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15B1 -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 Google Patents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15B1
KR102117915B1 KR1020190123566A KR20190123566A KR102117915B1 KR 102117915 B1 KR102117915 B1 KR 102117915B1 KR 1020190123566 A KR1020190123566 A KR 1020190123566A KR 20190123566 A KR20190123566 A KR 20190123566A KR 102117915 B1 KR102117915 B1 KR 10211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pipe
fitting portion
nipp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구
이중섭
Original Assignee
이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구 filed Critical 이홍구
Priority to KR102019012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과 쉽게 연결이 가능한 멀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직접 결합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멀티관에 니플프레임을 내삽하여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오링을 통해 끼움결합된 멀티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MULTI-PIPE STRUCTURE FOR EASY CONNECTION WITH FLECXIBLE BRANCH JOINT PIPE}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과 쉽게 연결이 가능한 멀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직접 결합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멀티관에 니플프레임을 내삽하여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오링을 통해 끼움결합된 멀티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배관은 소방용 스프링쿨러에 적용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화재가 발생된 내부 공간으로 급수하게 된다.
급수를 위한 일반배관은 실내공간에 구비되어 스프링쿨러와 연결된 신축배관과 연결되어 스프링쿨러로 소화(消火)를 위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급수를 위한 배관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에도 부식되지 않아야 하며, 화재 발생시에도 원활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갖는 배관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일 재질로 제작된 관(pipe)로는 다양한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개의 복합피복층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멀티관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배관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양측 배관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패킹이 개재된 조임구를 양측에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통해 관을 서로 연결시키나 멀티관의 경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기 매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급수용 멀티관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조인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하고, 이러한 조인트가 구비되더라도 용접과 같은 결합작업이 별도로 수행되거나, 프레싱 기계 등을 이용하여 멀티관을 압착시켜 멀티관과 신축배관을 연결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된 방법 등을 통해 멀티관을 신축배관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프레싱기계 또는 용접기계와 같은 결합과정에 필요하기 때문에 결합작업이 번거롭고, 추후 교체작업 또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결합작업이 간편한 멀티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8746호 (2015.01.02.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직접 결합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멀티관에 니플프레임을 내삽하여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오링을 통해 끼움결합된 멀티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나사결합을 통해 신축배관에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쉽게 적용이 가능한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멀티관 구조에 있어서,
신축배관 말단에 구비된 너트에 일단이 직접 결합되는 니플프레임과, 상기 니플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니플프레임의 타단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니플프레임과 상기 캡의 이격된 공간으로 내삽되어 결합되는 멀티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니플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너트의 내측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와 상기 결합부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과 상기 니플프레임이 결합된다.
또한, 니플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너트로 인입되면 상기 너트를 마감하는 마감턱 및 상기 마감턱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부와 반대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멀티관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멀티관은 상기 끼움부의 외둘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으로 물을 공급한다.
또한, 끼움부의 외둘레에는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끼움부의 외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멀티관이 상기 끼움부에 내삽시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멀티관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밀착돌기간의 이격된 공간에는 오링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오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관이 상기 끼움부 외측에 끼움결합시 상기 오링은 압축되어 상기 끼움부와 상기 멀티관과의 틈새를 마감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또한, 니플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캡의 외둘레에는 상기 캡의 내부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로 상기 캡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멀티관의 내삽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직접 결합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된다.
또한, 멀티관에 니플프레임을 내삽하여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오링을 통해 끼움결합된 멀티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하게 연결되어 누수 방지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나사결합을 통해 신축배관에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쉽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의 적용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니플프레임, 캡 및 오링을 분해도 및 측면결합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의 적용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니플프레임, 캡 및 오링을 분해도 및 측면결합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과 쉽게 연결이 가능한 멀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직접 결합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멀티관에 니플프레임을 내삽하여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오링을 통해 끼움결합된 멀티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관 구조(1)는 니플프레임(100), 캡(200) 및 멀티관(300)으로 구성된다.
니플프레임(100)은 타단에 멀티관(300)이 결합된 상태로 일단이 기설치된 신축배관(2)의 너트(3)와 직접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멀티관(300)을 신축배관(2)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니플프레임(100)은 결합부(110), 마감턱(120), 끼움부(130), 경사부(140) 및 함몰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결합부(110)는 신축배관(2)의 너트(3) 내경 및 나사산과 대응되는 외경 및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3)와 직접 나사결합하게 된다.
