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286Y1 -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286Y1
KR200289286Y1 KR2020020010937U KR20020010937U KR200289286Y1 KR 200289286 Y1 KR200289286 Y1 KR 200289286Y1 KR 2020020010937 U KR2020020010937 U KR 2020020010937U KR 20020010937 U KR20020010937 U KR 20020010937U KR 200289286 Y1 KR200289286 Y1 KR 200289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ouble pipe
double
connecto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상혁
Original Assignee
여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혁 filed Critical 여상혁
Priority to KR202002001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286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내관(32)과 외관(34)을 지지부재(36)로 연결하고, 내관(32)의 종단에는 다른 이중 파이프(40)의 내주면으로 끼워지는 내측 연결관(37)을 돌출형성하고 외관(34)의 종단에는 내측으로 다른 이중 파이프(40)의 외관(44)이 끼워지는 외측 연결관(38)을 돌출형성하며, 외측 연결관(38)의 내주면에는 부가적으로 나사홈(39)을 더 형성함으로써, 방음성과 보온성이 뛰어난 이중 파이프를 용이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jointing unit of twin-pipe}
본 고안은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구성되어 유류등이 통과하는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관과 외관을 지지부재로 연결하고, 내관의 종단에는 다른 이중 파이프의 내주면으로 끼워지는 내측 연결관을 형성하고, 외관의 종단에는 내측으로 다른 이중 파이프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외측 연결관을 돌출형성하며, 외측 연결관의 내주면에는 부가적으로 나사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방음성과 보온성이 뛰어난 이중 파이프를 용이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상하수 배관이나, 농장의 지하에 급수용으로 매설 또는 설치되는 배관등은 일반적으로 PE수지나 PVC수지를 사용하는데, 상기 배관은 수지재 파이프 단일관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어 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으며, 발로 밟거나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이프가 파손되면 파손된 부위로 액체가 흐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온도가 하강할 경우 파이프내부의 액체가 얼어서 동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 269746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이중파이프를 선출원하였으며, 그 구조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a는 종래의 수지재 이중 파이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수지재 이중 파이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수지재 이중 파이프(2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관(22)과 외관(24)의 이중관으로 구성되고, 이들 내관(22)과 외관(24)은 방사상의 지지부재(26)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상기 내관(22)과 외관(24)사이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재(28)가 충진되며, 이 단열재(28)는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등의 발포수지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이중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없어서, 이러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이중파이프로 배관을 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중파이프를 사용하더라도 연결구에는 이중구조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연결구를 통해서 소음이 발생되거나, 연결구가 동파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관과 외관을 지지부재로 연결하고, 내관의 종단에는 다른 이중 파이프의 내주면으로 끼워지는 내측 연결관을 돌출형성하고 외관의 종단에는 내측으로 다른 이중 파이프의 외관이 끼워지는 외측 연결관을 돌출형성하며, 외측 연결관의 내주면에는 부가적으로 나사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방음성과 보온성이 뛰어난 이중 파이프를 용이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수지재 이중 파이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수지재 이중 파이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분리사시도
도 2c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이중파이프 연결구 32 : 내관
34 : 외관 36 : 지지부재
37 : 내측 연결관 38 : 외측 연결관
39 : 나사홈 40 : 이중파이프
42 : 내관 44 : 외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a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파이프의 연결구는 도 2a내지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관(32)과 외관(34)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3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내관(32)의 종단에는 다른 이중 파이프(40)의 내관(42)내부로 면접촉하면서 끼워지는 내측 연결관(37)이 돌출형성되고, 외관(34)의 종단에는 내측으로 다른 이중 파이프(40)의 외관(44)이 면접촉하면서 끼워지는 외측 연결관(38)을 돌출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3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연결관(38)의 내주면에 나사홈(39)을 더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중파이프의 연결구(30)는 상기 도 2a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형외에도 그 연결위치에 따라 도 4a에 내지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 'T'형, 'L'형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관(32) 및 내측 연결관(37)에 의하여 희망하는 수로가 형성되도록 성형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1은 단열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실시예를 도 2a내지도 3을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상기한 이중파이프의 연결구(30)를 하수배관등의 수압이 걸리지 않는 배관에 사용할 경우에는 도 2a내지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홈이 없는 이중파이프 연결구(30)를 사용하여 내측 연결관(37)과 외측 연결관(38)사이로 다른 이중파이프(40)를 끼워넣어 접착제로 접합하고, 수압이 걸리는 배관에 사용할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중파이프의 연결구(30)에 나사홈(39)을 형성하여 사용하며, 이 경우 다른 이중파이프(40)의 외주에도 상기 나사홈(39)과 대응되는 다른 나사홈(49)을 형성하여 이중파이프(40)와 이중파이프의 연결구(30)를 서로 나사결합에 의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방음성과 보온성이 뛰어난 이중 파이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의 배관이 가능하게 되며, 모든 부분이 이중으로 되어 있으므로 방음성 및 보온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관(42)과 외관(44)의 이중관으로 구성된 이중파이프(4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내관(32)과 외관(34)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3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내관(32)의 종단에는 다른 이중 파이프(40)의 내관(42)내부로 면접촉하면서 끼워지는 내측 연결관(37)이 돌출형성되고, 외관(34)의 종단에는 내측으로 다른 이중 파이프(40)의 외관(44)이 면접촉하면서 끼워지는 외측 연결관(38)을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파이프의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30)에는 외측 연결관(38)의 내주면에 나사홈(39)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파이프의 연결구.
KR2020020010937U 2002-04-11 2002-04-11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KR200289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937U KR200289286Y1 (ko) 2002-04-11 2002-04-11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937U KR200289286Y1 (ko) 2002-04-11 2002-04-11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286Y1 true KR200289286Y1 (ko) 2002-09-16

Family

ID=7312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937U KR200289286Y1 (ko) 2002-04-11 2002-04-11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2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38B1 (ko) 2008-05-30 2010-08-10 세메스 주식회사 이중 배관 형성용 지그 및 이중 배관 형성 방법
KR101338034B1 (ko) * 2013-05-30 2013-12-06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동파방지용 급수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화장실의 동파방지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38B1 (ko) 2008-05-30 2010-08-10 세메스 주식회사 이중 배관 형성용 지그 및 이중 배관 형성 방법
KR101338034B1 (ko) * 2013-05-30 2013-12-06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동파방지용 급수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화장실의 동파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KR200289286Y1 (ko)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200269746Y1 (ko) 수지재 이중 파이프
DE50104198D1 (de) Rohr-Bausatz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100683270B1 (ko) 관 연결구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23433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KR200448884Y1 (ko) 합성수지관용 패킹
EP1591712A3 (de) Bausatz für eine Rohr-Verbindung und dessen Verwendung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10044523A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및 그 제조방법
KR200192781Y1 (ko) 배수전용 파이프 연결구조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US20040183304A1 (en) Watertight coupler
KR200358102Y1 (ko)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CN220521478U (zh) 一种下水管路和清洗装置
KR20031035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
CN211624291U (zh) 一种出水管的安装结构和使用该安装结构的出水装置
KR200396391Y1 (ko)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KR200306405Y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200302818Y1 (ko) 이중벽관용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