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899B1 -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 Google Patents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99B1
KR101066899B1 KR1020110014552A KR20110014552A KR101066899B1 KR 101066899 B1 KR101066899 B1 KR 101066899B1 KR 1020110014552 A KR1020110014552 A KR 1020110014552A KR 20110014552 A KR20110014552 A KR 20110014552A KR 101066899 B1 KR101066899 B1 KR 10106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module
pipe
wa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325A (ko
Inventor
권태우
조대묵
김한영
Original Assignee
조대묵
권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묵, 권태우 filed Critical 조대묵
Priority to KR102011001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화 시공이 용이하고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은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되는 관 모듈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관 모듈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관 모듈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에는 상기 삽입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소켓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소켓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삽입부단차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 모듈 소켓부에는 인접한 다른 관 모듈의 삽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 사이에는 수밀성 충진재가 충진된다.

Description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CONDUIT ASSEMBLY AND WATER CONDU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화 시공이 용이하고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농업부지 또는 관계시설 등에는 물을 원활하게 배수하면서 필요시에는 배수되는 물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배수시설이 구비된다.
이러한 배수시설의 하나로 사용되는 수로관(水路管)은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물을 배수하면서 필요시에는 수로관을 물막이판(각낙판)으로 막고 농경지 등에 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수로관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부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로관을 직접 형성하였으나, 최근에는 별도의 장소에서 일정 크기의 수로관을 제작하고, 작업현장에서는 이렇게 제작된 수로관을 연속적으로 조립설치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한편, 종래 일반적으로 제작·사용되는 수로관을 도 1a에서 도시하였다.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로관(100)은 양단부에 볼트공(111,121)이 각각 천공된 플랜지들(110,120)을 포함하되, 일측 플랜지(110)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로 단차를 형성한 결합홈(113)이 형성되고, 타측 플랜지(120)에는 연결된 다른 수로관의 결합홈(1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장부(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수로관(100)을 설치시 작업자는 수로관(100)을 설치할 장소에 적당한 깊이와 폭의 공간을 만든 후 다수개의 수로관(100)들을 일렬로 조립한다.
이 때, 상술한 연장부(130)를 결합홈(113)에 끼워 넣은 후 하나의 수로관의 플랜지(110)와 다른 하나의 수로관의 플랜지(120)를 연결하도록 각각의 볼트공(111,121)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다수개의 수로관(100)들이 일렬로 조립설치되되는 것이며, 추가적으로 연장부(130)와 결합홈(113) 사이를 수밀성 충진재(150, 도 1b 참조)로 충진하여 수로관(100) 사이에서의 누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수로관을 설치할 때에는 원활한 배수 및 퇴적물의 발생량 감소 등을 위해 직선화 시공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 수로관은 제작과정에서의 오차,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의 변형 등으로 인해 완성품의 변형률이 높아 설치시 직선화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관 설치 후 부동침하 등으로 인해 수로관과 수로관 사이(즉, 연장부(130)와 결합홈(113) 사이)에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수밀성 충진재(150)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이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로관 설치 후 용수 등의 목적으로 물막이판을 이용해야 할 경우 별도로 물막이판을 수로관 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수로관 내벽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 때 수로관 내벽에 앵커천공 등 물리적 힘을 가해야 하므로 수로관의 사용연한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시 직선화 시공이 용이한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된 관 모듈들의 연결부위에서의 누수 현상을 방지하는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막이판 설치를 위한 부가작업이 필요 없는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로관은, 배수 또는 용수를 위해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되는 관 모듈들을 포함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관 모듈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관 모듈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에는 상기 삽입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소켓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소켓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삽입부단차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 모듈 소켓부에는 인접한 다른 관 모듈의 삽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 사이에는 수밀성 충진재가 충진된다.