즉, 현재 사용 및 보급중인 신축배관(2)에 적용되는 너트(3)는 제조사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제조사의 신축배관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부(110)는 니플프레임(100)의 일단에 형성되고, 니플프레임(100)의 타단에는 멀티관(300)의 결합을 위한 끼움부(130)가 형성되는데, 이때 결합부(110)와 끼움부(130) 사이에는 마감턱(120)이 형성된다.
마감턱(120)은 결합부(110)의 외경보다 크게 외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마감턱(120)은 결합부(110)가 너트(3)로 완전히 내삽되어 나사결합되면 너트(3)의 개방면, 즉 결합부(110)가 내삽되는 면을 마감함으로써 결합부(110)가 너트(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 등이 너트(3) 내측으로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부(110)가 완전히 내삽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즉, 너트(3) 내경과 대응되는 결합부(110)는 너트(3)에 나사결합되어 인입하게 되다가 마감턱(120)이 너트(3)에 걸려 더이상 인입되지 않고, 너트(3)의 개방면을 마감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끼움부(130)는 마감턱(120)을 중심으로 결합부(110)와 반대측면에 형성되며, 끼움부(130)의 외경은 결합될 멀티관(300)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끼움부(130)의 외둘레에는 복수 개의 밀착돌기(131)가 끼움부(130)의 돌출연장방향에 따라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돌기(131)는 끼움부(130)가 멀티관(300)으로 내삽될 때 밀착돌기(131)가 멀티관(300) 내측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110)와 끼움부(130)는 모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내경이 신축배관(2)과 대응되는 너트(3)에 비해 멀티관(300)의 외경은 크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결합부(110)가 끼움부(130)보다 외경이 크게 제작된다.
따라서, 마감턱(120)에서 결합부(110)가 돌출형성될 때 결합부(110)의 외경에서 끼움부(130)의 외경에 대응되게 끼움부(130)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져 경사를 갖는 경사부(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140)는 마감턱(120)에서 끼움부(130)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부(110)의 외경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점차 결합부(110)를 향해 연장되면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부(140)는 후술된 멀티관(300)이 결합될 때 경사부(14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인입되도록 하고, 너트(3)와 멀티관(300)의 내경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니플프레임(100)의 타단측에 결합되는 캡(200)과 끼움부(130)간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멀티관(300)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경사부(140)와 마감턱(120)이 맞닿는 위치에는 경사부(140)의 외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50)가 형성된다.
함몰부(150)는 후술된 캡(200)이 니플프레임(100)에 끼워질 때 캡(200)의 일단이 함몰부(150)측을 중심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캡(200)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된 니플프레임(100)에서 끼움부(130)가 위치한 타단으로 멀티관(300)이 결합되는데, 이때 멀티관(300)을 보호하고, 기밀성 및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캡(200)이 니플프레임(100) 및 멀티관(300)과 결합된다.
캡(200)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의 개방된 면으로 니플프레임(100) 타단 외측에 결합됨으로써 끼움부(130), 경사부(140) 및 함몰부(150)가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캡(200)의 내경은 마감턱(120)과 맞닿은 경사부(140)의 외경과 대응되며 캡(200)의 일단 내측은 경사부(140) 외면과 밀착되고, 일단면은 마감턱(120)과 밀착된다. 따라서, 니플프레임(100)에 캡(200) 결합시 마감턱(120) 측으로 충분히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캡(200)의 개방면 상단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캡(200) 내측으로 타공되어 관통형성된 홀(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210)은 니플프레임(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경사부(140)의 외둘레를 감싸는 캡(200)의 내측으로 멀티관(300)이 인입되어 끼움결합되면 멀티관(300)의 인입정도를 확인할 필요가 존재한다.
