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445B1 -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 Google Patents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445B1
KR102501445B1 KR1020200137262A KR20200137262A KR102501445B1 KR 102501445 B1 KR102501445 B1 KR 102501445B1 KR 1020200137262 A KR1020200137262 A KR 1020200137262A KR 20200137262 A KR20200137262 A KR 20200137262A KR 102501445 B1 KR102501445 B1 KR 10250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fire
outlet
cylinder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152A (ko
Inventor
박세훈
라종열
Original Assignee
육송(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20013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4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방수구와 자켓트 소방호스 사이에 접속되어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기면 소화수가 분출시키는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로서, 특히 혼자서 소화전방수구를 열고 화재지점까지 가서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겨 화재 진압이 가능한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pull type open valve for jacket fire hose}
본 발명은 소화전방수구와 자켓트 소방호스 사이에 접속되어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기면 소화수가 분출시키는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로서, 특히 혼자서 소화전방수구를 열고 화재지점까지 가서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겨 화재 진압이 가능한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에 관한 것이다.
소방호스에는 크게 소화수의 통과 유무에 따라 납작 또는 원형을 유지하는 자켓트 소방호스와, 소화수의 통과 유무와 관계없이 항상 원형을 유지하는 원형유지형 소방호스로 나뉜다.
또한, 자켓트 소방호스의 직경은 걸거나 접혀 보관 가능해서 최소 40φ이고, 원형유지형 소방호스의 직경은 감아서 보관하기 때문에 최대 25φ 정도이다.
자켓트 소방호스는 특허문헌 1(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2142호)에서와 같이 소방호스 걸이에 걸어놓거나, 바닥에 접혀 포개어 놓아 보관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자켓트 소방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화재 지점까지 전개하고, 앵글밸브를 열면 노즐을 개방하여 화재 지점의 소화작업을 실시한다. 화재 진압 후 다시 소방호스걸이나 바닥에 보관한다.
이러한 자켓트 소방호스는 걸거나 접혀 포개어 보관이 가능해서 호스릴에 비해 방수량이 많고, 제품 단가가 저렴하며, 보관 부피가 작아 소화전함의 크기도 소형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2인 1조가 되어야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즉, 걸거나 접힌 상태에서 소화수가 들어오면 그 압력에 의해 접힌 부분의 전개가 쉽지 않고, 전개되더라도 무거워서 화재 지점까지 가지고 갈 수가 없다. 따라서, 한 사람이 화재 지점까지 자켓트 소방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전개한 후, 다른 한 사람이 앵글밸브를 개방하여야 한다.
한편, 원형유지형 소방호스인 경우에는 특허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042038호)에서와 같이 드럼에 권취한 호스릴 형태로 보관된다.
화재 발생 시 앵글밸브를 열고, 노즐을 끌고 화재지점으로 가서 노즐을 개방하여 화재 지점에 소화작업을 실시한다. 화재 진압 후 드럼에 원형유지형 소방호스를 감아 준다.
이러한 원형유지형 소방호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화수의 유동이 원활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워서 혼자서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원형유지형 소방호스는 부피가 크고 방수량이 적고, 기존 소화전함(예컨대 자켓트 소방호스용 소화전함)에 장착할 수 없고, 제품 단가가 비싸다.
