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669A - 팽창밸브 - Google Patents

팽창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669A
KR20040002669A KR1020030041274A KR20030041274A KR20040002669A KR 20040002669 A KR20040002669 A KR 20040002669A KR 1020030041274 A KR1020030041274 A KR 1020030041274A KR 20030041274 A KR20030041274 A KR 20030041274A KR 20040002669 A KR20040002669 A KR 20040002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tube
orifice
flange por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바야시가즈토
야노마사미치
와타나베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4000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6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25B2341/0683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the sensor is disposed in the suction line and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uction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8Optimization, e.g. high integration of refrigeratio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공조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설치되는 냉매 팽창밸브의 구조 개량을 꾀한다.
팽창밸브(1)는 냉매의 배관이 접속되는 통로를 가지는 배관부재(10)와 카셋트 유니트(100)에 의하여 구성되고, 양자는 별체로 제조된다. 카셋트 유니트(100)는 별체(別體)로 구성되어 플랜지부(111)와 튜브부재(110)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가이드부재(170), 오리피스부재(180), 플레이트부재(150)가 고정된다. 뚜껑체(120)와 다이어프램(130)이 형성하는 가스 충전실(122)의 가스압에 의하여 다이어프램(130)이 변위하고, 스톱퍼부재(140)를 거쳐 샤프트부재(150)에 전달된다. 샤프트부재(150)는 가이드부재(170)에 의하여 안내되어, 밸브실(161) 내의 밸브체(160)를 조작한다. 카셋트 유니트(100)를 배관부재(10)에 삽입하고, 링(50)에 의하여 고정한다. 요소에 밀봉(seal)부재(62, 64, 66)가 장착된다.

Description

팽창밸브{EXPANSION VALV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공조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설치되는 팽창밸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52232호 공보는 팽창밸브 본체에 대하여 다이어프램실을 가지는 기능 부품을 별체로 구성하고, 이 별체의 기능 부품을 밸브본체에 조립해 넣어, 팽창밸브를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감온 케이스 내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스프링 받침과의 사이의 길이를 나사 기구에 의하여 조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동일한 구성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351440호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52232호 공보에 기재된 팽창밸브에 있어서는 감온 케이스의 설치부에 나사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기능 부품 전체를 밸브 본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도 나사기구를 사용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성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팽창밸브를 배관부재와 팽창밸브의 기능을 가지는 카셋트 유니트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소화된 구조를 가지는 팽창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배관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배관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배관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배관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팽창밸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팽창밸브
10 : 배관부재
20 : 배관부재 본체
30, 32, 34, 36 : 냉매통로
100 : 카셋트 유니트
110 : 튜브부재
111 : 플랜지부
120 : 뚜껑부재
122 : 가스 충전실
130 : 다이어프램
140 : 스톱퍼부재
150 : 샤프트
160 : 밸브체
161 : 밸브실
166 : 플레이트 부재
170 : 가이드부재
180 : 오리피스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랜지부와, 이것과 별체의 튜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 오리피스부재 및 플레이트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오리피스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밸브실 내에 배치된 밸브체를 구동하는 상기 가이드부재 및 오리피스부재를 관통하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밸브체를 상기 오리피스부재 측에 탄력지지하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끼우고 가스 충전실을 형성하는 뚜껑부재와,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촉하여 그 변위를 상기 샤프트부재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스톱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뚜껑부재는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끼우고 고착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는 튜브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 충전실과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의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랜지부와 튜브부재가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랜지부와 뚜껑부재가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재, 오리피스부재 및 플레이트부재가 상기 튜브부재에 대하여 코킹가공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부재를 별체로 구성하여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카셋트 구조를 가지는 팽창밸브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체를 부호(1)로 나타내는 팽창밸브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배관부재(10)와 카셋트 유니트(100)를 구비한다.
배관부재(10)는 적절한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본체(20)를 가지고, 본체(20)에는 미도시한 압축기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배관이 접속되는 통로(30), 증발기측(미도시)으로 향하는 냉매의 배관이 접속되는 통로(32),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의 배관이 접속되는 통로(34), 압축기측으로 되돌아오는 냉매의 배관이 접속되는 통로(36)가 형성된다.
