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235Y1 -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235Y1
KR200394235Y1 KR20-2005-0016826U KR20050016826U KR200394235Y1 KR 200394235 Y1 KR200394235 Y1 KR 200394235Y1 KR 20050016826 U KR20050016826 U KR 20050016826U KR 200394235 Y1 KR200394235 Y1 KR 200394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pipe
wal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김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선 filed Critical 김용선
Priority to KR20-2005-0016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의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은, 두께 방향으로 유동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체에 설치되되 양 끝단은 벽체 외부로 돌출되고, 중간 부분은 벽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급수관과; 급수관이 내측에 밀착되어 끼워져 있고, 유동성을 갖도록 외부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 부재로 되어 있는 보호관과; 보호관이 내측에 끼워져 있고,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되어 있어 내측에 끼워져 있는 보호관이 유동할 수 있도록 된 단열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급수관 교체시 급수관의 접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단열재가 쿠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어 보호관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더라도 콘크리트 벽체에 무리가 생기지 않으며, 단열재로 다공질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해 급수관을 통해 물이 흘러가는 소리가 벽체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THE EASILY CHANGEABLE PIPE FOR WATER-SUPPLY}
본 고안은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관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건물 내부의 각 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은 외부의 분배기에, 타측은 수도꼭지에 연결되고, 중간 부분은 벽체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급수관은 종래의 경우 황동,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PVC 같은 합성수지재가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황동, 스테인레스 등은 건물 수명에 비해 부식되는 시기가 빠른 문제점이 있었고, PVC 같은 경우 충격에 취약하고 동파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내충격성 PVC 관과 경질PVC를 주 재료로 형성된 밸로우즈관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 '상수도의 이중관 구조'(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77301호)가 안출되었다.
또, 급수관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주름관 내부에 급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다중구조의 보호관을 갖는 관고정장치'(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59883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구성은 주름관(80)과 콘크리트 벽체(40)가 직접 맞닿아 있는 구조로 벽체 타설시 주름관을 위치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벽체를 형성한 것이다.
즉, 주름관은 유동성을 갖지 못하고, 주름관 내측에 설치된 급수관이 주름관 내주면과 이격되어 있어 급수관은 주름관 내부 공간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부분과 같이 급수관의 설치 경로가 'ㄱ' 등의 형태로 꺾여 있는 경우 꺾인 지점에서 급수관의 접힘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특히, 주름관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 콘크리트 압력에 의해 주름관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될 경우 누수 발생시 벽체에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물론이고, 돌출된 자갈 등에 의해 꺾인 급수관이 접혀 급수관 내부의 물이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온도 변화에 의해 주름관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거나 수축하게 되면 콘크리트 벽체에 금이 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관, 보호관, 단열재의 3중 구조로 되어 있고, 급수관을 교체 할 수 있도록 하되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관의 접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단열재가 쿠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어 보호관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더라도 콘크리트 벽체에 무리가 생기지 않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단열재로 다공질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해 급수관을 통해 물이 흘러가는 소리가 벽체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고안은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급수용 배관은 급수관, 보호관, 단열재의 3중 구조로 되어 있고, 급수관을 교체 할 수 있도록 하되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관의 접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단열재가 쿠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어 보호관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더라도 콘크리트 벽체에 무리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단열재로 다공질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해 급수관을 통해 물이 흘러가는 소리가 벽체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은, 두께 방향으로 유동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체에 설치되되 양 끝단은 벽체 외부로 돌출되고, 중간 부분은 벽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급수관과; 급수관이 내측에 밀착되어 끼워져 있고, 유동성을 갖도록 외부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 부재로 되어 있는 보호관과; 보호관이 내측에 끼워져 있고,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되어 있어 내측에 끼워져 있는 보호관이 유동할 수 있도록 된 단열재;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급수관(10)은 두께 방향으로 유동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양 끝단은 벽체(40) 밖으로 돌출되고, 중간 부분은 벽체(4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벽체(40) 외부로 돌출된 일측은 외부의 물공급관 또는 분배기(6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역할을 하며, 벽체(40) 외부로 돌출된 타측은 건물 각 실의 수도꼭지(71) 등에 연결되어 물 사용처에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급수관(10)이 두께 방향으로 유동성을 갖는 이유는 벽체(40) 외부로 돌출된 일측에서 잡아 당기면 일측으로 쉽게 빠져 나올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급수관(10)은 폴리염화비닐, 폴리부틸렌 등의 유동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보호관(20)은 급수관(10)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유동성을 갖도록 외부에 주름(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관로가 'ㄱ' 형상으로 꺾이는 지점에서 급수관(10)이 꺾이면서 접히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주면이 급수관(10) 외주면과 밀착되어 있다.
