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166A -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166A
KR20070097166A KR1020060027996A KR20060027996A KR20070097166A KR 20070097166 A KR20070097166 A KR 20070097166A KR 1020060027996 A KR1020060027996 A KR 1020060027996A KR 20060027996 A KR20060027996 A KR 20060027996A KR 20070097166 A KR20070097166 A KR 2007009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pipe
flexible pipe
press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트라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트라, 이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트라
Priority to KR102006002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7166A/ko
Publication of KR2007009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스프링클러가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된 결합부의 외면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경사면과 단턱이 형성된 스프링클러 연결관과; 스프링클러 연결관 일측 결합부와 압착캡 사이에 압착시일, 압착부싱, 결속홀더가 구비되어 내부로 인입되는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 를 수밀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가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시공공법을 개선하여 시공의 간소화와 성력화를 이루고,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범용성과 실용성을 제공하며, 획기적인 공정개선으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도록하고, 충격과 내진설계에도 적합하도록 하며, 또한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내압 시험, 굽힘 시험, 수격 시험 등의 각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도 견고하게 파이프와 연결장치가 압착 결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밀유지와 결속력 향상에 따른 연결장치의 성능향상과 방재성능의 극대화는 물론 연결장치의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스프링클러,

Description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A flexible coupling device for a pipe of a sprinkler}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의 배관 및 헤드 설치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분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용 플랙시블 파이프 연결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
10:스프링클러 연결관 10':연결장치
11:결합부 12:경사면
13:단턱 20:압착 캡
21:돌출부 30:압착 시일
31:몸체 32:플랜지
33:걸림턱 40:압착부싱
41:테이퍼부 50:결속홀더
51,52:결속 경사면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랙시블 파이프를 연결작업시 견고하면서도 단순 원터치작업으로 간편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지진과 충격에 대비하는 동시에 스테인리스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나선형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작단가를 줄이고 연결구는 이중구조로 결합되도록 함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속이 우수하도록 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산업발전과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건축물의 고층화와 경제구조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건축물의 복잡화, 다양화, 인텔리젼트화와 더불어 국민생활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지는 반면, 화재의 위험성은 더욱 다양화되어 화재로부터 끊임없이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소방 등의 화재에 관련된 단체들이 911 테러 후 고층 건축물의 화재문제에 주목하게 되고, 화재와 연기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 으며, 건축물 화재에서 인명안전을 도모하고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대책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시급하다.
따라서 건축물에서 화재시 화염의 억제나 연기제어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방시스템 중의 하나가 스프링클러설비이다. 스프링클러설비를 이용한 화재의 억제는 고층 건축물의 재실자의 인명을 지키는데 매우 탁월함이 입증되었고,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방출하는 소화수가 화재구역의 연기의 높이를 내리는 데는 부적절하지만, 연기를 냉각시키거나 화재의 규모를 줄이는 데는 아주 효과적이다.
우리나라도 2005년부터 11층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서는 전 층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법적인 규제와 건축물 화재의 제어나 탁월한 소화능력으로 인해 소방시스템 중에서도 스프링클러설비는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소방법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에 의하면 도 1과 같이 천정의 반자 속에서 가지배관(300)이나 교차배관(400)에서 분기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한쪽 가지배관(300)에 설치하도록 되어있고, 스프링클러 헤드(200)만 천장의 반자 아래로 표출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도 1과 같은 방법의 시공으로는 첫째, 좁은 공간에서의 시공으로 설치의 어려움이 있고, 둘째, 이에 따라 공사비가 높아지고 있으며, 셋째, 이러한 배관공사로부터 현장 인력소요가 크다는 점에서 시공 상의 가장 크리티칼한 공사로 대두되고 있고, 넷째, 종래의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스템의 파이프는 그 기능상 내화성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점에서 흑 강관 또는 아연도 강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지진이나 충격에 아주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관련 업체들은 지진이나 충격에 강하고 파이프 축방향의 발생하는 비틀림 강성을 높이기 위해 나선형의 플렉시블 파이프를 개발하여 스프링클러용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할 때 파이프 나선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결하지 못하고, 도 2와 같이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00)의 앞부분을 직선 파이프(101) 형태(도 2참조)로 만들어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 헤드(200)와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플렉시블 파이프의 장점은 파이프에 주름을 만들어 굴곡성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일반 강관보다 강직성(강도)이 약하기 때문에 방향전환이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연결장치의 구조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즉, KS D 3628에 의하면 내압 시험(1,715㎪)이나 90° 이하의 