본체(20)의 중심부에는 냉매의 통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차가 있는 내경부(40, 42, 44, 46)가 가공된다. 내경부(46)는 바닥이 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배관부재(10)의 본체(20)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카셋트 유니트(10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재를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하여 형성하는 튜브부재(110)를 가진다. 튜브부재(110)는 플랜지부(111)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차부(113, 115)가 만들어져 있다. 튜브부재(110)는, 플랜지부(111)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플랜지부(111)에는 스톱퍼부재(140)가 설치되고, 스톱퍼부재(140)의 표면에 접촉하는 다이어프램(130)의 주변부를 끼운 상태로 뚜껑부재(120)의 외주부가 둘레 전체에 걸쳐 일체로 용접에 의하여 고착된다. 뚜껑부재(120)와 다이어프램(130)은 가스 충전실(122)을 형성하고, 소정의 가스가 충전되며, 뚜껑체(124)에 의하여 밀봉된다. 이 가스 충전실(122)과 다이어프램(130)은 밸브체의 구동 기구를 구성한다.
튜브부재(110)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관통구멍(112, 114, 116)이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부재(140)의 하면에는 샤프트부재(150)가 접촉하고, 샤프트부재(150)는 가이드부재(170)의 중심구멍(171) 및 오리피스 부재(180)의 개구(181)를 관통하여, 밸브실(161) 내에 배치되는 밸브체(160)에 접촉한다.
구형의 밸브체(160)는 지지부재(162)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부재(162)는 스프링(164)을 사이에 두고 고정 플레이트(166)에 지지된다.
가이드부재(170)에는 밀봉(seal)부재(174)가 삽입되고, 유지부재(172)에 의하여 고정된다. 밀봉부재(174)는 샤프트부재(150)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증발기로 향하는 냉매의 통로(32)와,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의 통로(34) 사이의 냉매의 누출을 막는다. 가이드부재(170)는 튜브부재(110)에 대하여 코킹가공부(K1)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오리피스부재(180)와 고정 플레이트(166)도 각각 코킹가공부(K2, K3)에 의하여 고정된다.
카셋트 유니트(100)는 배관부재(10)의 본체(20)의 내경부에 삽입되고, 고정 링(50)에 의하여 고정된다. 카셋트 유니트(100)와 본체(20)의 내경부와의 사이에는 3개의 밀봉부재(62, 64, 66)가 끼워져, 카셋트 유니트(100)의 외주부와 배관부재(10) 본체(20) 내경부와의 사이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증발기로부터 압축기측으로 송출되는 냉매 통로(34, 36) 내의 저압 냉매의 온도가 샤프트부재(150) 및 스톱퍼부재(140)를 거쳐 가스 충전실(122)에 전달되어, 가스 충전실(122) 내에 넣어 봉해진 냉매의 압력이 변화하고, 이 압력 변화가 다이어프램(130)의 변위로서 스톱퍼부재(140)에 의하여 샤프트부재(150)에 전달되고, 밸브체(160)가 오리피스부재(180)의 개구(181)에 접촉·이탈하도록 구동된다. 즉, 증기 압력의 변화와 스프링(164)의 탄력지지력 및 상기 통로(34, 36) 내의 냉매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밸브체(160)가 구동되고, 압축기측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30)로부터 밸브실(161)로 유입되고, 오리피스부재(180)의 개구(181)를 거쳐 팽창되며, 통로(32)로부터 증발기를 향하여 송출된다. 증발기에 송출되는 냉매의 양이 제어된다.
또한, 카셋트 유니트(100)의 튜브부재(110)의 외경부와 배관부재(10)의 본체(20)의 내경부의 사이에는 간극을 두기 때문에 배관부재(10)에 형성되는 각 통로(30, 32, 34, 36)는 자유로운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자유도가 향상되고, 공조장치의 레이아웃도 자유롭게 설정된다
카셋트 유니트(100)는 그 자체에 팽창밸브의 기능 전부를 구비하고 있다.
