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550B1 -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 Google Patents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550B1
KR100591550B1 KR1020040085615A KR20040085615A KR100591550B1 KR 100591550 B1 KR100591550 B1 KR 100591550B1 KR 1020040085615 A KR1020040085615 A KR 1020040085615A KR 20040085615 A KR20040085615 A KR 20040085615A KR 100591550 B1 KR100591550 B1 KR 10059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earing
degree rotation
ring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939A (ko
Inventor
김재근
김기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라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라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라안전
Priority to KR102004008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5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6Hose or pip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공장, 고층건물, 백화점및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간편히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스꺾임과 꼬임방지 720도 회전연결구로써 화재진압용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 차및 2 차 꺾임보상용 사프트들과 트위스팅(TWISTING) 니플사프트를 이용하여 잠재된 리스크, 즉 호스꺾임과 꼬임, 이 꺾임으로 인해 호스가 금구로부터 인출되고 이로 인한 초기화재진압의 실패율이 높아지고 물적및 인적손실증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으로 외부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안쪽으로 나사부(12)와 패킹부(13)가 형성되며 타측 안쪽으로 베어링 반홀(14)과 스크류 그리이스리플(15)이 형성되는 커플링(10);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중앙 돌기(21)를 통해 일측 외부에 베어링(16)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홀(22)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홀(23)과 오링 반홀(24)이 각각 형성되는 360도 회전사프트(20); 내부가 ㄴ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 안쪽으로 상기 베어링(25)과 오링(26)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홈(31)과 오링 반홈(32)이 각기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홈(34)과 오링 반홈(35)이 각기 형성되는 720도 회전사프트(30); 내부가 ㄱ 자로 관통되어 있고 양측 안쪽으로 베어링 반홈(41)과 오링 반홈(42)이, 베어링 반홈(43)과 오링 반홈(44)이 각기 형성되는 720도 회전사프트케이 싱(40)및; 트위스팅 니플사프트로써 중앙돌기(51)를 통해 일측 외부로 오링 반홈(52)과 베어링 반홈(53)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는 나사부(54)가 형성되는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등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옥내외 소화전, 호스 연결구, 화재진압, 호스꺾임, 호스꼭임, 금구

Description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HOSE CONNECTOR OF FIREPLUG FOR OUTDOOR AND INDOO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를 도시해 놓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를 사용하기 위한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를 설치하여 작동시켜놓은 상태도,
도 4 는 종래의 옥내외 소화전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플링
20 : 360도 회전사프트
30 : 720도 회전사프트
40 : 사프트케이싱
50 : 360도 회전리플사프트
본 발명은 호스꺾임과 꼬임방지 720도 회전연결구로써 1 차및 2 차 꺾임보상용 사프트들과 트위스팅 니플사프트를 이용하여 잠재된 리스크인 호스꺾임과 꼬임현상, 이 꺾임으로 인해 호스가 금구로부터 인출현상및, 이로 인한 초기화재진압의 실패율이 높아지고 물적및 인적손실증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개량된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산업공장, 고층건물, 백화점및 아파트 등에 기설치되어 있는 화재진압용 옥내외 소화전 시설에는 화재 또는 긴급 사용상 중대한 리스크(RISK)가 잠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재, 화재진압용 소화전시설은 안전시설로 자국 소방법에 의거하여 산업현장과 공장, 고층 건물과 아파트, 그리고 백화점이나 병원건물등의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비상시 유용하게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옥내외 소화전을 무관심과 관리소홀로 정상적인 성능과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게 된다. 또한, 소화전이 좁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화재진압시 소화전의 앞과 옆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시설물로써 방치되곤 하였다. 이러한 긴박한 상황하에서 소화전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호스가 꺾이거나 꼬이는 현상이 겹치게 되면 화재를 진압함에 있어 실패율이 더욱 높아져, 소방호스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시간을 다투는 긴급사태에서 소화전에 연결된 호스의 꺾임과 꼬여지는 현상으로 인해 호스로부터의 물토출량과 분사거리가 줄어들음으로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교정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시도하다가 보면 호스의 금구(호스를 연결하기 위하여 호스를 커플링에 압착한 상태의 연결구) 압착부분에서 호스가 인출되기도 했다. 상기 소화전에 결합된 호스의 목(NECK)부분에서 반복적인 꺾임으로 인해 물이 누출되기도 하고, 호스 목부분이 꺾이지 않을 때에는 중간 부분에서 꺾이기도 하였다.
