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160Y1 -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 Google Patents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160Y1
KR200434160Y1 KR2020060026854U KR20060026854U KR200434160Y1 KR 200434160 Y1 KR200434160 Y1 KR 200434160Y1 KR 2020060026854 U KR2020060026854 U KR 2020060026854U KR 20060026854 U KR20060026854 U KR 20060026854U KR 200434160 Y1 KR200434160 Y1 KR 200434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ocket
concrete pipe
tube
sock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교성
이근호
문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유한회사 한스
문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유한회사 한스, 문경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60026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1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웃하는 콘크리트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소켓부에 수밀링을 관의 제작 당시부터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관의 연결부에서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킨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원통형 관으로서, 일단부에는 확장된 형상의 소켓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이웃하는 콘크리트관(1)의 소켓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10)는 상기 삽입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있어, 이웃하는 콘크리트관(1)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상기 삽입부(20)가 소켓부(10)에 끼워지게 되면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이 상기 삽입부(20)의 외면(22)을 밀착하여 감싸게 되며,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에는 상기 삽입부(20) 단부면(21)이 닿게 되는 위치에 수밀링(30)이 콘크리트관(1)의 제작시부터 콘크리트관(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연결부에서 상기 소켓부(10) 내에 콘크리트관(1)의 삽입부(20)가 삽입되면 삽입부(20)의 외면(22)과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 사이에 상기 수밀링(30)이 게재되어 수밀 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콘크리트관이 제공된다.
콘크리트관, 수밀, 링, 소켓, 프리캐스트, 누수, 연결

Description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Concrete Pipe having integrally Sealing Ring in Socket Par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관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관의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관의 조립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 A부분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콘크리트관
10 : 소켓부
20 : 삽입부
30 : 수밀링
본 고안은 콘크리트관(concrete pipe)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이웃하는 콘크리트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소켓부에 수밀링을 관의 제작 당시부터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관의 연결부에서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킨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관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관은 다수 개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관에 있어서는 연결부에서의 누수 방지, 즉 수밀성은 매우 중요하다. 콘크리트관의 내부에는 하수 등의 액체가 유동하기 때문에 만일 콘크리트관의 연결부에서 완벽한 수밀성이 보장되지 아니한다면 액체가 유동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특히, 이와 같이 콘크리트관의 연결부가 완벽한 수밀성을 가지도록 함에 있어서 간편함과 내구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관이 갖추어야 할 연결부에서의 견고함과 완벽한 수밀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용이한 방법으로 콘크리트관의 연결부를 수밀하게 만들 수 있으며, 연결부의 수밀성이 오래 지속되도록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원통형 관으로서, 일단부에는 확장된 형상의 소켓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이웃하는 콘크리트관의 소켓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있어, 이웃하는 콘크리트관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상기 삽입부가 소켓부에 끼워지게 되면 소켓부의 내부 측면이 상기 삽입부의 외면을 밀착하여 감싸게 되며, 소켓부의 내부 측면에는 상기 삽입부의 단부면이 닿게 되는 위치에 수밀링이 콘크리트관의 제작시부터 콘크리트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연결부에서 상기 소켓부 내에 콘크리트관의 삽입부가 삽입되면 삽입부의 외면과 소켓부의 내부 측면 사이에 상기 수밀링이 게재되어 수밀 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수밀링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관을 제작할 때, 상기 돌기가 콘크리트 속에 매립됨으로서 상기 수밀링과 콘크리트관이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은, 소켓부의 내부 측면과 삽입부의 외면 사이의 수밀성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부의 단부면과 콘크리트관의 단부면 사이의 수밀성도 발휘하도록, 상기 소켓부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서 소켓부의 내부 측면을 지나 콘크리트관의 단부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관(1)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관(1)의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 A부분에 대한 부분 상세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관(1)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원통형 관으로서, 일단부에는 확장된 형상의 소켓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이웃하는 콘크리트관(1)의 소켓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켓부(10)는 상기 삽입부(20)의 외경에 대응하거나 또는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있어, 이웃하는 콘크리트관(1)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상기 삽입부(20)가 소켓부(10)에 끼워지게 되면 소켓부(10)가 상기 삽입부(20)의 외면(22)을 감싸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삽입부(20)가 콘크리트관(1)의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축소된 형태로 구성되면, 소켓부(10)가 과도하게 확장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연결부의 외경이 지나치게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삽입부(20)가 위와 같이 외경이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삽입부(20)의 외경이 콘크리트(1)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있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에는 연결부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밀링(30)이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부에서 상기 소켓부(10) 내에 콘크리트관(1)의 삽입부(20)가 삽입되면 삽입부(20)의 외면(22)과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 사이에 수밀링(30)이 게재되어, 그 사이를 메우게 되며, 그에 따라 삽입부(20)와 소켓부(10) 사이가 수밀하게 되어 콘크리트관(1)의 연결부에서의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수밀링(3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소켓부(1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서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관(1)의 단부면(2)까지도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과 삽입부(20)의 외면(22) 사이뿐만 아니라 삽입부(20)의 단부면(21)과 콘크리트관(1)의 단부면(2) 사이에서도 수밀 효과가 발휘되어, 누수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30)은 콘크리트관(1)이 연결될 때 삽입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관(1)을 제작할 때 이미 소켓부(1) 내부에 설치된다. 즉, 콘크리트관(1)을 제작할 때부터 이미 소켓부(1) 내부에 수밀링(30)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밀링(30)의 외면 즉, 콘크리트관(1)을 향하는 면에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관(1)을 제작할 때, 상기 돌기(31)가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와 일체를 이루게 되며, 그에 따라 수밀링(30)이 콘크리트관(1)의 소켓부(10) 내에서 콘크리트와 일체로 견고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20)가 소켓부(10) 내에 삽입될 때, 충격이 수밀링(30)에 가해질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이 수밀링(30)이 견고한 구조로 콘크리트관(1)의 제작시부터 미리 설치되어 있으므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수밀링(30)의 위치를 그대 로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20)가 소켓부(10)에 삽입되었을 때, 계속하여 수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되며,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관(1)을 제작할 때, 미리 수밀링(30)을 설치하게 되므로, 간편하게 콘크리트관(1) 사이의 연결부에 수밀링(3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관(1)을 제작할 때부터, 소켓부(10) 내부에 수밀링(3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밀링(30)이 콘크리트관(1)의 소켓부(10) 내에서 콘크리트와 일체로 견고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20)가 소켓부(10) 내에 삽입될 때, 수밀링(3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수밀링(30)이 제 위치를 그대로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삽입부(20)가 소켓부(10)에 삽입되었을 때 우수한 수밀 기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하고 내구성이 있는 수밀성을 가지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관(1)을 제작할 때, 미리 수밀링(30)을 설치하게 되므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콘크리트관(1) 사이의 연결부에 수밀링(3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내용은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만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예를 기술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Claims (3)

