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354B1 -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354B1
KR102386354B1 KR1020200070556A KR20200070556A KR102386354B1 KR 102386354 B1 KR102386354 B1 KR 102386354B1 KR 1020200070556 A KR1020200070556 A KR 1020200070556A KR 20200070556 A KR20200070556 A KR 20200070556A KR 102386354 B1 KR102386354 B1 KR 10238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pipe
brace
sensor
pivot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471A (ko
Inventor
김석윤
김유지
Original Assignee
김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지 filed Critical 김유지
Priority to KR102020007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354B1/ko
Priority to PCT/KR2021/007232 priority patent/WO2021251760A1/ko
Publication of KR2021015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Abstract

본 발명은 진입하는 파이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원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공간에 단면이 'ㄱ'자 형태인 피봇코너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분리되어 위치하면서, 상기 피봇코너에 접면하는 몸체밀착부와 상기 파이프에 접하는 파이프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밀착부를 피봇축으로 하여 피봇운동하는 복수개의 피봇버팀쇠; 및 상기 몸체에 고정되면서 상기 몸체의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pivoting prop style pipe connecting system}
본 발명은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들을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파이프들의 상태 확인이 가능하여 배관 관리가 용이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과 같은 유체를 운반하는 파이프의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 나사, 플랜지 등 여러가지 기술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간단한 연결장치를 통해 이를 간편하게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예로 한국특허출원 “10-2016-0082923호”에 종래 기술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는 파이프를 삽입하는 동작 하나로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원터치 연결기술로, 파이프를 수용하는 몸체 및 파이프를 고정하는 피봇버팀쇠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는 몸체에 파이프를 삽입하기만 하면 피봇버팀쇠에 의해 파이프가 연결됨으로써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파이프 내부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은 연결된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분리시키려 하는데,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피봇버팀쇠가 피봇 회전하며 파이프를 고정함으로써 연결된 파이프는 분리되지 않고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봇버팀쇠와 파이프의 접촉면적이 작고 파이프 삽입 후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삽입된 파이프를 결합시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이프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 피봇버팀쇠와 파이프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피봇버팀쇠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면 파이프 삽입 시의 저항이 증가되므로, 파이프의 삽입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삽입 과정에서 가해진 힘이 증가된 피봇버팀쇠에 의해 파이프의 표면 부위에 스크래치가 더욱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이프가 연결된 후에 배관의 유지보수 공사의 이유로 파이프를 분리하려면, 먼저 파이프 연결장치를 분해하고 피봇버팀쇠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파이프의 구경이 커지는 경우, 파이프의 단면적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피봇버팀쇠의 크기 및 피봇버팀쇠의 이빨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연결장치 내에 마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관 공사가 완료된 후 연결된 파이프들에 부식 또는 연결상태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도 이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이프들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비파괴 검사를 실시할 수는 있으나, 비파괴 검사는 상시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어렵고, 검사를 진행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더불어, 파이프들이 매립된 환경에서는 비파괴 검사가 용이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82923호 (공개일자, 2016.07.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고 배관된 파이프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배관 관리가 용이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파이프 표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고, 피봇버팀쇠와 파이프 간의 마찰력 조절이 가능하여 파이프의 빠짐 현상을 예방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파이프의 유지 보수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 파이프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편리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파이프의 구경의 변화에 따른 피봇버팀쇠의 수용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는 진입하는 파이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원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공간에 단면이 'ㄱ'자 형태인 피봇코너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분리되어 위치하면서, 상기 피봇코너에 접면하는 몸체밀착부와 상기 파이프에 접하는 파이프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밀착부를 피봇축으로 하여 피봇운동하는 복수개의 피봇버팀쇠; 및 상기 몸체에 고정되면서 상기 몸체의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광 센서, 소리 센서, 진동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피봇버팀쇠의 응력변화를 감지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몸체밀착부와 접면하는 상기 피봇코너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몸체밀착부가 접면하는 상기 피봇코너의 두 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의 두 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 중 원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가 고정되는 상기 