한편, 고층건물의 옥내 소화전함은 복도 벽면에, 고층아파트는 층별 엘리베이터 입구벽에 각기 설치되어져 있다. 이 소화전함 내부에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호스 연결밸브가 상부의 40A와 하부의 65A가 1 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소방호스도 40A, 65A 각 한벌씩 원형으로 말아서 내부에 비상용으로 보관되어 있다. 화재시에는 상기 호스를 물연결밸브 포트에 연결하여 밸브를 열면 자동으로 워터펌프가 가동됨으로 물이 펼쳐진 소방호스를 거쳐 노즐을 통해 분사하게 되고, 이 물을 이용하여 최소한 초기 3 - 5 분이내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용량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화재로 인해 소방호스를 긴급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소화전함의 두께가 약 180 mm 로써 호스를 밸브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화재발생 위치와 호스 사용각도에 따라 호스 금구부위에 호스의 꺾임현상이 불가피하게 형성된다. 이때, 호스끝의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량과 물의 분사거리는 줄어들며, 또 꺾임현상 을 급하게 교정시킬 경우에는 호스내부의 물내압에 의해 호스금구 압착부위에서 호스가 인출되기도 한다.
즉, 도 4 는 종래의 옥내외 소화전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도들로서, 도 4(a)는 옥내소화전함에서 호스를 상시 원형으로 감아서 보관하며 사용시 호스에 트위스트현상이 발생되는 도면이고, 도 4(b)는 화재진압 대상시설물이 90도 이상 꺾여진 위치에 있고 공간이 좁아 호스금구 부위에 꺾임현상이 발생되는 도면이다.
일반 산업공장이나 석유화학공장에서도 소방시설법에 의해, 이미 적정량의 옥외 소화전시설이 공장시설과 동시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화재지점에서 주위 소화전은 여러 개가 있으나, 거리상 2 - 3개 정도로 사용하고 있음으로 해당 2 지점에서 꺾임현상이 발생되었다. 화재 발생지점에 따라 호스의 꺾임각도도 상승되었다. 도 4(c)는 옥외 소화전에서의 꺾임 현상을 나타내고, 도 4(d)는 옥외 소화전에서의 트위스팅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옥외소화전은 화재발생 시설물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소화전 워터포트가 화재 진압대상 시설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어 화재지점은 최소한 90도 방향에서 발생된다. 화재 발생시 소화전 워터포트에 호스를 연결하여 화재지점에 물을 분사할 때 호스는 금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호스를 90도 방향으로 꺾으며, 사용할 때 내부 물의 무게와 압력으로 금구부위에 호스의 꺾임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호스에 트위스팅현상도 발생한다. 이때, 물의 분출량과 분사거리는 급격히 줄어들어 화재진압의 실패율을 높이고 있다. 예컨 데, 석유화학공장의 소화전 물상용압력은 8 - 10 Kg/㎤의 압력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 제품 호스의 테스트압력은 40A와 65A 기준으로 29 Kg/㎤ 압력으로 호스금구부위에 꺾임현상을 급히 교정시킬 때 내부 물의 충격압력으로 인해 호스금구에서 호스가 인출되기도 한다. 이때에는 새로운 호스를 교체하여 화재진압에 사용되어야 한다.