굽힘 시험(19.6㎪),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플렉시블 파이프 사이의 이음부(연결장치)가 확실하게 기밀이 유지되어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누수 및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의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방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9조' 및 '소방용 기계 기구 등의 형식승인 등에 관한 규칙 제28조'의 규정에 의한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플렉시블 파이프)의 시험 기술기준'에 의하면 상기 시험 외에 3,500㎪의 압력변동에 4,000회 이상의 수격 시험으로부터 그 성능을 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출유량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라 일정 방출계수 값을 규정하여 방재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00)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연결장치들을 보면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와는 달리 파이프에는 산(凸)과 골(凹)이 요철형태의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다수가 도 2와 같이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나선 형상(나선의 피나 리드각)에 따른 기밀작용과 파이프 결속의 어려움으로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에 일정 길이의 직선부위(도면 2의 길이 L)를 만들고, 이 부위에 캡 너트(500)와 합성수지 종류의 파이프 홀더(600)를 삽입한 후 다시 도2의 부분 확대와 같이 직선부위를 절곡시켜 턱을 만든 다음 파이프의 직선 부위 앞에 오링(O-ring)(700)을 삽입하고,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장치 몸체(800)와 캡 너트(500)를 체결하여 파이프와 결속하고 난 뒤 연결장치 몸체(800)에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체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 도 2와 같이 가지배관(300)에 연결하는 쪽도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하는 부분과 똑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기밀작용과 파이프 결속의 어려움으로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에 일정 길이의 직선부위(도면 2의 길이 L)를 만들고, 다시 직선부위를 절곡시켜 턱(도면 2의‘A’부분 상세도)을 만듦으로서 제조공수가 늘어나 제작단가가 높아지고, 주문생산에 의해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범용성과 실용성을 전혀 주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직선부위로 인해 굴곡반경이 작기 때문에 굴곡성이 떨어진다.
둘째,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직선부위에 오링(2)을 삽입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형태로는 결속작용을 동시에 담당하기에는 많은 결점 을 안고 있다. 예를 들면,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하면 내압 시험(1,715㎪)이나 90° 이상의 굽힘 시험(19.6㎪), 수격 시험(3,500㎪),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이 작용하면 파이프의 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보(beam)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됨으로 이때 연결장치의 실링부분이 파이프의 지지부분(도면 2의 ‘L’ 부분)이 된다. 따라서 도면 2의 ‘L’부분은 유체-구조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견뎌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결장치들은 역학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오링만을 삽입하였기 때문에 ‘L’부분의 길이가 너무 짧다.
셋째, 기존 연결장치들이 파이프의 결속과 보의 지지대 역할을 위해 합성수지의 파이프 홀더로 파이프를 뒤에서 잡고 있다 하더라도 취약하여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각종 시험과 충격, 지진 등에서 완벽한 기밀작용과 누수현상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파이프 연결장치가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각종 시험과 충격, 지진에 관계없이 누수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것은 실링이 파이프에 삽입된 하나의 오링에만 의존하고 있고, 이것은 오링과 파이프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고 좁기 때문에 오링이 각종 시험에서 누수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소방시설 중 스프링클러 설비에 사용하고 있는 신축배관(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장치는 소방법에서 상기 시험 외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출유량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라 방출계수를 규정하고 있지만, 기존의 연결장치들은 방출유량이나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의 유체역학적인 사항들이 고려되지 않아 방출유량이 불규칙하여 화재진압에서 어느 정도의 방재성능을 낼지 장담할 수 없다.
스테인리스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가 소방 방재분야에서도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기존의 연결장치는 각종 수압 시험과 충격이나 지진, 방출유량,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에 대하여 최적의 성능을 얻기가 어렵고 화재와 같은 재난에 사용하기에는 신뢰성이 부족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견고하면서도 단순작업(원터치)으로 간편한 시공을 할 수 있고, 기존의 연결장치와는 달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지진과 충격에 대비하고, 스테인리스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에 직선부위를 만들지 않고 파이프의 나선형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작단가를 줄이고 범용성과 실용성을 부여하며, 스프링클러 헤드의 시공 간소화 및 성력화를 이룰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연결장치를 구성함과 동시에 기밀과 결속이 우수하고 최적의 성능으로 화재진압에도 신뢰성이 우수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스테인리스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나선형상을 그대로 사용하고,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내압 시험(1,715㎪), 굽힘 시험(19.6㎪), 수격 시험(3,500㎪) 등 각종 시험규정에 적합하며,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 흡수할 수 있는 연결장치의 제작을 위하여 공학적 정의에 의해 다음과 같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파이프의 결속 길이(L1과 L4) : 스테인리스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나선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일반 강관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 의해 파이프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는 보의 길이 즉, 파이프가 결속되는 길이(또는 압착시일의 장착길이, 도 3에서 길이 L1과 L4)로 파이프의 연결 형태에 따라 외팔보나 양단 고정보로 계산하여 아래 표와 같이 결정하고, 파이프(7)를 더욱 더 견고하게 결속시켰다.