원주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버팀쇠를 둘러싸는 조임띠와 상기 조임띠를 조이는 작동체를 구비하면서, 상기 피봇버팀쇠를 피봇운동시켜 상기 파이프밀착부를 상기 파이프에 밀착시키는 피봇작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띠는 개방된 원형 형태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는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를 이동시켜 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체는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의 이동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볼트; 상기 가이드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와 결합되는 압축코일 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볼트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를 이동시키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띠는 폐쇄된 원형 형태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는 상기 조임띠의 소정부위에 굴곡을 형성하여 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에 체결되면서, 단면이 'ㄷ'자 형태의 링인 버팀쇠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코너는 상기 버팀쇠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에 포함되는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버팀쇠링의 외부 표면 중 원주면을 평면 상태로 형성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팀쇠링은 상기 몸체에 복수 개로 상하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버팀쇠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봇버팀쇠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파이프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몸체에 고정된 센서를 통해 배관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배관의 설치, 관리 및 유지보수 공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른 피봇버팀쇠의 미세한 피봇운동을 스트레인게이지를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를 알 수 있어 누수탐지 등 배관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피봇작동부재를 통해 피봇버팀쇠를 필요한 만큼 가압하여 파이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파이프가 원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여 배관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삽입 과정에서 피봇버팀쇠를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탄성부재의 저항이 없어서, 파이프의 삽입이 용이하고,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파이프의 표면에 발생되는 흠집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에 고정된 센서를 통해 배관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피봇작동부재의 조임띠를 간편하게 제거하여 파이프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배관의 관리 및 유지보수 공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구경 파이프의 배관 공사를 위해서 ㄷ’자 형태의 버팀쇠링 내부에 피봇버팀쇠를 내장함으로써 파이프의 단면적에 비례하여 피봇버팀쇠 크기를 크게 제작하거나, 몸체 내부에 피봇버팀쇠를 수용할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작동부재가 작동한 후의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센서의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작동부재가 작동하기 전의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작동부재가 작동한 후의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팀쇠링이 중첩되어 내장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센서의 다른 고정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이 내장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의 구조 및 재료 등에 있어서 반복되는 부분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작동부재가 작동한 후의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몸체(100), 피봇버팀쇠(300), 및 센서(4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진입하는 파이프(1)를 수용하면서, 파이프(1)의 원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공간에 단면이 'ㄱ'자 형태인 피봇코너(111)가 마련될 수 있다.
피봇코너(111)의 두 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각도에 약간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피봇코너(111)의 코너부분은 호 형태인 라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후술하는 피봇작동부재(500)의 작동체(530)를 몸체(100)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작동체(530)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150)를 포함한다.
피봇버팀쇠(300)는 몸체(100) 내부에 분리되어 복수개로 위치하여 진입하는 파이프(1)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피봇버팀쇠(300)는 피봇코너(111)에 접면하는 몸체밀착부(310)와 파이프(1)에 접하는 파이프밀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버팀쇠(300)는 몸체밀착부(310)를 피봇축으로 하여 피봇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몸체밀착부(310)는 단면이 호 형태로 형성되어 피봇코너에 접면하면서 피봇운동을 할 수 있다.
몸체밀착부(310)는 파이프(1)가 삽입될 때 몸체(100)에 마련된 'ㄱ'자의 호 형태인 피봇코너(111)를 통해 피봇운동을 함으로써 파이프(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몸체밀착부(310)의 호 형태인 라운드가 피봇코너(111)의 호 형태인 라운드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
파이프밀착부(330)는 이빨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몸체(1) 내부에 삽입된 파이프(1)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파이프밀착부(330)는 파이프(1)의 삽입은 용이하게 하고, 삽입된 파이프(1)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빨의 방향이 파이프(1)의 삽입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면상에서 이빨 끝부분을 연결한 모양은 몸체밀착부(310)에 있는 피봇 중심축에서 이빨 끝까지의 거리가 점점 길어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1)의 공차를 수용할 수 있고, 파이프(1)가 빠지려고 할 때 피봇버팀쇠(300)가 피봇운동하며 파이프(1)와 접촉한 이빨부터 순차적으로 파이프(1)를 파고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몸체(100)에 연결된 파이프(1)가 피봇버팀쇠(300)에 의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0)에 파이프(1)가 삽입되어 연결된 후 파이프(1)의 내부로 유체가 흐르게 되면, 흐르는 유체에 의해 몸체(100) 및 파이프(1)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다음으로, 가해진 압력에 의해 피봇버팀쇠(300)의 몸체밀착부(310)가 몸체(100)의 피봇코너(111)에 접면하여 피봇운동을 하게된다.