특허문헌 1(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2142호) 특허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0420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화전방수구와 자켓트 소방호스 사이에 접속된 채 화재 시 혼자서 소화전방수구를 열고 화재지점까지 가지고 가서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기면 소화수가 분출되어 화재 진압이 가능한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는, 소화전방수구와 자켓트 소방호스 사이를 접속된 채 상기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겨(pull) 상기 소화전방수구의 소화수를 상기 자켓트 소방호스로 분출시키는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로서, 유입구가 소화전방수구에 접속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유출구 측에 형성되는 실린더밸브바디; 선단이 상기 자켓트 소방호스에 접속된 채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의 내부에서 풀/푸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바디;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밸브바디의 풀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밸브바디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전후 각각에 설치되는 오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에 체결 지지되는 고정 원통과, 상기 고정 원통의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밸브바디는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와 상기 고정 원통 사이에 배치되는 가동 원통과, 상기 가동 원통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와 서로 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가동 원통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 플랜지에 상기 내측 플랜지가 걸리면, 상기 피스톤밸브바다의 풀 최대 거리가 제한되고,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의 일단에 상기 내측 플랜지가 닿으면, 상기 피스톤밸브바디의 푸시 최대 거리가 제한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에 있어서, 상기 고정 원통의 외주면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플랜지는 적어도 상기 유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원통의 내측 플랜지가 상기 고정 원통의 외측 플랜지에 걸리면, 상기 유출구의 소화수는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하는 제1소화수와,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와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하는 제2소화수로 나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실린더밸브바디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되되, 상기 밸브바디의 유입구 중심과 상기 밸브바디의 유출구 중심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전방수구에 체결되는 밸브바디용 커플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바디용 커플링의 내주면 사이에는 볼 또는 스냅링이 설치되어, 상기 밸브바디용 커플링에 대해 상기 밸브바디가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소화전방수구와 자켓트 소방호스 사이에 풀타입 개방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소화전방수구를 열고 화재지점까지 가지고 가서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기면 소화수의 분출이 가능하여 혼자서 화재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피스톤밸브바디가 스토퍼에 걸릴 때까지 자켓트 소방호스를 당기면 되기 때문에, 소화수가 안정적으로 분출된다.
또한, 유출구의 소화수가 제1관통홀을 통하는 제1소화수와, 실린더밸브바디와 제2관통홀을 통하는 제2소화수로 나눠 유동시킴으로써, 제2소화수가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 채워져 제2관통홀로도 나가지만 피스톤밸브바디의 내측 플랜지를 앞으로 밀어주는 유체로 작용하여, 자켓트 소방호스의 유동이 일시 정지(노즐을 잠시 잠그거나 등)되는 경우 그 소화수의 압력으로 피스톤밸브바디를 푸시(뒤로)되지 않게 저항한다.
또한, 소화전방수구에 대해 풀타입 개방밸브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화재 지점에 따라 방향 전환이 자유로워서 자켓트 소방호스의 꺾임 등이 방지되어 화재 진압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또한, 밸브바디의 유입구 중심과 밸브바디의 유출구 중심이 편심되게 형성됨으로써, 피스톤밸브바디의 스트로크를 최대한 앞쪽으로 형성시켜 실린더밸브바디의 뒤쪽과 유입구 사이를 거리를 최대한 가까이 붙여 소화전방수구에 체결할 때 벽이나 소화전함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밸브바디는 실린더밸브바디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됨으로써, 자켓트 소방호스의 당김 방향과 잘 맞아서 자켓트 소방호스의 꺾임없이 수월하게 당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용 자켓트 호스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자켓트 소방호스가 설치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풀타입 개방밸브를 도시한 사시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
도 6은 소화전방수구 개방, 풀타입 개방밸브 폐쇄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7은 소화전방수구 개방, 풀타입 개방밸브 개방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8은 드럼과 풀타입 개방밸브의 선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드럼의 사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자켓트 소방호스가 드럼에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용 자켓트 호스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자켓트 소방호스가 설치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풀타입 개방밸브를 도시한 사시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고, 도 6은 소화전방수구 개방, 풀타입 개방밸브 폐쇄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고, 도 7은 소화전방수구 개방, 풀타입 개방밸브 개방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고, 도 8은 드럼과 풀타입 개방밸브의 선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드럼의 사시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자켓트 소방호스가 드럼에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용 자켓트 호스릴 장치(10)는 옥내소화전함 내의 소화전방수구(또는 앵글밸브)(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풀타입 개방밸브(100)와, 자켓트 소방호스(5)가 권취되는 드럼(200)과, 개방밸브(100)에 대해 드럼(200)을 지지하는 브라켓(300)과, 풀타입 개방밸브(100)에 대해 브라켓(300)의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용 선회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소화전방수구(3)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옥내소화전함에 설치되며 자켓트 소방호스(5)와 연결하여 물을 방수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밸브로서, 주로 앵글밸브가 사용된다.
자켓트 소방호스(5)는 평상시엔 납작하고, 소화수 통과 시엔 원형인 소방호스로서, 그 양단에는 차입금구(6)와 수입금구(7)가 설치된다.
