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395A -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395A
KR20070113395A KR1020060046196A KR20060046196A KR20070113395A KR 20070113395 A KR20070113395 A KR 20070113395A KR 1020060046196 A KR1020060046196 A KR 1020060046196A KR 20060046196 A KR20060046196 A KR 20060046196A KR 20070113395 A KR20070113395 A KR 2007011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l
pressing
ma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황윤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트라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트라, 이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트라
Priority to KR102006004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395A/ko
Publication of KR2007011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상형 플랙시블 파이프의 연결작업이 단순작업으로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 지면서도 견고하고, 기밀하게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용되는 스프링클러 설비와 같은 화재진압용 설비의 시공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한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다목적용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부재는 다면 헤드 일측에 제1,2수나사관으로 형성된 수나사관체와; 상기 수나사관체의 제1수나사관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압착시일과; 상기 압착시일에 덧대어지도록 개재되는 스프링형 압착부싱과; 상기 제1수나사관에 결합되어 스프링형 압착부싱을 압착시일에 압착시키게 형성된 압착캡;으로 구성됨으로써 기존 연결부재에서 나타나고 있는 액체의 기밀유지와 유체 압력으로 발생하는 힘에 따른 취약한 결속의 문제점을 파이프의 결속 길이(L1)와 압착시일의 길이(L2)를 개선하여 해결함으로써, 화재진압 분야에서도 최적의 방출유량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방재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부재, 스프링클러 헤드, 소방, 방재

Description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MULTI COUPLING MEMBER FOR ANNULATION TYPE PIPE }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환상형 파이프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스냅와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를 분해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의 조립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B"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연결부재 10: 수나사관체
10-1: 제1수나사관 10-2: 압착 경사면
10-3: 끝 단면의 턱 L1: 파이프의 결속 구간
α: 노즐분사 각 20: 압착시일
20-1: 밀착부 20-2: 시일관
20-3: 시일관플렌지 L2: 압착시일의 길이
30: 스프링형 압착 부싱 30-1: 압착 경사면
30-2: 접촉면 t: 압착 부싱의 스프링 간격
40: 압착 캡 40-1: 암나사부
40-2: 압착 경사면 40-3: 삽입공
40-4: 캡플렌지 50: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
50-1 : 파이프의 산(凸) 50-2 : 파이프의 골(凹)
50-3 : 파이프의 끝 단면
본 발명은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상형 플랙시블 파이프의 연결작업이 단순작업으로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 지면서도 견고하고, 기밀하게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용되는 스프링클러 설비와 같은 화재진압용 설비의 시공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한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상수도나 냉난방의 유체 공급수단으로 기존의 상수도관 또는 아연 강관에서 내식성, 내구성, 굴곡성이 우수하고, 지진이나 충격에도 강하며, 간편한 시공과 공사 비용절감 측면에서 스테인리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고, 특히, 소방 방재시스템 중 스프링클러 설비나 옥내소화전 설비의 유체 공급수단으로도 시공의 간편성과 손쉬운 방향전환, 지진, 충격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 다.
