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074B1 - 주름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주름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074B1
KR102592074B1 KR1020180123742A KR20180123742A KR102592074B1 KR 102592074 B1 KR102592074 B1 KR 102592074B1 KR 1020180123742 A KR1020180123742 A KR 1020180123742A KR 20180123742 A KR20180123742 A KR 20180123742A KR 102592074 B1 KR102592074 B1 KR 10259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socket
clamping ring
nut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091A (ko
Inventor
최진림
Original Assignee
동아금속주름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금속주름관(주) filed Critical 동아금속주름관(주)
Priority to KR102018012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074B1/ko
Priority to US16/169,722 priority patent/US11306850B2/en
Publication of KR2020004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091A/ko
Priority to US17/684,900 priority patent/US116441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는, 너트와 소켓 사이에 클램핑 링을 개재하여, 상기 너트와 소켓을 1차 나사결합한 다음, 상기 너트 내부로 골과 산이 교호로 연속되게 형성된 주름관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클램핑 링의 내측부가 상기 주름관의 골에 삽입되고 상기 주름관의 끝단부가 압착되도록 상기 너트와 소켓을 2차 나사결합하여 결합이 완료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클램핑 링과 대향되는 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보다 반경외측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주름관 연결장치가 간편, 용이하게 결합되면서도 우수한 실링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관 연결 장치{Connecting device for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주름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관의 일단부에 소켓 및 너트를 결합하여, 주름관과 다른 유체 이동 수단이나 개폐밸브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주름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주름관의 연결 장치가 KR2014-0025124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주름관 연결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1)과, 주름관(1)의 일측부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외삽되는 너트(2)와, 주름관(1)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골에 내측부가 삽입되어 너트(2)의 일측 이동을 저지하는 클램핑 링(3)과, 너트(2)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주름관(1)의 끝단부(5)를 클램핑 링(3) 측으로 압착하는 소켓(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 링(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개되어 양단부(6, 7)가 소정의 이격거리(D)만큼 분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링(3)이 반경 중심 방향을 향하여 압착되면 이격거리(D)가 감소되면서 클램핑 링(3)의 내경이 작아지고, 이와 반대로 클램핑 링(3)의 양단부(6, 7)를 각각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이격거리(D)가 증대되면서 클램핑 링(3)의 내경이 커진다.
상기한 주름관 연결 장치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면, 주름관(1)의 일측부 외주면 둘레에 너트(2) 및 클램핑 링(3)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다음, 주름관(1)의 골에 클램핑 링(3)의 내측부가 삽입되도록 클램핑 링(3)을 조여준다.
그 다음, 주름관에 삽입된 너트(2)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링(3) 방향으로 이동한 후 소켓(4)이 너트(2)에 나사결합되도록 너트를 조여주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1)과 클램핑 링(3)이 소켓(4)을 향하여 이동되어 소켓(4)의 선단부(8)가 주름관의 끝단부(5)를 압착하면서 클램핑 링(3)을 시트부(9)로 밀어넣고, 상기 주름관의 끝단부(5)는 클램핑 링(3)과 소켓(4) 사이에서 더욱 압착되어 클램핑 링(3)과 소켓(4) 사이를 실링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그 결합과정에서 너트(2)와 소켓(4)이 나사결합되기 전에, 클램핑 링(3)의 내측부가 주름관의 일측부에 형성된 골에 삽입되도록 상기 클램핑 링(3)이 주름관(1)에 결합되는데, 상기 클램핑 링(3)의 내경은 통상적으로 상기 주름관의 외경보다 상당히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강성이 큰 금속제로 제조된 클램핑 링(3)의 양단부(6, 7)을 각각 외측으로 잡아당겨 클램핑 링(3)의 내경이 확대되도록 한 다음, 클램핑 링(3)을 상기 주름관(1)의 골에 삽입하여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 수반된다.
