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579B1 -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579B1
KR100667579B1 KR1020060071056A KR20060071056A KR100667579B1 KR 100667579 B1 KR100667579 B1 KR 100667579B1 KR 1020060071056 A KR1020060071056 A KR 1020060071056A KR 20060071056 A KR20060071056 A KR 20060071056A KR 100667579 B1 KR100667579 B1 KR 10066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support
building
fix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7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66Rock or ground anchors having deformation measu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아우터파이프를 가지는 제1 받침구와;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정렬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계측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이너파이프를 가지는 제2 받침구와;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받침구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제1 받침구의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측정바와, 일단부가 상기 이너파이프의 계측눈금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측정바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측정바를 가지며, 천장이나 바닥의 처짐에 의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받침구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받침구의 움직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측, 건물, 전장, 바닥

Description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Measur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시공 상태 단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계측장치 11 : 탄성체
20 : 제1 받침구 30 : 제2 받침구
40 : 측정봉 41 : 제1 측정바
43 : 제2 측정바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각각 접촉되어 있으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제1 및 제2 받침구를 이용하여 건물의 천장 및 바닥의 처짐이나 돌출된 량을 측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아파트나 오피스빌딩 등과 같은 고층건물은 그 건축기간이 보통 1~3년 길게는 10수년이 소요되는 것도 있으며, 건물이 시공되는 동안 건축물에는 중량체의 건설 장비를 사용하거나, 또는 건설자제를 쌓아 놓기 때문에 건물을 시공하는 기간중은 물론 건물 시공이 끝난 후에도, 건축물은 많은 하중을 받게 된다. 즉, 시공중인 건축물은 중장비의 사용, 중량물의 하중 및 구조물 자체하중 등에 인하여 건축물의 천장이나 바닥이 처짐 등과 같은 변형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변형을 신속하게 발견하지 못하면 지하구조물의 심한 변형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건물이 붕괴되는 등의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내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에는 이러한 건물의 천장이나 바닥의 처짐 현상을 측계할 수 있는 마땅한 기구가 없으며, 또한 바닥의 수평을 측정하는 기구가 있다고는 하나 항시 측정을 하기에는 시간이나, 그 방법이 너무 복잡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각각 접촉되어 있으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제1 및 제2 받침구를 이용하여 건물의 천장 및 바닥의 처짐이나 돌출된 량을 측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는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하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아우터파이프를 가지는 제1 받침구와;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정렬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계측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이너파이프를 가지는 제2 받침구와;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받침구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제1 받침구의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측정바와, 일단부가 상기 이너파이프의 계측눈금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측정바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측정바를 가지며, 천장이나 바닥의 처짐에 의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받침구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받침구의 움직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물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는 천장 및 바닥의 처짐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계측장치(10)는 건물의 천장에 부착되어 있는 제1 받침구(20)와, 건물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으 며 제1 받침구(20)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제2 받침구(30)와, 제1 및 제2 받침구(3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체(11), 및 계측봉(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받침구(20)는 건물의 천장에 볼트(B)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21)와, 이 고정플레이트(21)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의 아우터파이프(Outer Pipe; 23)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플레이트(21)에는 볼트(B)가 삽입되는 고정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파이프(23)의 내부에는 탄성체(11)가 내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11)로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받침구(30)는 탄성체(11)에 의하여 제1 받침구(20)의 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제2 받침구(30)는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31)와, 이 고정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이너파이프(Inner Pipe; 33)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플레이트(31)에는 볼트(B)를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B)가 삽입되는 고정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받침구(30)는 이너파이프(33)의 중심이 제1 받침구(20)의 아우터파이프(23)에 정렬되도록 제1 받침구(20)에 결합된다.