양수기의 사용위치, 장소 호스의 사용각도에 따라 양수기의 물분출포트 호스연결부위에 꺾임현상으로 인해 물 분출량과 분사거리의 감소현상이 발생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호스의 결속부위 이탈등의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에어컴프레사도 사용장소와 사용 방법에 따라 에어호스의 연결부위에 꺾임현상이 발생하여, 에어 분출량의 감소로 작업성및 안전도가 저하된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옥내외 소화전 호스연결구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사용상의 리스크인 호스꺾임과 꼬임현상, 이 꺾임으로 인해 호스가 금구로부터 인출현상및, 이로 인한 초기화재진압의 실패율이 높아지고 물적및 인적손실증가 등을 제거하여 옥내외 소화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키고, 화재시 초기화재 진압의 실패율을 낮추면서 인적및 물적 손실을 최소화 시킴으로 생산성향상, 호스사용의 수명연장및 안전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으로 외부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안쪽으로 나사부(12)와 패킹부(13)가 형성되며 타측 안쪽으로 베어링 반홀(14)과 스크류 그리이스리플(15)이 형성되는 커플링(10);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중앙 돌기(21)를 통해 일측 외부에 베어링(16)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홀(22)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홀(23)과 오링 반홀(24)이 각각 형성되는 360도 회전사프트(20); 내부가 ㄴ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 안쪽으로 상기 베어링(25)과 오링(26)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홈(31)과 오링 반홈(32)이 각기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홈(34)과 오링 반홈(35)이 각기 형성되는 720도 회전사프트(30); 내부가 ㄱ 자로 관통되어 있고 양측 안쪽으로 베어링 반홈(41)과 오링 반홈(42)이, 베어링 반홈(43)과 오링 반홈(44)이 각기 형성되는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40)및; 트위스팅 니플사프트로써 중앙돌기(51)를 통해 일측 외부로 오링 반홈(52)과 베어링 반홈(53)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는 나사부(54)가 형성되는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등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는, 커플링(10)의 베어링 반홀(14)에 베어링(16)이 결합된 상태에서 360도 회전사프트(20)가 체결되고, 이렇게 체결된 커플링(10)의 360도 회전사프트(20)에 베어링(25)과 오링(26)을 매개하여 2 차 꺾임보상용으로 720도 회전사프트(30)가 결합되며, 이 720도 회전사프트(30)에 베어링(36)과 오링(37)을 매개로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40)이 결합되고, 전술한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40)에는 오링(45)과 베어링(46)을 매개로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가 결합되어 양수기및 에어컴프레사의 에어및 물분출포트에 부착하게 됨으로, 호스의 꺾임과 꼬임을 제거시킬 뿐만 아니라 본래의 성능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를 도시해 놓은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호스꺾임과 꼬임방지 720도 회전연결구로써 1 차및 2 차 꺾임보상용 사프트(20, 30)들과 트위스팅 니플사프트(50)를 이용하여 잠재된 리스크인 호스꺾임과 꼬임현상, 이 꺾임으로 인해 호스가 금구로부터 인출현상및, 이로 인한 초기화재진압의 실패율이 높아지고 물적및 인적손실증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1 차 꺾임보상용으로 360도 회전사프트(20)에 결합되고 소화전에 조립되는 커플링(10)은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으로 외부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안쪽으로 나사부(12)와 패킹부(13)가 형성되며 타측 안쪽으로 베어링 반홀(14)과 스크류 그리이스리플(15)이 형성되게 된다. 이 커플링(10)의 베어링 반홀(14)에 베어링(16)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360도 회전사프트(20)가 체결되어진다.
상기 360도 회전사프트(20)는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중앙 돌기(21)를 통해 일측 외부에 상기 베어링(16)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홀(22)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홀(23)과 오링 반홀(24)이 각각 형성된다. 소화전에 결합된 커플링(10)에 베어링(16)을 매개로 360도 회전사프트(20)가 체결되면, 커플링(10)은 고정축으로 360도 회전사프트(20)가 360도 회전되어 차후 호스결합하여 사용할 때 1 차 꺾임을 보상해준다.