  1. 콘크리트로 제작된 원통형 관으로서,
    일단부에는 확장된 형상의 소켓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이웃하는 콘크리트관(1)의 소켓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10)는 상기 삽입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있어, 이웃하는 콘크리트관(1)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상기 삽입부(20)가 소켓부(10)에 끼워지게 되면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이 상기 삽입부(20)의 외면(22)을 밀착하여 감싸게 되며,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에는 상기 삽입부(20)의 단부면(21)이 닿게 되는 위치에 수밀링(30)이 콘크리트관(1)의 제작시부터 콘크리트관(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연결부에서 상기 소켓부(10) 내에 콘크리트관(1)의 삽입부(20)가 삽입되면 삽입부(20)의 외면(22)과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 사이에 상기 수밀링(30)이 게재되어 수밀 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30)의 외면에는 돌기(31)가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 여 콘크리트관(1)을 제작할 때, 상기 돌기(31)가 콘크리트 속에 매립됨으로서 상기 수밀링(30)과 콘크리트관(1)이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30)은,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과 삽입부(20)의 외면(22) 사이의 수밀성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부(20)의 단부면(21)과 콘크리트관(1)의 단부면(2) 사이의 수밀성도 발휘하도록, 상기 소켓부(1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서 소켓부(10)의 내부 측면(12)을 지나 콘크리트관(1)의 단부면(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KR2020060026854U 2006-09-29 2006-09-29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KR200434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854U KR200434160Y1 (ko) 2006-09-29 2006-09-29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854U KR200434160Y1 (ko) 2006-09-29 2006-09-29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160Y1 true KR200434160Y1 (ko) 2006-12-18

Family

ID=4178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854U KR200434160Y1 (ko) 2006-09-29 2006-09-29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1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01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청학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20210127300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청학 흄관 연결 소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301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청학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20210127300A (ko) * 2020-04-14 2021-10-22 주식회사 청학 흄관 연결 소켓
KR102326135B1 (ko) * 2020-04-14 2021-11-15 주식회사 청학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2326134B1 (ko) * 2020-04-14 2021-11-15 주식회사 청학 흄관 연결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9284B2 (ja) 自封トラップ
RU2009109319A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стока воды
KR200434160Y1 (ko)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KR101732065B1 (ko)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KR200368080Y1 (ko) 이중벽관용 패킹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1045798B1 (ko) 단차제거링이 구비된 이중벽관
JP2001159182A (ja) 下水管路用耐震継手
KR200338819Y1 (ko) 도로용 곡선 전용 배수관 구조
RU98112586A (ru) Пробка с уплотняющей прокладкой для патрона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крана
KR200355205Y1 (ko) 방수형 커넥터
KR200286813Y1 (ko)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KR200394235Y1 (ko)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KR200203032Y1 (ko) 패킹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23433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200201079Y1 (ko) 맨홀 방수용 러버 씰의 구조
KR200289286Y1 (ko)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KR200169821Y1 (ko) 상수도용 분수전의 누수방지구조
KR20090062294A (ko) 차량의 배수를 위한 플러그
KR200298096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접속구조
KR200187855Y1 (ko) 오,배수용 이중관
JP5237036B2 (ja) 水撃防止器の保護膜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撃防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