뿐만 아니라, 클램핑 링(3)의 내경이 과다하게 확대되도록 외력을 가한 경우, 클램핑 링(3)의 탄성력의 한계가 초과됨으로써, 외력이 해소된 경우에도 상기 클램핑 링(3)의 형상이 복원되지 못하여 실링에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결합과정에서 클램핑 링(3)에 약간이라도 뒤틀림이 발생되어, 클램핑 링(3)이 주름관(1)에 편심되게 접촉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실링효과가 저감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클램핑 링(3)의 내경이 크게 되도록 클램핑 링(3)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클램핑 링(3)이 주름관(1)의 일단부에 형성된 골에 밀착되도록 클램핑 링(3)을 진원의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조여주어야 하나, 클램핑 링(3)이 반경 내측방향으로 조여지는 과정에서 클램핑 링(3)과 주름관(1) 사이에 서로 밀착되지 않는 부적합한 결합부위가 발생되거나, 너트의 조임력이 과다한 경우에는 클램핑 링(3)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클램핑 링(3)이 주름관으로 부터 이탈되거나, 상기 너트(2), 클램핑 링(3) 및 소켓(4)과 주름관(1)이 편심으로 결합되는 등, 소정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실링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 작업자가 주름관 연결장치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클램핑 링(3)이 분실되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클램핑 링(3)의 외주면과 너트의 시트부(9)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거나 주름관(1)의 골과 클램핑 링(3) 사이에 국부적으로 틈새가 발생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주름관의 끝단부(5)가 소켓의 선단부(8)와 면접촉되면서 압착되기 때문에 실링을 위한 압착 면의 면적이 크게되어 압착 작업에 큰 조임력이 소요된다.
또한, 소켓에 의한 소정 크기의 압착력이 소켓의 끝단부(8)와 면접촉되는 주름관의 끝단부 부위(5)의 전체면에 걸쳐 분산되기 때문에 클램핑 링(3), 주름관의 끝단면(5b), 및 소켓(4) 사이에 국부적인 틈새가 발생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클램핑 링 또는 패킹과 같은 실링 부품을 주름관 연결장치의 내부에 배치하여 너트에 임시 결합하고 주름관을 삽입한 다음, 단순히 너트만 조여주면 결합이 완료되는 주름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 클램핑 링, 패킹, 너트 등의 부품이 서로 유기적인 접촉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적합하게 결합되어, 우수한 실링효과가 달성되는 주름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름관 연결장치의 결합 단계에서 클램핑 링이 주름관에 편심으로 결합되거나, 실링부품이 주름관 연결 장치로부터, 변형, 이탈 또는 망실됨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름관의 연결작업이 완료되거나 주름관 연결장치의 사용중, 외부로부터 주름관 연결장치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또는 주름관의 위치가 상, 하, 좌, 우로 변경된 경우에도 실링부위가 변형되지 않고 유지되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중, 유체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 주름관 연결 장치의 부품을 해체하거나 교체할 필요없이 너트 만을 더욱 조여주는 간편한 보수작업을 통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주름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주름관과, 주름관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너트와, 주름관의 일측부에 형성된 골에 내측부가 삽입되는 클램핑 링과,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소켓의 전방면에 외측돌출부가 소켓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너트와 소켓의 1차 나사결합 시 클램핑 링의 일측면이 외측돌출부의 선단부에 접촉되고, 너트와 소켓의 2차 나사결합 시 외측돌출부는 상기 너트의 내주면과 클램핑 링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 링은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착되어 클램핑 링의 내측부가 주름관의 골에 삽입되고, 주름관의 끝단부는 소켓의 전방면과 클램핑 링 사이에서 압착된다.