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상기 관 모듈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각각 상기 관 모듈의 제1측면, 바닥면 및 제2측면을 따라 연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단차는 상기 소켓부의 내주면 말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돌출된 제1단차; 및 상기 제1단차로부터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2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단차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 말단에 형성된 제3단차; 및 상기 제3단차로부터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4단차를 포함하며, 상기 수밀성 충진재는 상기 제1단차와 상기 제3단차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부에 충진되는 제1수밀성 충진재와, 상기 제2단차와 상기 제4단차에 형성된 제2공간부에 충진되는 제2수밀성 충진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켓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로관의 설치장소 바닥에 표시된 중심선에 맞춰 상기 수로관을 직선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기준표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표시부가 상기 바닥면의 말단 모서리 중앙에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소켓부와 삽입부 사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물막이판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막이판홈은 상기 관 모듈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관 모듈은, 배수 또는 용수를 위해 설치되는 수로관에 사용되는 관 모듈에 있어서, 상기 관 모듈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관 모듈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에는 상기 삽입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소켓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소켓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삽입부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상기 관 모듈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각각 상기 관 모듈의 제1측면, 바닥면 및 제2측면을 따라 연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의 바닥면 말단 모서리 중앙에 홈 형상의 기준표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 모듈의 소켓부와 삽입부 사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물막이판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관 모듈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관 모듈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의 폭은 상기 삽입부로 일정길이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좁아지고, 상기 삽입부의 폭은 상기 소켓부로 일정길이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소켓부의 폭과 상기 삽입부의 폭은 각각 일정각도 경사지며 더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장소의 바닥에 중심선을 그은 후, 본 발명의 기준표시부를 그 중심선에 맞추면서 본 발명인 관 모듈들을 연결설치할 수 있어 간편하게 직선화 시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설치되는 부위(즉, 소켓부와 이음부)에 각각 단차부를 형성하고 그 사이 공간부에 수밀성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부동침하 등으로 수루관이 비틀려지더라도 관 모듈들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부가작업 없이 관 모듈에 물막이판을 삽입설치할 수 있어 수로관의 사용연한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일반적으로 제작·사용되는 수로관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 수로관이 비틀린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형성하는 관 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모듈 중 소켓부의 바닥부분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모듈 중 삽입부의 바닥부분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연결부위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관 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형성하는 관 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이 비틀린 경우 연결부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연결부위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은 배수 또는 용수를 위해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되는 관 모듈들을 포함하는 수로관에 대한 것이나,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더욱 쉽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관 모듈들의 상부가 개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형성하는 관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모듈 중 소켓부의 바닥부분에 대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모듈 중 삽입부의 바닥부분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연결부위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은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되는 관 모듈들(200,250)을 포함한다.
각각의 관 모듈(200,250)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진다. 각각의 관 모듈(200,2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각각의 관 모듈(200,250)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210,260)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230,280)가 형성된다. 소켓부(210,260)에는 삽입부(230,280)로 갈수록 관 모듈(200,250)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소켓부단차(220,270)가 형성된다. 삽입부(230,280)에는 소켓부(210,260)로 갈수록 관 모듈(200,250)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삽입부단차(240,290)가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관 모듈(250) 소켓부(260)에는 인접한 다른 관 모듈(200)의 삽입부(230)가 삽입된다. 소켓부단차(270)와 삽입부단차(240) 사이에는 수밀성 충진재(295)가 충진된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구성하는 관 모듈들 중 하나의 관 모듈(200)에 대해 설명한다.
관 모듈(200)은 상측이 개방될 수 있고,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진다. 관 모듈(200)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210)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230)가 형성된다. 소켓부(210)에는 삽입부(230)로 갈수록 관 모듈(200)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소켓부단차(220)가 형성된다. 소켓부(210)의 길이는 관 모듈(200) 전체 길이의 25%에 해당하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230)에는 소켓부(210)로 갈수록 관 모듈(200)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삽입부단차(240)가 형성된다.
소켓부단차(220)와 삽입부단차(240)는 관 모듈(2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형상일 수 있다. 소켓부단차(220)와 삽입부단차(240)는 각각 관 모듈(200)의 제1측면, 바닥면 및 제2측면을 따라 연결형성된다.