보호관(20)에 유동성을 갖는 주름(21)을 형성하는 이유는 보호관(20) 내부에 끼워져 있는 급수관(10)을 보호관(20)으로부터 보다 쉽게 빼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호관(20)으로 유동성이 없는 배관을 사용할 경우 배관이 'ㄱ' 형태로 꺾여 있는 지점의 벽 모서리에 배관이 걸려 내부의 급수관(10) 역시 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꺾인 형태를 갖게 되 급수관(10)을 쉽게 못 빼내게 된다.
반면에 주름관과 같이 유동성을 갖는 배관을 사용하게 되면 꺾임 지점에서 주름관이 곡선을 이루게 되어 내부의 급수관(10)을 쉽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관(20)은 공지되어 있는 합성수지재 주름관 등을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단열재(30)는 보호관(20) 외부를 감싸고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되어 있다.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급수관(10)과 보호관(20)이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열팽창을 할 경우 이를 수용해 벽체(40)에 무리를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꺾임 지점이 있는 벽체(40) 내부에 급수관(1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급수관(10) 교체를 위해 일측에서 급수관(10)을 잡아당기게 되면 급수관(10)과 이를 감싸고 있는 보호관(20)이 꺾임 지점에서 곡선을 취하려 하는데 단열재(30)가 이를 수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급수관(10)과 보호관(20)이 곡선 형태로 되어 급수관(10)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열재(30)는 다공질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공질 폴리에틸렌은 단열 성능이 우수해 급수관(10) 내부에 온수가 이동할 때 온수의 온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다공질로 되어 있어 소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급수관(10) 내부의 물이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벽체(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준다.
특히, 다공질 폴리에틸렌은 연질로 되어 있어 내부의 보호관(20)이 팽창할 경우 보호관(20)의 팽창으로 인해 벽체(40)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준다.
이러한 단열재(30)는 필름 형태로 형성해 보호관(20) 외주면에 다수 겹으로 코팅할 수도 있고, 보호관(20) 외측에 주물틀을 형성해 주물틀에 액상 폴리에틸렌을 주입한 후 건조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단열재(30)는 일체로 되어 보호관(20)을 감싸도록 된 것으로 종래 단열재(30)가 배관에 설치되는 것과는 차별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단열재(30)는 배관에 설치하기 쉽도록 갈라진 틈이 형성되어 있어 갈라진 틈에 배관을 끼우는 방법으로 설치되는데, 이처럼 갈라진 틈이 있는 경우 보호관(20) 파손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경우 단열재(30)의 갈라진 틈으로 벽체(40)에 물이 스며들 수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본원 고안의 단열재(30)는 갈라진 틈 없이 일체형으로 보호관(20) 외주면에 끼워져 있어 보호관(20) 까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누수된 물이 벽체(40)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이 급수관(10), 보호관(20), 단열재(30)로 구성된 본 고안의 급수용 배관의 설치 예로 도 5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급수용 배관의 중간 부분은 벽체(40)에 삽입되어 있고, 양측이 벽체(4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일측은 분배기(60)가 내장된 메인케이스(50) 내부에 인입되어 메인연결구(63)에 의해 분배기(60)와 고정, 분리된다.
분배기(6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61)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수동잠금밸브(62)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급수관(10)으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돌출된 타측은 수도꼭지(71)가 연결된 연결관(72)이 내장된 보조케이스(70) 내부에 인입되어 보조연결구(73)에 의해 연결관(72)과 고정, 분리된다.