배관부재(10)는 팽창밸브의 기능을 구비하는 카셋트 유니트(100)에 대한 냉매의 배관을 접속하는 통로를 구비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하므로, 통로의 형상, 구조 등은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카셋트 유니트(100)와 배관부재(10) 사이의 냉매의 밀봉 구조는 확실한 밀봉 성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카셋트 유니트(100)의 튜브부재(110)는 스테인레스 강재를 디프드로잉 가공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므로, 그 가공성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구성이 채용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1의 구성에 비하여 단차부를 줄인 구성이고, 도2에 있어서 전체를 도면 부호 200으로 나타내는 카셋트 유니트는 플랜지부(211)와 일체의 튜브부재(210)를 가지며, 튜브부재(210)에는 단차부(213)가 형성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관통구멍(212, 214, 216)이 설치된다.
플랜지부(211)에는 스톱퍼부재(240)가 설치되고, 스톱퍼부재(240)의 표면에 접촉하는 다이어프램(230)의 주변부를 사이에 끼우고, 뚜껑부재(220)가 일체로 용접된다. 뚜껑부재(220)와 다이어프램(230)은 가스 충전실(222)을 형성하여, 소정의 가스가 충전되고 뚜껑체(224)에 의하여 밀봉된다.
스톱퍼부재(240)의 하면에는 샤프트부재(250)가 접촉되고, 샤프트부재(250)는 가이드부재(270), 오리피스부재(280)를 관통하여, 밸브실(261) 내에 배치되는 밸브체(260)에 접촉한다. 오리피스부재(280)는 코킹가공부(K2)에 의하여 튜브부재(210)에 고정된다.
구형의 밸브체(260)는 지지부재(262)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부재(262)는 스프링(264)을 사이에 두고 고정 플레이트(266)에 지지된다. 고정 플레이트(266)는 코킹가공부(K3)에 의하여 튜브부재(210)에 고정된다.
가이드부재(270)에는 밀봉부재(274)가 삽입되어, 유지부재(272)에 의하여 고정된다.
밀봉부재(274)는 샤프트부재(250)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증발기를 향하는 냉매와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의 누출을 막는다.
가이드부재(270)는 원통형의 외주부를 가지고, 코킹 가공부(K1)에 의하여 튜브부재(210)의 원통부에 고정된다. 가이드부재(270)에 대향하는 튜브부재(210)의 외주부에는 고무로 만든 부시부재(290)가 끼워진다.
이 고무로 만든 부시부재(290)는 카셋트 유니트(200)를 도1에 나타내는 배관부재(10)에 삽입한 때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1과 같이 냉매의 양을 제어할 수 있고, 단차부가 적게 형성되기 쉬운 튜브부재(210)로 할 수있다. 이 때에 튜브부재(210)의 단차부(213)에 밀봉부재(66a)를 그리고 플랜지부(211)의 단차부(215)에 밀봉부재(62a)를 개재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1과 같이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단차부가 적게 형성되기 쉬운 튜브부재(210)로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으로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에 있어서, 전체를 도면 부호 300으로 나타내는 카셋트 유니트는 플랜지부(311)와 일체의 튜브부재(310)를 가지고, 튜브부재(310)에는 단차부(313)가 형성되며, 냉매가 통과하는 관통구멍(312, 314, 316)이 설치된다.
플랜지부(311)에는 스톱퍼부재(340)가 설치되고, 스톱퍼부재(340)의 표면에 접촉하는 다이어프램(330)의 주변을 사이에 끼우고, 뚜껑부재(320)가 일체로 용접된다. 뚜껑부재(320)와 다이어프램(330)은 가스 충전실(322)을 형성하여 소정의 가스가 충전되고, 뚜껑체(324)에 의하여 밀봉된다.
스톱퍼부재(340)의 하면에는 샤프트부재(350)가 접촉하고, 샤프트부재(350)는 가이드부재(370), 오리피스부재(380)를 관통하여, 밸브실(361) 내에 배치되는 밸브체(360)에 접촉한다. 오리피스부재(380)는 코킹가공부(K2)에 의하여 튜브부재(310)에 고정된다.
