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062B1 -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 Google Patents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062B1
KR102179062B1 KR1020200089564A KR20200089564A KR102179062B1 KR 102179062 B1 KR102179062 B1 KR 102179062B1 KR 1020200089564 A KR1020200089564 A KR 1020200089564A KR 20200089564 A KR20200089564 A KR 20200089564A KR 102179062 B1 KR102179062 B1 KR 10217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flange
fixing
contraction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능근
김태균
문상우
정연석
Original Assignee
서광공업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공업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서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10)와 가압링플랜지(120)가 형성되는 신축외관(100)과; 상기 신축외관(100)에 일단부(210)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210)가 형성되는 신축내관(200)과;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외관(100)내로 삽입되어 실링하는 패킹부재(300)와;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신축외관(100)의 연결플랜지(120)에 결합되면서 패킹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링(400)으로 이루어진 신축관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관(200)이 신축외관(100)에서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감지부(5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Expansion joint with dislocation detection area}
본 발명은 신축부의 신축 여부를 확인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를 신속하게 해체하거나 설치하기 위해 신축이음관이 설치된 배관 라인이 과수축되어 신축이음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과수축시에 이탈 가능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업용수, 간이상수도, 전원용수, 온천용수, 상수도 가압, 고층빌딩 급수, 농업용수, 위생용 및 수영장 급수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급수는 통상, 취수지 와 정수장 및 배수지를 경유한 후 파이프라인의 밸브 옆에는 대부분 밸브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신축이음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신축이음관은 그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신축이음관의 플랜지를 양 배관의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하되, 그 사이에는 실링을 개재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한다.
통상, 상, 하수도 및 플랜트 배관 등에 사용되는 밸브에는 유지관리 및 동, 하절기의 기온 차이로 인해 배관 상에서 발생되는 수축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신축이음관을 사용하고 있으나, 신축이음관에서도 신축되는 이동량이 한정되어 있어, 이동량을 초과하면 신축부위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결국에는 신축부위가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의 과수축에 의한 신축이음관 이탈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여 배관들을 연결하는 축 방향의 움직임을 확인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과수축이 발생되면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09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축이음관이 설치된 배관 라인의 이상에 의한 과수축시에 이를 사전에 발견할 수 있도록 신축이음관에 이탈감지부를 구비하여, 과수축으로 인한 이탈가능성을 사전에 발견할 수 있고, 이러한 과수축이 발생되면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축이음관은 양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10)와 가압링플랜지(120)가 형성되는 신축외관(100)과; 상기 신축외관(100)에 일단부(210)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210)가 형성되는 신축내관(200)과;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외관(100)내로 삽입되어 실링하는 패킹부재(300)와;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신축외관(100)의 가압링플랜지(120)에 결합되면서 패킹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플랜지(420)를 구비한 가압링(400)으로 이루어진 신축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관(200)이 신축외관(100)에서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감지부(5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탈감지부(500)는 상기 신축내관(200)에 구비되는 제1 감지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감지부(600)는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부면에 표시부(610)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610)는 신축내관(200) 일단부(22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위험부(620), 정상부(630), 안전부(640)로 표기되어,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된 표시부(610)와 가압링(400)의 가압플랜지(420)가 접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신축내관(200)이 상기 신축외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탈감지부(5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부(700)는 양측 플랜지(110, 210)에 고정지지하는 고정부(710, 720)와, 상기 고정부(710, 720)에 설치되는 측정부(73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710, 720)는 상기 양측 플랜지(110, 210)의 일측에 상기 케이싱(731, 732)을 지지하며 고정되는 지지대(711, 721)와, 상기 케이싱(731, 732)에 부착되어 양측 플랜지(110, 210) 타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712, 7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730)는 일측에 표시부(733)를 구비한 제1 케이싱(731)과 타측에 상기 표시부(733)를 지시하는 지시부(734)를 구비하여 슬라이드 작동되는 제2 케이싱(73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시부(733)에는 상기 지시부(7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시부 안내홀(735)이 구비되며, 상기 지시부(734)에는 상기 지시부 안내홀(735)에 삽입되는 지시봉(73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지시봉(736)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신축내관(200)이 상기 신축외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733)에는 이탈여부 감지장치(739)를 더 구비된다.