이렇게 체결된 커플링(10)의 360도 회전사프트(20)에 베어링(25)과 오링(26)을 매개하여 상기 2 차 꺾임보상용으로 720도 회전사프트(30)가 결합되어 사용시 720도 회전하게 되는 바, 이 720도 회전사프트(30)는 내부가 ㄴ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 안쪽으로 상기 베어링(25)과 오링(26)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홈(31)과 오링 반홈(32)이 각기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홈(34)과 오링 반홈(35)이 각기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반홈(31)에는 스크류 그리이스리플(33)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360도 회전사프트(20)가 베어링(25)과 오링(26)을 매개로 상기 720도 회전사프트(30)가 결합되어 사용시 720도 회전하게 되는 바, 이 회전사프트(30)도 베어링(36)과 오링(37)을 매개로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40)이 결합된다. 이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40)은 내부가 ㄱ 자로 관통되어 있고 양측 안쪽으로 베어링 반홈(41)과 오링 반홈(42)이, 베어링 반홈(43)과 오링 반홈(44)이 각기 형성된다.
전술한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40)에는 오링(45)과 베어링(46)을 매개로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가 결합되어 사용시 360도 회전하게 되는 바, 이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는 트위스팅보상용 니플사프트로써 중앙돌기(51)를 통해 일측 외부로 오링 반홈(52)과 베어링 반홈(53)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는 나사부(54)가 형성되어 차후 호스가 체결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호스꺾임과 꼬임방지 720도 회전연결구로써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에 체결된 커프링(10)이 1 차및 2 차 꺾임보상용 사프트(20, 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사프트케이싱(40)이 결합된 다음 트위스팅 니플사프트(50)와 호스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일체화된 커프링(10), 360도 회전사프트(20), 720도 회전사프트(30),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40)및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의 연결부위마다 상하 베어링 반홈과 상하 오링 반홈에 베어링과 오링이 각기 결합되므로 사용시 원활한 320도 또는 720도 회전이 가능하면서 통과하는 물이 새지 않으며, 상기 베어링마다 스크류 그리이스리플이 설치되어 회전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옥내외 소화전의 설치위치와 구조상 사용상의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하여 360도 또는 720도 회전이 가능한 호스연결구인 바, 종래의 소화전 워터포트가 화재진압 대상시설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어 화재지점과 위치에 따라 호스의 꺾임과 꼬임현상에 대한 문제를 본 발명의 호스 연결구에서 360도 회전사프트(20)와 720도 회전사프트(30)에 의해 360도나 720도 회전하므로 잠재된 리스크를 제거시키고,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가 이를 추가로 360도 회전하도록 보상해주므로 자유자재로 회전시켜 사용상과 구조상의 리스크를 제거하며, 소화전의 설계치 용량의 성능과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아파트나 고층건물의 공간이 협소한 소화전함에서 비상시 소방호스의 연결방법에 따라 호스의 트위스팅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호스연결구에서 360도 회전사프트(20)와 회전니플사프트(50)를 이용하여 이를 보상해주므로 여하한 상황의 여건에서도 꺾임이나 꼬임현상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스연결구 형태가 S 곡선형으로 소화전의 물이 통과할 때, 물의 마 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호스연결구의 물이 통과하는 내경의 단면적을 호스 단면적보다 크게 함으로 마찰에 의한 물의 감소량을 고려한 구조로 만들어지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를 설치하여 작동시켜놓은 상태도로서, 도 3(a)는 옥외소화전에 본 발명의 호스연결구와 호스를 조립하여 꺾임 1 차보상으로 360도 회전사프트(20), 2 차보상으로 720도 회전사프트(30)및 트위스팅보상으로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b)는 옥내소화전에 본 발명의 호스연결구와 호스를 조립하므로 360도및 720도 회전사프트(20, 30)는 꺾임에 대한 보상역할과 360도 회전니플사프트(50)는 트위스팅에 대한 보상역할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S자 곡선에 대한 물 마찰손상보상은 내경의 단면적확대로 보상할 수 있고, 꼬임및 꺾임현상을 본 발명의 호스연결구자체로 흡수하므로 꼬임현상이 없앨수 있으며, 옥내외 소화전의 물분출 밸브포트에 조립 가능하고, 옥내 소화전함 내부에 설치할 때 다른 부분과 간섭, 접촉, 커버및 오픈/크로스할 때에도 문제가 없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소화전에 조립해도 부피, 크기및 무게등으로 간섭을 받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 설치 사용해도 녹슬지 않는 브론즈(BRONZE)와 합금재질로 만들어 있으며, 자주 사용하지 않을 때 회전축의 원활을 기하고 기능상의 문제를 없애기 위해 결합부위의 베이링에 특수 그리이스가 주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옥외소화전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물토출량(리터/분)은 화재지점 90도 방향이 1 차 에서 5 차까지인 295, 299, 305, 290및 304 로 평균 298.6리터이고, 산출근거는 정상 - 토출량 = 38리터 × 5 분 = 190리터/5분이다. 화재지점 120도 방향이 280, 288, 290, 285및 297로 평균 288리터이고, 산출근거는 정상 - 토출량 = 52리터 × 5 분 = 260리터/5분이다. 화재지점 150도 방향이 270, 265, 275, 278및 274로 평균 272.4리터이고, 산출근거는 정상 - 토출량 = 65리터 × 5 분 = 325리터/5분이다.