파이프 호칭지름 ΦD (KSD3628) 20A 25A 32A
길이 L1 1.5~1.7D 1.7~1.9D 2.0~2.2D
둘째, 압착시일(compression seal)의 길이(L2) : 각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 의해 파이프가 연결장치로부터 빠지지 않으려면, 압착시일이 도 4의 ‘A’ 부분과 같이 파이프의 산과 골 사이를 완전히 파고들고 또 도 4의 ‘B’ 부분과 같이 한 몸체를 이루어야 하고, 또 압착시일과 스프링클러 연결관의 결합부가 서로 확고하게 결속되지 않으면 안 된다. 파이프에 작용하는 압력과 힘, 유체 토크 등을 압착시일의 탄성변형을 고려하여 압착시일의 길이 L2≒(1.10~1.20)L1로 결정하고 체결 시 파이프를 더욱 더 견고하게 압착 결속시켜 기밀을 향상시켰다.
셋째, 노즐분사 각(α1과 α2) : 제반 유체역학적 특성(방출유량이나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출유량(Q=180ℓ/min)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른 방출계수(K=121~214)에 적합한 스프링클러 연결관의 노즐분사 각 α=40~60°로 결정함으로서 최적의 성능을 갖고 화재진압에도 신뢰성을 갖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였다.
넷째, 압착(결속) 경사면의 각도(θ) : 유체압력으로부터 파이프에 작용하는 힘과 유체 토크,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 의해서도 파이프가 스프링클러 연결관의 결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압착 부싱과 결속 홀더, 압착 캡의 압착(결속) 경사면의 경사각 θ=30∼45°로 결정하고, 파이프와 연결장치가 더욱 더 확고히 결속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기존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아래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와 연관시켜 연결 접속시키는 과정 및 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스프링클러(2)가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가 삽입되도록 된 결합부(11)의 외면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경사면(12)과 단턱(13)이 형성된 스프링클러 연결관(10)과;
스프링클러 연결관(10) 일측 결합부(11)와 압착캡(20) 사이에 압착시일(30), 압착부싱(40), 결속홀더(50)가 구비되어 내부로 인입되는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 를 수밀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10')가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압착시일(30)은 원통형의 몸체(31)로 이루어지고 몸체 일측에는 외면으로 돌출된 플렌지(32)가 형성되고 타측은 몸체의 내경 보다 더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지도록 걸림턱(33)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압착 부싱(40)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면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부(41)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홀더(50)는 원통형 링으로 이루지고 양측 단부 외면에 결속 경사면(51)(52)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압착 캡(20)은 일측 내면은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결합부(11)가 나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은 압착 캡(20) 내면 보다 더 작은 직경과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21)가 형상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의 분해도와 도 4의 조립도에서와 같이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연결장치는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결합부(11) 내에 압착시일(30), 압착 부싱(40), 결속 홀더(50)가 위치하도록 하고 결합부(11)는 압착 캡(20)이 결합되도록 연결장치(10')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연결장치는 스프링클러 연결관(10)과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를 결합시 일측 압착캡(20)의 돌출부(21)의 통공을 통화여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 일측단부가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일측 결합부(11) 내부에 위치한 압착시일(30)까지 끼워지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분리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조립도로서, 스프링클러 헤드(2), 나선용 플렉시블 파이프(1)와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연결과정은 도 3의 분리도와 같이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결합부(11)에 압착시일(30)을 삽입하고, 압착 캡(20)에 결속 홀더(50)와 압착 부싱(40)을 삽입한 후 내부로 나선형 플 렉시블 파이프(1)를 통과시켜 끼운 다음 압착 시일(30)의 걸림턱(33) 안쪽 끝까지 밀어 넣고 스프링클러 연결관(10) 결합부(11)의 수나사에 압착 캡(20)의 암나사를 완전히 조이면 도 4와 같이 단순작업의 원터치 방식으로 플렉시블 파이프(1)와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이 견고하고도 완벽하게 압착 결속되어 기밀 유지는 물론 각종 시험이나 충격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를 압착 캡(20)과 압착 홀더(50), 압착 부싱(40) 내부로 통과시켜 압착 시일(30)의 안쪽 끝까지 밀어 넣고 스프링클러 연결관(10) 결합부(11)와 압착 캡(20)을 결합시켜 압착 캡(20)을 서서히 조이기 시작하면 결속 홀더(50)와 압착 부싱(40)에 의해 압착 시일(30)의 걸림턱(33)은 결합부(11)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12)과 단턱(13)으로부터 구속 압착된다.