상기 이탈여부 감지장치(739)는 상기 제1 케이싱(731)에 구비된 지시부 안내홀(735)의 일측에는 랙 형상의 치차부(737a)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싱(732)에 구비된 지시봉(736)의 상부는 상기 치차부(737a)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형상(737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시봉(736)의 하부에는 상기 지시봉(736)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동량을 감지하는 이동량 감지센서(737c)와, 상기 제2 케이싱(732)에서 지시봉(736)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737d)이 구비되어,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량을 감지하고, 상기 변화량이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이탈경고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송신부(738)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 설치되는 상기 제3 감지부(800)는 양측 플랜지(110, 210)에 고정지지하는 제1, 2 고정부(810, 820)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측정부(8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 고정부(810, 820)의 일측은 숫 나선을 가지는 나사부(811, 821)와 상기 나사부를 상기 플랜지(110, 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810)의 타측(812)은 상기 측정부(830)와 나사로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부(820)의 타측(822)은 상기 측정부(830)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지시부(840)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830)는 턴버클(turnbuckle) 형상으로 내측으로 상기 제1 고정부(810)의 나선부와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831)와, 상기 공간부(831)의 외측으로 연결플랜지(110,210) ) 간의 간격(L)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부(8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고정부(810)와 결합되는 측정부(830)의 일측은 나선부(83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되는 타측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단순 홀(hole;834)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831)의 내측에 상기 제1 고정부(810)의 나선부와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되어, 상기 지시부(840)와 눈금부(832)에 의하여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량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지시부(840)가 삽입된 공간부(831)의 내측에 가압에 의하여 신호를 발생되는 이탈경고 센서(850)가 부착되어,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지시부(840)가 이탈경고 센서(850)를 가압되면,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8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는 연결브라켓(720)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720)은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축부(722)와, 상기 축부(722)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2 고정부(810, 820)의 나사부(811, 821)가 관통되는 관통구(721)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721)은 폐곡선의 원형 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관 조립체에 따르면, 배관 라인의 이상으로 인한 과수축이 발생되면 신축이음관의 신축외관 내부에 삽입된 신축내관의 수축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신축내관의 외부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의하여 과수축에 의한 이탈가능성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배관 라인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이음관에 설치되는 이탈감지부에 의하여 과수축으로 인한 이탈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고, 이러한 과수축이 발생되면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통보되므로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어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관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 2감지부의 세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관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관 조립체는 유체가 흐르는 직관인 배관과 배관 사이 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와 배관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과 밸브 사이에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신축이음관은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외관(100)과 신축내관(200)을 포함한다.
신축외관(100)은 중공관으로서, 그 양단부에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10)와 가압링플랜지(120)가 각각 형성된다.
접합플랜지(110)는 신축외관(100)에 이웃하는 직관의 배관(P) 또는 접합밸브(V)와 직접적으로 볼팅되어 접합되는 부분이고, 가압링플랜지(120)는 후술될 가압링(400)과 볼팅되어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가압링플랜지(120) 측의 신축외관(100) 내측면에는 그 내부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패킹부재(300)가 밀착되어 실링되는 스톱퍼(130)가 구비되고, 스톱퍼(130)는 링형상으로서 신축외관(100)의 내주면에 용접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패킹부재(300)는 통상의 사각 고무링으로 구비되어 그 내.