이러한 플렉시블 파이프는 KS D 3628에서는 박판(0.25㎜ 이상)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만들어 주름을 넣어 굴곡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고, 강관 정도의 강도를 얻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판재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주름의 형상에 따라 환상형과 나사선형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파이프는 용도상 최대한의 유연성과 굴곡성을 얻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여 주름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직경이 커질수록 구조상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플렉시블 파이프는 일반 강관보다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방향전환이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구조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즉, KS D 3628에 의하면 내압 시험(1,715㎪)이나 90° 이하의 굽힘 시험(19.6㎪),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플렉시블 파이프사이의 이음부위(연결부재)가 확실하게 기밀이 유지되어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부재의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방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9조' 및 '소방용 기계기구 등의 형식승인 등에 관한 규칙 제28조'의 규정에 의한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플렉시블 파이프)의 시험 기술기준'에 의하면 상기 시험 외에 3,500㎪의 압력변동에 4,000회 이상의 수격 시험으로부터 그 성능을 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출유량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라 일정 방출계수 값을 규정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환상형 파이프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스냅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존의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7)의 연결부재를 보면 직선 파이프와는 달리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7)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산(凸)과 골(凹)이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몸체(1)에 밀폐 패킹(4)과 스냅 와셔(6)를 넣고, 캡 너트(2)로 1차 조립을 한 후,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7)를 'A' 부분과 같이 몸체(1)의 턱에 파이프(7)가 닿을 때까지 완전히 밀어 넣으면 'A' 부분과 같이 밀폐 패킹(4)이 파이프의 골(凹) 부분에 꼭 끼이게 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7)를 연결하는 구조의 기밀이 유지되며, 파이프의 방향전환이나 굴곡 시 빠짐이 방지되도록 캡 너트(2)를 조이면 스냅 와셔(6)의 돌기(6-1)가 파이프의 또 다른 위치의 골(凹) 부분을 물고 있는 상태로 파이프가 고정되는 원터치 방식이 사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7)의 연결부재는 원터치 방식으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부가시켰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파이프의 골(凹) 부분에 밀폐 패킹을 꼭 끼이게 하고 몸체의 단부로 하향 압박하는 구조로 되어있는데, 이것은 플렉시블 파이프 한 개의 골(凹) 부분에만 끼운 오링(O-ring)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 같은 형태로는 기밀작용과 동시에 결속작용을 담당하기에는 많은 결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하면 내압 시험(1,715㎪)이나 90° 이상 의 굽힘 시험(19.6㎪), 수격 시험(3,500㎪),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이 작용하면 파이프에 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보(beam)와 같은 힘을 받게 되며, 이때 연결부재의 패킹부분이 파이프의 지지부분(도 1의 'L' 부분)이 된다.
따라서, 도 1의 'L' 부분은 유체-구조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견뎌야 하는데, 기존의 연결부재는 역학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제작하여 'L'부분의 길이가 너무 짧아 파이프가 연결부재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곧 수압이 센 경우나 외부 충격, 지진에는 파이프의 골(凹)부분에 끼여 있는 패킹이 기밀작용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어 누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기존 연결부재가 파이프의 결속을 위해 합성수지로된 스냅 와셔의 돌기(도 2의 6-1)로 파이프를 뒤에서 받치고 있다 하더라도 돌기 부분이 취약하여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각종 시험과 충격이나, 지진에 의해 패킹이 골(凹) 부분을 빠져나가려는 작용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기밀작용에 완벽을 기할 수 없으며 누수현상을 배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파이프 연결부재가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각종 시험과 충격, 지진에 관계없이 누수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것은 패킹이 파이프에 형성된 하나의 골(凹) 부분에만 끼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과 파이프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고 좁아 패킹이 각종 시험에서 누수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장치들은 가스와 같은 기체를 통과시키는 가스 파이프의 연결 구조로 사용할 경우에 완벽한 기밀작용의 기대가 어려워 가스용 배관으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으며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소방시설 중 스프링클러 설비에 사용하고 있는 신축배관(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부재는 소방법에서 상기 시험 외에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출유량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라 방출계수를 규정하고 있지만, 기존의 연결부재들은 방출유량이나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의 유체역학적인 사항들이 고려되지 않아 방출유량이 불규칙하여 화재진압에 어느 정도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테인리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기존의 연결부재는 각종 수압 시험과 충격이나 지진, 방출유량,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에 대하여 최적의 성능을 얻기가 어렵고 화재와 같은 재난에 사용하기에는 신뢰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상형 플랙시블 파이프의 연결작업이 단순작업으로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지면서도 기밀과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용되는 스프링클러 설비와 같은 화재진압용 설비의 시공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한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참고로,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내압 시험(1,715㎪), 굽힘 시험(19.6㎪), 수격 시험(3,500㎪) 등 각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파이프의 결속 길이( L1 ) : 각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 의해 파이프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는 보의 길이 즉, 파이프가 결속되는 길이(또는 압착시일의 장착길이, 도 3에서 길이(L1)로 파이프의 연결 형태에 따라 외팔보나 양단 고정보로 계산하여 아래 표와 같이 결정하고, 파이프(50)를 더욱더 견고하게 결속시켰다.
