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813Y1 -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813Y1
KR200286813Y1 KR2020020013562U KR20020013562U KR200286813Y1 KR 200286813 Y1 KR200286813 Y1 KR 200286813Y1 KR 2020020013562 U KR2020020013562 U KR 2020020013562U KR 20020013562 U KR20020013562 U KR 20020013562U KR 200286813 Y1 KR200286813 Y1 KR 200286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ipe
female coupling
ma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경
Priority to KR2020020013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813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양 끝에 형성된 암 수 결합부중 어느 한부분에 통상의 수팽창지수재(소디움벤토나이트 원료와 부틸고무를 합성하여 만든 제품으로 물과 접촉하면 자기 체적이 팽창하는 물질임)를 끼울 수 있는 요홈을 형성하여 다수의 수로관을 연결시공할 때 결합부를 통하여 발생하는 누수가 전혀 없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팽창지수재(이외에도 고무 패킹등을 이용하여도 됨)를 끼우기 위해 수로관의 암 수 결합부중 수로관의 암 결합부에 요홈을 형성할 경우는 암결합부의 내경면에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요홈을 형성하면 되고, 수로관의 수결합부에 요홈을 형성할 때는 수결합부 외주면에 요홈을 형성하되 이또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요홈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요홈은 반듯이 수로관의 암수결합부 내외면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 형성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암수 결합부의 선단면에 형성하여도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수로관을 설치시공하였을 때 누수를 완벽하게 예방하게 되어 수로관이 설치된 주위의 지반약화를 예방하면서 토양의 오염을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따른다.

Description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leakage of water prevention of a water channel}
본 고안은 수로관의 누수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양 끝에 형성된 암수 결합부중 어느 한곳에 통상의 수팽창지수재를 삽입시킬수 있는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띠형상의 수팽창지수재를 끼운뒤 수로관 시공을 하게끔 함으로써 수로관의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를 예방하고, 이에 따라 토양오염예방및 누수로 인한 수로관 주위의 지반이 약해지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할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로관의 양 끝에는 암수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관을 시공할 때는 암 결합부에 다른 수로관의 수 결합부를 끼워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시공된다.
따라서 수로관을 시공한 후 수로관을 통하여 물이 흐르게 되면 암수 결합부의 틈새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로관의 암수결합부 틈새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누수발생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땅이 항상 물이 젖어 있게 되어 지반이 약해질 수 밖에 없는 결함이 따르게 되며, 상기 수로관을 산업용으로 활용하거나 각종오폐수 이송용으로 사용할 경우는 오폐수에 의해 토양오염 또한 심하게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도 따른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수로관에 있어서, 수로관끼리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누수 현상을 예방하여 토양오염을 예방하고 더불어 지반이 침하되거나 약해지지 않도록 하려는데 고안의 동기및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수로관의 양 끝에 형성된 암수결합부중 어느 한 부위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곳에 수팽창지수재(또는 연질고무로 된 밀폐용패킹도 가능함)를 끼움으로서 수로관에 물이 흐르게 되면 물에 의해 수팽창지수재가 팽창(발포)되면서 매우 효과적으로 지수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통상의 수팽창지수재는 소디움벤토나이트 원료와 부틸 고무를 합성하여 만든제품이며 물과 접촉하면 자기 체적이 팽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써 수팽창지수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서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써 수팽창지수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예시도로써 수로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양 끝에 암수결합부(2)(3)를 가진 통상의 수로관(1)에 있어서,
수로관의 양 끝에 형성된 암수결합부(2)(3)중 어느 한부분(특히 암수 결합부가 만나는 부분)에 요부(4)를 형성하고, 상기 요부에 통상의 수팽창지수재(5)를 끼움으로서 다수의 수로관(1)을 조립 시공하였을 때 물이 침투하면 자연적으로 팽창하여 누수를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요부(4)는 암수결합부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면 되고, 그 위치는 암수결합부가 조립시공과정에서 맞닿는 부분이면 어느부위든 관계없으며, 설치개소도 작용하는 수압에 따라 한곳이상 여러곳이라도 관계없다.
따라서 암수결합부(2)(3)를 가진 수로관(1)이라면 어떠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 경우라도 모두 접목가능한 것이며, 상기한 요부(4)의 위치변형이나 수로관의 구조변경이 이루어져 있는 수로관이라 하더라도 양 끝의 암 수결합부에 수팽창지수재(4)를 끼우도록 된 수로관이라면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로관(1)의 암수결합부(2)(3)중 암결합부(2)에요홈(4)을 형성할 경우는 암 결합부(2)의 내주면(2′)에 하나 또는 두개의 요홈(4)을 형성하면 되고, 수결합부(3)에 요홈(4)을 형성할 경우는 암결합부(2)와 밀착되는 부분인 외주면(3′)에 하나 또는 두개의 요홈(4)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암수결합부(2)(3)의 내외주면(2′)(3′) 외에 수결합부(3)의 끝단면(3″)이나 암결합부의 단턱부(2″)에 요홈(4′)을 형성한후 수팽창지수재(5)를 끼워도 되며, 상기한 어떤 경우든 물이 작용하였을 때 수팽창지수재(5)가 팽창하게 됨으로써 누수가 완벽하게 예방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수로관(1)에 형성된 암수결합부(2)(3)중 어는 한쪽에 요홈(4)을 형성하여 수팽창지수재(5)를 끼움으로써, 수로관(1)을 조립시공하여 사용할때 물에 의해 수팽창지수재(5)가 팽창하면서 수로관(1)과 인접하는 수로관(1)사이의 틈을 완벽하게 차단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지반약화나 토양오염을 사전에 예방할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양 끝에 암수결합부를 가진 통상의 수로관에 있어서,
    수로관의 양 끝에 형성된 암수결합부중 어느 한부분(특히 암수 결합부가 만나는 부분)에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부에 통상의 수팽창지수재를 끼움으로서 물이 작용하면 자연적으로 팽창하여 수로관과 수로관의 틈새를 자연적으로 막아 누수를 예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2. 1항에 있어서,
    수결합부의 끝단면 또는 암결합부의 단턱부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곳에 수팽창지수재를 끼움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3.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요홈에 연질고무로 된 밀폐용 패킹을 끼워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KR2020020013562U 2002-05-03 2002-05-03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KR200286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62U KR200286813Y1 (ko) 2002-05-03 2002-05-03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62U KR200286813Y1 (ko) 2002-05-03 2002-05-03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813Y1 true KR200286813Y1 (ko) 2002-08-24

