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301A -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 Google Patents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301A
KR20210127301A KR1020200044940A KR20200044940A KR20210127301A KR 20210127301 A KR20210127301 A KR 20210127301A KR 1020200044940 A KR1020200044940 A KR 1020200044940A KR 20200044940 A KR20200044940 A KR 20200044940A KR 20210127301 A KR20210127301 A KR 2021012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pullium
pipe
socket
so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135B1 (ko
Inventor
조종호
주병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학
조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학, 조종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학
Priority to KR102020004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13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은 벤치 풀륨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가 개방된 소켓 몸체; 상기 소켓 몸체에 연결되어 방향을 전환하도록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부위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측구수로관; 및 상기 소켓 몸체와 상기 측구수로관 연결 부위의 누수를 방지하는 탄성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DIRECTION CONVERSION SOCKET OF BENCH FLUME CHANNEL}
본 발명은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지상의 물이 흐르는 곳에 주변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막거나 우천시 낮은 지형으로 집수되는 물이 쉽게 배출되도록 일정한 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콘크리트 관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관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그 하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형틀에 부어 넣어 모양을 형성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관이고, 또 다른 하나는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규격화된 크기로 미리 제작되고 현장에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관으로 대별된다.
또한, 콘크리트 관은 그 단면 형상에 따라서 원형 콘크리트 관, 사각 콘크리트 관, U자형 콘크리트 풀륨관, 벤치 풀륨관 등으로 구분된다.
원형 및 사각 콘크리트 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지하의 수로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데 반해, 풀륨관은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수로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상부에는 별도의 뚜껑이나 그레이팅이 덮이거나 아무것도 없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관의 경우에는 현장의 상황에 맞게 맞춤형으로 형틀의 제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관의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이음부에서의 누수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한 이음부의 뒤틀림이나 파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시공이 불가능한 장소가 있으며, 비용이 크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관, 즉 벤치 풀륨관의 경우에는 일정한 규격으로 성형된 콘크리트 관을 현장에서 연결하여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시공이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 방향을 변경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방향 전환이 가능하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벤치 풀륨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가 개방된 소켓 몸체; 상기 소켓 몸체에 연결되어 방향을 전환하도록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부위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측구수로관; 및 상기 소켓 몸체와 상기 측구수로관 연결 부위의 누수를 방지하는 탄성재; 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 몸체와 상기 측구수로관의 재질은 주철, 철재, 세라믹,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 몸체의 내면은 상기 벤치 풀륨관과 상기 측구수로관과 결합시에 평면을 유지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구수로관은 양단부 각각이 상기 소켓 몸체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측구수로관의 절곡부의 각도 범위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벤치 풀륨관 시공시에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둘째, 벤치 풀륨관 연결 부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의 소켓 몸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의 측구수로관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의 측구수로관 적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0)은 벤치 풀륨관(10)을 연결하는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에 있어서, 상기 벤치 풀륨관에 연결되는 상부가 개방된 소켓 몸체(110), 상기 소켓 몸체(110)에 연결되어 방향을 전환하도록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부위에 절곡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측구수로관(120) 및 상기 소켓 몸체(110)와 상기 측구수로관(120) 연결 부위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 재질의 탄성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0)의 소켓 몸체(110)와 측구수로관(120)의 재질은 주철, 철재, 세라믹,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실시예에서는 주철을 이용되었으며, 벤치 풀륨관(10)의 재질은 콘크리트가 일반적이며 주철의 열팽창계수와 상이하므로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0)과 벤치 풀륨관(10) 연결 부위의 수밀을 위해 상부가 개방된 고무 재질의 탄성재(130)가 개재된다. 또한 소켓 몸체(110)와 상기 측구수로관(120)의 연결 부위에도 고무 재질의 탄성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켓 몸체(110)와 상기 측구수로관(120)의 연결 부위에는 복수개의 볼트 체결 구멍(도 3: 114, 도 4: 124)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볼트(140)로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구수로관(10)의 절곡부(122)의 각도 범위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선과 이루는 각도(θ)가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각 범위는 10도 내지 20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의 소켓 몸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소켓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내면은 벤치 풀륨관(10)과 측구수로관(120)과의 결합시에 평면을 유지하도록 다른 두께를 갖는 단차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도 3에는 소켓 몸체(110)의 평면도,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는 일부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평면도 아래에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가 우측으로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되, 상기 소켓 몸체(110)의 내면은 벤치 풀륨관(10)과 결합되는 제 1 면(111), 상기 제 1 면(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 2 면(112), 상기 제 2 면(112)으로부터 연장되어 측구수로관(120)과 결합되는 제 3 면(1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면(111)과 상기 제 2 면(112) 및 상기 제 2 면(112)과 상기 제 3 면(113) 사이에는 각각 단차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 1 면(111)에는 벤치 풀륨관(10)의 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 3 면(113)에는 측구수로관(120)의 단부가 안착된다.
상기 소켓 몸체(110)와 측구수로관(120)의 재질은 주철이며, 벤치 풀륨관(10)의 재질은 콘크리트이므로 상기 각각의 단차는 다른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면(111)의 두께는 t1이고, 제 3 면(113)의 두께는 t2이며, t1이 t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치 풀륨관(10)과 결합되는 부위의 외경은 측구수로관(120)과 연결되는 부위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의 측구수로관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평면도 아래에 좌측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측구수로관(120)은 제 1 단부(121)와제 2 단부(123) 각각은 상기 소켓 몸체(110)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양단부(121, 123) 각각은 절곡부(122)와 폭 방향 길이(d1)보다 보다 작은 폭(d2)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 1 단부(121)가 상기 소켓 몸체(110)와 결합되는 경우에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제 2 단부(123)가 상기 소켓 몸체(110)와 결합되는 경우에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을 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의 측구수로관 적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0)은 상부가 개방된 소켓 몸체(110), 상기 소켓 몸체(110)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부위에 절곡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측구수로관(120) 및 상기 소켓 몸체(110)와 상기 측구수로관(120) 연결 부위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 재질의 탄성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벤치 풀륨관(10)의 단부에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0)이 결합되면 방향이 상기 벤치 풀륨관(10)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으로 15도 변경되고, 상기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0)에 다른 벤치 풀륨관(11)이 결합된다.
이어서 다른 벤치 풀륨관(11) 단부에 다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1)이 결합되면 다른 벤치 풀륨관(11)의 중심선으로부터의 방향이 우측으로 15도 변경된다.
상기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1)에는 다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102)이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방향이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15도 변경되고, 그 단부에는 또 다른 벤치 풀륨관(12)이 결합되어 벤치 풀륨관(11) 중심선으로부터의 방향이 우측으로 30도 변경되고, 또 다른 벤치 풀륨관(12)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여기서 소켓 몸체(110)의 내경은 제 1 면(111), 제 2 면(112) 및 제 3 면(1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켓 몸체(110)의 길이 방향의 양쪽에 벤치 풀륨관(10)과 측구수로관(120)이 각각 결합되면 결합된 내면은 제 2 면(112)에 평행한 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은 벤치 풀륨관 시공시에 방향 전환을 할 수 있어 시공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벤치 풀륨관 연결 부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작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0, 11, 12: 벤치 풀륨관
100, 101, 102: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110: 소켓 몸체
111: 제 1 면
112: 제2 면
113: 제3 면
114: 볼트 체결 구멍
120: 측구수로관
121: 제 1 단부
122: 절곡부
123: 제 2 단부
124: 볼트 체결 구멍
130: 탄성재