상기 소켓은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클램핑 링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보다 반경 외측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골과 산이 교호로 연속되게 형성된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일측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너트와, 상기 주름관의 일측부에 형성된 골에 내측부가 삽입되는 클램핑 링과,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전방면에 외측돌출부가 클램핑 링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너트와 소켓의 나사결합 시 상기 외측돌출부가 상기 너트의 내주면과 상기 클램핑 링의 외주면 사이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너트와 소켓사이에 클램핑 링을 개재하고 너트를 조여 너트와 소켓을 1차 나사결합한 다음, 너트에 주름관의 일측부를 삽입하고 너트를 더욱 조여 너트와 소켓을 2차 나사결합 함으로써, 주름관 연결 장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은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여 클램핑 링을 확개할 필요없이 클램핑 링을 제조시의 형상 그대로 너트와 소켓 사이에 개재시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주름관 연결 장치의 결합성 및 실링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은 소켓의 전방면에 형성된 외측돌출부와 내측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클램핑 링의 적어도 일측면이 수용되고, 주름관의 끝단부는 상기 내측돌출부에 형성된 각형상의 모서리부에 의하여 모서리부와 선접촉되면서 압착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클램핑 링의 끝단부가 용이하게 소켓과 클램핑 링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상기 내측돌출부가 상기 소켓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상당한 크기의 둔각으로 라운딩 되면서 돌출되고, 너트의 내주면이 클램핑 링으로부터 상기 소켓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한 주름관의 적어도 2개의 산 부위에 접촉되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주름관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도 실링 부위가 그대로 유지되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은 소켓의 전방면에 형성된 내, 외측돌출부 사이의 요홈부에 삽입된 패킹부재와 클램핑 링의 일측면 및 주름관의 끝단부가 압착되면서 밀착되므로 실링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소켓의 전방면에 형성된 외측돌출부가 너트의 내주면과 클램핑 링의 외주면 사이로 삽입되므로 실링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사용중에 있는 주름관 연결 장치에서 너트만을 조여서 소켓에 형성된 외측돌출부가 너트의 내주면과 클램핑 링의 외주면 사이로 더욱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실링효과를 더욱 증진할 수 있어, 부품을 해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주름관 연결 장치의 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는 소켓의 노출부의 내주면이 체결부의 내주면 보다 반경 외측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소켓의 내주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환형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실링효과가 유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다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램핑 링이 표현된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주름관 연결 장치의 결합순서가 표현된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제1실시예가 표현된 분해도로서, 상반부는 단면도, 하반부는 정면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결합단계가 순차적으로 표현된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시예에 사용되는 클램핑 링이 표현된 정면도로서, 도 9은 클램핑 링이 주름관 연결 장치에 결합되기 전의 형상이 표현된 도면이고, 도 10은 결합이 완료된 후의 형상이 표현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제2실시예가 표현된 단면도로서,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표현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소켓 및 패킹부재가 표현된 분해단면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합단계가 순차적으로 표현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방면, 일측부, 끝단부, 선단부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의 연결 장치의 제1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Tube)의 둘레에 연속된 파형 주름(12, 13)이 형성된 주름관(10)과, 주름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일측부가 주름관(10)의 외측에 삽입된 너트(20)와, 주름관(10)과 결합되어 너트(20)의 일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클램핑 링(30)과, 너트(20)와 나사결합되는 소켓(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름관(50)에 형성된 파형의 주름(12, 13)은 관의 둘레에 연속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주름 중 작은 지름 부분을 "골(12)"라 하고, 큰 지름 부분을 "산(13)"이라 한다.
너트(20)는 소켓(40)방향으로, 주름관(10)의 산(13)의 외경보다 상당히 큰 내경을 갖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되고, 너트(20)의 타측에 상기 플랜지부(21) 보다 내경이 작은 원통부(22)가 형성된다.
플랜지부(21)는 소켓(40)과 대향되는 일측 부위의 내주면에 암나사(23)가 형성되고, 플랜지부(21)와 원통부(22) 사이의 내주면에, 클램핑 링(30)의 일측면(34)과 접촉되는 단턱부(24)가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 연결장치의 결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단턱부(24)의 내주면(24a)이 주름관의 적어도 2개의 산(13a,13b)과 접촉되도록 너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너트(20)는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암나사(23)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단턱부(24)가 형성된 부위를 향하여, 클램핑 링(30)을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착하는 경사면(25)과 클램핑 링(30)이 안착되는 제1시트부(28)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경사면(25)은 서로 이격된 제1, 2경사면(25a. 25b)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경사면(25a)과 제2경사면(25b) 사이에 제2시트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5)은 제1시트부(28)를 향하여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너트가 상기 클램핑 링(30)을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경사면(25)이 클램핑 링(30)의 상측코너부에 형성된 모서리(35)와 접촉되어, 클램핑 링(30)이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제1시트부(28)로 안내되어 용이하게 제1시트부(28)에 강제적으로 압입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는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클램핑 링(30)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등의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확개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위가 절개되어 양단부(36, 37)가 소정의 이격거리(d1)을 갖도록 이격된다.