둘째, 압착시일(compression seal)의 길이( L2 ) : 각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 의해 파이프(50)가 연결부재로부터 빠지지 않으려면, 압착시일(20)이 도 3의 'A1'부분과 같이 파이프(50)의 산(50-1)과 골(50-2) 사이를 완전히 파고들어 한 몸체를 이루어야 하고, 또 압착시일(20)과 수나사관체(10)가 서로 확고하게 결속되지 않으면 안 된다.
파이프에 작용하는 압력과 힘 등을 압착시일(20)의 탄성변형을 고려하여 압착시일(20)의 길이 L2≒(1.10~1.20)L1로 결정하여 파이프(50)를 더욱더 견고하게 압착·결속시켜 기밀을 향상시켰다.
파이프 호칭지름ΦD (KSD3628) 10A 15A 20A 25A 32A
길이 L1 1.4~1.5D 1.4~1.5D 1.5~1.7D 1.7~1.9D 2.0~2.2D
셋째, 노즐분사 각(α) : 제반 유체역학적 특성(방출유량이나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출유량(Q=180ℓ/min)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른 방출계수(K=121~214)에 적합한 수나사관체(10)의 노즐분사 각 α=42~60°로 결정함으로서 최적의 성능을 갖고 화재진압에도 신뢰성을 갖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를 제공하였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면 헤드 일측에 제1수나사관과, 제1수나사관 타측에 보다 더 작은 직경의 제2수나사관으로 형성된 수나사관체와;
상기 수나사관체의 제1수나사관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압착시일과;
상기 압착시일의 일측면에 덧대어지도록 개재되는 스프링형 압착부싱과;
상기 제1수나사관에 결합되어 스프링형 압착부싱을 압착시일에 압착시키게 형성된 압착캡;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수나사관체는 공구 사용이 용이하게 외주면을 다면으로 형성한 다면 헤드와, 이 다면 헤드의 일측에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가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수나사관과, 상기 제1수나사관 타측에 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불특정 관체와 결합되는 제2수나사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시일은 압착경사면에 밀착되게 경사지고, 끝단면의 턱과 일치되게 선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밀착부와, 이 밀착부를 진입측에 형성하면서 제1수나사관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여 형성되는 시일관과, 이 시일관의 가장자리에 제1수나사관이 걸리게 형성한 시일관플렌지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형 압착부싱은 링형으로, 시일관플렌지 면에 밀착되게 형성된 접 촉면과, 이 접촉면의 타측에 압착캡으로 가압되도록 경사져 형성된 부싱 압착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캡은 외주면에 다면의 결속면이 형성된 캡본체와, 이 캡본체를 제1수나사관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캡본체의 일측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캡플렌지와, 이 캡플렌지와 내주면 사이에 경사져 형성되는 캡 압착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나사관은 다면 헤드의 내주면에 형성된 끝단면의 턱과, 이 끝단면의 턱 내주면 일측에 경사져 형성된 압착경사면과, 상기 압착경사면의 타측에 끝단면의 턱에 경사진 노즐 분사각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착시일은 파이프 결속구간(L1)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를 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의 조립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B"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C)는 수나사관체(10), 압착시일(20), 스프링형 압착부싱(30), 압착캡(40)으로 구성된다.
