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97Y1 - 신축 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신축 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97Y1
KR200471097Y1 KR2020130002377U KR20130002377U KR200471097Y1 KR 200471097 Y1 KR200471097 Y1 KR 200471097Y1 KR 2020130002377 U KR2020130002377 U KR 2020130002377U KR 20130002377 U KR20130002377 U KR 20130002377U KR 200471097 Y1 KR200471097 Y1 KR 200471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inner tube
tube
packing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2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웃하는 관을 상호 연결할 때 설치조건이나 지반 침하 등 외부 요인에 부합하도록 관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양측 부재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과정에서 마찰부로 이물의 유입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관에 플랜지를 결합하는 수고로움 없이 간편하게 관이음이 가능하도록 개량한 신축 관 이음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관체의 이음부분이 신축되는 곳에 적용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신축외관이 형성된 제1부재와; 신축내관이 형성된 제2부재와; 신축내관 쪽에서 신축외관 쪽으로 결합되는 패킹부재와; 패킹부재를 가압하도록 신축외관의 단부에 설치한 고정걸림턱 및 신축내관에 슬라이드 되도록 조립되어 조절용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걸림턱 쪽으로 가압되는 패킹가압링과; 신축외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신축내관에 결합한 이탈방지용 스토퍼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신축 관 이음장치{Flexible pipe joint device}
본 고안은 이웃하는 관을 상호 연결할 때 설치조건이나 지반 침하 등 외부 요인에 부합하도록 관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양측 부재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과정에서 마찰부로 이물의 유입이 없도록 개량한 신축 관 이음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웃하는 관을 상호 연결할 때 설치조건이나 지반 침하 등 외부 요인에 부합하도록 관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의 경우 관 이음에서 다양한 구조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164129호(2000.02.15.)와 같은 수도관의 신축관 연결구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수도관을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신축관의 양단부에 용접 연결하도록된 것에 있어서, 신축관의 양단부에 각각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두꺼운 단관체인 방식관을 용접연결하고, 각 방식관의 외측단에는 수도관이 용접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357821호(2004.07.30.)의 지하 매설용 신축관 커버구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가동배관을 연결하는 벨로즈관의 외측면에 플랜지에 고정되는 고정커버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커버의 일단을 가동배관방향으로 구부려지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체결부재로 연질의 보호커버를 일단에 고정하고, 보호커버를 플랜지 내측 방향으로 'U'자형상으로 구부려서 가동배관의 외측면에 접착시키고, 보호커버의 타단을 압착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가동배관에 조임부재로 조여 고정하므로 보호커버의 신축량을 크게 하여 토사의 압력에 의하여 보호커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 구성이 간단하나, 수도관이나 신축관을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과, 현장에서 용접 작업을 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KR 200164129 Y1 2000.02.15. KR 200357821 Y1 2004.07.30.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신축 관 이음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양측 부재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과정에서 마찰부로 이물의 유입이 없도록 구성한 신축 관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관체의 이음부분이 신축되는 곳에 적용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신축외관이 형성된 제1부재와; 신축내관이 형성된 제2부재와; 신축내관 쪽에서 신축외관 쪽으로 결합되는 패킹부재와; 패킹부재를 가압하도록 신축외관의 단부에 설치한 고정걸림턱 및 신축내관에 슬라이드 되도록 조립되어 조절용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걸림턱 쪽으로 가압되는 패킹가압링과; 신축외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신축내관에 결합한 이탈방지용 스토퍼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는 신축외관의 양단부 외부에 고정걸림턱과 관체고정걸림턱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좌우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패킹가압링의 결합은 패킹가압링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제1부재에 형성된 고정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한다.