이 때, 피봇운동에 의하여 피봇버팀쇠(300)의 파이프밀착부(330)는 파이프(1)의 원주면에 밀착되고, 파이프밀착부(330)의 이빨이 맞닿는 파이프(1)의 원주면에 박히게 되면서 몸체(100)와 파이프(1)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몸체밀착부(310)는 조임띠(510) 및 작동체(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봇작동부재(500)에 의해 피봇운동될 수 있다. 피봇작동부재(500)는 뒤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400)는 몸체(100)의 소정부위에 고정되어 설치되면서 몸체(100)의 이상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센서(400)에서 감지된 몸체(100)의 이상 신호에 기초하여, 몸체(100) 및 몸체(100)에 연결된 인근 파이프(1)의 이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0)를 통해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배관의 누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센서(400)는 소정간격 또는 지속적으로 유무선망을 통하여 해당 정보를 배관 관리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센서(400)로부터 배관 관리시스템에 전송된 정보를 통하여 배관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관 관리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RFID 등의 무선망을 사용하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버팀쇠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파이프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몸체에 고정된 센서를 통해 배관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배관의 설치, 관리 및 유지보수 공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센서(400)는 파이프(1)의 변형이나 손상, 파이프 내 유체의 흐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400)일 수 있으며, 센서(400)는 복수의 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400)는 파이프 또는 유체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센서, 배관시설의 화재를 센싱할 수 있는 광 센서, 파이프 내부 또는 외부의 소리를 센싱할 수 있는 소리 센서, 파이프의 진동을 센싱할 수 있는 진동 센서, 파이프 내 유체의 흐름 속도를 센싱할 수 있는 유속 센서, 파이프 내의 유체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등일 수 있다.
압력 센서는 피봇버팀쇠(300)의 응력변화를 감지하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410)일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410)에 의해 감지된 피봇버팀쇠(300)의 응력변화를 통해, 사용자는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각 스트레인게이지(410) 인근의 파이프(1)의 균열, 뒤틀림, 팽창 등 파이프(1)의 변형, 손상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410)는 몸체밀착부(310)와 접면하는 피봇코너(111)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몸체의 외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몸체(100)는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ㄱ'자 형태의 안쪽방향에 형성되는 내부 표면과, 'ㄱ'자 형태의 바깥쪽방향에 형성되는 외부 표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봇버팀쇠(300)는 몸체(100)의 내부 표면, 즉 피봇코너(111)의 특정 위치에 접면한다. 이 때, 피봇버팀쇠(300)가 접면한 피봇코너(111)와 대응하는 몸체(100)의 외부 표면에 스트레인게이지(410)가 위치한다.
위의 경우를 참조하여, 스트레인게이지(410)가 피봇버팀쇠의 응력변화를 감지하는 순서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의 몸체(100)에 파이프(1)가 삽입되어 연결된 후 파이프(1)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다.
다음으로, 가해진 압력은 피봇버팀쇠(300)에 전달되고, 피봇버팀쇠(300)의 몸체밀착부(310)는 몸체(100)의 피봇코너(111)에 접면하여 미세한 피봇운동을 하면서 몸체(100)의 피봇코너(111)에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몸체(100)의 내부 표면인, 피봇코너(111)에 전달된 압력은 피봇버팀쇠(300)와 접면하는 피봇코너(1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몸체(100)의 외부 표면의 위치에 위치한 스트레인게이지(410)에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스트레인게이지(410)는 몸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파이프(1) 및 몸체(10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몸체(100)의 외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인게이지(410)는 몸체(100)의 다른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피봇버팀쇠(300)의 미세한 피봇운동을 통한 응력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피봇버팀쇠(300)의 몸체밀착부(310)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인게이지(4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의 피봇버팀쇠(300) 각각, 일부 또는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하나의 피봇버팀쇠(300)에 대응하여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버팀쇠(300)의 배관 내부 유체의 압력 변화에 따라 미세한 피봇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스트레인게이지(410)를 통하여 이러한 피봇버팀쇠(300)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스트레인게이지(410) 인근의 파이프(1) 및 몸체(100)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배관을 천공하고, 배관압력 검출기를 연결하여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를 감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피봇버팀쇠(300) 및 스트레인게이지(410)를 이용하면 배관을 천공하지 않고서도, 몸체(100) 외부 표면의 스트레인게이지(410)를 통해 피봇버팀쇠(300)의 응력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에 따른 피봇버팀쇠의 미세한 피봇운동을 스트레인게이지(410)를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배관 내 유체의 압력변화를 알 수 있어 누수탐지 등 배관 관리가 용이하다.