즉, 멀티관(300)이 인입되어 내측에 경사부(140)의 굴곡과 밀착되어 결합고정되는데 이때 인입된 멀티관(300)의 말단 일부가 경사부(140)의 말단 일부와 밀착결합될 경우 외부에서는 멀티관(300)이 캡(200)으로 내삽되어 니플프레임(100)과 용이하게 결합된 것으로 보이나 멀티관(300) 및 끼움부(130) 각각의 내삽정도와 밀착면적이 적기 때문에 쉽게 멀티관(300)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멀티관(300) 결합작업시 홀(210)을 통해 멀티관(300)의 내삽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캡(200)의 일단측에 위치한 홀(210)로 멀티관(300)이 노출되면 멀티관(300)이 충분히 내삽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멀티관(300)의 내삽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멀티관(300)이 캡(200)에 충분히 내삽되어 캡(20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홀(210)은 도 2와 같이 최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1a와 같이 일측으로 위치할 수도 있어 작업자가 결합작업에 용이하도록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며, 형성위치가 캡(200)의 최상단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캡(200)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내경이 좁아지는 밀착홈(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니플프레임(100)의 타단측으로 캡(200)이 결합되면 내경이 좁은 밀착홈(220)의 내측면이 함몰부(150)의 외둘레와 밀착됨으로써 캡(2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멀티관(300)은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장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1피복(310)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제1피복(310)의 내측에 구비된 제2피복(3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제2피복(320) 내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소화액 또는 물이 이동하게 되는 제3피복(330)은 고온용 폴리에틸렌(PE-RT)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쉽게 부식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경량 제작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과 주변 화재에도 영향을 받지 않아 연결된 신축배관(2)으로 소화액 또는 물을 신속하고 이상없이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관(300)은 끼움부(130)와 캡(200)의 사이로 내삽되어 멀티관(300)의 내측이 끼움부(130) 외둘레 형성되어 있는 굴곡과 밀착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으나 기밀성 및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멀티관(300)이 충분히 내삽된 상태로 외부에서 유압 압착기계를 통해 캡(200)의 외측면을 프레싱하여 캡(200)을 멀티관(300)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멀티관(300)이 끼움부(130)와 결합되면 멀티관(300)의 내부와 니플프레임(100)의 내부가 연통되고, 멀티관(3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니플프레임(100)을 거쳐 신축배관(2)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니플프레임(100)의 끼움부(130) 측으로 멀티관(300)이 결합되더라도 멀티관(3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캡(200)과 멀티관(300)간의 틈새 등으로 누수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끼움부(130)의 밀착돌기(131)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오링(400)이 구비된다.
오링(400)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끼움부(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밀착돌기(131)간의 이격된 공간에 구비된다.
이러한 오링(400)은 도 4와 같이 끼움부(130)에 멀티관(300)과 캡(200)이 결합되면 멀티관(300)에 의해 압축되면서 끼움부(130)와 멀티관(300)과의 틈새를 폐쇄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오링(400)은 도면과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기밀성 향상을 위해 다수개로 이루어져 끼움부(130)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멀티관(300)의 누수를 방지하고, 급격한 압력이나 응력에 의해 캡(200)과 니플프레임(100) 타단 간격에 인입된 멀티관(300)이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멀티관 구조(1)를 통해 별도의 결합작업없이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직접 결합될 수 있어 적용성이 뛰어나고,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신축배관에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 또한 간편하다.