외주면이 신축외관(100)의 내주면과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각각 면접촉되어 실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러한 패킹부재(300)는 그 양측부가 가압링(400)과 스톱퍼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신축내관(200)과 신축외관(10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패킹부재(300)의 실링 성능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부재(30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신축이음관의 설치시 신축외관(100)과 신축내관(200)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부재(300)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관의 신축외관 내부에 삽입된 신축내관(200) 배관 라인의 신축에 의하여 이동되고, 본원 발명에서는 배관라인의 이상으로 인한 과수축에 의하여 신축내관(200)이 신축외관(100)에서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감지부(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탈감지부(500)는 상기 신축내관(200)에 구비되는 제1 감지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감지부(600)는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부면에 표시부(610)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610)는 신축내관(200) 일단부(22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위험부(620), 정상부(630), 안전부(640)로 표기되어,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된 표시부(610)와 가압링(400)의 가압플랜지(420)가 접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신축내관(200)이 상기 신축외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플랜지(120)와 가압링(400)의 가압플랜지(420)는 볼팅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신축외관(100)의 내부로 신축내관(200) 일단부(22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영향에 의해 배관라인이 수축하게 되면 신축내관(200)이 외부로 이동됨으로 신축내관(200)의 일단부(22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위험부(620), 정상부(630), 안전부(640)로 표기된 표시부(610)와 가압링(400)의 가압플랜지(420)가 접하는 위치로 현재의 신축외관(100)의 내부에 삽입된 신축내관(20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신축내관(200)이 상기 신축외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탈감지부(5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부(700)는 양측 플랜지(110, 210)에 고정지지하는 고정부(710, 720)와, 상기 고정부(710, 720)에 설치되는 측정부(73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710, 720)는 상기 양측 플랜지(110, 210)의 일측에 상기 케이싱(731, 732)을 지지하며 고정되는 지지대(711, 721)와, 상기 케이싱(731, 732)에 부착되어 양측 플랜지(110, 210) 타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712, 7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측정부(730)는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730)는 일측에 표시부(733)를 구비한 제1 케이싱(731)과 타측에 상기 표시부(733)를 지시하는 지시부(734)를 구비하여 슬라이드 작동되는 제2 케이싱(73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표시부(733)와 지시부(734)가 접하는 부분을 확인함으로 현재의 신축외관(100)의 내부에 삽입된 신축내관(20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733)에는 상기 지시부(7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시부 안내홀(735)이 구비되며, 상기 지시부(734)에는 상기 지시부 안내홀(735)에 삽입되는 지시봉(73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지시봉(736)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신축내관(200)이 상기 신축외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각적으로 신축외관(100)의 내부에 삽입된 신축내관(200)의 삽입 위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도록, 이탈여부 센서와, 감지된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이탈여부 감지장치(739)는 상기 제1 케이싱(731)에 구비된 지시부 안내홀(735)의 일측에는 랙 형상의 치차부(73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싱(732)에 구비된 지시봉(736)은 상부는 상기 치차부(737a)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형상(737b)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상기 지시봉(736)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동량을 감지하는 이동량 감지센서(737c)와, 상기 제2 케이싱(732)에서 지시봉(736)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737d)이 구비된다.
또한, 이동량 감지센서(737c)에서 감지된 이동량이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이탈경고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738)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신축내관(200)이 이동되면 제1 케이싱(731)에 구비된 치차부(737a)에 맞물린 피니언(pinion) 기어로 이루어진 지시봉(736)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시봉(736)의 회전을 이동량으로 감지하는 이동량 감지센서(737c)에 의하여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변화량이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이탈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부(738)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전송된다.
또한, 신축이음관에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 설치되는 상기 제3 감지부(8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800)는 양측 플랜지(110, 210)에 고정지지하는 제1, 2 고정부(810, 820)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측정부(8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 고정부(810, 820)의 일측은 숫 나선을 가지는 나사부(811, 821)와 상기 나사부를 상기 양측 플랜지(110, 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810)의 타측(812)은 상기 측정부(830)와 나사로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부(820)의 타측(822)은 상기 측정부(830)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지시부(840)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830)는 턴버클(turnbuckle) 형상으로 내측으로 상기 제1 고정부(810)의 나선부와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831)와, 상기 공간부(831)의 외측으로 접합플랜지(110,210) ) 간의 간격(L)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부(8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고정부(810)와 결합되는 측정부(830)의 일측은 나선부(83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되는 타측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단순 홀(hole;834)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831)의 내측에 상기 제1 고정부(810)의 나선부와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되어, 