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91Y1 -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 Google Patents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91Y1
KR200396391Y1 KR20-2005-0019336U KR20050019336U KR200396391Y1 KR 200396391 Y1 KR200396391 Y1 KR 200396391Y1 KR 20050019336 U KR20050019336 U KR 20050019336U KR 200396391 Y1 KR200396391 Y1 KR 200396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ap
packing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용
Original Assignee
김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용 filed Critical 김범용
Priority to KR20-2005-0019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구의 입구에 끼워지는 캡과 배관 파이프의 연결부에 이중으로 패킹을 끼울 수 있고, 파이프가 끼워지는 일단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패킹을 이중으로 끼움으로 밀폐성이 우수해 누수의 염려가 없고, 배관 파이프가 끼워지는 일측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밀착 면적이 넓어 배관 파이프가 끼워진 후 틀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a pipe of connection cap}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구의 입구에 끼워지는 캡과 배관 파이프의 연결부에 이중으로 패킹을 끼울 수 있고, 파이프가 끼워지는 일단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패킹을 이중으로 끼움으로 밀폐성이 우수해 누수의 염려가 없고, 배관 파이프가 끼워지는 일측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밀착 면적이 넓어 배관 파이프가 끼워진 후 틀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으로 공급되는 생활용수나 가스 연료 등을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 거리에서 해당 장소까지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관계가 중요하게 대두하였다.
즉, 파이프와 파이프 간의 연결을 위해 연결구를 사용하는데, 기존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는 내부 양측에 수밀 패킹을 설치하여 끼워지는 배관 파이프의 단부와 이음부재의 수밀을 패킹이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수밀 패킹의 경우 합성수지 또는 고무제로 이루어져 있어, 여름과 겨울과 같이 영하의 온도나 고온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 사용하다 보면 패킹의 탄력성을 잃어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관 연결구 본체를 관의 단부에 끼우고, 상기 관 연결구 본체의 양단 내주면에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개되는 확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확개부에 고무링을 끼운 다음 관 연결구의 본체의 캡을 씌우고, 상기 캡에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를 조여 캡의 내주면 단부가 고무링을 압박하여 관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안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가격이 비싸며, 플랜지의 결합구조에 금속 재질의 볼트가 체결되므로, 수분에 의한 부식에 염려와 파이프 내의 유압이나 지반 침하로 인해 연결된 파이프와 연결관의 각도가 틀어짐에 따라 파이프와 밀착되어 있는 패킹의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연결구와 배관 파이프의 이음부를 긴밀하게 밀착시키지 못하여 누수현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구의 입구에 끼워지는 캡과 배관 파이프의 연결부에 이중으로 패킹을 끼울 수 있고, 파이프가 끼워지는 일단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패킹을 이중으로 끼움으로 밀폐성이 우수해 누수의 염려가 없고, 배관 파이프가 끼워지는 일측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밀착 면적이 넓어 배관 파이프가 끼워진 후 틀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와 배관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내부에 통공이 있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회동돌기(3)를 구비한 제 1 연결부(2)와,
상기 제 1 연결부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통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의 일측보다 작은 지름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단턱을 갖은 상태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7)가 구비되고, 제 1 연결부와 연결된 일측 일단이 제 1 연결부(2)의 내부 통공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 1 연결부(2)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의 공간부(4)를 갖는 제 2 연결부(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이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구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준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은, 상기 연결구(10)의 입구에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내부에 통공과 외주면에 다수개의 회동돌기(3)를 구비한 제 1 연결부(2)와, 내부에 통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의 일측보다 작은 지름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단턱을 갖은 상태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7)가 구비되고, 제 1 연결부와 연결된 일측 일단이 제 1 연결부(2)의 내부 통공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 1 연결부(2)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의 공간부(4)를 갖는 제 2 연결부(6)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0)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ㄱ" 자 엘보우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직선형 또는 "Y" 자형 등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구(10)는 그 입구측 단부에 수밀성과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한 패킹을 끼울 수 있는 패킹홈(11)이 있고, 동일한 입구측 외주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걸림단(12)이 입구측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패킹홈(11)은 연결부 입구 내측에서 외측으로 단턱이진 상태로 넓어지는 구조로, 패킹홈(11)과 대응되는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링 형상의 패킹(20a)을 패킹홈(11) 내측에 끼운다.
상기 걸림단(12)은 후술 될 캡(1)이 연결구에 끼워질 때 걸려 더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캡(1)은 원통형으로 연결구(10)측에 대응되는 일측에 연결구의 일단 외주면을 대응되게 감싸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회동돌기(3)를 구비한 제 1 연결부(2)와 그 타측에 파이프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6)와 상기 제 1 연결부(2)의 일측보다 작은 지름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연결부분에 단턱을 갖은 상태로 연장되는 제 2 연결부(6)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연결부(6)는 외주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보강돌기(7)가 구비되며, 제 1 연결부(2)와 연결된 일측 일단부가 제 1 연결부(2)의 내부 통공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어, 그 일단이 상기 연결구(10)의 일측 내부 패킹홈(11)에 끼워진 패킹(20a)의 일면과 긴밀하게 밀착하며, 또한 제 1 연결부(2)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연결구(10)의 입구측 패킹홈(11)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 간격을 갖는데, 이 공간부(4)에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링 형상의 패킹(20b)을 끼워 이중으로 패킹을 끼울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공간부(4)에 끼워진 패킹(20b)의 내주면과 연결구(10)의 패킹홈(11)측 외주면과 밀착하고, 상기 패킹(20b)의 외주면과 제 1 연결부(2)의 내주면이 긴밀하게 밀착하게 된다.
상기 회동돌기(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2)의 외주면에 규칙적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캡(1)의 통공을 전 후 측으로 볼 때 전·후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제 1 연결부(2)의 외주면을 잡고 캡(1)을 회동시킬 때 회동돌기(3)에 의해 설치자의 손에 걸려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돌기(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2)의 외주면에 회동돌기(3)와 동일하게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다수개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고, 상기 보강돌기(7)는 제 2 연결부가 배관 파이프(30)에 연결 되었을 때 파이프(30)의 뒤틀림에 의한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결 순서는 먼저 연결구의 일측 입구에 있는 패킹홈(11)에 링 형상의 합성수지 패킹(20a)을 끼운 후 연결구(10)의 입구와 대응되는 캡(1)의 일측 내주면에 넓적한 링 형상의 패킹(20b)을 끼운다.
이 후, 대응하는 캡(1)의 일단을 연결구(10)의 입구에 끼워 넣으면, 상기 캡(1)의 제 1 연결구(2) 내주면에 끼워진 패킹(20b)의 내주면이 연결구(10)의 입구측 외주면과 긴밀히 밀착하게 된다.
이때, 캡(1)의 제 1 연결부(2)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 2 연결부(6)의 일단이 연결구(10)의 패킹홈(11)에 끼워진 링 형상의 패킹(20a)의 일면과 긴밀히 밀착하게 된다.
이 후, 연결구(10)에 끼워진 캡(1)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배관 파이프(30)의 일단을 끼워 밀어 넣는데, 이때 링 형상의 패킹(20a)와 배관 파이프(30)의 외주면이 마찰력이 생겨 배관 파이프를 기우기가 어렵기 때문에 배관 파이프(30)와 패킹(20a) 사이에 얇은 판 형상의 합성수지 링(40)을 끼워 패킹(20a)이 배관 파이프(30)와의 마찰력에 의해 씹히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배관 파이프(30)의 외주면과 합성수지 링(40)이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패킹(20a)이 합성수지 링(40)과 밀착되기 때문에 수밀성은 그대로 유지하되, 배관 파이프(30)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10)의 타측 입구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하여 파이프(30)와 다른쪽 파이프(30)를 이중 패킹 구조와 연장된 제 2 연결부(6)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구의 일단과 캡의 사이에 패킹이 끼워진 후 연결구의 일단 외측면에 또 다른 패킹을 끼워 감싼 후 캡의 대응되는 일단 내주면으로 패킹을 감싸 끼워 이에 파이프를 캡의 통공을 통해 끼워 연결구의 걸림턱까지 밀어 넣어 연결하므로, 이중구조의 패킹을 설치함과 아울러 직경이 긴 캡의 일단을 갖기 때문에 파이프와 연결구 사이에 누수현상을 방지하고, 보강돌기에 의해 이음부의 강도가 좋으며, 파이프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이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구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준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캡 2: 제 1 연결부
3: 회동돌기 4: 공간부
6: 제 2 연결부 7: 보강돌기
10: 연결구 11: 패킹홈
20a,20b:패킹 30: 배관 파이프
40: 합성수지 링