Claims (5)

  1. 벤치 풀륨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가 개방된 소켓 몸체;
    상기 소켓 몸체에 연결되어 방향을 전환하도록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부위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측구수로관; 및
    상기 소켓 몸체와 상기 측구수로관 연결 부위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 재질의 탄성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와 상기 측구수로관의 재질은 주철, 철재, 세라믹,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의 내면은 상기 벤치 풀륨관과 상기 측구수로관과 결합시에 평면을 유지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수로관은 양단부 각각이 상기 소켓 몸체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수로관의 절곡부의 각도 범위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20200044940A 2020-04-14 2020-04-14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232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40A KR102326135B1 (ko) 2020-04-14 2020-04-14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40A KR102326135B1 (ko) 2020-04-14 2020-04-14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01A true KR20210127301A (ko) 2021-10-22
KR102326135B1 KR102326135B1 (ko) 2021-11-15

Family

ID=7827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940A KR102326135B1 (ko) 2020-04-14 2020-04-14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1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278A (ja) * 2001-10-30 2003-05-08 Kubota Corp 電気融着自在継手
US20040050487A1 (en) * 2002-08-09 2004-03-18 The Boeing Company Thermoplastic laminate duct
KR200434160Y1 (ko) * 2006-09-29 2006-12-18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KR100743487B1 (ko) * 2007-04-27 2007-07-30 김용현 흄관용 연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278A (ja) * 2001-10-30 2003-05-08 Kubota Corp 電気融着自在継手
US20040050487A1 (en) * 2002-08-09 2004-03-18 The Boeing Company Thermoplastic laminate duct
KR200434160Y1 (ko) * 2006-09-29 2006-12-18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KR100743487B1 (ko) * 2007-04-27 2007-07-30 김용현 흄관용 연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135B1 (ko)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0922622B1 (ko) 확장이 용이한 저류조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20070076560A (ko) 각도조절형 조립식 맨홀
CN210013303U (zh) 新旧污水管道连接结构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200414315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 이음 구조
AU593545B2 (en) Prefabricated drain-pipe with longitudinal joints
KR200277616Y1 (ko) 피씨 콘크리트 조립식 도로 배수암거
KR20090092090A (ko) 측구수로관
KR200214402Y1 (ko) 엘형 측구용 원형관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200391844Y1 (ko) 암거 구조체
KR200265335Y1 (ko) 연약지반용 지하수 유출부 하수관 설치구조
KR10201899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구조체
KR200462219Y1 (ko) 유속 변환구조를 갖는 매립용 흄관의 시공 구조물
CN220551126U (zh) 一种用于隧道的电缆槽和排水沟整体设计结构
CN218437204U (zh) 一种防水结构
CN210975408U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拼接组合式中空砼块
CN211423694U (zh) 抱环结构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200201030Y1 (ko)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KR200436228Y1 (ko) 밀봉 연결구조가 개선된 수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