상기 지시부(840)가 눈금부(832)에 접하는 위치에 의하여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량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지시부(840)가 삽입된 공간부(831)의 내측에, 가압에 의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이탈경고 센서(850)가 부착되어,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지시부(840)가 이탈경고 센서(850)를 가압되면, 이탈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860)를 구비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3 감지부(800)는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 나사부로 결합되고, 측정부가 턴버클(turnbuckle)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측정부 내부에 구비된 지시부(840)는 제2 고정부(8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신축내관(200)이 신축외관(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장력으로 지탱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신축내관(200)이 신축외관(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장력으로 지탱하는 통시에, 상기 지시부(840)가 이탈경고 센서(850)를 가압하여, 이탈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이상신호를 전송하여 사전에 이탈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는 연결브라켓(720)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720)은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축부(722)와, 상기 축부(722)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2 고정부(810, 820)의 나사부(811, 821)가 관통되는 관통구(721)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721)은 폐곡선의 원형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접합플랜지(110, 210)의 외주면에는 탭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연결브라켓(720)의 축부(722)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구(721)을 폐곡선의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연결브라켓(720)은 가압링플랜지(12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하는 만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3 감지부(8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신축외관 110 : 접합플랜지
120 : 가압링플랜지 200 : 신축내관
210 : 연결플랜지 300 : 패킹부재
400 : 가압링 420: 가압플랜지
500 : 이탈감지부 600 : 제1 감지부
610 : 표시부 620 : 위험부
630 : 정상부 640 : 안전부
700 : 제2 감지부 800 : 제3 감지부
P : 배관 V : 접합밸브

Claims (6)

  1. 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10)와 가압링플랜지(120)가 형성되는 신축외관(100)과;
    상기 신축외관(100)에 일단부(210)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210)가 형성되는 신축내관(200)과;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외관(100) 내로 삽입되어 실링하는 패킹부재(300)와;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신축외관(100)의 가압링플랜지(120)에 결합되면서 패킹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플랜지(420)를 구비한 가압링(400)으로 이루어진 신축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외관(100)의 연결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부(700)는
    양측 플랜지(110, 210)에 고정지지하는 고정부(710, 720)와
    상기 고정부(710, 720)에 설치되는 측정부(73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710, 720)는
    상기 양측 플랜지(110, 210)의 일측에 케이싱(731, 732)을 지지하며 고정되는 지지대(711, 721)와,
    상기 케이싱(731, 732)에 부착되어 양측 플랜지(110, 210) 타측에서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712, 722)로 구성되고,
    상기 측정부(730)는 일측에 표시부(733)를 구비한 제1 케이싱(731)과 타측에 상기 표시부(733)를 지시하는 지시부(734)를 구비하여 슬라이드 작동되는 제2 케이싱(7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부(733)에는 이탈여부 감지장치(739)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여부 감지장치(739)는
    상기 제1 케이싱(731)에 구비된 지시부 안내홀(735)의 일측에는 랙 형상의 치차부(737a)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싱(732)에 구비된 지시봉(736)의 상부는 상기 치차부(737a)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형상(737b)으로 이루어지고,
    지시봉(736)의 하부에는 상기 지시봉(736)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동량을 감지하는 이동량 감지센서(737c)와,
    상기 제2 케이싱(732)에서 지시봉(736)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737d)이 구비되어,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량을 감지하고, 상기 변화량이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이탈경고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738)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2. 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10)와 가압링플랜지(120)가 형성되는 신축외관(100)과;
    상기 신축외관(100)에 일단부(210)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210)가 형성되는 신축내관(200)과;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외관(100) 내로 삽입되어 실링하는 패킹부재(300)와;
    상기 신축내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신축외관(100)의 가압링플랜지(120)에 결합되면서 패킹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플랜지(420)를 구비한 가압링(400)으로 이루어진 신축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에 설치되는 제3 감지부(800)를 구비하며,
    상기 제3 감지부(800)는
    양측 플랜지(110, 210)에 고정지지하는 제1, 2 고정부(810, 820)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측정부(8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 고정부(810, 820)의 일측은 숫 나선을 가지는 나사부(811, 821)와 상기 나사부를 상기 플랜지(110, 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를 구비하며,
