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102B1 - 배관용 슬립 조인트 - Google Patents

배관용 슬립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102B1
KR102016102B1 KR1020190040232A KR20190040232A KR102016102B1 KR 102016102 B1 KR102016102 B1 KR 102016102B1 KR 1020190040232 A KR1020190040232 A KR 1020190040232A KR 20190040232 A KR20190040232 A KR 20190040232A KR 102016102 B1 KR102016102 B1 KR 10201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exterior
coupling
close contact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한
Original Assignee
최철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한 filed Critical 최철한
Priority to KR102019004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외부 압력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배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가 슬립 조인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내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 내관; 상기 내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대향되는 일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 외관; 상기 플랜지와 대향되는 외관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관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이동을 이루고, 상기 내관과 외관의 동심원 축을 유지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외관의 외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결합부재의 외경에 밀착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관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내관과 외관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탄성장치가 밀착되는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프레임과 탄성장치가 외관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과, 상기 내관의 외경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1연결홈이 형성된 제1완충프레임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과 외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2연결홈이 형성된 제2완충프레임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에 지지되며 내관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재1완충재와, 상기 제2완충프레임에 지지되며 외관의 내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2완충재와, 상기 제1연결홈과 제2연결홈을 연결하도록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결합되어 내관과 외관의 결합 부위를 밀폐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용 슬립 조인트{slip joint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용 슬립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관의 외부 압력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배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가 슬립 조인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슬립 조인트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송관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립 조인트는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이송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와 이송 유체의 온도 및 압력 변화 등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이송관의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송관이 설치된 주위 환경의 변화 등에도 이송관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이송관의 흔들림이나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이송관을 연결할 수 있는 벨로우즈형 신축조인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벨로우즈형 신축조인트는 이송관의 연결은 이룰 수 있으나,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이송관이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안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대응하기 어려워 이송관의 연결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이송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의 신축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배관용 슬립 조인트는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이송관의 신축 변화에는 대응할 수 있으나, 배관용 슬립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된 이송관이 외부 충격이나 환경에 의하여 흔들리는 경우에는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워 이송관과 슬립 조인트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유체가 흘러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립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이송관의 설치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어 슬립 조인트는 물론이고, 슬립 조인트와 연결된 이송관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73209(2012.08.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관과 내관의 동심원 축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외관과 내관에 각각 결합 된 이송관의 동심원 축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슬립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된 이송관이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 의하여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슬립 조인트는 물론이고, 이에 연결되는 이송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이송관의 재설치비용과 작업비용 등을 절감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내관과 외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내관과 외관의 연결부위로 유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내관과 외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내관과 외관으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결합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 내관; 상기 내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대향되는 일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 외관; 상기 플랜지와 대향되는 외관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관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이동을 이루고, 상기 내관과 외관의 동심원 축을 유지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외관의 외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결합부재의 외경에 밀착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관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내관과 외관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탄성장치가 밀착되는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프레임과 탄성장치가 외관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과, 상기 내관의 외경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1연결홈이 형성된 제1완충프레임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과 외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2연결홈이 형성된 제2완충프레임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에 지지되며 내관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재1완충재와, 상기 제2완충프레임에 지지되며 외관의 내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2완충재와, 상기 제1연결홈과 제2연결홈을 연결하도록 내관과 외관의 사이에 결합되어 내관과 외관의 결합 부위를 밀폐시키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고정링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내관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내관의 테두리 부위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밀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구는 하단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탄성바가 볼트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고리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이 개구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판과, 