소켓부단차(220)는 소켓부(210)의 내주면 말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고 관 모듈(200)의 내부로 돌출된 제1단차(221); 및 제1단차(221)로부터 관 모듈(200)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2단차(22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단차(240)는 삽입부(230)의 내주면 말단에 형성된 제3단차(241); 및 제3단차(241)로부터 관 모듈(200)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4단차(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 모듈(200)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수로관이 된다. 그리고 관 모듈들을 연결함으로써 소켓부단차(270, 도 2 참조)와 삽입부단차(230, 도 2 참조) 사이에는 수밀성 충진재(295)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단차(270)를 제1단차(271) 및 제2단차(273)로 형성하고, 삽입부단차(240)를 제3단차(241) 및 제4단차(243)로 형성하면, 제1단차(271)와 제3단차(241) 사이에 제1공간부(510)가 마련되고, 제2단차(273)와 제4단차(243) 사이에 제2공간부(520)가 마련된다.
제1공간부(510)에는 제1수밀성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고, 제2공간부(520)에는 제1수밀성 충진재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재질의 제2수밀성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관 모듈(6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과 그 기본구성이 동일하되, 물막이판홈(601,651)이 더 부가된 예를 나타내므로 물막이판홈(601,65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610,660은 소켓부를, 630,680은 삽입부를, 620,670은 소켓부단차를, 640,690은 삽입부단차를, 621,671은 제1단차를, 623,673은 제2단차를, 641,691은 제3단차를, 643,693은 제4단차를, 695는 수밀성 충진재를 각각 나타내며, 이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물막이판홈(601,651)은 관 모듈들(600,650) 중 어느 하나의 소켓부(610,660)와 삽입부(630,680) 사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연결형성될 수 있다. 물막이판홈(601,651)은 연결되는 관 모듈들(600,65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물막이판홈(601,651)은 관 모듈(600,65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물막이판홈(601)이 2개 형성되는 경우 물막이판홈(601) 사이의 간격은 전체 관 모듈(600) 길이의 50%에 해당하도록 이격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관 모듈(600)의 양 단으로부터 각 물막이판홈(601)까지의 간격은 전체 관 모듈(600) 길이의 25%에 해당하도록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형성하는 관 모듈(8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로관과 그 기본구성이 동일하되, 기준표시부(801)가 더 부가된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구성에 기준표시부(801)가 더 부가된 예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기준표시부(80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810,860은 소켓부를, 830,880은 삽입부를, 820,870은 소켓부단차를, 840,890은 삽입부단차를, 821,871은 제1단차를, 823,873은 제2단차를, 841,891은 제3단차를, 843,893은 제4단차를 각각 나타낸다.
기준표시부(801)는 수로관의 설치장소 바닥(1010, 도 10 참조)에 표시된 중심선(1020, 도 10 참조)에 맞춰 수로관을 직선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켓부(81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준표시부(801)는 소켓부(810)의 바닥면 말단 모서리 중앙에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준표시부(801)는 하나의 모서리가 삽입부(830)를 향하는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사용되는 관 모듈은, 일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지고, 관 모듈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소켓부의 폭은 삽입부로 일정길이 갈수록 관 모듈의 내부로 더 좁아지고, 삽입부의 폭은 소켓부로 일정길이 갈수록 관 모듈의 내부로 더 좁아진다.
여기서 소켓부의 폭과 삽입부의 폭은 각각 관 모듈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소켓부와 삽입부의 내부 공간 폭을 의미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연결부위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과 그 기본구성이 동일하되, 소켓부(1360,1460)와 삽입부(1330,1430)의 형상이 다른 예를 나타내었다.
이하, 소켓부(1360,1460)와 삽입부(1330,143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소켓부(1360)와 삽입부(1330)의 내주면은 각각 일정각도 경사면을 이룬 후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소켓부(1360)와 삽입부(1330)의 폭이 점점 더 좁아지되, 어느 한 수로관의 삽입부(1330)가 인접한 다른 수로관의 소켓부(1360)에 삽입연결되었을 때 서로 대칭형상이 된다.