이너파이프(33)는 건물의 천장에서 바닥까지의 거리에 따라 자유로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이너파이프(35)와, 이 제1 이너파이프(35)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이너파이프(37)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이너파이프(35)는 제2 받침구(30)의 중앙부에서 부착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너파이프(37)는 제1 이너파이프(35)에 나사 체결되도록 내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계측눈금(3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너파이프(37)는 나사 체결에 의하여 제1 이너파이프(35)에서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것이다.
계측봉(40)은 제1 받침구(20)의 고정플레이트(21)에 부착되어 있는 제1 측정바(41)와, 이 제1 측정바(41)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측정바(43)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측정바(41)에는 제2 측정바(43)가 삽입되도록 가이드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측정바(43)의 일단부는 이너파이프(33)의 계측눈금(37a)에 위치되며, 움직인 거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핀(43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정바(43)는 스톱퍼(45)에 의하여 측정핀(43a)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측정바(41)에 고정된다. 즉, 제2 측정바(43)의 측정핀(43a)이 계측눈금(37a)의 "0"점에 위치되도록 제2 측정바(43)를 제1 측정바(41)에서 신장 또는 압축한 후 스톱퍼(45)를 이용하여 제1 측정바(41)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45)는 제2 측정바(43)에 체결되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받침구(20)를 천장에 고정시킨 후, 아우터파이프(23)의 내부에 탄성체(11)를 내장시킨다. 그리고 이너파이프(33)의 중심이 아우터파이프(23)의 중심에 정렬되도록 하여 제2 받침구(30)를 제1 받침구(20)에 결합시켜, 제2 받침구(30)를 바닥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2 이너파이프(37)가 제1 이너파이프(35)에서 신축되므로, 건물의 내부 높이에 따라 이너파이프(33)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하면서 계측장치(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2 측정바(43)의 측정핀(43a)이 제2 이너파이프(37)의 계측눈금(37a) "0"점에 위치되도록 제2 측정바(43)를 제1 측정바(41)에서 신축시켜 스톱퍼(45)를 이용하여 제1 측정바(4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천장이나 바닥에 처짐 현상이 일어나면, 제1 및 제2 받침구(30)가 탄성체(11)에 의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처짐이 발생한 거리만큼 제1 또는 제2 받침구(30)가 이동하게 되고, 이를 계측봉(40)의 측정핀(43a)을 확인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 측정바(43)를 제1 측정바(41)에서 신축시켜 측정핀(43a)을 계측눈금(37a)의 "0"점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침하된 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천장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제1 받침구(2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계측봉(40)도 하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어 계측눈금(37a)에서 그 이동한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바닥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제2 받침구(3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1 받침구(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받침구(30)만이 이동되어 그 이동한 거리를 계측눈금(37a)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에 의하면, 탄성체에 의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제1 및 제2 받침구가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므로, 천장과 바닥의 처짐에 따라 제1 및 제2 받침구가 탄성체의 탄성에 의하여 천장과 바닥의 처진 거리만큼 함께 이동되어 천장 및 바닥의 처짐이나 돌출된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 및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아우터파이프를 가지는 제1 받침구와;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정렬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이너파이프를 가지되, 상기 이너파이프는 건물의 천장에서 바닥까지의 거리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구의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이너파이프와, 상기 제1 이너파이프에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계측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이너파이프로 이루어져 있는 제2 받침구와;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받침구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제1 받침구의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측정바와, 일단부가 상기 이너파이프의 계측눈금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측정바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측정바를 가지며, 천장이나 바닥의 처짐에 의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받침구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받침구의 움직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2. 삭제
KR1020060071056A 2006-07-27 2006-07-27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KR10066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056A KR100667579B1 (ko) 2006-07-27 2006-07-27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056A KR100667579B1 (ko) 2006-07-27 2006-07-27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579B1 true KR100667579B1 (ko) 2007-01-16