즉,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가 끼워진 상태에서 압착 캡(20)을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결합부(11)에 결합하면 압착 캡(2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가 결합부(11)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면서 압착 캡(20)의 돌출부(21) 내면이 결속홀터(50) 일측 결속 경사면(51)을 밀고 타측의 결속 경사면(52)은 대응된 압착부싱(40)의 테이퍼부(41)를 밀게 되며 압착부싱(40)의 일면은 압착시일(30)의 플랜지(32)를 가압하여 압착시일(30)이 파이프의 굴곡된 나선형에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압착시일(30) 걸림턱(33)은 결합부(11) 내면의 경사면(12)과 단턱(13)에 대응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압착 캡(20) 돌출부(21)에 대응된 결속홀 더(50)는 일측의 결속 경사면(51) 돌출부(21)의 내측 경사면에 의하여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의 외면과 밀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발췌 확대도로서, 스프링클러 연결관(10) 일측 결합부(11)와 압착 캡(20)이 나사 결합되어 내부의 압착 부싱(40)과 결속홀더(50), 압착 캡(20)이 밀착 결합되고 압착시일(30)은 결합부(11) 내부에서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 외면의 나선형 굴곡면에 대응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 5의 일부 발체도와 같이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의 끝 단면의 형상과 똑같은 형상으로 감싸면서 서서히 압착하기 시작하고, 압착 캡(20)을 점점 더 조이기 시작하면 2차적으로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결합부(11) 내면에 가공된 결속길이(L1) 만큼 파이프의 단부가 끼워지고, 끼워진 파이프의 단부에는 압착 시일(30)이 결합되어 압착 캡(20)이 조여지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발생되어 도4 및 도5와 같이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의 산과 골 사이를 파고들면서 점차 파이프의 형상과 똑같은 형상을 이루게 되고 파이프를 더욱 더 압착시키며 파이프와 압착 시일(30)은 완벽하게 한 몸체가 되어 파이프와 압착 시일(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 압착 캡(20)을 완전히 조이면 한 몸체가 된 파이프와 압착 시일(30)은 스프링클러 연결관(10) 결합부(11)의 내면에 의해 다시 압착되어 아주 견고하게 압착 결속되고, 압착 시일(30)과 연결장치(10')는 기밀을 유지하면서 강성을 갖는 보의 지지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연결장치인 도면 2에서와 같이 직선부위에 한 개의 오링만을 끼워 기밀작용과 결속작용을 한 것보다는 수배이상의 기밀과 결속효과를 얻을 수 있고, 스테인리스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에 직선부위를 만들지 않음으로서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1)의 제작단가를 줄이고 범용성과 실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연결관 결합부(11)의 수나사와 압착 캡(20)의 암나사를 결합시켜 압착 캡(20)을 점점 조이기 시작하면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력을 지닌 수지 계통으로 제작된 결속 홀더(50)의 결속 경사면(51)(52)은 압착 캡(20)의 일측 돌출부(21) 내의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결속 홀더(50)는 탄성에 의해 압착 간격이 점차 좁혀지면서 수축되고, 압착 캡(20)이 완전히 조여지게 되면 도면 4와 도5의 결합부분과 같이 파이프(1)를 한번 더 결속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면서 파이프의 결속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또한 압착 부싱(40)의 테이퍼부(41)의 경사각(θ)과 결속 홀더(50)의 양측 결속 경사면(51)(52) 경사각θ, 압착 캡(20)의 돌출부(21) 내측 결속 경사면의 경사각(θ)을 최적의 상태로 설계하여 파이프(1)와 연결장치(10')의 결속력을 극대화하였다.
기존 연결장치들과는 달리 본 발명은 압축 캡(20)만 풀면 파이프와 연결장치 (10')의 보수 및 분해가 수월하다.