또한, 클램핑 링(30)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도로 보아, 반경 내측 방향에 위치되어 주름관의 골(12a)에 삽입되는 내측부(31)와,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되어 주름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부(32)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부(31)는 반경 내측 방향으로 중앙부가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32)는 외주면(36) 및 양측면(33, 34)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켓(40)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소켓의 일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너트(20)의 암나사(23)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42)가 형성되어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부(40a)와, 상기 체결부와 대향되는 소켓의 타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배관과 같은 미도시의 이음체와 나사연결되는 나사(43)가 형성된 연결부(40c)와, 상기 체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고 외주면이 볼트 헤드부와 같이 6각형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40b)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부(40c)에 형성된 나사(43)는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고 연결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40b)는 상기 너트(21)에 씌워지는 소켓(40)의 체결부(40a)로부터 상기 클램핑 링(3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외주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노출부(40b)는 그 양측에 위치되는 체결부(40a) 및 연결부(40c) 보다 외주면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출부(40b)의 내주면(41a)은 체결부(41b)의 내주면(42a) 및 연결부(40c)의 내주면(43a) 보다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체결부와 연결부의 내주면 사이에 환형의 공간부(C1)가 형성된다.
따라서, 소켓(40)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환형의 공간부(C1)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노출부(40b)의 최단두께(t1)은 체결부(40b)의 두께(t2)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소켓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부(40b)가 변형되면서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소켓(40)이나 너트(20)에 외부충격이 직접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노출부(40b) 및 환형 공간부(C1)에 충격이 흡수되어 완화되므로 클램핑 링(30) 주변의 변형이 방지되거나 저감되어 실링효과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아 소켓(40)의 우측면에 해당되는 소켓(40)의 전방면(49)에는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되는 가장자리에 클램핑 링(30)을 향하여 소켓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외측돌출부(44)가 형성되어, 소켓(40)과 너트(20)의 1차 나사결합 시, 클램핑 링(30)의 일측면(33)이 외측돌출부(44)의 선단부에 접촉되고, 외측돌출부(44)의 반경 내측 방향에는 공간부(47)가 형성된다. 또한, 소켓(40)의 전방면에는 반경 내측 방향에 위치되는 가장자리에 주름관(10)의 끝단부(14)를 압착하기 위한 링형상의 내측돌출부(45)가 소켓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내, 외측돌출부(44, 45) 사이에는 상기 육각머리부(41)측으로 함몰된 환형 형상의 요홈부(46)가 형성되는데, 요홈부(46)는 상기 공간부(47)의 일부를 이룬다. 내측돌출부(45)는 외측돌출부(44)에 비하여 돌출된 길이가 작게 형성되고, 요홈부(46)와 접하는 상측 모서리(45a)가 각형으로 형성되는데, 상측 모서리는 대략적으로 보아 90°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돌출부의 상측 모서리(45a)는 주름관 연결 장치의 결합완료 시 클램핑 링(30)의 내측부(31)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주름관의 끝단부(14) 부위와 선접촉하면서 상기 끝단부(14)를 클램프 링의 내측부(31)측으로 강하게 압착한다.
또한, 상기 내측돌출부(45)는 상기 소켓(4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데, 상기 소켓(40)의 내주면으로부터 둔각의 만곡부로 라운딩되면서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돌출부(45)와 소켓(40)의 내주면의 연결부위에 두꺼운 보강부(45b)가 형성되어, 주름관 연결 장치에 상당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내측돌출부(45)가 상기 보강부(45b)에 의하여 주름관(10)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짐이 방지되므로 실링효과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40)의 숫나사(42)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0)의 암나사(23)의 내측에 반경 외측 방향으로 약간 들어가도록 공간부(C2)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 또는 소켓에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경우, 상기 공간부(C2)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므로 상기 클램핑 링(20) 주위의 변형이 방지되거나 저감되어 실링효과가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결합순서를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가 현장에 설치되기 전에, 먼저 너트(20)와 소켓(40) 사이에 클램핑 링(30)을 개재한 후, 너트(20)와 소켓(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여서(회전하여) 너트(20)와 소켓(40)을 1차 나사결합하면, 클램핑 링(30)의 일측면(33)이 소켓의 외측돌출부(44)의 선단부에 접촉되고, 클램핑 링(30)의 타측면의 상측에 위치한 상측 모서리(35)가 너트의 제1경사면(25a)에 접촉된다.