상기 안착홈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판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와 대향되는 내관의 외경에는 외관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내관이 선형 이동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관의 외경에는 상기 결합프레임의 단부와 내관의 외경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로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밀폐부재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어부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는 일면이 내관의 외경에 밀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되는 밀착홈이 형성된 밀폐링과, 상기 밀폐링의 내측에 위치되어 밀폐링과 결합프레임의 밀착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싱기 압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신호를 외부수신기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수신기와 통신모듈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외관과 내관의 동심원 축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외관과 내관에 각각 결합 된 이송관의 동심원 축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둘째, 슬립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된 이송관이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 의하여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슬립 조인트는 물론이고, 이에 연결되는 이송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이송관의 재설치비용과 작업비용 등을 절감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내관과 외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내관과 외관의 연결부위로 유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내관과 외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내관과 외관으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결합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배관용 슬립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배관용 슬립 조인트의 내관, 외관, 결합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인 배관용 슬립 조인트의 탄성장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내관의 외경에 탄성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배관용 슬립 조인트의 밀폐부재와 제어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인 배관용 슬립 조인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배관용 슬립 조인트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배관용 슬립 조인트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다른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내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관통공(10a)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플랜지(11)가 구비된 내관(10); 상기 내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10a)과 연통되는 연결공(20a)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와 대향되는 일단에는 체결공(21a)이 형성된 플랜지(21)가 구비된 외관(20); 상기 플랜지(21)와 대향되는 외관(20)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관(20)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이동을 이루고, 상기 내관(10)과 외관의 동심원 축을 유지시키는 결합부재(30); 상기 외관(20)의 외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결합부재(30)의 외경에 밀착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관(10)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내관(10)과 외관(2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탄성장치(40)가 밀착되는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나사산(31a)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20)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결합프레임(31)과, 상기 나사산(31a)과 대응되는 나사산(32a)이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프레임(31)과 탄성장치(40)가 외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32)과, 상기 내관(10)의 외경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3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내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1연결홈(33a)이 형성된 제1완충프레임(33)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33)과 외관(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3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2연결홈(34a)이 형성된 제2완충프레임(34)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에 지지되며 내관(10)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재1완충재(35)와, 상기 제2완충프레임(34)에 지지되며 외관(20)의 내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2완충재(36)와, 상기 제1연결홈(33a)과 제2연결홈(34a)을 연결하도록 내관(10)과 외관(20)의 사이에 결합되어 내관(10)과 외관(20)의 결합 부위를 밀폐시키는 패킹부재(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0)은 외관(20)에 형성된 체결공(21a)으로 삽입될 수 있게 외관(2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은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관(10)은 도시한 도 1, 도 6에서와 같이, 일단에 체결공(11a)이 형성된 플랜지(11)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외관(20)의 일단에는 체결공(21a)이 형성된 플랜지(2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의 플랜지(11,21)로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1)을 볼트(P)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의 내측에는 관통공(10a)과 연결공(20a)이 각각 형성되어 이송관(1)을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가 내관(10)과 외관(20)의 내측에서 용이한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외관(20)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관(20)의 연결공(20a) 일부를 가리도록 외관(20)의 단부로 결합부재(3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부재(30)는 결합프레임(31), 고정링(32), 제1완충프레임(33), 제2완충프레임(34), 제1완충재(35), 제2완충재(36), 패킹부재(37)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프레임(31)은 상기 탄성장치(40)가 밀착되는 외관(20)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외관(20)의 외경에 위치된 부위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외관(2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사산(3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는, 상기 내관(10)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외관(20)의 개방된 부위 단부를 상기 결합프레임(31)이 감싸도록 결합 되는 것이며, 외관(20)에 결합을 이룬 결합프레임(31)의 내측으로 내관(1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32)은 상기 결합프레임(31)의 나사산(31a)과 대응되는 나사산(32a)이 내경에 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관(20)의 외경으로 결합프레임(31)과 탄성장치(40)가 밀착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프레임(31)과 탄성장치(4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외관(20)의 외경에 결합 되어 상기 결합프레임(31)과 탄성장치(40)가 외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관(20)의 외경에 위치된 결합프레임(31)과 탄성장치(40)가 고정링(32)의 구성을 통하여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관(20)의 개방된 단부에 결합 된 결합프레임(31)의 나사산(31a)으로 고정링(32)에 형성된 나사산(32a)이 결합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관(20)의 외경으로 고정링(32)을 결합하게 됨으로써, 상기 외관(20)과 고정링(32)의 체결력을 통하여 외관(20)과 고정링(32)의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부재(31)와 탄성장치(40)가 외관(20)의 외경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링(32)은 외관(20)의 외경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30)의 결합프레임(31)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은 상기 내관(10)의 