin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to integrate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the inner tube;
  •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is formed with a smooth surface to provide a corrugated composite tube assembly to prevent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to minimize the flow resistance.
  • the inn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osed part having a front end exposed to the corrugated steel pip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steel pipe and fixed to the corrugated steel pipe by a filler,
  • the corrugated steel pipe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fixed to the insertion part of the inner pipe by a filler, and a second fastening part into which a spiral rubber ring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of the inner surface,
  •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osed portion of the adjacent inner tube is inserted so that the rubber ring is press-fitt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exposed portion.
  • the inner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ncrete, gypsum, and steel.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ugation made of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in a spir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ubber ring is firmly coupled to the neighboring corrugated steel pipe.
  • the expos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end is combined with a neighboring corrugated steel pipe hav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cut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urved pipe. do.
  •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flow resistance and preventing odo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t the construction site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of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curved pipe with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without a separate welding op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ismic resistance by producing a corrugated steel pipe from a steel plat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as a first compon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n example
  • FIG.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neighboring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 a first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ight pipe, and includes a corrugated steel pipe 10 , an inner pipe 20 , and a filler 30 .
  •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is made of a steel plate, and is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 a corrugated shape composed of convex portions and concave gro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spir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to reinforce strength.
  • the inner tube 20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steel tube 10 .
  • the material of the inner tube 20 it is preferable to adopt an appropriate material according to the use among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PE) or PVC, concrete, gypsum, and steel.
  •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PE) or PVC, concrete, gypsum, and steel.
  • the inner tube 20 is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smooth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have a corrugation formed of convex portions and concave grooves spir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ipe 20 is smooth, flow resistance can be minimized, and when used as a sewage pi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ventional problem of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generating a bad odor can be solved.
  • the inner tube 20 includes an exposed portion 21 and an insertion portion 22 .
  • the exposed portion 21 refers to a portion of the inner tube 20 in which the front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corrugated steel tube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 the insertion part 22 refers to a par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in the inner pipe 20 .
  • the filler 30 is injected to fix the inner tube 20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steel tube 10 .
  • the filler 30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fixing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and the inner pipe 20, it is preferable to adopt mortar, gypsum, insulation material, etc. according to the purpose in consideration of strength, watertightness, construction convenience, heat loss blocking, etc. .
  •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11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2 .
  • the first fastening part 11 is a part fixed to the insertion part 22 of the inner pipe 20 by the filler 30 in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
  •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refers to a portion in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in which the insertion part 22 of the inner tube 20 is not inserted, and to be more specific, the inner tube 20 disposed in the rear adjacent to the part.
  • the exposed part 21 is inserted.
  • a spiral rubber ring 4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eve 2 fastening part.
  • the exposed part 21 of the adjacent inner pipe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 and the rubber ring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and the exposed part 21 .
  • the two corrugated steel pipes 10 are firmly coupled between the two corrugated steel pipes 10 by force fitting between them.
  • the filler 30 is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tightened with a clamp.
  • mortar is filled and fixed between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and the inner pipe 20, and a spiral rubber ring 4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in which the inner pipe 20 is not inserted.
  • the attaching work is done in the factory, and when combining with the neighboring corrugated composite pipe at the construction site, lubricant is applied around the exposed part 21 of the exposed inner pipe 20 to the corrugated steel pipe to which the rubber ring 40 is fixed. (10)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 the rubber ring 40 is press-fitt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and the exposed part 21 of the inner pipe 20, it is possible to reliably block water leakage.
  • a wave formed of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groove may be formed in a spir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a]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an example
  • FIG.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neighboring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ved pipe.
  • this manufactur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for welding, thereby reducing work efficiency.
  • the exposed portion 21 of the inner tube 2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2 .
  • th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of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is cut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inclined exposed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 of the adjacent corrugated steel pipe 10 having a rubber ring 40 fixed to the inner surface thereof.