상기 이탈방지용 스토퍼링은 일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신축내관의 선단이 신축외관에서 분리되기 직전에 최대로 확장되어 신축외관의 내면과 긴밀하게 면접촉되면서 신축내관을 잡아주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탈방지용 스토퍼링은 신축내관과 면접되는 쪽에 신축내관과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공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이탈방지용 스토퍼링은 일측에 트임부가 형성된 구성의 오링타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패킹가압링에는 원주방향으로 청소용 솔을 설치하여 신축내관이 신축될 때 신축내관의 외부를 클리너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관체고정걸림턱에는 제1부재와 제2부재에 끼움 결합되는 관체의 외면과 접하는 패킹부재와, 패킹부재를 제1부재 및 제2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패킹가압링을 배치하고, 상기 패킹가압링에 형성된 고정구멍에는 제1부재와 제2부재에 형성된 관체고정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볼트와 너트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에 의하면 이탈방지용 스토퍼링이 확장되면서 신축외관 내면과 신축내관의 단부 외면에 긴장 상태로 위치되어 신축내관을 잡아주므로 양 부재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신축내관에 결합되는 패킹가압링에 신축내관의 외부를 클리너 할 수 있도록 청소용 솔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신축 작동이 이루어질 때 청소용 솔이 신축내관의 표면을 1차 청소한 상태에서 패킹부재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파킹부재의 내면 손상을 줄일 수 있어 사용수명 연장과 함께 안전한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례와 같이 구성할 경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관체고정걸림턱에는 패킹부재와, 패킹부재를 패킹가압링을 배치한 구성이므호 재1부재와 제2부재에 가공된 플랜지를 결합하는 등의 수고로움 없이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관체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의 제1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의 제2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신축내관이 인출된 상태도
도 6은 도 3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신축내관이 인입된 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의 제1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제1실시례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는 외부요인 등에 의해 관체의 이음부분이 신축되는 곳에 적용되는 것으로, 신축외관(21)이 형성된 제1부재(2)와, 신축내관(31)이 형성된 제2부재(3) 및 신축내관(31) 쪽에서 신축외관(21) 쪽으로 결합되는 패킹부재(4)와 패킹부재(4)를 가압하도록 신축외관(21)의 단부에 설치한 고정플랜지(25) 및 신축내관(31)에 슬라이드 되도록 조립되어 볼트와 너트(5)에 의해 고정플랜지(25)에 조립되는 패킹가압링(6)과, 신축외관(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신축내관(31)에 결합한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1)는 주로 외부요인 등에 의해 관이음이 신축되어야 하는 관 이음 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을 이용하여 관체(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연결코자 하는 양측 관체(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있는 플랜지(160) 사이에 본 고안의 신축 관 이음장치(1)를 배치하여 관체(100)의 단부에 결합된 플랜지(160)와 제1부재(2) 및 제2부재(3)에 구비되는 플랜지(26)(34)를 밀착시키고 볼트와 너트(150)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일 때 제1부재(2)의 신축외관(21) 내측으로 제2부재(3)의 신축내관(31)이 내입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신축외관(21)에 형성된 패킹내입홈(24)으로 패킹부재(4)가 내입되면서 가압되도록 패킹가압링(6)을 제1부재(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플랜지(25)에 볼트와 너트(5)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의 제2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 도 6은 도 3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신축내관이 인출된 상태도 및 신축내관이 인입된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1)는 외부요인 등에 의해 관체의 이음부분이 신축되는 곳에 적용되는 것으로, 신축외관(21)이 형성된 제1부재(2)와, 신축내관(31)이 형성된 제2부재(3) 및 신축내관(31) 쪽에서 신축외관(21) 쪽으로 결합되는 패킹부재(4)와 패킹부재(4)를 가압하도록 신축외관(21)의 단부에 설치한 고정걸림턱(22) 및 신축내관(31)에 슬라이드 되도록 조립되어 조절용 볼트와 너트(5)에 의해 고정걸림턱(22) 쪽으로 가압되는 패킹가압링(6)과, 신축외관(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신축내관(31)에 결합한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2)는 신축외관(21)의 양단부 외부에 고정걸림턱(22)과 관체고정걸림턱(23)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패킹내입부(24)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좌우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제2부재(3)는 신축외관(21)에 끼워지도록 선단 직경을 굵게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직경이 가는 신축내관(31)의 후단쪽 외부에 관체고정걸림턱(3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패킹내입부(33)를 경사지게 형성한다. 신축내관(31)의 테이퍼 각(α)은 직경이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1~3도 범위에서 결정토록 한다.