Claims (1)

  1. 배관 파이프와 배관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의 일측에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통공과 외주면에 다수개의 회동돌기(3)를 구비한 제 1 연결부(2)와,
    상기 제 1 연결부(2)의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통공을 갖으며, 상기 제 1 연결부(2)의 일측보다 작은 지름으로 연결되어 단턱을 갖은 상태로 연장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7)가 구비되고, 제 1 연결부(2)와 연결된 일측 일단이 제 1 연결부(2)의 내부 통공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제 1 연결부(2)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의 공간부(4)를 갖는 제 2 연결부(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KR20-2005-0019336U 2005-07-04 2005-07-04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KR200396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336U KR200396391Y1 (ko) 2005-07-04 2005-07-04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336U KR200396391Y1 (ko) 2005-07-04 2005-07-04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91Y1 true KR200396391Y1 (ko) 2005-09-21

Family

ID=4369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336U KR200396391Y1 (ko) 2005-07-04 2005-07-04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728B2 (en) Seal for a pipe coupling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KR200391278Y1 (ko) 수도배관 고정구
KR200396391Y1 (ko) 배관 파이프 연결구용 캡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178047Y1 (ko) 결착력이 증대되는 파이프 연결구조
KR101164187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190002238U (ko) 내진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구조
KR200390448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384222Y1 (ko) 이경이축접속구를 이용한 하수관에의 지관설치구조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0603195B1 (ko)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KR200373716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KR200369594Y1 (ko) 내향캡 체결형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CN215763865U (zh) 一种用于室内给排水管线敷设的快速水管接头
KR102351804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200289286Y1 (ko) 이중 파이프의 연결구
JP2001349477A (ja) フレキシブル排水管
KR20130001142U (ko) 가변형 관 연결구
KR200393539Y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200369151Y1 (ko) 외향캡 체결형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