구형의 밸브체(360)는 지지부재(362)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부재(362)는스프링(364)을 사이에 두고 고정 플레이트(366)에 지지된다. 고정 플레이트(366)는 코킹가공부(K3)에 의하여 튜브부재(310)에 고정된다.
가이드부재(370)에는 밀봉부재(374)가 삽입되고, 유지부재(372)에 의하여 고정된다.
밀봉부재(374)는 샤프트부재(350)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증발기를 향하는 냉매와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의 누출을 막는다.
가이드부재(370)는 원통형의 외주부를 가지고, 코킹가공부(K1)에 의하여 튜브부재(310)의 원통부에 고정된다. 가이드부재(370)와 마주보는 튜브부재(310)의 외주부에는 고무로 만든 부시부재(390)가 끼워진다.
또한, 튜브부재(310)의 단차부(313)에 고무로 만든 밀봉부재(392)를 소부가공에 의하여 장치한다. 플랜지부(311)의 단차부(315)에 밀봉부재(62b)를 사이에 넣는다. 이들 고무 부시부재(390), 밀봉부재(392, 62b)는 카셋트 유니트(300)를 도1의 배관부재(10)에 삽입한 때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카셋트 유니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실시 형태는 단차부를 가지지 않는 튜브부재를 사용하는 구성이고, 도1과 동일한 작용을 가지는 것은 물론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체를 도면 부호 400으로 나타내는 카셋트 유니트는 플랜지부(411)와 일체의 튜브부재(410)를 가지고, 튜브부재(410)는 직원통상으로 형성되며, 냉매가 통과하는 관통구멍(412, 414, 416)이 설치된다.
플랜지부(411)에는 스톱퍼부재(440)가 설치되고, 스톱퍼부재(440)의 표면에 접촉하는 다이어프램(430)의 주변부를 끼우고, 뚜껑부재(420)가 일체로 용접된다. 뚜껑부재(420)와 다이어프램(430)은 감온실이 되는 가스 충전실(422)을 형성하고, 소정의 가스가 충전되며, 뚜껑체(424)에 의하여 밀봉된다.
스톱퍼부재(440)의 하면에는 샤프트부재(450)가 접촉되고, 샤프트부재(450)는 가이드부재(470), 오리피스부재(480)를 관통하여, 밸브실(461) 내에 배치되는 밸브체(460)에 접촉한다. 오리피스부재(480)는 코킹가공부(K2)에 의하여 튜브부재(410)에 고정된다.
구형의 밸브체(460)는 지지부재(462)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부재(462)는 스프링(464)을 사이에 두고 고정 플레이트(466)에 지지된다.
가이드부재(470)에는 밀봉부재(474)가 삽입되고, 유지부재(472)에 의하여 고정된다.
밀봉부재(474)는 샤프트부재(450)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증발기로 향하는 냉매와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매의 누출을 막는다.
가이드부재(470)는 원통형의 외주부를 가지고, 코킹가공부(K1)에 의하여 튜브부재(410)의 원통부에 고정된다. 가이드부재(470)에 대향하는 튜브부재(410)의 외주부에는 고무로 만든 부시부재(490)가 끼워진다.
또한, 밸브실(461)의 외측에는 고무로 만든 부시부재(492)가 끼워진다. 플랜지부(411)의 단차부(415)에 밀봉부재(62c)를 개재시킨다. 이들 고무 부시재(490,492) 및 밀봉부재(62c)는 카셋트 유니트(400)를 도1에 도시하는 배관부재(10)에 삽입한 때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셋트 유니트의 튜브부재는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하여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뿐만 아니라 튜브부재와 플랜지부를 각각 별체로 구성하고, 별체로 구성된 튜브부재와 플랜지부를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5는 튜브부재와 플랜지부재를 별체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튜브부재와 플랜지부를 별체로 구성하고 있다. 도5에 있어서 도1과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균등부분을 나타내고, 110'은 튜브부재, 111'은 플랜지부재이고, 튜브부재(110') 및 플랜지부재(111')는 각각 별체로 구성되어 양자는 예를 들면 TIG용접에 의하여 플랜지부재(111')의 통상부분(111'a)에 있어서, 용접부위(W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플랜지부재(111')와 뚜껑부재(120)로 다이어프램(130)의 주변부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용접에 의하여 플랜지부재(111')와 뚜껑부재(120)가 고착되어, 가스 충전실(122)을 형성한다. 이 가스 충전실(122)과 다이어프램(130)에 의하여 밸브체(160)의 구동 기구가 구성된다.