상기 신축내관(31)에는 신축외관(21)의 패킹내입부(24)에 내입되는 패킹부재(4)과, 패킹부재(4)를 신축외관(21)쪽으로 가압하는 패킹가압링(6)을 배치하며, 상기 패킹가압링(6)에 형성된 고정구멍(61)에는 제1부재(2)에 형성된 고정걸림턱(22)에 걸림되는 걸림돌기(51)가 형성된 볼트와 너트(5)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외관(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신축내관(31)에 결합한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은 일측에 트임부(71)가 형성된 구성으로 신축내관(31)의 선단이 신축외관(21)에서 분리되기 직전에 최대로 확장되어 신축외관(21)의 내면과 긴밀하게 면접촉되면서 신축내관(31)을 잡아주는 부재로서 신축내관(31)과 면접되는 쪽에는 심축내관(31)과 동일하게 테이퍼공(72)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링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을 설치할 경우 신축내관(31)이 신축외관(21) 내측으로 인입되어 축소될 경우에선 신축외관(21)과 면접촉 없이 자유로이 신축내관(31)과 함께 이동되고, 반대로 신축내관(31)이 신축외관(21) 외측으로 인출되어 신장될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의 트임부(71)가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신축외관(21)과 면접촉 되면서 신축내관(31)을 고정하여 양 부재가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예로는 상기 신축내관(31)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패킹가압링(6)에는 원주방향으로 청소용 솔(8)을 설치하여 신축내관(31)이 신축될 때 신축내관(31)의 외부를 클리너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신축내관의 신축 작동시 흙이나 기타 이물을 신축내관(31)의 표면에서 분리하게 되므로 패킹부재(4)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2) 및 제2부재(3)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관체고정걸림턱(23)(32)에는 제1부재(2)와 제2부재(3)에 끼움 결합되는 관체(100)의 외면과 접하는 패킹부재(110)와, 관체(100)를 가압고정하는 고정링부재(120) 및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가압링판(130)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이들 패킹부재(110)와 고정링부재(120)를 제1부재(2) 및 제2부재(3) 쪽으로 가압하는 관체고정링(140)을 배치하고, 상기 관체고정링(140)에 형성된 고정구멍(141)에는 제1부재(2)와 제2부재(3)에 형성된 관체고정걸림턱(23)(32)에 걸림되는 걸림돌기(151)가 형성된 볼트와 너트(150)를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제2실시례에서 제공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1)을 관 이음 부분에 적용함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을 이용하여 관체(100)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연결코자 하는 양측 관체(100)에 패킹가압링(120)과 패킹부재(110)를 먼저 끼움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본 고안의 신축 관 이음장치(1)를 배치하여 관체(100)의 단부를 각각 제1부재(2) 및 제2부재(3)에 끼움한다.
관체(100)의 단부를 제1부재(2) 및 제2부재(3)에 끼운 상태에서 관체(100)에 끼워져 있는 관체고정링(120)으로 패킹부재(110)를 제1부재(2) 및 제2부재(3)의 패킹내입홈(24)(33)에 내입되면서 가압되도록 볼트와 너트(15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일 때 제1부재(2)의 신축외관(21) 내측으로 제2부재(3)의 신축내관(31)이 내입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신축외관(21)에 형성된 패킹내입홈(24)으로 패킹부재(4)가 내입되면서 가압되도록 패킹가압링(6)을 제1부재(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걸림턱(22)에 볼트와 너트(5)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신축 관 이음장치 2:제1부재
21:신축외관 22:고정걸림턱
23:관체고정걸림턱 24:패킹내입부
3:제2부재 31:신축내관
32:관체고정걸림턱 33:패킹내입부
4:패킹부재 5:볼트와 너트
51:걸림돌기 6:패킹가압링
61:고정구멍 7:이탈방지용 스토퍼링
71:트임부 72:걸림돌부
8:청소용 솔 100:관체
110:패킹부재 120:고정링부재
130:가압링판 140:관체가압링
141:고정구멍 150:볼트와 너트
151:걸림돌기

Claims (10)

  1. 신축외관(21)이 형성된 제1부재(2)와;
    신축내관(31)이 형성된 제2부재(3)와;
    신축내관(31) 쪽에서 신축외관(21) 쪽으로 결합되는 패킹부재(4)와;
    신축내관(31)에 개재된 상태에서 패킹부재(4)를 가압하도록 신축외관(21)의 단부와 볼트와 너트(5)로 조립하는 패킹가압링(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관체(100)의 이음부분이 신축되는 곳에 적용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3)는 신축외관(21)에 끼워지도록 선단 직경을 굵게 1~3도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직경이 가는 신축내관(31)의 후단쪽 외부에 관체고정걸림턱(3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패킹내입부(33)를 경사지게 형성하며;
    신축외관(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신축내관(31)에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은 신축내관(31)과 면접되는 쪽에는 신축내관(31)과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공(72)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스토퍼링(7)은 일측에 트임부(7)가 형성된 구성의 오링타입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가압링(6)에는 원주방향으로 청소용 솔(8)을 설치하여 신축내관(31)이 신축될 때 신축내관(31)의 외부를 클리너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관 이음장치.