차입금구(6)는 풀타입 개방밸브(100)에 접속되고, 수입금구(7)에는 노즐(9)이 접속된다.
또한, 차입금구(6)와 수입금구(7)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제10-1331060호 또는 제10-1331061호의 소방호스 꼬임방지용 연결구가 채택 결합되어 있다.
풀타입 개방밸브(100)는 소화전방수구(3)의 출구(4)와 자켓트 소방호스(5)의 차입금구(6) 사이에 접속된 채, 자켓트 소방호스(5)의 당김(pull)에 의해 개방되어 소화전방수구(3)의 소화수가 분출되게 하는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이다.
풀타입 개방밸브(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1)가 소화전방수구(3)의 출구(4)에 접속되는 밸브바디(110)와, 밸브바디(110)의 유출구(113) 측에 형성되는 실린더밸브바디(130)와,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서 풀/푸시 가능하게 배치되어 유출구(113)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바디(150)와,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밸브바디(150)의 풀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70)와,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주면과 피스톤밸브바디(150)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오링(190)을 포함한다.
밸브바디(110)는 소화전방수구(3)에서 나오는 소화수가 유입구(111)와 유출구(113)로 1차 유입 및 유출되어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유로 밸브이다.
또한, 밸브바디(110)에는 압력계(115)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 소화수가 제대로 차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린더밸브바디(130)는 유출구(113)와 서로 통하게 한쪽이 막힌 ㄷ자 형상이다.
즉, 실린더밸브바디(130)는 유출구(113)를 전후로 해서 밸브바디(110)에서 돌출한 파이프 형태의 실린더부(131)와, 후단을 막는 마개부(133)로 이루어진다.
실린더부(131)와 마개부(133) 사이에는 오링(135)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부(131)는 밸브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밸브바디(130)는 밸브바디(110)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되는 것이, 둔각 또는 예각보단 피스톤밸브바디(150)에 대해 자켓트 소방호스(5)를 당기는 방향과 잘 맞아서 자켓트 소방호스(5)의 꺾임없이 수월하게 당길 수 있다.
피스톤밸브바디(150)도 실린더밸브바디(130)와 마찬가지로 ㄷ자에 가까운 형상으로서, 선단이 외부로 노출된 채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서 풀/푸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밸브바디(1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동 원통(151)과, 가동 원통(15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유출구(113)와 서로 통하는 제1관통홀(153)과, 가동 원통(15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플랜지(155)를 포함한다.
가동 원통(151)은 풀/푸시에 따라 전후로 직선 이동한다.
제1관통홀(153)은 유출구(113) 상에 놓이면 소화수가 가동 원통(151)를 통해 자켓트 소방호스(5)로 유동시키는 홀이다.
내측 플랜지(155)는 도 7과 같이 스토퍼(170)의 외측 걸림턱인 외측 플랜지(175)에 걸리는 내측 걸림턱으로서, 가동 원통(151)의 풀 최대 거리가 제한된다.
반대로, 내측 플랜지(155)가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마개부(133)에 닿으면, 가동 원통(151)의 푸시 최대 거리가 제한된다.
특히 내측 플랜지(15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원통(151)의 후단 끝에 형성되고, 제1관통홀(153)은 내측 플랜지(155) 가까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70)는 ㄷ자 형상으로서, 실린더밸브바디(130) 특히 마개부(133)에 체결 지지되는 고정 원통(171)과, 고정 원통(171)의 타단(전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플랜지(175)를 포함한다.