또한, 화재지점 150도 이상방향이 265, 258, 255, 269및 260으로 평균 261.4 리터이고, 산출근거는 정상 - 토출량 = 73리터 × 5 분 = 365리터/5분이다. 정상일 때에는 325, 328, 320, 318, 315 로서 평균 321.2 리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360도 및 720도의 회전사프트와 이의 기능을 추가로 보상해주는 회전니플사프트및 기존 소화전에 연결하는 커플링으로 구성함으로, 사용시 종래의 사용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조작이나 연결은 없으며, 호스의 여러 형태에도 연결사용해도 종래와 달리 꼬임및 꺾임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스연결구는 기술적 요지가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물및 에어분출 포트규격에 따라 합금재질의 3/4", 1", 1 1/2", 2", 2 1/2"및 3" 등에 사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상의 리스크인 호스꺾임과 꼬 임현상, 이 꺾임으로 인해 호스가 금구로부터 인출현상및, 이로 인한 초기화재진압의 실패율이 높아지고 물적및 인적손실증가 등을 제거하여 옥내외 소화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키고, 화재시 초기화재 진압의 실패율을 낮추면서 인적및 물적 손실을 최소화 시킴으로 생산성향상, 호스사용의 수명연장및 안전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및 설치상과 사용상의 리스크를 제거하여 초기화재의 진압실패율을 낮추고, 경제적 손실(생산성, 기업의 이미지및 신뢰도 등)로써 인적및 물적손실뿐만 아니라 인명재해를 최소화시킴으로 생산성과 안전도를 높이고 호스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으로 외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안쪽으로 나사부와 패킹부가 형성되며 타측 안쪽으로 베어링 반홀과 스크류 그리이스리플이 형성되는 커플링;
    내부가 일자로 관통되어 있고 중앙 돌기를 통해 일측 외부에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홀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홀과 오링 반홀이 각각 형성되는 360도 회전사프트;
    내부가 ㄴ자로 관통되어 있고 일측 안쪽으로 베어링과 오링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홈과 오링 반홈이 각기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 베어링 반홈과 오링 반홈이 각기 형성되는 720도 회전사프트;
    내부가 ㄱ 자로 관통되어 있고 양측 안쪽으로 베어링과 오링이 결합되는 베어링 반홈과 오링 반홈이, 다른 베어링 반홈과 오링 반홈이 각기 형성되는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및;
    트위스팅 니플사프트로써 중앙돌기를 통해 일측 외부로 오링과 베어링이 결합되는 오링 반홈과 베어링 반홈이 형성되고, 타측 외부로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360도 회전니플사프트가 구성되어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과 360도 회전사프트가, 이 360도 회전사프트와 720도 회전사프트가, 이 720도 회전사프트와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이, 이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와 360도 회전리플사프트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진 S 곡선형으로 360도 또는 720도 회전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60도 회전사프트와 360도 회전리플사프트는 360도 회전하고, 상기 720도 회전사프트와 720도 회전사프트케이싱은 720도 회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4. 삭제
KR1020040085615A 2004-10-26 2004-10-26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KR10059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615A KR100591550B1 (ko) 2004-10-26 2004-10-26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615A KR100591550B1 (ko) 2004-10-26 2004-10-26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39A KR20060036939A (ko) 2006-05-03
KR100591550B1 true KR100591550B1 (ko) 2006-06-20

Family