또한, 멀티관에 니플프레임을 내삽하여 쉽게 결합될 수 있고, 오링을 통해 끼움결합된 멀티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멀티관 구조체 2: 신축배관
3: 너트
100: 니플프레임 110: 결합부
120: 마감턱 130: 끼움부
140: 경사부 150: 함몰부
200: 캡 210: 홀
220: 밀착홈 300: 멀티관
310: 제1피복 320: 제2피복
330: 제3피복 400: 오링

Claims (5)

  1.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멀티관 구조에 있어서,
    신축배관 말단에 구비된 너트에 일단이 직접 결합되는 니플프레임;
    상기 니플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니플프레임의 타단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니플프레임과 상기 캡의 이격된 공간으로 내삽되어 결합되는 멀티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니플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너트의 내측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와 상기 결합부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과 상기 니플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니플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너트로 인입되면 상기 너트를 마감하는 마감턱; 및
    상기 마감턱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부와 반대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멀티관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멀티관은 상기 끼움부의 외둘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끼움부의 외둘레에는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끼움부의 외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멀티관이 상기 끼움부에 내삽시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멀티관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돌기간의 이격된 공간에는 오링;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오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관이 상기 끼움부 외측에 끼움결합시 상기 오링은 압축되어 상기 끼움부와 상기 멀티관과의 틈새를 마감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마감턱과 끼움부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와 마감턱이 맞닿는 위치에는 경사부의 외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내경이 좁아지는 밀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니플프레임의 타단측으로 캡이 결합되면 내경이 좁은 밀착홈의 내측면이 함몰부의 외둘레와 밀착됨으로써 캡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멀티관은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관의 가장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1피복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피복의 내측에 구비된 제2피복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2피복 내측에 구비되어 소화액 또는 물이 이동하게 되는 제3피복은 고온용 폴리에틸렌(PE-RT)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외측면은 압착기계를 통해 프레싱되어 캡을 멀티관에 결합 고정시키며,
    상기 니플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캡의 외둘레에는 상기 캡의 내부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로 상기 캡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멀티관의 내삽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경사부는 마감턱에서 결합부가 돌출형성될 때 결합부의 외경에서 끼움부의 외경에 대응되게 끼움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져 경사를 갖는 형태이며,
    상기 캡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의 개방된 면을 통해 니플프레임 타단 외측이 결합됨으로써 끼움부 경사부 및 함몰부가 캡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3566A 2019-10-07 2019-10-07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KR10211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66A KR102117915B1 (ko) 2019-10-07 2019-10-07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66A KR102117915B1 (ko) 2019-10-07 2019-10-07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15B1 true KR102117915B1 (ko) 2020-06-02

Family

ID=7109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566A KR102117915B1 (ko) 2019-10-07 2019-10-07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655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삼진호스 연결 조인트 구조
KR2022004865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삼진호스 배관 연결용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7809A1 (en) * 2006-09-14 2008-03-20 Foshan Rifeng Enterprise Co., Ltd. Press-fitting
JP2008144907A (ja) * 2006-12-12 2008-06-26 Bridgestone Corp ホース接続方法、およびホース接続構造
JP2012189147A (ja) * 2011-03-10 2012-10-04 Inoac Housing &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パイプ継手
KR101195280B1 (ko) * 2010-09-10 2012-10-26 박정은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101478746B1 (ko) 2014-02-26 2015-01-02 고득출 파이프 압착 연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7809A1 (en) * 2006-09-14 2008-03-20 Foshan Rifeng Enterprise Co., Ltd. Press-fitting
JP2008144907A (ja) * 2006-12-12 2008-06-26 Bridgestone Corp ホース接続方法、およびホース接続構造
KR101195280B1 (ko) * 2010-09-10 2012-10-26 박정은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JP2012189147A (ja) * 2011-03-10 2012-10-04 Inoac Housing &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パイプ継手
KR101478746B1 (ko) 2014-02-26 2015-01-02 고득출 파이프 압착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655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삼진호스 연결 조인트 구조
KR2022004865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삼진호스 배관 연결용 구조
KR102417641B1 (ko) * 2020-10-13 2022-07-06 주식회사 삼진호스 연결 조인트 구조
KR102417642B1 (ko) * 2020-10-13 2022-07-06 주식회사 삼진호스 배관 연결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605B1 (ko) 배관연결장치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KR101968589B1 (ko) 그루브드 커플러
US10883636B2 (en) Fluid fitting
KR20140119067A (ko) 플랜지 조인트 접속 구조
EP3636976B1 (en) Pipe coupler having function of covering pipe
JP5915918B2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ITMI20121068A1 (it) Raccordo per il collegamento di tubazioni, in particolare di tubi flessibili
KR101579403B1 (ko) 이중관 파이프 체결구
KR101712144B1 (ko)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KR101854531B1 (ko) 분기장치
JP2019120309A (ja) 金属管継手
KR20110103775A (ko)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KR20170002084U (ko) 배관 연결구
US20140097274A1 (en) Rapid Mechanically-Connected Sprinkler System
KR101716476B1 (ko) 관 이음쇠
KR20130003744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KR102417642B1 (ko) 배관 연결용 구조
KR102290701B1 (ko)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KR102417641B1 (ko) 연결 조인트 구조
KR200487144Y1 (ko) 소방 배관 연결구조
IT201600104377A1 (it) Dispositivo di giunzione di tipo migliorato per tubazioni in genere.
KR20230014977A (ko) Cpvc 연결부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