스트레인게이지(410)는 몸체밀착부(310)가 접면하는 피봇코너(111)의 두 면에 대응하여, 몸체(100)의 두 외부 표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봇버팀쇠(300)는 피봇코너(111)의 'ㄱ'형태의 단면 중 두 곳에 접촉하므로, 이와 대응하는 몸체(100)의 외부 표면 두 면에 각각 스트레인게이지(410)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표면에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의 보다 정확한 변형률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센서의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레인게이지(410)는 몸체(100)의 외부 표면 한 곳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피봇코너(111) 및 피봇코너(111)와 접면하는 몸체밀착부(310)의 경우 피봇코너(111)와 몸체밀착부(310)의 접면이 하나가 되도록, 몸체밀착부(310)의 외경 반지름이 피봇코너(111)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레인게이지(410)는 몸체(100)의 외부 표면 중 원주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트레인게이지(410)의 설치와 변형률의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스트레인게이지(410)는 몸체(100)의 외부 표면 중 원주면에 고정되는 경우, 해당 원주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주면을 가공하여 평면 형태로 형성된 스트레인게이지(410)를 위치시키면, 해당 부위의 몸체가 얇아 스트레인게이지(410)의 민감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작동부재가 작동하기 전의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작동부재가 작동한 후의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피봇작동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작동부재(500)는 몸체밀착부(310)를 피봇축으로 하여 피봇버팀쇠(300)를 피봇운동시킴으로써, 파이프밀착부(330)를 파이프(1)에 밀착시킬 수 있다.
피봇작동부재(500)는 피봇버팀쇠(300)를 둘러싸는 조임띠(510)와 조임띠(510)를 조이는 작동체(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몸체(100)에 파이프(1)가 삽입되면 조임띠(510)를 이용하여 피봇버팀쇠(300)를 파이프(1)와 강제 밀착시키고, 작동체(530)를 이용하여 조임띠(510)를 조임으로써 파이프(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피봇버팀쇠(300)의 피봇축과 이빨이 이루는 선은 최단거리가 되어, 삽입된 파이프(1)를 분리시키려고 하면 할수록 이빨은 파이프(1)를 더욱더 파고 들므로, 삽입된 파이프(1)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조임띠(510)는 판형 스프링 재질로 형성되거나 고분자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연결할 파이프(1)의 소재에 따라 피봇버팀쇠(300)를 둘러싸면서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임띠(50)는 탄성을 가진 고분자중합체인 고무재질이나 벨트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가 금속재료라면 판형 스프링 소재, 스프링 강선 등 다양한 소재가 응용 가능하며, 금속과 고분자중합체가 결합한 소재도 적합할 수 있다. 판형 스프링 소재의 조임띠(510)의 탄성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조임띠(510)에 주름을 부가할 수도 있으며 조임띠(510)를 스프링과 연결하는 방법도 유용할 수 있다.
조임띠(510)의 탄성기능은 당겨질 때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힘으로부터 조임띠(510)를 보호할 수 있고, 배관의 다양한 진동을 흡수하여 배관의 수명을 늘리는데 기여할 수 있다.
조임띠(510)에 주름을 넣으면 조임띠(510)의 탄성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조임띠(510)는 몸체(100) 내부의 원주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원형의 띠 형태가 되는데, 이 때 원형의 띠 형태는 개방된 원형 형태나 폐쇄된 원형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이며, 모든 형태가 피봇버팀쇠(300)를 조일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작동체(530)는 조임띠(510)에 특정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조임띠(510)를 조일 수 있다.