수나사관체(10)는 다면 헤드(10-4) 일측에 제1수나사관(10-1)과, 제1수나사관(10-1) 타측에 보다 더 작은 직경의 제2수나사관(10-5)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관체(10)는 공구 조작이 용이하게 외주면을 다면으로 형성한 다면 헤드(10-4)와, 이 다면 헤드(10-4)의 일측에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가 고정 연결되도록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제1수나사관(10-1)과, 상기 제1수나사관(10-1) 타측에 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불특정 관체와 결합되는 제2수나사관(10-5)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나사관(10-1)은 다면 헤드(10-4)의 내주면에 형성된 끝단면의 턱(10-3)과, 이 끝단면의 턱(1-3) 내주면 일측에 경사져 형성된 압착경사면(10-2)과, 상기 압착경사면(10-2)의 타측에 끝단면의 턱(10-3)에 경사진 노즐 분사각(α)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나사관체(10)는 내부 단면 턱(10-3)까지 깊이를 파이프 결속 구간(L1)으로 형성한다.
상기 압착시일(20)은 수나사관체(10)의 제1수나사관(10-1)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압착시일(20)은 압착경사면(10-2)에 밀착되게 경사지고, 끝단면의 턱(10-3)과 일치되게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밀착부(20-1)와, 이 밀착부(20-1)를 진입측에 형성하면서 제1수나사관(10-1)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여 형성되는 시일관(20-2)과, 이 시일관(20-2)의 가장자리에 제1수나사관(10-1)에 걸리게 형성한 시일관플렌지(20-3)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시일(20)의 깊이는 파이프의 결속구간(L1)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형 압착부싱(30)은 압착시일(20)의 일측면에 덧대어지도록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형 압착부싱(30)은 링형으로, 시일관플렌지(20-3) 면에 밀착하게 형성된 접촉면(30-2)과, 이 접촉면(30-2)의 타측에 압착캡(40)으로 가압되도록 경사져 형성된 부싱 압착경사면(30-1)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형 압착부싱(3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력을 지닌 수지계통으로 제작된다.
상기 압착캡(40)은 제1수나사관(10-1)에 결합되어 스프링형 압착부싱(30)을 압착시일(20)에 압착시키게 형성된다.
상기 압착캡(40)은 외주면에 다면 결속면이 형성된 캡본체(40-5)와, 이 캡본체(40-5)를 제1수나사관(10-1)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40-1)와, 상기 캡본체(40-5)의 일측에 파이프(50)가 삽입되는 삽입공(40-3)이 형성된 캡플렌지(40-4)와, 이 캡플렌지(40-4)의 일측에 경사져 형성되는 캡 압착 경사면(40-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연결 및 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테인리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C)는 수나사관체(10)와 압착시일(20), 스프링형 압착 부싱(30), 압착 캡(40)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호50은 연결부재(C)로 연결 설치되는 스테인리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이다.
스테인리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의 연결과정은 먼저 도 3에서 제1수나사관(10-1) 내주면에 압착시일(20)이 삽입된다. 이때 밀착부(20-1)는 제1수나사관(10-1)내에 삽입되어 끝단면의 턱(10-3)과 압축경사면(10-2)에 밀착된다. 그리고 시일관플렌지(20-3)는 제1수나사관(10-1) 가장자리에 걸려 조립된다.
이후, 압착캡(40)과 스프링형 압착부싱(30) 순으로 삽입된 스테인리스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가 압착시일(20)의 내주면 밀착부(20-1)에 닿도록 밀어 넣게 되면 제1수나사산(10-1)의 파이프 결속 구간(L1) 내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나사관체(10)에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가 연결 설치되면 미리 끼워진 압착캡(40)을 회전시켜 제1수나사관(10)에 완전히 조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파이프(50)가 연결부재(C)에 의하여 완벽하게 압착 결속되면 기밀 유지는 물론, 각종 시험이나, 충격 및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에 견딜 수 있게 된다. 이때, 압착캡(40)의 캡 압착경사면(40-2)에 밀착되어 압착되는 스프링형 압착부싱(30)은 탄성에 의해 압착 간격(t)(도 3 참조)이 점차 좁혀져 압축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압착부싱(30)은 시일관플렌지(20-3)와 밀착된다. 그리고 압착캡(4-)과 제1수나사관(10-1)과의 결합으로 파이프(50)의 결속구간(L1)이 축소된다. 이에 따라 중간에 개재된 압착시일(20)은 양측으로부터 압축을 받게 되면서 시일관(20-2)의 형상이 변형된다.