위와 같이 설치되면 메인연결구(63), 보조연결구(73)를 분배기(60), 연결관(72)과 분리한 후 일측에서 급수관(10)을 잡아 당겨 급수관(10)을 빼낸 후 새 급수관(10)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급수관(10)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보호관(20)과 단열재(30)가 메인케이스(50), 보조케이스(70) 내부 일측까지 연장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 급수관(10)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유출된 물이 메인케이스(50), 보조케이스(70)로 유입되어 벽체(40)에 물이 스며들지 않는 구조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본 고안의 급수용 배관이 벽체(40)에 설치되게 되면 급수관(10)을 교체하기 위해 일측에서 급수관(10)을 잡아당길 때 벽체(40)의 꺾임 부분에서 급수관(10)이 보호관(20)에 의해 접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10)과 보호관(20)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급수관(10)은 벽체(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일측에서 급수관(10)을 교체하기 위해 잡아당길 경우 꺾임 지점에서 급수관(10)이 접히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물의 이동이 차단되게 된다.
반면에, 도 2의 경우 급수관(10)과 보호관(2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함께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호관(20)이 두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단열재(30)가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수관(10)을 교체하기 위해 일측에서 잡아당길 경우 벽체(40)의 꺾임 지점에서 급수관(10)이 접히지 않아 급수관(10) 내부의 물이 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급수관(10)이 도 5에서와 같이 보호관(20)과 단열재(30)가 벽체(40)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면 급수관(10)에서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벽체(40) 내부로 유출된 물이 스며들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은, 급수관, 보호관, 단열재의 3중 구조로 되어 있고, 급수관을 교체 할 수 있도록 하되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관의 접힘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단열재가 쿠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어 보호관이 두께 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더라도 콘크리트 벽체에 무리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단열재로 다공질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해 급수관을 통해 물이 흘러가는 소리가 벽체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수용 배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급수용 배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급수용 배관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급수용 배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급수관 20 : 보호관
21 : 주름 30 : 단열재
40 : 벽체 50 : 메인케이스
60 : 분배기 61 : 물공급관
62 : 수동잠금밸브 63 : 메인연결구
70 : 보조케이스 71 : 수도꼭지
72 : 연결관 73 : 보조연결구
80 : 주름관

Claims (2)

  1. 급수용 배관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유동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체(40)에 설치되되 양 끝단은 벽체(40) 외부로 돌출되고, 중간 부분은 벽체(4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급수관(10)과;
    상기 급수관(10)이 내측에 밀착되어 끼워져 있고, 유동성을 갖도록 외부에 주름(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 부재로 되어 있는 보호관(20)과;
    상기 보호관(20)이 내측에 끼워져 있고, 두께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로 되어 있어 내측에 끼워져 있는 보호관(20)이 유동할 수 있도록 된 단열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30)는 다공질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KR20-2005-0016826U 2005-06-13 2005-06-13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KR200394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26U KR200394235Y1 (ko) 2005-06-13 2005-06-13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26U KR200394235Y1 (ko) 2005-06-13 2005-06-13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235Y1 true KR200394235Y1 (ko) 2005-09-01

Family

ID=4369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26U KR200394235Y1 (ko) 2005-06-13 2005-06-13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2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04150A (ru) Корпус для изолированных труб
KR200394235Y1 (ko)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JP6751299B2 (ja) 空調用ドレン管
KR20240059715A (ko) 교체가 용이한 급수용 배관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434160Y1 (ko) 소켓부에 수밀링을 일체로 구비한 콘크리트 관
KR200258995Y1 (ko) 합성 수지관
KR20023433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JP4030752B2 (ja) 二層管
KR100561622B1 (ko) 배수용 엘보형 이음관
JP5008535B2 (ja) 防火区画貫通管路および防火区画貫通継手
JP5249398B2 (ja) 防火区画貫通管路および防火区画貫通継手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10044523A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및 그 제조방법
CN215172860U (zh) 一种管道过孔防水密封结构及地埋管道系统
KR200298096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접속구조
JP7235464B2 (ja) 伸縮継手及び配管構造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110003637U (ko) 맨홀용 관 연결구
KR200307688Y1 (ko) 배수관용 엘보
KR100561619B1 (ko) 배수용 y형 이음관
KR102048055B1 (ko) 파이프 연결 장치용 수밀 부재
JP2006194374A (ja) 排水管
JP2005249152A (ja) 耐火二層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