작동체(530)는 개방된 원형 형태의 조임띠(510)의 말단부를 잡아당기거나 감을 수 있고, 폐쇄된 원형 형태의 조임띠(510)의 소정부위를 몸체(100) 바깥으로 당기거나 안쪽으로 미는 작동으로, 조임띠(510)에 굴곡을 형성하여 조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동체(530)에 대응되는 부분의 몸체(100)의 개구부(150)를 통해 몸체 외부에서도 쉽게 작동체(530)를 이용하여 조임띠(510)를 조임으로써 피봇버팀쇠(300)를 파이프(1)에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개구부(150)를 통해 몸체 외부에서도 쉽게 작동체(530)를 조작하여 파이프(1)를 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파이프(1)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피봇작동부재(500)를 통해 피봇버팀쇠(300)를 필요한 만큼 가압하여 파이프(1)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파이프(1) 간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파이프(1)가 원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여 배관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파이프(1)가 연결된 후에 배관의 유지보수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 피봇작동부재(500)의 조임띠(510)를 간편하게 제거 또는 조정하여 파이프(1)를 분리함으로써 배관의 유지보수 공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파이프(1)의 삽입 과정에서 피봇버팀쇠(300)를 지지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탄성부재의 저항이 없어서, 파이프(1)의 삽입이 용이하고, 파이프(1)의 결합 또는 분리시에 피봇버팀쇠(300)와 접촉하는 파이프(1)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배관의 유지보수를 위해 파이프를 빼야 할 때, 피봇작동부재(500)를 원위치 시키거나 외부에서 조임띠(510)를 제거 또는 느슨하게 하여 파이프(1)를 뺄 수 있으므로, 별도로 피봇버팀쇠(300)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임띠(510)는 개방된 형태로 몸체에 결합되고, 작동체(530)는 조임띠(510)를 이동시켜 조일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530)는 가이드볼트(531), 압축코일 스프링(533), 및 너트(5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530)는 개방된 원형으로 설치된 조임띠(510)의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이동방향으로 뒤에서 밀면서 조임띠(510)를 조일 수 있다.
조임띠(510)의 말단부가 이동하는 운동선 상에 몸체(100)에 고정되는 가이드볼트(531)를 설치하고, 너트(535)로 조임띠(510)의 말단부를 밀되 너트(535)와 조임띠(510)의 말단부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533)을 설치하면 탄성이 부가될 수 있다.
가이드볼트(531)에 끼워지는 압축코일 스프링(533)의 한쪽 끝은 연장되어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갈고리는 조임띠(510)의 말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결합됨으로써, 압축코일 스프링(533)과 조임띠(51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530)는 스퍼기어(537)나 웜기어 등 다양한 형태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조임띠(510)가 개방된 원형 형태로 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530)는 조임띠(510)의 말단부 일단에 형성되어 맞물려 회전하면서 조임띠(510)를 조일 수 있는 스퍼기어(537)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동체(530)로 스퍼기어(537)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퍼기어(537)가 풀리지 않도록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퍼기어(537)나 웜기어 등 다양한 형태의 기어를 이용하여 조임띠(510)을 조이는 경우, 각각의 기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몸체(100)의 외부에 기어 조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조임띠(510)는 폐쇄된 형태로 몸체에 결합되고, 작동체(530)는 조임띠(510)의 소정부위에 굴곡을 형성하여 조일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체(530)는 클립(543), 볼트(538), 및 압축스프링(539)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조임띠(510)는 폐쇄된 원형 형태로 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작동체(530)는 조임띠(510)의 소정부위에 굴곡을 형성하여 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유연한 고분자중합체의 소재를 포함하는 조임띠(510)를 조이는데 적합할 수 있다.
조임띠(510)의 소정부위에 굴곡을 형성하여 조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조임띠 지지기둥(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임띠 지지기둥(550)은 몸체(100)에 고정되면서, 조임띠(510)의 소정부위의 내경과 접하여 작동체(530)가 조임띠(510)에 형성하는 굴곡을 보조할 수 있다.
조임띠(510)에 굴곡을 형성하여 조이는 경우, 조임띠(510)의 소정부위를 클립 등으로 집어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체(530)는 클립이거나 클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립은 Ω형 클립(541) 형태일 수 있다.