또한, 도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어프램(130)의 변위가 전달되는 스톱퍼부재(140)는 대경부(140a)와 이것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부(140b)로이루어지고, 대경부(140a)의 주변은 연장되어 플랜지부(111)'에 맞걸리고, 소경부(140b)의 주위는 튜브부재(110')의 내부에 접촉하며, 그 하부는 샤프트부재(150)의 상단이 내부에 끼워지는 원통상의 돌기부(140c)를 가지고, 샤프트부재(150)의 하단은 밸브체(160)에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통로(30)에 공급되는 압축기측으로부터 나온 냉매는 밸브실(161)에 유입되고, 오리피스부(180)를 거쳐 팽창되며, 통로(32)로부터 증발기를 향하여 송출되고, 이 때, 증발기로부터 압축기측으로 향하는 통로(34 및 36)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압력에 의하여 가스 충전실(122) 내에 넣어 봉한 냉매의 압력 변화에 따른 다이어프램(130)의 변위에 의하여 밸브체(160)가 샤프트부재(150)에 의하여 구동되고, 오리피스부재(180)의 개구(181)에 접촉·이탈하고, 증발기에 송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제어됨으로써,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튜브부재와 플랜지를 별체로 구성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튜브부재를 적당한 부분에서 별체로 하고, 별체로 한 튜브부재를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즉, 도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별체의 튜브부재를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6에 있어서, 도1의 튜브부재(110)는 튜브부재(110a와 110b)로 별체로 구성되고, 튜브부재(110a와 110b)를, 예를 들면 파이프부재(110a)의 단차부(113')의 근방에서, 예를 들면 TIG용접에 의하여 용접부위(W2)에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6에 있어서, 파이프부재(110a)와 플랜지부(111')의 통상부분(111'a)은 도1과 같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을 도5와 같이 별체로 구성하여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6에 있어서, 도1 및 도5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균등부분을 나타내고 동일한 작용을 가지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5 및 도6의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스톱퍼부재(140)는 도1의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스톱퍼부재와 동일 형상의 구성으로 하여도 되며, 또한 도2, 도3 및 도4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5 또는 도6의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부재와 플랜지부를 별체로 구성하고, 별체의 이들을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고, 또한 별체로 구성한 튜브 부재를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세트(100)와 본체(20)의 내경부와의 사이의 밀봉부재(62)는 플랜지부(111')의 통상부분(111'a)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으로 관한 팽창밸브의 설계 자유도에 대하여, 도7∼도10을 들어 설명한다. 또한, 도7∼도10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팽창밸브(1)를 증발기에 설치하는 경우에, 팽창밸브(1)에 냉매용 배관을 플랜지(51 및 51')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플랜지 접속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플랜지(51 및 51')는 각각 O링(52, 52') 및 O링(53, 53')에 의하여 밀봉이 되도록 팽창밸브(1)의 배관부재(10)의 본체(20)에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플랜지 접속에 의하여 팽창밸브(1)를 증발기에 접속하는 경우를 도6에 의하여 나타낸다.