그리고 소켓부(1360)와 삽입부(1330)의 연결부위에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성 충진재(1380)가 충진된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소켓부(1460)와 삽입부(1430)의 내주면은 각각 일정각도 경사면을 이룸으로써 소켓부(1460)와 삽입부(1430)의 폭이 점점 더 좁아지되, 어느 한 수로관의 삽입부(1430)가 인접한 다른 수로관의 소켓부(1460)에 삽입연결되었을 때 서로 대칭형상이 된다.
그리고 소켓부(1460)와 삽입부(1430)의 연결부위에는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성 충진재(1480)가 충진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작업자는 먼저 수로관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지에 측량기로 중심라인을 마킹하고, 터파기를 실시한 후, 다시 측량기로 설치장소 바닥(1010, 터파기 바닥)에 중심선(1020)을 표시한다.
설치장소 바닥(1010)에 중심선(1020)을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대체로 목실을 활용한다.
이 후, 작업자는 본 발명인 관 모듈들(1200,1250)을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하여 수로관을 조립한다.
이 때, 수로관을 직선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기준표시부(1201)가 관 모듈에 형성된 경우에는 기준표시부(1201)와 중심선(1020)이 일치되도록 조절하면서 어느 하나의 관 모듈(1250) 소켓부(1260)에 인접한 다른 관 모듈(1200)의 삽입부(1230)가 삽입되도록 연결설치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관 모듈들이 삽입연결됨에 따라 삽입부단차(1240)와 소켓부단차(127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밀성 충진재를 충진한다.
이 때, 특히 삽입부단차(1240)와 소켓부단차(1270) 사이에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 충진되는 수밀성 충진재를 동일한 재질로 충진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충진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재질의 수밀성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일 예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측벽에 프라이머(BF-M101)을 도포 후, 수밀성 충진재(BF-M102, 2액형 실란트)를 충진한다.
그리고 다른 재질의 수밀성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일 예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측벽에 접착 증강제(BF-M103)을 도포 후, 제1공간부에는 수팽창고무지수재(BF-M104)를 삽입하고, 제2공간부에는 BF-M105를 충진한다.
추가로 상술한 수밀성 충진재를 충진하는 예에서 설명된 각 충진재들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①프라이머(BF-M101)
프라이머(primer)는 물체 표면을 부식이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후의 도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물체표면에 최초로 도장하는 것을 말한다. BF-M101의 경우 크실렌 1∼4%, 메틸디이소부틸케톤 51∼60%, 부틸아세테이트 12∼20%, 톨루엔 0.1∼0.9%, 에틸아세테이트 21∼30% 등을 함유한 프라이머의 일종으로 피착면과 후술할 수밀성 충진재(BF-M102)와의 접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②실란트(BF-M102)
폴리설파이드계(Polydulfide)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2액(Non-Saffing)형 실란트로서, 건축토목공사의 각종 조인트에 사용할 수 있고, 조인트 폭이 4∼40mm인 곳에 충진하여 조인트 움직임을 ±30%까지 허용할 수 있게 한다. 내구성 및 내후성이 강하고, 최저 5℃까지 예열 없이 사용 가능하다. 석재(대리석,화강암)에 대한 오염이 없고 식물류,용재,묽은 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
③수용성 접착증강제(BF-M103)
일반적인 시멘트 몰탈, 미장용 몰탈, 바닥 마감 몰탈, 보수용 몰탈 등에 첨가되어 오일이나 수분의 침투를 막는다. 신구 몰탈 또는 콘크리트의 접착용도로 사용된다. 몰탈 특성을 향상시키고 모체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낮은 수축율을 가진다. 기름과 물에 대한 내구성과 내화학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콘크리트와 철금속에 대한 비부식성, 불연성의 특성을 갖는다.
④수팽창고무지수재(BF-M104)
토목, 건축건물의 누수, 침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수팽창은 고무탄성에 의한 1차 지수는 물론 특수변성고무로 만들어져 물과 접촉하면 자기체적팽창으로 공간을 완전히 충진밀착시킨다. 탄력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 고온까지 우수한 지수성능을 갖는다. 친수성으로 물과 접촉시 3∼6배 팽창한다. 시공이 간편하고 누수 방지제 성능이 우수하다. 내구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수질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해질 용액에 접촉하여도 동일한 수팽창을 유지한다. 물과 접촉시 전면적 팽창이 아니고, 구속된 면은 팽창력을 보유한 상태에서 구속이 해제된 단계에서부터 팽창된다.