이때, 클램핑 링(30)은 반경방향으로 압착되거나 확개됨이 없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링(30)의 양단부(36, 37)가 제조 당시의 이격거리(d1)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클램핑 링(30)을 나선관의 골에 삽입하기 위하여 확개할 필요없이, 너트(20)와 소켓(40) 사이에 간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너트와 소켓의 1차 결함단계에서, 클램핑 링(30)은 변형됨이 없이 제조시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나사 결합된 너트(20)와 소켓(40)의 적어도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테이프(60)를 접착하여 너트(20)와 소켓(40) 사이가 봉인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테이프(60)는 너트(20)와 소켓(40)의 사이의 경계를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접착할 수도 있고, 상기 너트(20)와 소켓(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을 국부적으로 씌워주도록 접착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테이프(60)에는 상기 너트(20)와 소켓(40)의 외주면의 경계선을 따라 절취선(61)이 형성되어, 너트(20)와 소켓(40)이 조여지는 경우 상기 절취선(61)이 쉽게 파열되기 때문에 너트(20)와 소켓(40)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조여질 수 있고, 상기 절취선(61)은 다수의 소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주름관(10)의 일측부를 소켓(30)을 향하여 너트(20) 내부로 밀어 넣으면, 클램핑 링(30)의 내측부(31) 저면이 주름관의 끝단부(14)에 형성된 산(14')에 접촉되고, 주름관의 끝단부(14)는 소켓의 내측돌출부(45)에 근접된다.
한편, 클램핑 링(30)은 그 내측부(31) 저면의 내경이 주름관의 산(14')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관(10)에 약간 힘을 가하여 클램핑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상기 상태에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0) 및/또는 소켓(40)을 회전시켜 양자를 더욱 조여주면 클램핑 링(30)은 너트의 제1경사면(25a)을 따라 제2시트부(27)에 도달할 때까지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클램핑 링(30)의 내측부가 주름관의 일측부에 형성된 골(12a)에 삽입되기 시작하고, 주름관의 끝단부(14)는 소켓(40)의 내측돌출부(45)에 접촉되면서 압착되기 시작하고, 테이프(60)는 절취선(61)을 따라 파열되기 시작한다.
상기에서 도 8a로부터 도 8d에 도시된 상태까지, 클램핑 링(30)의 일측면(33)은 소켓(40)의 외측돌출부(44)의 선단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d의 상태에서 너트(20) 및 소켓(40)을 더욱 조여주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60)는 절취선(61)을 따라 완전히 파열되고, 클램핑 링(30)은 제2시트부(27), 제2경사면(25b)을 거쳐 제1시트부(28)로 안내되면서 제2경사면(25b)을 따라 반경 내측 방향으로 더욱 압착되어 주름관의 일측부에 형성된 골(12a)에 삽입된다. 이때 클램핑 링(30)은 외측돌출부(44)의 반경 내측 방향에 형성된 공간부(47)로 진입되기 시작하고, 외측돌출부(44)는 클램핑 링(30)과 제2시트부(27) 사이의 틈새로 진입되기 시작한다.
또한, 주름관의 끝단부(14)는 내측돌출부(45)에 의하여 클램핑 링(30) 방향으로 압착된다.
도 8e의 상태에서 너트(20)와 소켓(40)을 더욱 조여주면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링(30)은 너트의 단턱부(24)에 의하여 소켓(40) 측으로 압착되어 클램핑 링(30)의 적어도 일측면(33)이 소켓의 요홈부(46)로 진입된다.
또한, 소켓의 외측돌출부(44)는 제2시트부(27)에 안착되고 내측돌출부의 상측 모서리(45a) 는 나선관의 끝단부(14)를 클램핑 링(30) 측으로 더욱 압착하여, 너트(20)의 내주면과 클램핑 링(30)의 외주면 사이 및 소켓의 내측돌출부의 상측 모서리(45a)와 클램핑 링(30)의 내측부(31) 사이가 완전히 실링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돌출부(45)의 상측 모서리(45a)가 대략 90° 각도의 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향되는 클램핑 링의 내측부(31)는 곡면부로 형성되어, 상측 모서리(45a)가 주름관의 끝단부(14)와 선(line) 접촉됨으로써, 상기 선 접촉 부위에 압착력이 집중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주름관의 끝단부(14)를 더욱 강하게 압착할 수 있어, 실링효과가 향상된다.