특히 스토퍼(170)의 후측 내주면에는 고정볼트(177)가 마개부(133)에 체결되어 밀어주는 중공벽(179)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벽(179)은 고정 원통(171)의 후단에서 앞에 위치하여, 고정 원통(171)의 후측은 마개부(133)의 가이드돌기(134)에 끼워지는 가이드홈(174)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가이드돌기(134)에 가이드홈(174)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체결공의 정렬도 잘 맞아 고정볼트(177)의 체결이 쉽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밸브바디(150)가 푸시된 상태에서는 외측 플랜지(175)가 유출구(113)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 원통(171)의 외주면에는 제2관통홀(173)이 형성되고, 제2관통홀(173)은 제1관통홀(153)과 외측 플랜지(17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들은, 도 6과 같이 소화전방수구(3)가 열리고 피스톤밸브바디(150)가 푸시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피스톤밸브바디(150)가 풀 되면, 가동 원통(151)의 내측 플랜지(155)가 고정 원통(171)의 외측 플랜지(175)에 걸려 유출구(113) 상에 놓이면, 소화수는 유출구(113)의 일부와 제1관통홀(153)을 통하는 제1소화수와, 유출구(113)의 나머지부와 실린더밸브바디(130)와 제2관통홀(173)을 통하는 제2소화수로 나뉘어 합쳐 분출하게 된다. 물론, 유출구(113)와 바로 통하지 않은 다른 제1관통홀(153)에는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 있는 소화수도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은 제2소화수가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 채워지게 하는 것은 제2관통홀(173)로도 나가지만 내측 플랜지(155)를 앞으로 밀어주는 유체로서 역할도 한다. 따라서, 자켓트 소방호스(5)의 유동이 일시 정지(노즐을 잠시 잠그거나 등)되는 경우 그 소화수의 압력으로 피스톤밸브바디(150)를 푸시(뒤로)되지 않게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스톤밸브바디(150)가 스토퍼(170)에 걸릴 때까지 자켓트 소방호스(5)를 당기면 소화수가 안정적으로 분출된다.
오링(190)은 유출구(113)를 중심으로 전후에 각각 설치된 제1오링(191)과 제2오링(19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오링(191)은 실린더부(131)의 내주면에 끼워지고, 제2오링(193)은 가동 원통(151)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제1,2오링(191)(193)에 의해,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주면과 피스톤밸브바디(150)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면서도, 피스톤밸브바디(150)의 풀/푸시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바디(110)의 유입구(111) 중심과 밸브바디(130)의 유출구(113) 중심이 편심(e)되게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편심(e)은 유입구(111)에 대해 유출구(113)를 전방쪽으로 배치시켜 피스톤밸브바디(150)의 스트로크를 최대한 앞쪽에 둠으로써, 유입구(111)의 중심과 실린더밸브바디(130) 특히 실린더부(133)의 후면 사이의 거리(d)가 최대한 가까이 줄이기 위함이다.
즉, 유출구(113)의 중심이 유입구(111)의 중심과 같다면, 편심거리(e) 만큼 거리(d)도 더 뒤로 이동한 만큼 실린더밸브바디(130)가 뒤쪽으로 더 돌출되어, 소화전방수구(3)에 체결될 때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뒤쪽이 소화전함에 걸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풀타입 개방밸브(100)에는 소화전방수구(3)에 대해 밸브바디(110)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개방밸브용 선회지지부(120)가 더 포함되어 있다.
개방밸브용 선회지지부(1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전방수구(3)에 체결되는 밸브바디용 커플링(121)과, 밸브바디(110)의 외주면과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개재부(123)를 포함한다. 물론, 밸브바디(110)의 외주면과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의 내주면 사이에 패킹(124)이 설치되어 있다.
개재부(123)는 볼 또는 스냅링으로 구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냅링이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타입 개방밸브(100)는 개재부(123)를 통해 소화전방수구(3)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되어, 소화전함에서 꺼내어 화재 지점 방향으로 자켓트 소방호스(5)를 풀면서 가지고 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전방수구(3)와 자켓트 소방호스(5) 사이에 풀타입 개방밸브(100)를 설치함으로써, 자켓트 소방호스(5)를 드럼(200)에 권취된 상태에서도 소화전방수구(3)를 열고 화재지점까지 가지고 가서 자켓트 소방호스(5)를 당기면 소화수의 분출이 가능하여 혼자서 화재진압이 가능하고, 부피가 작아 기존 소화전함에도 간단히 장착 가능하다.
드럼(200)은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판(210)(220)과, 한 쌍의 회전판(210)(2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축(230)과, 한 쌍의 회전판(210)(220) 사이에 설치되어 자켓트 소방호스(5)가 감기는 보빈(250)을 포함한다.
특히 보빈(250)에는 도 1,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켓트 소방호스(5)의 감길 시작점이 삽입되는 슬롯(25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보빈(250)은 한 쌍의 회전판(210)(220) 사이에 배치되는 바(251)와, 바(251)의 양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체결판(253)과, 바(251)에 형성되는 슬롯(255)을 포함한다.