상기 시일관(20-2)은 제1수나사관(10-1) 내주면 측보다 공간이 형성되고 있는 파이프(50)의 골(50-2)과 산(50-1) 측으로 밀려들어 파이프(50)의 외주면과 밀착된다.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를 압착 캡(40)과 스프링형 압착 부싱(30)을 통과시켜 압착 시일(20)의 안쪽 끝까지 밀어 넣고 제1수나사 관(10-1)에 암나사(40-1)로 결합된 압착 캡(40)을 조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스프링형 압착 부싱(30)에 의해 압착 시일(20)의 밀착부(20-1)는 제1수나사관(10-1)의 내면에 가공된 압착 경사면(10-2)과 끝 단면의 턱(10-3)에 밀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구속 압착되어 압착시일(20) 전체에 걸쳐 압착력이 가해져 변형된다.
이때 도 4의 'B' 부분과 같이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에 형성된 끝 단면(50-3)의 형태대로 압착 시일(20)의 밀착부(20-1)는 밀착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이 기밀하게 된다.
즉, 압착시일(20)은 제1수나사관(10-1)의 파이프 결속 구간(L1)내에서 압축력에 의해 변형되어 (도면 4의 'A1' 부분과 도면 4 참조)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50)의 산(50-1)과 골(50-2) 사이로 밀려들어와 파이프(50)의 외관 형상과 똑같은 형상을 점차 이루게 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 캡(40)의 조임이 완료됨으로써 파이프(50)는 압착 시일(20)에 의하여 아주 견고하게 압착된다. 따라서, 수나사관체(10)는 기밀한 결합상태에서 강성을 갖는 보의 지지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서처럼 기존 밀폐 패킹(4)이 파이프 한 개의 골부분에만 끼워진 오링(O-ring) 형태로 되어있어 기밀작용과 결속작용을 동시에 할 수 없는 결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수나사관체(10)에 압착 캡(40)을 나사결합으로 점점 조이기 시작하면 부싱 압착 경사면(30-1)이 캡 압착 경사면(40-2)과 접촉되는 압착 부싱(30)은 탄성 에 의해 압착 간격(t)(도 3 참조)이 점차 좁혀져 압착된다
상기 압착 캡(40)이 완전히 조여지게 되면 도 4의 'A1' 부분과 같이 파이프(50)를 한번 더 결속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면서 파이프의 결속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기존 연결부재는 본 발명의 압착 부싱(30)에 해당하는 스냅 와셔(도 1의 6)를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7)의 골에 돌기(6-1)가 걸려 고정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압착 부싱(30)은 스냅와셔처럼 돌기가 없기 때문에 파이프(50)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파이프(50)와 수나사관체(10)를 연결하는 조립과 보수 및 분해가 수월하게 된다.