⑤BF-M105
상술한 BF-M105와 상이한 재질로서, 일반 시멘트 재질이다.
한편, 이와 같이 수로관의 설치가 끝난 후, 용수 등의 필요시에는 물막이판홈(1203)에 물막이판(1300)을 삽입설치할 수도 있다. 물막이판(1300)을 삽입설치하면 수로관을 통해 흐르는 물이 물막이판(1300)에 의해 가둬지므로, 이를 농경지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모듈들을 서로 삽입연결함으로써 수로관을 매설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제1공간부(510, 도 5 참조)와 제2공간부(520, 도 5 참조)에 수밀성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부동침하 등에 의해 수로관의 연결부위가 비틀려지더라도(도 12의 상태) 수로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가능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로관의 경우 부동침하 등에 의해 수로관의 연결부위가 비틀려지면 연장부(130)와 결합홈(113) 사이에 수밀성 충진재(150)가 있더라도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그러나 도 12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켓부단차와 삽입부단차 사이의 공간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형상이어서 수밀성 충진재가 소켓부단차 및 삽입부단차와 맞닿는 면적이 종래에 비해 증가한다. 따라서 수로관의 연결부위가 비틀려지더라도 관 모듈들의 연결부위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인 수로관을 설치부지에 매설한 후 농지 등에 용수 공급을 위해 수로관에 물막이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간편하게 물막이판을 물막이판홈에 끼워서 설치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인 수로관을 구성하는 관 모듈에 물막이판홈이 기형성되므로 물막이판 고정에 필요한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수로관의 사용연한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수로관
110, 120 : 플랜지
130 : 연장부
200,250,600,650,800,8501200,1250 : 수로관
210,260,610,660,810,860,1260,1360,1460: 소켓부
220,270,620,670,820,870,1270 : 소켓부단차
230,280,630,680,830,880,1230,1330,1430 : 삽입부
240,290,640,690,840,890,1240 : 삽입부단차
510 : 제1공간부
520 : 제2공간부
601,651,1203 ; 물막이판홈
801,1201 : 기준표시부
295,695,895,1350,1380,1480 : 수밀성 충진재

Claims (16)

  1. 배수 또는 용수를 위해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되는 관 모듈들을 포함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관 모듈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관 모듈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에는 상기 삽입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소켓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소켓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삽입부단차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관 모듈 소켓부에는 인접한 다른 관 모듈의 삽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상기 관 모듈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형상이되,
    상기 소켓부단차는,
    상기 소켓부의 내주면 말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돌출된 제1단차; 및 상기 제1단차로부터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2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단차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 말단에 형성된 제3단차; 및 상기 제3단차로부터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4단차를 포함하며,
    상기 수밀성 충진재는,
    상기 제1단차와 상기 제3단차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부에 충진되는 제1수밀성 충진재와, 상기 제2단차와 상기 제4단차에 형성된 제2공간부에 충진되는 제2수밀성 충진재를 가지되,
    상기 제1수밀성 충진재와 상기 제2수밀성 충진재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인 수로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각각 상기 관 모듈의 제1측면, 바닥면 및 제2측면을 따라 연결형성된 수로관.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로관의 설치장소 바닥에 표시된 중심선에 맞춰 상기 수로관을 직선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기준표시부가 더 형성된 수로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표시부가 상기 바닥면의 말단 모서리 중앙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수로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소켓부와 삽입부 사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물막이판홈이 더 형성된 수로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판홈은 상기 관 모듈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수로관.