    제1 고정부(810)의 타측(812)은 상기 측정부(830)와 나사로 결합되며,
    제2 고정부(820)의 타측(822)은 상기 측정부(830)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지시부(840)로 형성되고,
    상기 측정부(830)는 턴버클(turnbuckle) 형상으로 내측으로 상기 제1 고정부(810)의 나선부와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831)와,
    상기 공간부(831)의 외측으로 접합플랜지(110,210) 간의 간격(L)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부(8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고정부(810)와 결합되는 측정부(830)의 일측은 나선부(83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되는 타측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단순 홀(hole;834)로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831)의 내측에 상기 제1 고정부(810)의 나선부와 상기 제2 고정부(820)의 지시부(840)가 삽입되어,
    상기 지시부(840)와 눈금부(832)에 의하여 상기 신축외관(100)의 접합플랜지(110)와 신축내관(200)의 접합플랜지(210)의 간격(L)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89564A 2020-07-20 2020-07-20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KR10217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64A KR102179062B1 (ko) 2020-07-20 2020-07-20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64A KR102179062B1 (ko) 2020-07-20 2020-07-20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062B1 true KR102179062B1 (ko) 2020-11-16

Family

ID=7368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564A KR102179062B1 (ko) 2020-07-20 2020-07-20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3943A (zh) * 2021-03-15 2021-06-18 苏州市诚键法兰制造有限公司 一种耐低温不锈钢法兰及其冲孔加工模具
KR20230006139A (ko) 2021-07-02 2023-01-10 국방과학연구소 운동체의 파이프 이탈 감지를 위한 스위치 장치 및 파이프 이탈 감지 가능한 운동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02A (ko) * 2002-03-15 2003-09-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드셀을 장착한 턴버클
KR100667579B1 (ko) * 2006-07-27 2007-01-16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KR200451212Y1 (ko) * 2009-06-30 2010-12-02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KR101071629B1 (ko) * 2011-05-31 2011-10-10 한국기계연구원 와이어 마운트용 거리 측정 기구
KR200471097Y1 (ko) 2013-03-29 2014-02-0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신축 관 이음장치
KR20170115100A (ko) * 2015-02-13 2017-10-16 니혼 빅토릭 가부시끼가이샤 신축 가요관 조인트의 거동 탐사 장치 및 거동 탐사 방법
KR20190031405A (ko) * 2017-09-15 2019-03-26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02A (ko) * 2002-03-15 2003-09-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드셀을 장착한 턴버클
KR100667579B1 (ko) * 2006-07-27 2007-01-16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KR200451212Y1 (ko) * 2009-06-30 2010-12-02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KR101071629B1 (ko) * 2011-05-31 2011-10-10 한국기계연구원 와이어 마운트용 거리 측정 기구
KR200471097Y1 (ko) 2013-03-29 2014-02-04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신축 관 이음장치
KR20170115100A (ko) * 2015-02-13 2017-10-16 니혼 빅토릭 가부시끼가이샤 신축 가요관 조인트의 거동 탐사 장치 및 거동 탐사 방법
KR20190031405A (ko) * 2017-09-15 2019-03-26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3943A (zh) * 2021-03-15 2021-06-18 苏州市诚键法兰制造有限公司 一种耐低温不锈钢法兰及其冲孔加工模具
CN112983943B (zh) * 2021-03-15 2024-05-07 苏州市诚键法兰制造有限公司 一种耐低温不锈钢法兰及其冲孔加工模具
KR20230006139A (ko) 2021-07-02 2023-01-10 국방과학연구소 운동체의 파이프 이탈 감지를 위한 스위치 장치 및 파이프 이탈 감지 가능한 운동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062B1 (ko)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KR101753508B1 (ko) 탱크, 파이프 또는 탱크 및 파이프의 세트 분리용 파이프 밀폐 장치
US3907336A (en) Pipe line with a safety equipment for transporting pumpable mediums
US3339415A (en) Device for protection from and detection of leaks in pipelines conveying liquids or gases
JPH04501907A (ja) 二次封じ込め式流体供給システム
RU2652856C2 (ru)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ы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CN104595726A (zh) 具有泄漏报警功能的天然气管道系统
KR200451212Y1 (ko)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US7987874B2 (en) Hose system for high pressure hydraulic system
KR100889055B1 (ko) 신축부의 원격 누설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3163529A (en) Fluid pressure measuring element
US6006773A (en) Installation method for pipe layout with opposing incline
KR102062760B1 (ko) 수소가스 누출 감지장치
US6003537A (en) Removable penetration fittings using T-fitting and flexible pipe combination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JP6943775B2 (ja) 二重配管構造および二重配管施工方法
KR102386354B1 (ko)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JP5478564B2 (ja) 継手におけるパッキング加圧量の標示方法及び装置
CN110886911A (zh) 一种双层玻璃钢管道
TWI592630B (zh) Displacement sensing structure and sensing method
KR20150114192A (ko) 고무확장조인트에 대한 내압성능 시험장치 및 그 제조방법
GB203256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joints
KR20130023676A (ko) 배관용 누설 감지장치
CN220566787U (zh) 燃气管道检漏报警装置
KR102623666B1 (ko) 소화전 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