  • one end is wrapped around the exposed portion 21 with a corrugated steel pipe 10 cut diagonally without performing a weld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rrugated steel pipe 10 into a curved pip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composite pipe assembly in which leakage is prevented, wherein flow resistance is minimized by combining an inner pipe having a smo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ide the corrugated steel pipe with a filler, while the front end of the inner pipe is exposed from the corrugated steel pipe It relates to a corrugated corrugated pipe assembly that prevents water leakage by inserting a rubber ring into the rear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inner pipe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pipe assembly so that it is possible to firmly couple the neighboring corrugated pipe assembly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는, 강판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의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형강관(10); 연성 재질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관(20); 및 상기 파형강관(10)의 내측면과 내부관(20)의 외측면 사이에 충진되어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을 일체화하는 충진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20)의 내측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본 발명은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 내부에 매끈한 내주면이 형성된 내부관을 충진재로 결합함으로써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한편, 내부관의 전방 단부는 파형강관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되 파형강관에 삽입된 내부관의 삽입부 후방에는 고무링이 삽입되어 시공현장에서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를 별도의 장비없이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항만, 하수종말처리장 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재의 흄관은 자체의 중량 및 부피 증가로 인해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고, 또한 시공 시 중장비의 투입이 요구되며, 거푸집 설치 및 해체와 관련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공사기한을 맞추기 힘든 단점이 있는 한편, 기초 시멘트 및 연결부의 동결로 인해 동절기에는 시공이 제한되고, 연결부위의 증가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져 전반적인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재의 흄관은 강도는 우수하나, 그 운반 및 시공 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쉽게 균열 또는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 등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여 표면에 나선형의 굴곡부를 형성한 형태의 파형강관을 일반배수관, 생활하수관, 공장배수관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파형강관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나선파형들이 반복되어서 우수 및 오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져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우수 및 오수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내부를 따라 흐르는 우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통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이렇게 파형강관의 굴곡면에 이물질 등이 잔류하게 됨에 따라 부패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파형강관은 이웃하는 파형강관과 결합할 때 충진재를 결합부에 바르고 클램프로 조이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몰탈과 같은 충진재를 시공현장에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고, 클램프의 조임력 감소에 따라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장비없이 시공현장에서 결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파형강관 조립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고 악취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없이 시공현장에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곡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판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의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형강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관; 및
상기 파형강관의 내측면과 내부관의 외측면 사이에 충진되어 파형강관과 내부관을 일체화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의 내측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부관은 전방 단부가 소정 길이로 상기 파형강관에 대해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파형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진재에 의해 파형강관에 고정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형강관은 충진재에 의해 상기 내부관의 삽입부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와, 내측면의 오목홈에 나선형 고무링이 삽입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관의 제2 체결부는 이웃하는 내부관의 노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무링이 상기 제2 체결부와 노출부 사이에서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부관은 합성수지, 콘크리트, 석고, 강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노출부의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파형강관과 결합시 고무링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노출부는 삽입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된 제2 체결부가 구비된 이웃하는 파형강관과 결합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는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고 악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없이 시공현장에서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파형복합관 조립체로 곡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판으로 파형강관이 제작되어 내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가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제1 실시예는 직선관으로서, 파형강관(10), 내부관(20), 충진재(30)를 포함한다.
파형강관(10)은 재질이 강판으로 이뤄지며,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형강관(10)은 두께 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파형강관(10)의 내부에는 내부관(20)이 삽입된다.
내부관(20)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PE)이나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 콘크리트, 석고, 강철 중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내부관(20)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주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관(20)의 내주면이 매끈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수관으로 사용할 경우 이물질이 내주면에 부착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내부관(20)의 외주면에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내부관(20)은 노출부(21)와 삽입부(22)를 포함한다.
노출부(21)는 내부관(20)에서 전방 단부가 소정 길이로 파형강관(10)에 대해 노출되는 부분을 말한다.
삽입부(22)는 내부관(20)에서 파형강관(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관(10)에 삽입된 내부관(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충진재(30)를 주입한다.
충진재(30)로는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을 고정시키는 목적 이외에 강도, 수밀성, 시공편의성, 열손실차단 등을 고려하여 몰탈, 석고, 단열재 등을 용도에 따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파형강관(10)은 제1 체결부(11)와, 제2 체결부(12)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11)는 파형강관(10)에서 충진재(30)에 의해 내부관(20)의 삽입부(2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2 체결부(12)는 파형강관(10)에서 내부관(20)의 삽입부(22)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을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웃하는 후방에 배치된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체2 체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오목홈에는 나선형 고무링(40)이 삽입된다.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에는 이웃하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되고, 고무링(40)이 제2 체결부(12)와 노출부(21) 사이에서 억지끼움되어 두 개의 파형강관(10)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파형강관(10)은 이웃하는 파형강관(10)과 결합할 때 충진재(30)를 결합부에 바르고 클램프로 조이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몰탈과 같은 충진재(30)를 시공현장에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고, 클램프의 조임력 감소에 따라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 사이에 몰탈을 충진하여 고정시키고, 내부관(20)이 삽입되지 않은 파형강관(10)의 내측면에 나선형 고무링(40)을 부착하는 작업은 공장에서 이뤄지도록 하고, 시공현장에서 이웃하는 파형복합관과 결합할 때는 노출된 내부관(20)의 노출부(21) 주위에 윤활유를 도포하여 고무링(40)이 고정된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현장에서는 별도의 장비 없이 이웃하는 파형강관(10)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고무링(40)은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와 내부관(20)의 노출부(21) 사이에 억지끼움되므로 누수를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내부관(20)의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노출부(21)에 감겨지는 고무링(40)을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삽입부(22) 외주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몰탈에 의한 고정력을 높여 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형복합관 조립체가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10) 조립체의 제2 실시예는 곡관이다.
종래에는 파형강관(10)을 곡관으로 형성하기 위해 짧은 길이의 직선관을 서로 용접하여 곡관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작방법은 용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곡관의 파형강관(10)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부(22)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파형강관(10) 조립체를 결합하기 위해,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 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된다.