자켓트 소방호스(5)의 감는 방법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켓트 소방호스의 전체 길이에 대해 접힌 부분(5a)이 슬롯(255)에 삽입 걸친 후 드럼(200)을 돌려 감으면 된다.
슬롯(255)에 삽입 없이도 바로 바(251)에 대고 감아도 되지만, 슬롯(255) 내부로 삽입 걸친 후 감으면 자켓트 소방호스(5)가 슬롯(255)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잘 권취되기 때문이다.
브라켓(300)의 일단은 풀타입 개방밸브(100)에 설치되고, 브라켓(300)의 타단은 드럼(200)의 회전판(220)에 설치된다.
또한, 브라켓(300)의 타단과 회전판(220) 사이에는 웨이브 스프링이 설치되어, 드럼(200)에 스프링힘을 가해 멋대로 회전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또한, 브라켓(300)의 일단에는 풀타입 개방밸브(10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용 선회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브라켓용 선회지지부(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300)의 일단에 형성되어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의 외주면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지는 선회공 브라켓(410)과,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선회공 브라켓(410)의 밑면을 받치는 받침링(430)과,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의 외주면에 설치(또는 체결)되어 선회공 브라켓(4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링(450)을 포함한다.
이러한 브라켓용 선회지지부(400)는 도 8(b)과 같이 풀타입 개방밸브(100)에 대해 드럼(200)이 선회 가능하게 해서, 자켓트 소방호스(5)를 화재지점으로 원활하게 풀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전방수구(3)에 대해 풀타입 개방밸브(100)가 선회 가능하고, 풀타입 개방밸브(100)에 대해 드럼(200)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화재 지점에 따라 방향 전환이 자유로워서 자켓트 소방호스(5)의 꺾임 등이 방지되어 화재 진압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보통 자켓트 소방호스의 길이는 15m 정도가 되는데, 화재지점의 거리에 따라 다르겠지만 화재지점까지 다 풀린 상태에서 당기기보다는 그전에 당길만한 적당한 길이에서 당기고 나서 화재지점까지 이동하면 된다.
지금까지는 드럼(200)에 자켓트 소방호스(5)가 권취된 상태의 사용을 설명하였지만, 드럼에 권취하지 않고 자켓트 소방호스(5)나 원형 유지형 소방호스 등 어느 소방호스든 간에 바닥에 놓고 보관한 상태에서도 풀타입 개방밸브(100)의 기능은 동일함이 당업자라면 명백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3 : 소화전방수구(앵글밸브) 5 : 자켓트 소방호스
100 : 풀타입 개방밸브 110 : 밸브바디
111 : 유입구 113 : 유출구
115 : 압력계 120 : 개방밸브용 선회지지부
130 : 실린더밸브바디 131 : 실린더부
133 : 마개부 150 : 피스톤밸브바디
151 : 가동 원통 153 : 제1관통홀
155 : 내측 플랜지 170 : 스토퍼
171 : 고정 원통 173 : 제2관통홀
175 : 외측 플랜지 190 : 오링
200 : 드럼 210,220 : 회전판
230 : 지축 250 : 보빈
255 : 슬롯 300 : 브라켓
400 : 브라켓용 선회지지부

Claims (5)

  1. 소화전방수구(3)와 자켓트 소방호스(5) 사이를 접속된 채 상기 자켓트 소방호스(5)를 당겨(pull) 상기 소화전방수구(3)의 소화수를 상기 자켓트 소방호스(5)로 분출시키는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100)로서,
    유입구(111)가 소화전방수구(3)에 접속되는 밸브바디(110);
    상기 밸브바디(110)의 유출구(113) 측에 형성되는 실린더밸브바디(130);
    선단이 상기 자켓트 소방호스(5)에 접속된 채 상기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서 풀/푸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113)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바디(150);
    상기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밸브바디(150)의 풀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70); 및
    상기 실린더밸브바디(130)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밸브바디(150)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유출구(113)를 중심으로 전후 각각에 설치되는 오링(190)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170)는, 일단이 상기 실린더밸브바디(130)에 체결 지지되는 고정 원통(171)과, 상기 고정 원통(17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173)과, 상기 고정 원통(171)의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플랜지(175)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밸브바디(150)는, 상기 실린더밸브바디(130)와 상기 고정 원통(171) 사이에 배치되는 가동 원통(151)과, 상기 가동 원통(15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113)와 서로 통하는 제1관통홀(153)과, 상기 가동 