도 8e의 상태로부터 도 8f의 결합완료 단계까지의 소켓(40)과 너트(20)의 나사결합을 2차 나사결합이라 칭하고, 2차 나사결합 시 클램핑 링(30)은 내측돌출부(45)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공간부에 해당되는 요홈부(46)로 진입된다.
한편, 클램핑 링(30)은 상기 결합과정에서 제1, 2 경사면(25a, 25b)에 의하여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착되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36, 37)의 이격거리가 d1에서 d2로 축소되고,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이격거리 d2가 거의 0로 된다.
또한, 도 8f의 결합상태는 너트(20)와 소켓(40)의 나사결합이 완료된 상태로서, 도 8f에 도시된 상태의 주름관 연결 장치가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소켓의 외측돌출부(44)의 끝단과 제2경사면(25b) 사이에 약간의 공간부(27')가 존재하므로, 상기 주름관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유체의 누설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주름관 연결 장치의 부품을 해체하거나 교체함이 없이 단순히 너트(20)를 더욱 조여주어, 외측돌출부(44)가 제2경사면(25b)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부(27')에 삽입되기 때문에, 실링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돌출부(44)의 두께 및/ 또는 제 2시트부(27)의 내경이 외측돌출부(44)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돌출부(44)가 제2시트부(27)와 클램핑 링의 외주면(36)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함과 아울러, 클램핑 링(30)이 주름관(11)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실링효과도 증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는 결합 완료시에, 너트의 단턱부 내부면(24a)이 상기 클램핑 링(30)으로 부터 상기 소켓(40)의 반대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주름관의 산(13a, 13b)과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관 연결 장치에 외부 충격이나 주름관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주름관에 휘어짐이 발생하여도 클램핑 링(30) 주위의 실링 부위가 변형없이 유지되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외측 돌출부(44)의 끝단과 제2 경사면(25b)사이에 소정의 공간부(2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 발생시 상기 공간부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에 큰 영향을 미치는 클램핑 링(30), 내, 외측 돌출부(45, 44)가 너트(20)본체 내에서 주름관(10)을 향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너트 본체의 중앙에 외부충격이 직접 가해지는 경우도 상기 클램핑 링, 내, 외측 돌출부 등은 변형이 적게 발생되어, 실링효과가 유지된다.
도 11 내지 도 13f에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1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름관(10), 너트(20), 클램핑 링(30), 및 소켓(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40)의 전방면에 형성된 내측돌출부(45')가 주름관의 끝단부(14)에 접촉되지 않도록 제1실시예의 내측돌출부(45) 보다 반경 내측 방향에 형성된다.
또한, 소켓의 외측돌출부(44)와 내측돌출부(45')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46')에 제1실시예에 포함되지 않은 링 형상의 패킹부재(50)가 삽입되어, 소켓(40)과 너트(20)의 2차 나사결합 시 패킹부재(50)에 클램핑 링(30)의 일측면(33)과 주름관의 끝단부(14)가 접촉되어, 클램핑 링(30)이 패킹부재(50)를 소켓(40) 측으로 압착함과 아울러, 패킹부재(50)가 주름관의 끝단부(14)를 클램핑 링(30)측으로 압착한다.
한편, 패킹부재(50)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크며, 내식성 및 내마모성도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금속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킹부재(50)가 삽입되는 소켓의 요홈부(46')를 이루는 소켓의 일측면 표면에는 돌기(46a)가 형성되어, 패킹부재(50)가 압착되거나 패킹부재(50)에 의하여 주름관의 끝단부(14)가 압착될때 상기 돌기에 의하여 패킹부재(50)가 정위치에서 유동됨이 방지된다.
특히,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는 패킹부재(50)의 전방면이 클램핑 링(30)의 일측면(33) 뿐만 아니라, 주름관의 끝단부(14)에 압착된 상태로 밀착되므로 실링효과가 향상된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패킹부재(50) 및 내향 돌출부(45')의 형성 위치를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한 더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합 방법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제1실시예의 도 8a 내지 도 8f에 각각 대응되고, 제2실시예의 결합순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연결 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이 당연하다.