KS D 3628과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각종 시험과 제반 유체역학적 특성이나 문제점(방출유량이나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 등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라 규정하는 방출계수를 공학적으로 해결하고, 이에 적합한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노즐분사 각(α1)과 가지배관(3) 연결장치(10')의 노즐분사 각(α2)을 결 정함으로서 연결장치의 유체역학적 성능향상은 물론 스프링클러 헤드의 규정 방출유량(180ℓ/min)을 확보함으로 화재진압에도 최적의 성능을 갖추고 신뢰성을 갖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관(10)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지배관(3)에 연결하는 연결장치(10')의 연결 접속시키는 과정 및 그 작용효과는 스프링클러 헤드(2), 나선용 플렉시블 파이프(1)와 연결장치의 과정과 같다.
도 4의 본 발명의 연결장치와 도 6의 본 발명의 연결장치 설치 예를 도 2의 기존 연결장치와 비교해보면 기존의 연결장치와는 달리 스테인리스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에 직선부위를 만들지 않고 일반 강관과 같이 필요한 길이만큼을 잘라서 쓰기 때문에 파이프의 나선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파이프의 제작단가를 줄이고 범용성과 실용성을 부여하였고, 스프링클러 헤드의 시공 간소화 및 성력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시공공법을 개선하여 시공의 간소화와 성력화를 이루고,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범용성과 실용성을 제공하며, 획기적인 공정개선으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충격과 내진설계에도 적합한 효과를 갖고, 또한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내압 시험, 굽힘 시험, 수격 시험 등의 각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도 견고하게 파이프와 연결장치가 압착 결속되도록 기존 연결장치의 문제점을 공학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기밀유지와 결속력 향상에 따른 연결장치의 성능향상과 방재성능의 극대화는 물론 연 결장치의 유연성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일측에 스프링클러(2)가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가 삽입되도록 된 결합부(11)의 외면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경사면(12)과 단턱(13)이 형성된 스프링클러 연결관(10)과;
    스프링클러 연결관(10) 일측 결합부(11)와 압착캡(20) 사이에 압착시일(30), 압착부싱(40), 결속홀더(50)가 구비되어 내부로 인입되는 나선형 플렉시블 파이프(1)를 수밀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압착시일(30)은 원통형의 몸체(31)로 이루어지고 몸체 일측에는 외면으로 돌출된 플렌지(32)가 형성되고 타측은 몸체의 내경 보다 더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지도록 걸림턱(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압착 부싱(40)은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면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부(41)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결속홀더(50)는 원통형 링으로 이루지고 양측 단부 외면에 결속 경사면(5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압착 캡(20)은 일측 내면은 스프링클러 연결관(10)의 결합부(11)가 나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은 압착 캡(20) 내면 보다 더 작은 직경과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060027996A 2006-03-28 2006-03-28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KR20070097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996A KR20070097166A (ko) 2006-03-28 2006-03-28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996A KR20070097166A (ko) 2006-03-28 2006-03-28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54U Division KR200420212Y1 (ko) 2006-03-29 2006-03-29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166A true KR20070097166A (ko) 2007-10-04

Family

ID=3880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996A KR20070097166A (ko) 2006-03-28 2006-03-28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71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284B1 (ko) *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2620A (ko) 2016-04-01 2017-10-12 임원일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284B1 (ko) *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2620A (ko) 2016-04-01 2017-10-12 임원일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5766A (en) Adapter for plastic pipe
CA2571280C (en) Reusable fitting for tubing
AU746378B2 (en) Preassembled fitting for use with corrugated tubing
AU626393B2 (en) Cantilever lip conduit coupling member and assembly
US3700268A (en) Positive locking terminal bushings for flexible pipe
KR20070097166A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20212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US8925976B2 (en) Flanged fitting for use with tubing containment system
KR20070113395A (ko)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KR100591550B1 (ko)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US7416223B1 (en) Fire hose connection with a pressure relieving safety feature
CN208535396U (zh) 一种钢管承插式柔性接头
CN207729075U (zh) 一种消防用金属软管及锚固装置
KR102498846B1 (ko) 소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CN112901869A (zh) 一种带齿形环的卡压式管道连接件
KR20180016865A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KR102498853B1 (ko) 소방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배관 시스템
KR200487144Y1 (ko) 소방 배관 연결구조
CN218992729U (zh) 新型耐高压管道连接结构
CN212973976U (zh) 一种新型消防栓组件安装结构
JPH1122880A (ja) 耐震用管継手および耐震継手付管
CN219712628U (zh) 一种新型复合镀锌管
CN216976091U (zh) 一种消防管道连接处密封连接结构
CN209925828U (zh) 一种用于消防的快接管件
CN211624489U (zh) 一种气体灭火系统管道用高压挠性卡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