Family

ID=7312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62U KR200286813Y1 (ko) 2002-05-03 2002-05-03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8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67B1 (ko) * 2005-10-07 2007-04-16 임철호 수팽창부재를 이용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101066899B1 (ko) * 2011-02-18 2011-09-27 조대묵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67B1 (ko) * 2005-10-07 2007-04-16 임철호 수팽창부재를 이용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101066899B1 (ko) * 2011-02-18 2011-09-27 조대묵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639B2 (en) Sealing assembly having liquid-filled seal
CA2391838A1 (en) Symmetrical gasket for a pipe joint with increased surface contact
US2615741A (en) Sealing ring
US20120025471A1 (en) Self adjusting gasket for pipe joints
US7922179B2 (en) Cast-in-place gasket for pipe joints
AR038103A1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a junta tubular estanca con expansion plastica
IL196511A (en) Gasket profile for balanced - counterbalanced elastomeric tubing for bell connectors for tubing
KR101732065B1 (ko)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KR200286813Y1 (ko)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GB2273537A (en) Sealing ring for spigot and socket pipe joints
KR200295415Y1 (ko) 이음부 커버
CN210318851U (zh) 一种建筑保温墙结构
US20190145556A1 (en) Packing member for sealing a pipe
KR200368080Y1 (ko) 이중벽관용 패킹
CN213627521U (zh) 一种胶筒肩部带有保护结构且耐高温高压的扩张式封隔器
KR200322580Y1 (ko) 배관 실링용 형상유지 가스켓
KR100627322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306405Y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04688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시공이음부의 지수판과 신축 이음부의 익스펜숀죠인트부재와의 접속 부위에 사용하는 지수판 접속부재
JPH1181430A (ja) 排水管接続用ソケット
KR200384994Y1 (ko) 배관용 강관의 홈 형성 장치
KR200295414Y1 (ko) 합성수지관 밀폐용 밀폐링
KR200434160Y1 (ko)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KR200209206Y1 (ko) 실리콘 패킹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