도8은 도1에 나타내는 팽창밸브(1)를 증발기(54)에 접속하는 경우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미도시한 압축기측에서의 냉매가 배관(55)을 거쳐 냉매통로(30)에 도입되고, 냉매통로(32)를 지나 배관(56)을 거쳐 증발기(54)에 송출되고, 증발기(54)를 지나, 증발기(54)로부터 송출되는 냉매가 배관(57)을 거쳐 냉매통로(34)에 유입되며, 냉매통로(36)를 거치고 배관(58)을 거쳐 압축기측으로 송출된다. 각 배관(55∼58)은 플랜지(51 및 51')에 예를 들면 삽입되거나 압입되어 접속된다. 또한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9 및 도10은 도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팽창밸브(1)에 배관을 접속하는 경우에, 배관부재(10)의 본체(20)에 직접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는 파이프 접속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에 있어서, 배관부재 본체(20)에 형성된 각 냉매통로(30, 32, 34 및 36)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파이프(70, 71, 72 및 73)가 각각 접속되고, 용접부위(W)에서 배관부재 본체(20)에 고착된다.
도10은 도9에 도시하는 파이프 접속에 있어서, 파이프(70)를 내경부(46)에 접속한 경우를 나타내고, 배관부재 본체(20)에 압축기측으로부터의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통로(30')가 형성되어 있어, 내경부(46)에 연통하고 있다. 이 통로(30')에파이프(70')가 용접부위(W')에서 용접되고, 배관부재 본체(20)에 고착된다. 또한 도10에서는 플레이트부재(166)에 관통구멍(166')을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11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같이 뚜껑부재(120)를 금속 또는 수지 혹은 고무로 만든 보호 커버(121)로 덮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1에 있어서는 보호 커버(121) 이외의 구성은 도1과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또 도11에 나타내는 보호 커버(121)는 상술한 도1의 실시 형태 이외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팽창밸브는 이상과 같이, 공조장치의 각 기기와 팽창밸브를 잇는 배관이 접속되는 배관부재와 배관부재에 삽입되는 팽창밸브의 기능을 가지는 카셋트 유니트를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하고, 양자를 조합하여 팽창밸브를 제작하는 것이다.
배관부재에 형성되는 냉매배관 접속방법 및 냉매 통로의 방향은 적용되는 공조장치의 레이아웃에 맞추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셋트 유니트의 구조도 간소화되어, 전체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9)

  1. 플랜지부와 이것과 별체의 튜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 오리피스부재 및 플레이트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오리피스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밸브실 내에 배치된 밸브체를 구동하는 상기 가이드부재 및 오리피스부재를 관통하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밸브체를 상기 오리피스부재 측에 탄력지지하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끼우고 가스 충전실을 형성하는 뚜껑부재와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촉하여 그 변위를 상기 샤프트부재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스톱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뚜껑부재는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끼우고 고착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는 튜브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 충전실과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의 구동 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튜브부재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뚜껑부재는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 오리피스부재 및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에 대하여 코킹가공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5.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튜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 오리피스부재 및 플레이트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오리피스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밸브실 내에 배치된 밸브체를 구동하는 상기 가이드부재 및 오리피스부재를 관통하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밸브체를 상기 오리피스부재측에 탄력지지하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끼우고 가스 충전실을 형성하는 뚜껑부재와,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촉하여 그 변위를 상기 샤프트부재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스톱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뚜껑부재는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끼우고 고착되는 동시에, 상기 튜브부재는 별체의 튜브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 충전실과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의 구동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별체의 튜브부재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튜브부재는 별체로 구성되고,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뚜껑부재는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9. 제5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 오리피스부재 및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에 대하여 코킹가공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밸브.
KR1020030041274A 2002-06-27 2003-06-24 팽창밸브 KR20040002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7936 2002-06-27
JP2002187936A JP2004028261A (ja) 2002-06-27 2002-06-27 膨張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669A true KR20040002669A (ko) 2004-01-07

Family

ID=2971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274A KR20040002669A (ko) 2002-06-27 2003-06-24 팽창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35573B2 (ko)
EP (1) EP1376034B1 (ko)
JP (1) JP2004028261A (ko)
KR (1) KR20040002669A (ko)
DE (1) DE6032749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940A (ja) * 2004-02-13 2005-08-25 Fuji Koki Corp 膨張弁
US7987681B2 (en) * 2005-10-20 2011-08-02 Earthlinked Technologies, Inc. Refrigerant fluid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MX2011000688A (es) * 2008-07-22 2011-03-15 Basf Se Combinaciones que contienen resinas epoxi y mezclas de aminas con derivados de guanidina.