  10. 삭제
KR2020130002377U 2013-03-29 2013-03-29 신축 관 이음장치 KR200471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77U KR200471097Y1 (ko) 2013-03-29 2013-03-29 신축 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77U KR200471097Y1 (ko) 2013-03-29 2013-03-29 신축 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97Y1 true KR200471097Y1 (ko) 2014-02-04

Family

ID=5141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377U KR200471097Y1 (ko) 2013-03-29 2013-03-29 신축 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97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624B1 (ko) * 2016-04-22 2016-11-16 서광공업 주식회사 신축부를 갖는 밸브
KR101840587B1 (ko) * 2017-02-02 2018-03-20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파이프와 이음관을 연결하는 내진용 파이프 연결구
KR20190031405A (ko) 2017-09-15 2019-03-26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CN110131504A (zh) * 2019-06-14 2019-08-16 中山市三诺燃气具有限公司 伸缩燃气管和升降装置
KR102179062B1 (ko) 2020-07-20 2020-11-16 서광공업 주식회사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KR102220051B1 (ko) 2020-10-06 2021-02-2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양식장용 산소 용해 장치
KR102230460B1 (ko) 2020-09-25 2021-03-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슬러지 배출함의 여과망 청소장치
KR102300773B1 (ko) 2021-05-07 2021-09-10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슬러지 고착방지기구를 구비한 양식장용 산소용해장치
KR102368379B1 (ko) 2021-09-29 2022-02-25 이용해 양식장 배수관의 여과망 청소장치
CN114962828A (zh) * 2021-07-14 2022-08-30 江苏孚杰高端装备制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石油压裂开采用fs-1型伸缩接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9453A (ja) * 1995-09-14 1997-03-25 Kubota Corp 耐震管継手
KR200390447Y1 (ko) * 2005-04-19 2005-07-25 부덕실업 주식회사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413764Y1 (ko) * 2005-12-28 2006-04-13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 장치
KR20110004813A (ko) * 2010-11-16 2011-01-14 이병무 고감도보호통용 대용량 연결관의 신축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9453A (ja) * 1995-09-14 1997-03-25 Kubota Corp 耐震管継手
KR200390447Y1 (ko) * 2005-04-19 2005-07-25 부덕실업 주식회사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413764Y1 (ko) * 2005-12-28 2006-04-13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 장치
KR20110004813A (ko) * 2010-11-16 2011-01-14 이병무 고감도보호통용 대용량 연결관의 신축조절구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624B1 (ko) * 2016-04-22 2016-11-16 서광공업 주식회사 신축부를 갖는 밸브
KR101840587B1 (ko) * 2017-02-02 2018-03-20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파이프와 이음관을 연결하는 내진용 파이프 연결구
KR20190031405A (ko) 2017-09-15 2019-03-26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CN110131504A (zh) * 2019-06-14 2019-08-16 中山市三诺燃气具有限公司 伸缩燃气管和升降装置
CN110131504B (zh) * 2019-06-14 2024-05-07 中山市三诺燃气具有限公司 伸缩燃气管和升降装置
KR102179062B1 (ko) 2020-07-20 2020-11-16 서광공업 주식회사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KR102230460B1 (ko) 2020-09-25 2021-03-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슬러지 배출함의 여과망 청소장치
KR102220051B1 (ko) 2020-10-06 2021-02-2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양식장용 산소 용해 장치
KR102300773B1 (ko) 2021-05-07 2021-09-10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슬러지 고착방지기구를 구비한 양식장용 산소용해장치
CN114962828A (zh) * 2021-07-14 2022-08-30 江苏孚杰高端装备制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石油压裂开采用fs-1型伸缩接头装置
CN114962828B (zh) * 2021-07-14 2024-03-19 江苏孚杰高端装备制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石油压裂开采用fs-1型伸缩接头装置
KR102368379B1 (ko) 2021-09-29 2022-02-25 이용해 양식장 배수관의 여과망 청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097Y1 (ko) 신축 관 이음장치
KR102000094B1 (ko) 신축 이음관 조립체
RU2735459C2 (ru) Шлан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201393B1 (ko) 고감도보호통용 대용량 연결관의 신축조절구조
KR200475463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배관 연결용 조인트
KR100981565B1 (ko)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US3466691A (en) Pipe-cleaning brush
EP1748242A1 (en) Clamping ring for a high tensile strength coupling
KR20170047015A (ko) 신축 이음관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JP2008111736A (ja) 管継手部の耐圧試験装置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KR102632634B1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NO300863B1 (no) Anordning for kobling av en tynnvegget slange til et rörformet element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101995528B1 (ko) 신축 및 내진용 클램프가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KR20190001994A (ko)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CN211667318U (zh) 一种可双向卡压连接的管件
CN111902666B (zh) 具有夹紧螺帽的软管接头
KR101422267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1208671B1 (ko) 파이프 고정기구
KR102397246B1 (ko) 고정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관
KR200496648Y1 (ko) 지중 관로 시공용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