이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노출부(21)에 이웃하는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 단부가 연이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사진 노출부(21)는 고무링(40)이 내측면에 고정된 이웃하는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를 경사지게 형성한 후, 일단부가 사선으로 절단된 파형강관(10)으로 상기 노출부(21)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파형강관(10)을 곡관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파형강관 내부에 매끈한 내주면이 형성된 내부관을 충진재로 결합함으로써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한편, 내부관의 전방 단부는 파형강관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되 파형강관에 삽입된 내부관의 삽입부 후방에는 고무링이 삽입되어 시공현장에서 이웃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를 별도의 장비없이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유체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파형복합관 조립체에 있어서,
    강판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의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형강관(10);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관(20); 및
    상기 파형강관(10)의 내측면과 내부관(20)의 외측면 사이에 충진되어 파형강관(10)과 내부관(20)을 일체화하는 충진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관(20)의 내측면은 매끈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20)은 전방 단부가 소정 길이로 상기 파형강관(10)에 대해 노출되는 노출부(21)와, 상기 파형강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진재(30)에 의해 파형강관(10)에 고정되는 삽입부(22)를 포함하며,
    상기 파형강관(10)은 충진재(30)에 의해 상기 내부관(20)의 삽입부(22)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11)와, 내측면의 오목홈에 나선형 고무링(40)이 삽입되는 제2 체결부(12)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강관(10)의 제2 체결부(12)는 이웃하는 내부관(20)의 노출부(21)가 삽입되어 상기 고무링(40)이 상기 제2 체결부(12)와 노출부(21) 사이에서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20)은 합성수지, 콘크리트, 석고, 강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21)의 외주면에는 볼록부와 오목홈으로 이뤄진 파형이 길이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파형강관(10)과 결합시 고무링(4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21)는 삽입부(22)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절단된 제2 체결부(12)가 구비된 이웃하는 파형강관(10)과 결합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PCT/KR2021/002536 2020-10-26 2021-03-02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WO20220924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69 2020-10-26
KR1020200138969A KR102217481B1 (ko) 2020-10-26 2020-10-26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452A1 true WO2022092452A1 (ko) 2022-05-05

Family

ID=7468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536 WO2022092452A1 (ko) 2020-10-26 2021-03-02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7481B1 (ko)
WO (1) WO2022092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481B1 (ko) * 2020-10-26 2021-02-19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KR102285050B1 (ko) * 2021-05-20 2021-08-03 (주)삼명이엔씨 파형강관이 사용된 내진형 맨홀
KR102487985B1 (ko) * 2022-07-21 2023-01-12 (주)광신공조 스파이럴 심덕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파이럴 심덕트 및 스파이럴 심덕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8765A (ja) * 2000-03-21 2001-09-28 Torii Kasei Kk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KR200286164Y1 (ko) * 2002-03-05 2002-08-22 김선호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JP2003301560A (ja) * 2002-04-08 2003-10-24 Totaku Industries Inc シース用継手及びこれを使用したシースの接続構造
KR20040049948A (ko) * 2002-12-05 2004-06-14 김복순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6296A (ko) * 2010-07-12 2012-01-18 황광진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2217481B1 (ko) * 2020-10-26 2021-02-19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7624B2 (ja) * 1994-06-24 1997-08-27 鳥居化成株式会社 二重コルゲート管
JPH09264461A (ja) * 1996-03-27 1997-10-07 Aron Kasei Co Ltd 波形管
KR101885149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8765A (ja) * 2000-03-21 2001-09-28 Torii Kasei Kk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KR200286164Y1 (ko) * 2002-03-05 2002-08-22 김선호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JP2003301560A (ja) * 2002-04-08 2003-10-24 Totaku Industries Inc シース用継手及びこれを使用したシースの接続構造
KR20040049948A (ko) * 2002-12-05 2004-06-14 김복순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06296A (ko) * 2010-07-12 2012-01-18 황광진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2217481B1 (ko) * 2020-10-26 2021-02-19 (주)삼명이엔씨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481B1 (ko)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92452A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복합관 조립체
WO2018012743A1 (ko) 커플링
KR100886363B1 (ko)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WO2014148724A1 (ko) 파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WO2010134771A2 (ko)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JP3821215B2 (ja) 耐震性管更生工法に於ける管接続装置
KR102268287B1 (ko) 누수가 방지되는 파형소켓 조립체
KR200277282Y1 (ko) 강관 연결구조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102268285B1 (ko) 누수가 방지되는 t자 파형소켓 조립체
KR102268288B1 (ko) 충진캡이 구비된 파형복합관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09125996A2 (ko) 피씨 암거 연결 시공방법
KR100835078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372316B1 (ko) 방수용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WO2023219247A1 (ko) 파이프 결속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결속기구
WO2010050763A2 (ko) 관 결합구조
CN208024957U (zh) 一种用于废水热能回收装置的管道固定结构
CN219866692U (zh) 一种防火玻璃钢管道
CN213210560U (zh) 一种供热管道泄漏检测光缆铺设保护装置
WO2019212120A1 (ko)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CN215515674U (zh) 一种用于燃气管道铺设的辅助安装结构
CN219673669U (zh) 一种基于热力工程设计的热力管道防漏装置
KR100342127B1 (ko) 관의연결장치
CN208967304U (zh) 一种方便连接的pe管材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64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 EPO FORM 1205A DATED 13.09.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64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