  9. 배수 또는 용수를 위해 설치되는 수로관에 사용되는 관 모듈에 있어서,
    상기 관 모듈은,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관 모듈의 일측 끝단에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에는 상기 삽입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소켓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소켓부로 갈수록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복수회 단차진 삽입부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상기 관 모듈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형상이되,
    상기 소켓부단차는,
    상기 소켓부의 내주면 말단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돌출된 제1단차; 및 상기 제1단차로부터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2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단차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 말단에 형성된 제3단차; 및 상기 제3단차로부터 상기 관 모듈의 내부로 더 돌출되도록 단차진 제4단차를 포함하는 관 모듈.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단차와 상기 삽입부단차는
    각각 상기 관 모듈의 제1측면, 바닥면 및 제2측면을 따라 연결형성된 관 모듈.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의 바닥면 말단 모서리 중앙에 홈 형상의 기준표시부가 더 형성된 관 모듈.
  13.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 모듈의 소켓부와 삽입부 사이 내주면 둘레를 따라 물막이판홈이 더 형성된 관 모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014552A 2011-02-18 2011-02-18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KR101066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552A KR101066899B1 (ko) 2011-02-18 2011-02-18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552A KR101066899B1 (ko) 2011-02-18 2011-02-18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325A KR20110028325A (ko) 2011-03-17
KR101066899B1 true KR101066899B1 (ko) 2011-09-27

Family

ID=4393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552A KR101066899B1 (ko) 2011-02-18 2011-02-18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163A (ko) 2015-09-16 2017-03-24 임종순 수로관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75B1 (ko) * 2015-09-07 2017-03-16 합자회사 대청인더스트리 친환경 지수 수로관
KR20190090903A (ko) 2018-01-25 2019-08-05 가산건설(주) 간편 시공이 가능한 수로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209Y1 (ko) * 2000-10-05 2001-06-15 홍형표 조립식수로관의 이음구조
KR200281586Y1 (ko) * 2002-03-08 2002-07-13 신을호 농수로관
KR200286813Y1 (ko) * 2002-05-03 2002-08-24 주식회사 진경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209Y1 (ko) * 2000-10-05 2001-06-15 홍형표 조립식수로관의 이음구조
KR200281586Y1 (ko) * 2002-03-08 2002-07-13 신을호 농수로관
KR200286813Y1 (ko) * 2002-05-03 2002-08-24 주식회사 진경 수로관의 누수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163A (ko) 2015-09-16 2017-03-24 임종순 수로관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325A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755Y1 (ko) 암거 지지구조
JP5922870B2 (ja) マンホール改修工法
KR101066899B1 (ko) 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JP4936809B2 (ja) 更生水路の構造、水路の更生方法
CN210238792U (zh) 新旧混凝土构件结合处的连接结构
KR200407613Y1 (ko)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CN114319678A (zh) 有水房间的止水结构和止水施工方法
KR101047895B1 (ko)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수로용 조립식 수로모듈
JP2006161329A (ja)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KR100302684B1 (ko) 관로 밸브실 시공공법 및 밸브실의 벽 구조물
JP720884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せん断補強方法
JPH0322335Y2 (ko)
KR102298267B1 (ko) 지중 전력구용 프리캐스트 암거블록
JP4601400B2 (ja) 施設相互の交差部における構造物の施工法、及び構造物
CN220726374U (zh) 一种岩爆支护排水结构
CA3125165C (e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 host pipe
KR101047896B1 (ko) 비대칭 h빔 연결재를 갖는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조립식 수로
CN217978979U (zh) 一种埋地采暖管出地面部位的定位器
JP5085944B2 (ja) 管接続具及び管ブロック体
CN105863127A (zh) 一种外墙板安装节点
CN105971153A (zh) 一种外墙板安装节点
PL156462B1 (pl) Sposób naprawy konstrukcji budowlanych obiektów, zwlaszcza uszkodzonych kanalów, przewodów rurowych, bez demontazu PL
KR0170077B1 (ko) 하수처리장.정수장 구내 하수암거, 하수.오수.폐수 암거, 도로.철도.교량 하부의 배수암거, 택지지구.공업단지내 단지 하수암거, 도심지 빌딩지하 배수암거, 하천복개암거 등의 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거푸집없이 시공하는 frp와 콘크리트의 합성체 암거
KR101738603B1 (ko) 맨홀 블록 및 맨홀 블록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