Ω형 클립(541)은 조임띠(510)의 소정 부위를 조임띠 지지기둥(550)을 감싸면서 오무리게 만들면서 조일 수 있어 탄성 기능도 부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볼트(538)를 작동체(530)로 사용함으로써 조임띠(510)의 소정부위를 밀어 골짜기 형태를 만들어서 조임띠(510)를 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체(530)는 몸체(100)의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볼트(538)와 압축스프링(539)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폐쇄된 원형의 형태로 설치된 조임띠(510)를 볼트(538)를 사용하여 몸체(100) 내부 방향으로 밀어 조임띠(510)를 조일 수 있는데, 이때 볼트(538)와 조임띠(510) 사이에 압축스프링(539)을 설치함으로써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조임띠(510) 안쪽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둔 두 개의 조임띠 지지기둥(550)을 설치함으로써, 두 개의 조임띠 지지기둥(550) 사이의 조임띠(510) 부위를 볼트(538)와 압축스프링(539)으로 가압하면 형성되는 골이 깊어져서 조임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폐쇄된 원형의 조임띠(510)를 조이는 작동체(530)를 사용하는 경우, 조임띠 지지기둥(550) 등을 설치하더라도 조임띠(510)와 파이프(1) 외경과의 거리가 가까워 한 지점을 누르는 것만으로는 조임량이 부족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1)를 중심으로 대칭지점에 또 하나의 조임 부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폐쇄된 원형 형태의 조임띠(510)를 사용하는 경우에, 작동체(530)로 클립(543), 볼트(538), 및 압축스프링(539)을 모두 사용함과 동시에 조임띠 지지기둥(550)을 함께 사용하여 조임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팀쇠링이 중첩되어 내장된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몸체(100)에 체결되는 버팀쇠링(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팀쇠링(110)은 단면이 'ㄷ'자 형태의 링으로 몸체(100)에 체결될 수 있다.
버팀쇠링(110)은 복수 개로 상하 중첩되어 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코너(111)는 몸체(100)에 자체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코너(111)는 버팀쇠링(110)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몸체(100)에 복수 개로 상하 중첩되어 설치된 버팀쇠링(110)을 포함함으로써, 직경이 커서 가해지는 큰 압력을 견뎌야 하는 대구경 고압용으로 만들어진 파이프(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대구경 파이프의 배관 공사를 위해서 ㄷ'자 형태의 버팀쇠링(110)의 내부에 피봇버팀쇠(300)를 내장함으로써 파이프(1)의 단면적에 비례하여 피봇버팀쇠(30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거나, 몸체 내부에 피봇버팀쇠(300)를 수용할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도 11은 도 10에서 센서의 다른 고정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버팀쇠링(110)의 외주면을 평면 형태로 형성하고 해당 부위에 스트레인게이지(4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팀쇠링(110)을 포함하는 경우에 몸체(110)의 외부 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한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의 매립시 받을 수 있는 외부의 영향이 차단되어 더욱 정확한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고, 외부의 영향에 의해 스트레인게이지(4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몸체(100)에 체결되는 오링(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130)은 몸체(100) 내부에 체결함으로써, 파이프(1) 연결시 변형되어 파이프(1)와 몸체(100) 사이의 간극을 막아주어 배관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가 삽입되는 여러 개의 입구를 하나의 몸체(100)에 구성할 수 있어 엘보, 티이 등 다양한 배관 연결장치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이 내장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1000)는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버팀쇠(300)는 복수개가 둥근 띠 형태로 몸체(100) 내부에 체결되는데,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700)은 피봇버팀쇠(300)와 체결되어 피봇버팀쇠(300)가 몸체(10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700)은 돌출부(710)와 버팀쇠 조립띠(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710)는 피봇버팀쇠(300)의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면서, 단면이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버팀쇠 조립띠(730)는 돌출부(710)의 직선 형태의 단면에 맞물려 조립됨으로써, 돌출부(710)를 구속하여 피봇버팀쇠(30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700)은 피봇버팀쇠(300)의 몸체밀착부(310)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710)와 이를 감싸는 판재인 버팀쇠 조립띠(730)를 포함하고, 버팀쇠 조립띠(730)가 돌출부(710)에 고정됨으로써 피봇버팀쇠(30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파이프 100: 몸체
110: 버팀쇠링 111: 피봇코너
130: 오링 150: 개구부
300: 피봇버팀쇠 310: 몸체밀착부
330: 파이프밀착부 400: 센서
410: 스트레인게이지 500: 피봇작동부재
510: 조임띠 530: 작동체
531: 가이드볼트 533: 압축코일스프링
535: 너트 537: 스퍼기어
538: 볼트 539: 압축스프링
541: Ω형 클립 550: 조임띠 지지기둥
700: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 710: 돌출부
730: 버팀쇠 조립띠 1000: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Claims (15)

  1. 진입하는 파이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원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공간에 단면이 'ㄱ'자 형태인 피봇코너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분리되어 위치하면서, 상기 피봇코너에 접면하는 몸체밀착부와 상기 파이프에 접하는 파이프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밀착부를 피봇축으로 하여 피봇운동하는 복수개의 피봇버팀쇠;