ID=3714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615A KR100591550B1 (ko) 2004-10-26 2004-10-26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5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45B1 (ko) 2008-06-27 2008-12-05 (주)코모스 휴대용 전자식 수압 측정 장치
KR101577680B1 (ko) * 2014-01-08 2015-12-15 와이에스(주) 소방호스 릴 장치용 엘보우
KR102243250B1 (ko) 2021-01-14 2021-04-22 김용준 호스 꼬임방지용 커플링
KR102243248B1 (ko) 2021-01-14 2021-04-23 (주)두진 호스 꼬임방지용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018B1 (ko) * 2006-05-26 2007-06-14 중앙공업 주식회사 소방용 연결송수구
KR100934444B1 (ko) * 2009-08-14 2009-12-29 주식회사 파이어스 꺾임과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연결구
KR101483678B1 (ko) * 2014-01-08 2015-01-16 와이에스(주) 소방호스 릴 장치용 엘보우
KR102141941B1 (ko) * 2019-10-25 2020-08-07 김용준 단독형 꼬임방지 어댑터
KR102501445B1 (ko) * 2020-10-22 2023-02-21 육송(주)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874U (ja) * 1993-12-27 1995-07-14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スイング式配管継手
JP2003065476A (ja) 2001-08-24 2003-03-05 Akao:Kk 消防車用吸水管の端金具及び媒介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874U (ja) * 1993-12-27 1995-07-14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スイング式配管継手
JP2003065476A (ja) 2001-08-24 2003-03-05 Akao:Kk 消防車用吸水管の端金具及び媒介金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45B1 (ko) 2008-06-27 2008-12-05 (주)코모스 휴대용 전자식 수압 측정 장치
KR101577680B1 (ko) * 2014-01-08 2015-12-15 와이에스(주) 소방호스 릴 장치용 엘보우
KR102243250B1 (ko) 2021-01-14 2021-04-22 김용준 호스 꼬임방지용 커플링
KR102243248B1 (ko) 2021-01-14 2021-04-23 (주)두진 호스 꼬임방지용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39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550B1 (ko)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US10478650B2 (en) Flexible assembly for sprinklers
US20210290999A1 (en) Flexible dry sprinkler having a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ler
KR101185109B1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RU2722615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насосно-рукавная система
KR101277009B1 (ko) 소방용 방수압조절 연결관창
CN213117928U (zh) 消防接头及具有其的消防系统
KR200379214Y1 (ko) 호스릴의 꼬임방지연결구
US20020189686A1 (en) Safety valve
KR102382631B1 (ko) 자동소화장치
CN214679787U (zh) 一种用于城中村住宅楼的灭火系统
US9022052B2 (en) Standpipe emergency bypass method and kit for firefighters
CN206727624U (zh) 一种电缆软管卡套式接头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CN115845313B (zh) 一种消防水泵接合器
KR20070097166A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장치
KR20110003170A (ko)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쿨러 시스템
KR20200000290U (ko) 원자력 발전소 옥내소화전 멀티 호스접결구
KR102620724B1 (ko) 소방호스 중간연결밸브
CN218032004U (zh) 楼宇消防管道应急支管
DK180767B1 (en) Dry-riser, dry riser system, and engineering structure comprising the dry-riser
KR200415938Y1 (ko) 가압펌프를 구비한 이동식 호스릴.
CN217246450U (zh) 一种消防用室内消火栓
CN215084525U (zh) 消火栓箱
US329585A (en) Is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