외경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31)에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단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프레임(31)과 제1완충프레임(33)의 결합은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이나 제조환경에 따라 상기 결합프레임(31)과 제1완충프레임(33)의 결합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31)에 일단이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타단이 내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이 내관(1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프레임(31)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의 단부에는 제1연결홈(33a)이 형성되어 후술할 패킹부재(37)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완충프레임(34)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완충프레임(34)과 외관(20)의 내경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31)에 일단이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고, 타단은 외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프레임(34)의 단부에는 제2연결홈(34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완충프레임(34)의 제1연결홈(33a)에 단부가 연결된 패킹부재(37)의 타단이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제2완충프레임(33)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완충프레임(32)과 외관(20)의 내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완충프레임(33)과 이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도 7에서와 같이, 내관(10)과 외관(20)의 수직 방향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을 이루는 경우에는 제1완충프레임(33)과 밀착되게 구성됨으로써, 내관(10)과 외관(20)의 수직 방향 유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재(35)는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을 통하여 내관(10)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2완충재(36)는 상기 제2완충프레임(34)을 통하여 외관(20)의 내경에 밀착되게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완충재(35) 및 제2완충재(36)는 상기 제1완충프레임(33)과 제2완충프레임(34)에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거나, 내관(10)의 외경과 외관(20)의 내경에 각각 결합된 후 상기 제1완충재(35)와 제2완충재(36)를 통하여 내관(10)의 외경과 외간(20)의 내경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완충재(35) 및 제2완충재(36)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관(10)과 외관(20)의 수직 방향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1완충프레임(33)과 제2완충프레임(34)으로 탄성력을 전달함으로써, 제1완충프레임(33), 제2완충프레임(34), 결합프레임(31)의 연결되는 구성을 통하여 내관(10)과 외관(20)의 변경된 설치 위치가 본래의 설치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완충재(35) 및 제2완충재(36)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37)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의 제1연결홈(33a)과 제2완충프레임(34)의 제2연결홈(34a)을 연결하며 내관(10)과 외관(20)의 사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도 2,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패킹부재(37)가 내관(10)과 외관(20)의 결합부위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내관(10)과 외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결합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내관(10)의 관통공(10a)과 외관(20)의 연결공(20a)으로 이송되는 유체가 결합부재(30)의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패킹부재(37)는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내관(10)과 외관(20)의 수직 방향으로 압력이 전달되어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내관(10)과 외관(20)이 과다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패킹부재(37)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장치(40)는 상기 결합프레임(31)과 고정링(32)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내관(10)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바(42)와, 상기 탄성바(42)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내관(10)의 테두리 부위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밀착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41)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31)과 고정링(32)의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프레임(31)과 고정프레임(32)의 결합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탄성바(42)는 상기 고정판(41)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타단이 상기 내관(10)의 외경과 인접한 위치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41)과 탄성바(4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하여 결합 구성하거나, 일체로 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밀착구(43)는 상기 탄성바(42)에 상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내관(10)의 테두리 부위에 밀착되게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고정판(41)이 결합프레임(31)과 고정링(32)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구(43)가 상기 고정판(41)과 결합된 탄성바(42)를 통하여 내관(10)의 테두리 부위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바(42)를 통하여 밀착구(43)가 내관(10)의 외경으로 압력을 전달함으로써, 내관(10)과 외관(20)이 비틀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관(10)과 외관(20)이 본래의 설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밀착구(43)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밀착구(43)는 하단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탄성바(42)가 볼트(P)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고리(43a-1)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복수개의 안착홈(43a-2)이 형성된 고정하우징(43a)과, 상기 고정하우징(43a)이 개구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판(43b)과, 상기 안착홈(43a-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판(43b)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탄성체(4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 도 4,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하우징(43a)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체(43c)가 고정하우징(43a)의 개구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판(43b)으로 지속적인 압력을 전달하게 구성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내관(10)과 외관(20)이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는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도 7에서와 같이,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내관(10)과 밀착된 탄성판(43b)으로 탄성체(43c)와 탄성바(42)의 압력을 전달하여 내관(10)과 외관(20)이 본래의 설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판(43b)은 상기 탄성체(43c)와 탄성바(42)의 탄성을 통하여 상기 내관(10)의 외경에 용이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11)와 대향되는 내관(10)의 외경에는 외관(2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내관(10)이 선형 이동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15)가 결합되는 결합홈(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관(1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외관(20)이 선형 이동을 이루는 경우, 내관(10)과 외관(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1,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관(10)의 외경에는 상기 결합프레임(31)의 단부와 내관(10)의 외경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50)와, 상기 밀폐부재(50)로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밀폐부재(50)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어부(6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결합부재(30)를 외관(20)에 설치하는 경우, 결합부재(30)의 결합프레임(31) 단부와 내관(10)의 외경으로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밀폐링(51)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7에서 