따라서, KS D 3628과 소방법에서 규정하는 각종 시험과 제반 유체역학적 특성이나 문제점(방출유량이나 마찰손실, 공동현상 등) 등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 직경에 따라 규정하는 방출계수를 해결하고, 이에 적합한 수나사관체(10)의 노즐분사 각(α)을 결정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유체역학적 성능향상은 물론, 스프링클러 헤드의 규정 방출유량(180ℓ/min)을 확보함으로써 화재진압에도 최적의 성능을 갖추게 되는 기술의 신뢰성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KS D 3628과 소방법에 의한 내압 시험, 굽힘 시험, 수격 시험 등의 각종 시험규정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에도 파이프와 연결부재 상호간의 압착 결속력을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존 연결부재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기밀유지와 결속력 향상에 따른 연결부재의 성능향상과 스프링클러설비에도 사용할 수 있는 등 다목적용으로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 연결부재에 의하여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을 기밀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방재성능의 극대화는 물론, 연결부재의 유연성을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다면 헤드 일측에 제1수나사관과, 제1수나사관 타측에 보다 더 작은 직경의 제2수나사관으로 형성된 수나사관체와;
    상기 수나사관체의 제1수나사관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압착시일과;
    상기 압착시일의 일측면에 덧대어지도록 개재되는 스프링형 압착부싱과;
    상기 제1수나사관에 결합되어 스프링형 압착부싱을 압착시일에 압착시키게 형성된 압착캡;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관체는 공구 사용이 용이하게 외주면을 다면으로 형성한 다면 헤드와, 이 다면 헤드의 일측에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가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수나사관과, 상기 제1수나사관 타측에 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불특정 관체와 결합되는 제2수나사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시일은 압착경사면에 밀착되게 경사지고, 끝단면의 턱과 일치되게 선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밀착부와, 이 밀착부를 진입측에 형성하면서 제1수나사관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여 형성되는 시일관과, 이 시일관의 가장자리에 제1수나사관이 걸리게 형성한 시일관플렌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형 압착부싱은 링형으로, 시일관플렌지 면에 밀착하게 형성된 접촉면과, 이 접촉면의 타측에 압착캡으로 가압되도록 경사져 형성된 부싱 압착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캡은 외주면에 다면의 결속면이 형성된 캡본체와, 이 캡본체를 제1수나사관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캡본체의 일측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캡플렌지와, 이 캡플렌지와 내주면 사이에 경사져 형성되는 캡 압착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나사관은 다면 헤드의 내주면에 형성된 끝단면의 턱과, 이 끝단면 의 턱 내주면 일측에 경사져 형성된 압착경사면과, 상기 압착경사면의 타측에 끝단면의 턱에 경사진 노즐 분사각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관체는 내부 단면 턱까지의 깊이를 파이프 결속 구간(L1)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착시일은 파이프 결속구간(L1)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KR1020060046196A 2006-05-23 2006-05-23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KR20070113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196A KR20070113395A (ko) 2006-05-23 2006-05-23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196A KR20070113395A (ko) 2006-05-23 2006-05-23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395A true KR20070113395A (ko) 2007-11-29

Family

ID=3909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196A KR20070113395A (ko) 2006-05-23 2006-05-23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3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69Y1 (ko) * 2009-06-22 2011-09-15 박정금 누설방지용 파이프 이음
KR20160126115A (ko) * 2015-04-22 2016-11-02 (주)서린수전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
KR20190108319A (ko) * 2018-03-14 2019-09-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인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69Y1 (ko) * 2009-06-22 2011-09-15 박정금 누설방지용 파이프 이음
KR20160126115A (ko) * 2015-04-22 2016-11-02 (주)서린수전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
KR20190108319A (ko) * 2018-03-14 2019-09-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9929A (en) Sprinkler head adapter
EP0366789B1 (en) Connection mechanism for thin-walled stainless steel pipes and joint
WO2009100898A1 (de) Verschraubung
KR20070113395A (ko) 환상형 플렉시블 파이프의 다목적용 연결부재
TWI692162B (zh) 用於鎧裝電纜之裝配件
US20170335984A1 (en) Thermal pressure relief device
JP5465604B2 (ja) ホースコネクタ
JP4564427B2 (ja) 金属管と管継手との接続構造
CN209960041U (zh) 一种避震防松对接管接头装置
KR101218352B1 (ko) 배관용 연결기구
KR20070097166A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CN209991036U (zh) 一种管路连接结构及管路系统
EP1443253B1 (en) Pulsation damper for absorbing pressure pulsations in a high pressure hydraulic system
KR200420212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KR101870214B1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KR102229309B1 (ko)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20010054724A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JP2007192274A (ja) 管継手
KR102005741B1 (ko) 수도배관 이음구
US20190293178A1 (en) Seal structure, sealing method, and coupling equipped with said seal structure
US3093357A (en) Pressurized fluid coupling means
KR20200127341A (ko) 배관 연결 장치
JP6592757B2 (ja) 高圧用継手
JP2006038002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102041982B1 (ko) 스프링 클러의 헤드 몸체 연결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