    상기 몸체에 고정되면서 상기 몸체의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피봇버팀쇠를 둘러싸는 조임띠와 상기 조임띠를 조이는 작동체를 구비하면서, 상기 피봇버팀쇠를 피봇운동시켜 상기 파이프밀착부를 상기 파이프에 밀착시키는 피봇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외부에서 상기 작동체를 조작하도록 상기 작동체의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광 센서, 소리 센서, 진동 센서, 유속 센서,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피봇버팀쇠의 응력변화를 감지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몸체밀착부와 접면하는 상기 피봇코너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몸체밀착부가 접면하는 상기 피봇코너의 두 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의 두 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 중 원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가 고정되는 상기 원주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띠는 개방된 원형 형태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는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를 이동시켜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의 이동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볼트;
    상기 가이드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와 결합되는 압축코일 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볼트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조임띠의 말단부를 이동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띠는 폐쇄된 원형 형태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는 상기 조임띠의 소정부위에 굴곡을 형성하여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에 체결되면서, 단면이 'ㄷ'자 형태의 링인 버팀쇠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코너는 상기 버팀쇠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포함되는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버팀쇠링의 외부 표면 중 원주면을 평면 상태로 형성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쇠링은 상기 몸체에 복수 개로 상하 중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버팀쇠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봇버팀쇠 탈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200070556A 2020-06-10 2020-06-10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38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56A KR102386354B1 (ko) 2020-06-10 2020-06-10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PCT/KR2021/007232 WO2021251760A1 (ko) 2020-06-10 2021-06-09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56A KR102386354B1 (ko) 2020-06-10 2020-06-10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71A KR20210153471A (ko) 2021-12-17
KR102386354B1 true KR102386354B1 (ko) 2022-04-13

Family

ID=7884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556A KR102386354B1 (ko) 2020-06-10 2020-06-10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6354B1 (ko)
WO (1) WO202125176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20B1 (ko) * 2013-01-18 2013-11-26 정석현 파이프용 밀폐 장치
KR102016102B1 (ko) * 2019-04-05 2019-08-29 최철한 배관용 슬립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09B1 (ko) * 2008-02-21 2011-09-06 쇼본드 카프링 가부시키가이샤 관이음새
JP2010281359A (ja) * 2009-06-03 2010-12-16 Bridgestone Corp 管継手
KR101703673B1 (ko) 2015-01-01 2017-02-08 (주)웨지엔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WO2016144723A1 (en) * 2015-03-06 2016-09-15 Swagelok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train detection in a coup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20B1 (ko) * 2013-01-18 2013-11-26 정석현 파이프용 밀폐 장치
KR102016102B1 (ko) * 2019-04-05 2019-08-29 최철한 배관용 슬립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760A1 (ko) 2021-12-16
KR20210153471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0616B2 (ja) 測定装置もしくは表示装置を物体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
EP2369216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device to a circular structure
US5141260A (en) Force-transferring double-containment plastic pipe assembly
GB2456830A (en) Monitoring loads on pipes using collars and connecting elements with strain sensors
US20120005866A1 (en) Pipe joint restraint systems
GB2457277A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strain in structures
KR101827868B1 (ko) 관로 측정장치
US73609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choring a pipeline
KR102386354B1 (ko)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179062B1 (ko) 이탈감지부를 구비한 신축이음관
KR101844820B1 (ko)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JP5057593B2 (ja)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KR102106823B1 (ko) 밴드형 배관 누설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누설 검출 시스템
CN111076685A (zh) 一种振弦式柔性位移测量装置
KR100942903B1 (ko) 누수 감지관
JP2960969B2 (ja) 管の設置方法
GB2285510A (en) Detection apparatus for use with a cylindrical member
EP3722650B1 (en) A leak detect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leak detector
CN206321293U (zh) 流量计测试工装
KR100779030B1 (ko)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장치
KR100871986B1 (ko)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JP6943775B2 (ja) 二重配管構造および二重配管施工方法
US109824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tensile force exerted while pulling a pipe or line during installation
KR101912879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배관의 손상 및 변형 감지 시스템
Wong et al. Water pipe condition assessment using submersible quasi-distributed optical fibre based pressure transduc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