Family

ID=3801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056A KR100667579B1 (ko) 2006-07-27 2006-07-27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57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60B1 (ko) 2008-05-23 2008-09-05 주식회사 신영이엔씨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KR101271879B1 (ko) * 2011-08-1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 기송설비의 배관막힘위치 측정장치
KR101392514B1 (ko) 2012-12-14 2014-05-07 (주)경진이엠씨 매설자리의 깊이에 따른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원선 인출복스
RU2624794C1 (ru) * 2016-08-15 2017-07-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Хакас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Н.Ф. Катанова" (ФГБОУ ВО ХГУ им. Н.Ф. Катанова)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тержень хегая
KR102149147B1 (ko) * 2020-02-12 2020-08-28 차현남 교량상부 구조물의 신축거동 및 움직임을 측정하는 눈금쇼바센서
KR102179062B1 (ko) * 2020-07-20 2020-11-16 서광공업 주식회사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KR102200514B1 (ko) * 2020-07-13 2021-01-07 차현남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종방향 c.p.m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KR102243651B1 (ko) * 2019-11-06 2021-04-23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변위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0747U (ko) 1973-07-13 1975-04-05
JPH02140448U (ko) * 1989-04-25 1990-11-26
KR20020039388A (ko) * 2000-11-21 2002-05-27 김영욱 체질 감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0747U (ko) 1973-07-13 1975-04-05
JPH02140448U (ko) * 1989-04-25 1990-11-26
KR20020039388A (ko) * 2000-11-21 2002-05-27 김영욱 체질 감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60B1 (ko) 2008-05-23 2008-09-05 주식회사 신영이엔씨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KR101271879B1 (ko) * 2011-08-1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 기송설비의 배관막힘위치 측정장치
KR101392514B1 (ko) 2012-12-14 2014-05-07 (주)경진이엠씨 매설자리의 깊이에 따른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원선 인출복스
RU2624794C1 (ru) * 2016-08-15 2017-07-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Хакас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Н.Ф. Катанова" (ФГБОУ ВО ХГУ им. Н.Ф. Катанова)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тержень хегая
KR102243651B1 (ko) * 2019-11-06 2021-04-23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변위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시스템
KR102149147B1 (ko) * 2020-02-12 2020-08-28 차현남 교량상부 구조물의 신축거동 및 움직임을 측정하는 눈금쇼바센서
KR102200514B1 (ko) * 2020-07-13 2021-01-07 차현남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종방향 c.p.m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KR102179062B1 (ko) * 2020-07-20 2020-11-16 서광공업 주식회사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579B1 (ko)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CH637730A5 (it) Scala con montanti laterali e ganci di trattenuta.
JP2016109611A (ja) 変位計測装置
KR102576526B1 (ko) 리드-쓰루 시스템의 쐐기의 표시 수단
US20150114729A1 (en) Balance Arm. A device and method for creation of a variable applied force using a constant load value. The SARDA system. Development of an existing patent application
CN107034930A (zh) 一种便携式基准梁及其架设方法
JP5243125B2 (ja) 層間変位計測装置
CN204831900U (zh) 一种钢筋锚固板拉伸试验辅助装置
KR10201972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줄자
KR200451734Y1 (ko) 교량용 배관 현수장치
KR101762895B1 (ko) 철도공사용 하중지지장치
CN109720953B (zh) 电梯及其曳引绳张力检测装置
KR101954267B1 (ko)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CN208580001U (zh) 一种轻质隔墙板的强度测定装置
CN202220323U (zh) 桥梁球铰式竖向限位装置
CN209783480U (zh) 一种建筑主体混凝土板厚度检测装置
CN209195003U (zh) 伸缩式吊挂平台梁
CN102661831A (zh) 换向装置、减震器示功机拉向力值校准装置及校准方法
RU1423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устойчивости центрально сжатого стержня из анизотроп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2017336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CN207163453U (zh) 一种集成有定位装置的测量棱镜仪
RU1689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критической силы стержня из древесины
CN205531257U (zh) 一种建筑工地用安装支架
KR101640880B1 (ko) 발전소의 전기제어반 방진을 위한 댐퍼의 성능 시험장치
KR102494369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