10: 주름관 14: 끝단부
20: 너트 25a: 제1경사면
25b: 제2경사면 28: 제1시트부
30: 클램핑 링 40: 소켓
44: 외측돌출부 45: 내측돌출부
46: 요홈부 47 : 공간부
50: 패킹부재 60 : 테이프
61: 절취선

Claims (7)

  1. 골과 산이 교호로 연속되게 형성된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너트와,
    상기 주름관의 골에 내측부가 삽입되는 클램핑 링과,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전방면에 외측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와 상기 소켓의 1차 나사결합 시 상기 클램핑 링의 일측면이 상기 외측돌출부의 선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너트와 상기 소켓의 2차 나사결합 시 상기 외측돌출부는 상기 너트의 내주면과 상기 클램핑 링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 링은 반경 내측 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클램핑 링의 내측부가 상기 주름관의 골에 삽입되고, 상기 주름관의 끝단부는 상기 소켓의 전방면과 상기 클램핑 링 사이에서 압착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클램핑 링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보다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노출부의 일측에 상기 체결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이음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보다 반경 외측방향을 향하여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연결부의 내주면 사이에 링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주름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최단 두께는 상기 체결부의 두께 이하인 주름관 연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골과 산이 교호로 연속되게 형성된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너트와,
    상기 주름관의 골에 내측부가 삽입되는 클램핑 링과,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전방면에 상기 클램핑 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너트의 내주면과 상기 클램핑 링의 외주면 사이로 삽입되는 외측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소켓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대향되는 상기 소켓의 타측에 배치되어 소정의 이음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 및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보다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주름관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외주면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 및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보다 반경 외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주름관 연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사이에 링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반경 외측방향을 향하여 들어간 주름관 연결장치.
KR1020180123742A 2017-10-24 2018-10-17 주름관 연결 장치 KR10259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742A KR102592074B1 (ko) 2018-10-17 2018-10-17 주름관 연결 장치
US16/169,722 US11306850B2 (en) 2017-10-24 2018-10-24 Connecting device for corrugated pip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17/684,900 US11644135B2 (en) 2017-10-24 2022-03-02 Connecting device for corrugated pip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742A KR102592074B1 (ko) 2018-10-17 2018-10-17 주름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091A KR20200043091A (ko) 2020-04-27
KR102592074B1 true KR102592074B1 (ko) 2023-10-20

Family

ID=7046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742A KR102592074B1 (ko) 2017-10-24 2018-10-17 주름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0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378Y2 (ko) * 1986-01-22 1991-06-07
KR20140066325A (ko) * 2012-11-23 2014-06-02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기밀 유지 기능을 가지는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091A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67413A (en) Triple-sealing pipe joint
US3856337A (en) Pipe coupling
EP0545410B1 (en) Sealing quick-coupling device for unbraided flexible metal tubes
US11644135B2 (en) Connecting device for corrugated pip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2761704A (en) Tube coupling adapted to upset pipe end
JPH0355713B2 (ko)
US5029907A (en) Band for effecting a seal
JPH0371594B2 (ko)
US3653688A (en) Pipe coupling device
US3561251A (en) Tools for coupling pipes with other members
US3652110A (en) Formation of joints between tubular members
KR102592074B1 (ko) 주름관 연결 장치
KR20160072111A (ko) 파이프 결합구
JPS58160687A (ja) 金属管用管結合部
KR102256443B1 (ko)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
KR102333328B1 (ko)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
JP3124246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管継手の接続機構
CN111480027B (zh) 波纹管连接装置及其联接方法
KR20200028117A (ko) 주름관 연결 장치의 결합 방법
JP2003232476A (ja) 管継手用ゴムパッキン
US2650840A (en) Large diameter coupling
KR20190045633A (ko) 주름관 연결 장치 및 그 결합 방법
JP6764668B2 (ja) 管継手および管の接合方法
GB2264543A (en) Compression fitting for soft pipes with split frustoconical gripper ring
KR101548113B1 (ko) 플렉시블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