나타내 바와 같이, 내관(10)과 외관(2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밀폐링(51)의 탄성력을 통하여 내관(10)과 외관(20)이 비틀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관(10)과 외관(20)이 본래의 설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폐링(51)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52)를 통하여 내관(10)과 외관(2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로 전달되게 구성함으로써, 제어부(60)로 전달되는 압력감지센서(52)의 밀착압력에 따라 사용자가 밀폐링(51)의 교체시기와 교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60)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력감지센서(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52)의 압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61)와, 상기 수신기(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52)의 압력신호를 외부수신기(미도시)로 송신하는 통신모듈(62)과, 상기 수신기(61)와 통신모듈(62)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력감지센서(52)가 밀착압력을 감지하게 되는 경우, 상기 수신기(61)로 밀착압력이 전달되게 되고, 수신기(61)로 전달된 밀착압력을 통신모듈(62)이 수신한 후 외부수신기(미도시)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외부수신기(미도시)에 기저장된 비교압력값과 압력감지센서(52)의 밀착압력값을 사용자가 비교함으로써, 밀폐링(51)으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하여 밀폐링(51)의 파손 여부와 노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밀폐링(51)으로 전달되는 압력의 횟수와 압력의 증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수신기(미도시)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압력감지센서(52)를 통하여 감지된 밀착압력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 저장된 밀착압력을 비교할 수 있는 판별기(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외수부신기(미도시)로 수신된 압력감지센서(52)의 밀착압력에 따라 밀폐링(51)의 교체시기와 교체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63)는 상기 수신기(61)와 통신모듈(62)로 전원을 전달할 수 있는 배터리(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외관(20)의 외경으로 태양열전지판(미도시)을 설치하거나, 외부 전원을 통하여 상기 수신기(61)와 통신모듈(62)로 전원을 공급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내관과 외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탄성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내관과 외관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비틀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내관과 외관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본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돌아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이송관 10: 내관
10a: 관통공 11,21: 플랜지
11a,21a: 체결공 12: 결합홈
15: 스토퍼 20: 외관
20a: 연결공 30: 결합부재
31: 결합프레임 31a,32a: 나사산
32: 고정링 33: 제1완충프레임
33a: 제1연결홈 34: 제2완충프레임
34a: 제2연결홈 35: 제1완충재
36: 제2완충재 37: 패킹부재
40: 탄성장치 41: 고정판
42: 탄성바 43: 밀착구
43a: 고정하우징 43a-1: 연결고리
43a-2: 안착홈 43b: 탄성판
43c: 탄성체 50: 밀폐부재
51: 밀폐링 51a: 밀착홈
52: 압력감지센서 60: 제어부
61: 수신기 62: 통신모듈
63: 배러티부 P: 볼트

Claims (6)

  1. 내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관통공(10a)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플랜지(11)가 구비된 내관(10);
    상기 내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10a)과 연통되는 연결공(20a)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와 대향되는 일단에는 체결공(21a)이 형성된 플랜지(21)가 구비된 외관(20);
    상기 플랜지(21)와 대향되는 외관(20)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관(20)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이동을 이루고, 상기 내관(10)과 외관의 동심원 축을 유지시키는 결합부재(30);
    상기 외관(20)의 외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결합부재(30)의 외경에 밀착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관(10)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내관(10)과 외관(2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탄성장치(40)가 밀착되는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나사산(31a)이 형성되어 상기 외관(20)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결합프레임(31)과,
    상기 나사산(31a)과 대응되는 나사산(32a)이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프레임(31)과 탄성장치(40)가 외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32)과,
    상기 내관(10)의 외경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3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내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1연결홈(33a)이 형성된 제1완충프레임(33)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33)과 외관(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3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외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주름 또는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2연결홈(34a)이 형성된 제2완충프레임(34)과,
    상기 제1완충프레임(33)에 지지되며 내관(10)의 외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재1완충재(35)와,
    상기 제2완충프레임(34)에 지지되며 외관(20)의 내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제2완충재(36)와,
    상기 제1연결홈(33a)과 제2연결홈(34a)을 연결하도록 내관(10)과 외관(20)의 사이에 결합되어 내관(10)과 외관(20)의 결합 부위를 밀폐시키는 패킹부재(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40)는
    상기 결합프레임(31)과 고정링(32)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내관(10)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바(42)와,
    상기 탄성바(42)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내관(10)의 테두리 부위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밀착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43)는
    하단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탄성바(42)가 볼트(P)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고리(43a-1)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복수개의 안착홈(43a-2)이 형성된 고정하우징(43a)과,
    상기 고정하우징(43a)이 개구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판(43b)과,
    상기 안착홈(43a-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판(43b)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탄성체(4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와 대향되는 내관(10)의 외경에는 외관(2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내관(10)이 선형 이동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5)가 결합되는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10)의 외경에는
    상기 결합프레임(31)의 단부와 내관(10)의 외경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50)와,
    상기 밀폐부재(50)로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밀폐부재(50)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제어부(6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50)는
    일면이 내관(10)의 외경에 밀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프레임(31)의 단부가 삽입되는 밀착홈(51a)이 형성된 밀폐링(51)과,
    상기 밀폐링(51)의 내측에 위치되어 밀폐링(51)과 결합프레임(31)의 밀착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5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는
    싱기 압력감지센서(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52)의 압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61)와,
    상기 수신기(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감지센서(52)의 압력신호를 외부수신기로 송신하는 통신모듈(62)과,
    상기 수신기(61)와 통신모듈(62)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슬립 조인트.