CN104178926B (zh) 2009-01-16 2018-02-09 Zeus工业品公司 利用高粘度材料对ptfe进行电纺丝
US20130268062A1 (en) 2012-04-05 2013-10-10 Zeus Industrial Products, Inc. Composite prosthetic devices
CN102470030A (zh) 2009-08-07 2012-05-23 宙斯工业产品股份有限公司 包含静电纺纤维层的假体装置及其制备方法
CN103561682A (zh) 2011-01-28 2014-02-05 梅瑞特医药体系股份有限公司 静电纺丝ptfe涂层支架及其使用方法
US9163333B2 (en) 2011-07-15 2015-10-20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electrospinning a graft layer
CN110064076A (zh) 2012-01-16 2019-07-30 麦瑞通医疗设备有限公司 被旋转纺丝材料覆盖的医疗器械和制造方法
EP2884134B1 (en) * 2012-08-07 2017-03-01 Zhejiang Sanhua Automotive Components Co., Ltd. Thermoregulator
US11541154B2 (en) 2012-09-19 2023-01-03 Merit Medical Systems, Inc. Electrospun material covered medic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198999B2 (en) 2012-09-21 2015-12-01 Merit Medical Systems, Inc. Drug-eluting rotational spun coatings and methods of use
WO2014159399A1 (en) 2013-03-13 2014-10-02 Merit Medical System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manufacturing rotational spun appliances
CN104884694B (zh) 2013-03-13 2018-09-11 麦瑞通医疗设备有限公司 连续沉积的纤维材料以及相关联的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443A (en) * 1987-06-30 1989-04-11 Fujikoki America, Inc. Expansion valve
JPH01230966A (ja) * 1988-03-10 1989-09-14 Fuji Koki Seisakusho:Kk 冷凍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温度膨脹弁
JPH03100768U (ko) * 1990-01-26 1991-10-21
US5269459A (en) * 1991-10-17 1993-12-14 Eaton Corporation Thermally responsive expansion valve
JPH0829019A (ja) * 1994-07-11 1996-02-02 Izumi Giken:Kk 冷房装置用膨張弁
JPH08152232A (ja) 1994-11-25 1996-06-11 Zexel Corp 膨張弁
US6062484A (en) 1998-05-20 2000-05-16 Eaton Corporation Modular thermal expansion valve and cartridge therefor
JP2000016068A (ja) * 1998-07-08 2000-01-18 Sanden Corp 温度自動膨張弁
US6185959B1 (en) * 1999-04-09 2001-02-13 Eaton Corporation Refrigerant system components with cartridge type thermal expansion valv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350010A (ja) * 2001-05-29 2002-12-04 Fuji Koki Corp 膨張弁
JP4156212B2 (ja) * 2001-05-29 2008-09-24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6260A1 (en) 2004-01-29
US6935573B2 (en) 2005-08-30
JP2004028261A (ja) 2004-01-29
DE60327491D1 (de) 2009-06-18
EP1376034B1 (en) 2009-05-06
EP1376034A3 (en) 2004-04-21
EP1376034A2 (en) 200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2669A (ko) 팽창밸브
KR20060041893A (ko) 팽창밸브
KR20040010262A (ko) 팽창밸브
KR100835749B1 (ko) 팽창밸브
KR100828195B1 (ko) 팽창밸브
EP1382920B1 (en) Expansion valve
JP2004028491A (ja) 膨張弁
JP2002022049A (ja) モーターバルブ
JP4047088B2 (ja) 膨張弁
JP2003254460A (ja) 圧力制御弁
US6776351B2 (en) Expansion valve
JP4462813B2 (ja) 膨張弁
JP4146255B2 (ja) 膨張弁
JP2004050893A (ja) 膨張弁
JPS6223185B2 (ko)
JPH0926233A (ja) 膨張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