원통(15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플랜지(155)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밸브바디(150)가 푸시되면, 상기 외측 플랜지(175)가 유출구(113)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173)은 상기 제1관통홀(153)과 상기 외측 플랜지(17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밸브바디(150)가 풀 되면, 상기 가동 원통(151)의 상기 내측 플랜지(155)가 상기 고정 원통(171)의 상기 외측 플랜지(175)에 걸려 상기 유출구(113) 상에 놓여, 소화수는 상기 유출구(113)의 일부와 상기 제1관통홀(153)을 통하는 제1소화수와, 상기 유출구(113)의 나머지부와 상기 실린더밸브바디(130)와 제2관통홀(173)을 통하는 제2소화수로 나뉘어 합쳐 분출되는,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10)는 상기 실린더밸브바디(130)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되되,
    상기 밸브바디(110)의 유입구(111) 중심과 상기 밸브바디(110)의 유출구(113) 중심이 편심(e)되게 형성되는,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10)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전방수구(3)에 체결되는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바디(110)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의 내주면 사이에는 볼 또는 스냅링이 설치되어, 상기 밸브바디용 커플링(121)에 대해 상기 밸브바디(110)가 회전 가능한,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KR1020200137262A 2020-10-22 2020-10-22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KR10250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62A KR102501445B1 (ko) 2020-10-22 2020-10-22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62A KR102501445B1 (ko) 2020-10-22 2020-10-22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52A KR20220053152A (ko) 2022-04-29
KR102501445B1 true KR102501445B1 (ko) 2023-02-21

Family

ID=8142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62A KR102501445B1 (ko) 2020-10-22 2020-10-22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4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9875A (ja) * 2016-08-26 2018-03-01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火栓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974B1 (ko) * 1999-04-01 2001-09-24 이학원 승강식 소화전
KR200292142Y1 (ko) 2002-05-28 2002-10-14 이연호 소방호스걸이
KR100591550B1 (ko) * 2004-10-26 2006-06-20 주식회사 신라안전 옥내외 소화전의 호스연결구
KR101042038B1 (ko) 2010-12-13 2011-06-16 중경기술주식회사 호스 릴 소방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9875A (ja) * 2016-08-26 2018-03-01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火栓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52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939B1 (ko)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KR102251335B1 (ko) 옥내소화전용 자켓트 호스릴 장치
US5678596A (en) Retractable garden hose apparatus
US20100078184A1 (en) Fixed residential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861211B1 (ko) 소화전용 소방호스 권취장치
KR102501445B1 (ko) 자켓트 소방호스용 풀타입 개방밸브
KR101905410B1 (ko) 건축물 소방함용 소방호스릴
KR20050002224A (ko) 소화전용 소방호스 권취장치
CN112245834A (zh) 一种消防用有效防止水管打结的消防箱
KR102144277B1 (ko) 관창걸이가 구비된 소방함
KR101426025B1 (ko) 압력 게이지를 구비한 호스 릴 및 이를 구비한 소방함
JP6301154B2 (ja) 消火栓装置
KR102431104B1 (ko) 옥내 소화전용 소방호스 보관장치
JP4271707B2 (ja) 消火装置
KR20210000596A (ko)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US3749118A (en) Home fire standby hose assembly
KR200490845Y1 (ko) 옥내외용 소화전 호스릴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KR102601749B1 (ko) 소방호스용 릴의 회전방지구조
KR102554430B1 (ko) 소화전 앵글밸브의 개폐장치
KR102431105B1 (ko) 옥내 소화전용 소방호스 보관장치
JPH019589Y2 (ko)
JPH0229275A (ja) 消防ホースの収容装置
CN214286385U (zh) 一种消防用有效防止水管打结的消防箱
JPH0641553Y2 (ja) 消火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