KR1020190040232A 2019-04-05 2019-04-05 배관용 슬립 조인트 KR10201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32A KR102016102B1 (ko) 2019-04-05 2019-04-05 배관용 슬립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32A KR102016102B1 (ko) 2019-04-05 2019-04-05 배관용 슬립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102B1 true KR102016102B1 (ko) 2019-08-29

Family

ID=6777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32A KR102016102B1 (ko) 2019-04-05 2019-04-05 배관용 슬립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1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60A1 (ko) * 2020-06-10 2021-12-16 김석윤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CN116215209A (zh) * 2023-05-05 2023-06-06 江苏多凯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发动机用减震机架
KR102634929B1 (ko) * 2022-11-16 2024-02-07 (주)앤디스티앤지 배관 연결용 조인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65A (ja) * 1998-01-21 1999-08-06 Wako Steel Kk 伸縮管継手
KR200357078Y1 (ko) * 2004-04-22 2004-07-22 한국조인트(주) 패킹조절형 슬라이드 조인트
KR200424262Y1 (ko) * 2006-05-23 2006-08-17 장동원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101173209B1 (ko) 2012-04-13 2012-08-10 방대석 배관용 슬립조인트
JP2018063046A (ja) * 2016-10-13 2018-04-19 チャンヨプ・アン 耐震用フレキシブルスリップジョイント装置
KR101860264B1 (ko) * 2017-06-07 2018-05-21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배관용 슬립조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65A (ja) * 1998-01-21 1999-08-06 Wako Steel Kk 伸縮管継手
KR200357078Y1 (ko) * 2004-04-22 2004-07-22 한국조인트(주) 패킹조절형 슬라이드 조인트
KR200424262Y1 (ko) * 2006-05-23 2006-08-17 장동원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101173209B1 (ko) 2012-04-13 2012-08-10 방대석 배관용 슬립조인트
JP2018063046A (ja) * 2016-10-13 2018-04-19 チャンヨプ・アン 耐震用フレキシブルスリップジョイント装置
KR101860264B1 (ko) * 2017-06-07 2018-05-21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배관용 슬립조인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60A1 (ko) * 2020-06-10 2021-12-16 김석윤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20210153471A (ko) * 2020-06-10 2021-12-17 김석윤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386354B1 (ko) * 2020-06-10 2022-04-13 김유지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634929B1 (ko) * 2022-11-16 2024-02-07 (주)앤디스티앤지 배관 연결용 조인트
CN116215209A (zh) * 2023-05-05 2023-06-06 江苏多凯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发动机用减震机架
CN116215209B (zh) * 2023-05-05 2023-09-29 江苏多凯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发动机用减震机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102B1 (ko) 배관용 슬립 조인트
RU2470854C2 (ru) Клапан
CN100390029C (zh) 具有单向阀的瓶封口
US2713503A (en) Reinforced expansion joint
CN204962011U (zh) 用于在流体传输线中使用的声音处理组件以及扩散器组件
US4474215A (en) Pressure vessel with improved diaphragm mounting
RU2628841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лотнения системы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подвески
US4344458A (en) Accumulator device with improved bladder seal
RU96108785A (ru) Смеситель, имеющий шаровой клапан и верхнюю уплотнительную прокладку
US20130186205A1 (en) Liquid pressure sensing structure
US7506896B2 (en) Flexible joint with bellows
US4742889A (en) Phonic deadening device for conduit of sanitary installation
CN107063589B (zh) 一种真空管道密封检测装置
CN207364369U (zh) 自力式流量控制阀
KR200213625Y1 (ko) 내진형 배수배관용 이음장치
CN211010053U (zh) 一种真空切换阀组件
KR101575274B1 (ko) 압력계 설치구조
JP2510028Y2 (ja) 耐酸調節弁
CN204624069U (zh) 吹塑容器罐
CN213361067U (zh) 一种密封垫片
CN209783684U (zh) 一种燃气表上盖结构
CN213332539U (zh) 可调式三通截止阀
KR200434272Y1 (ko) 벨로즈 조인트
CN112248994B (zh) 一种制动管路连接固定结构
KR200153541Y1 (ko) 분리가능한 지지체를 구비한 압력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