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09B1 - 관이음새 - Google Patents

관이음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09B1
KR101062509B1 KR1020080015700A KR20080015700A KR101062509B1 KR 101062509 B1 KR101062509 B1 KR 101062509B1 KR 1020080015700 A KR1020080015700 A KR 1020080015700A KR 20080015700 A KR20080015700 A KR 20080015700A KR 101062509 B1 KR101062509 B1 KR 10106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haped
rod
slide plat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470A (ko
Inventor
준지 기리하라
Original Assignee
쇼본드 카프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본드 카프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본드 카프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1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토크렌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관이음새의 조임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한 쪽 및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을 삽입·삽치한다. 그리고, 조임볼트(23, 23)의 볼트머리(23a,23a)를 토크렌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나사회전공구 등 간단한 공구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조임볼트(23,23)를 막대형상 너트(21) 및 막대형상 와셔(22)내에 가로방향으로 진입시킨다. 상기 조임볼트(23,23)는 막대형상 너트(21)와 나사 결합한다. 조임볼트(23,23)의 나사 넣기 조작에 따라 상기 막대형상 와셔 (22)와 막대형상 너트(21)가 서로 접근하도록 동작하고, 대향하여 배치된 각 브래킷(20,20)을 서로 접근시키도록 잡아당긴다. 그리고, 한쪽의 브래킷(20)의 컬부 (20c)와 다른 쪽의 브래킷(20)의 컬부(20d)의 각각의 외표면이 P점에서 충돌한다.

Description

관이음새{PIPE JOINT}
본 발명은, 케이싱의 둘레길이를 엄격하게 치수 관리함으로써, 조임볼트를 소정의 토크치까지 단단히 조였을 때, 브래킷의 좌우단에 형성한 쌍방의 컬부가 충돌되어, 브래킷의 틈새가 닫혀 멈추는 관이음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관이음새의 제 1 예로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5-25316호에 개시한 기술이 있다. 이것에 대해 설명하면, 관이음새(1)는 관의 바깥둘레를 피복하는 슬리브(2)와, 이 슬리브(2)의 바깥둘레를 피복하고 상기 슬리브(2)를 관바깥둘레에 체결하는 케이싱(3)과, 케이싱(3)의 양단 개구 (3a,3a)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4)와 슬리브(2)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싱(3)에 의한 관의 조임시 관의 바깥둘레에 파고들어 관이음새(1)내에 관을 고정하는 그립 링(5) 및, 이 그립 링(5)을 케이싱(3)내에 고정하는 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치(對峙)하여 배치된 케이싱(3)의 단부(3b,3c)는, 각각 이 단부(3b,3c)로부터 연장된 설편(6a,6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설편(6a,6b)을 상기 반원호형상의 플랜지(4)의 바깥쪽으로 되접어 꺾어 그 선단을 상기 플랜지(4)의 바깥둘레상에 고착하고, 막대형상 와셔(7a)를 내접하는 원호를 일부에 형성하는 브래킷(8)을 형성하고 있 다.
그리고, 이 설편(6a)과 플랜지(4)의 한 쪽단의 바깥둘레사이에 형성된 브래킷(8)내에는 볼트(9,9)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큰 안지름을 갖는 2개의 구멍이 설치된 막대형상 와셔(7a)가 지지되어 있고, 플랜지(4)의 다른쪽 단의 바깥둘레와 설편 (6b) 사이에 형성된 브래킷(8)내에는, 상기 볼트(9,9)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을 갖는 막대너트(7b)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8,8)에는, 상기 볼트 (9,9)를 막대형상 와셔(7a) 및 막대너트(7b)에 끼워 통하기 위한 열린 구멍(10,10)이 뚫려져 있고, 이 열린 구멍(10,10)을 통하여, 상기 볼트(9,9)를 막대형상 와셔 (7a) 및 막대너트(7b)에 끼워 통하고, 또한 막대형상 와셔(7a) 및 막대너트(7b)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막대형상 와셔(7a), 막대너트(7b)를 지지한 브래킷(8,8)은, 그 외벽을 예를 들면 펀치 등으로 눌러 찌부러뜨려 눌린 자국 부분을 형성하고, 브래킷(8,8)의 내벽이 상기 막대형상 와셔(7a), 막대너트(7b)에 압접(壓接)하도록 하여, 브래킷(8,8)내에 지지된 막대형상 와셔(7a), 막대너트(7b)가 브래킷(8,8)내에서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볼트(9,9)의 선단부는, 선단 방향으로 서서히 가늘게 단면 변화하는 원추형상 또는 재두(載頭) 원추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이 볼트(9,9)가 삽입되는 막대너트(7b)의 나사구멍 입구주변에는, 상기 볼트(9,9)의 선단부를 막대너트 (7b)의 나사구멍내로 안내하기 위한 절구형상의 자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3)을 형성하는 플랜지(4)의 한 쪽단의 안둘레면 또는 케이싱(3)의 안둘레면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3)의 안둘레와 대략 같은 곡률로 만곡하는 슬라이드판(11)의 일단이 스폿용접이나 리벳 부품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5는 그립 링을 나타내고, 이 그립 링(5)은, 관이음새(1)의 안쪽 방향으로 그 중심이 경사지는 고리형상을 이루고, 또한, 그 안둘레에는, 등간격에 복수의 톱니 (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5a)는, 상기 고리형상의 링의 안둘레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절취선을 넣어, 이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조금 들어올려 형성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5-25316호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한 쪽, 다른 쪽의 배관을 관이음새(1)로 접합하기 위해서는 특이한 구조를 갖는 토크렌치를 필요로 하는 데다가, 종래의 토크치에 의한 시공 관리방법은 여러 가지 요인에서 불안정한 관이음새의 접합구조이었다. 그 요인으로서는, 볼트(9,9)의 윤활코팅의 막두께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볼트 (9,9)의 마찰계수에 불균형이 생기기 쉽고, 축력(軸力)에 불균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크렌치에 의한 경우는 공구이면서 정기 메인터넌스를 게을리하면 10∼15% 정도는 조임 오차가 생겨 버려, 건설현장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관이음새 (1)는 볼트(9,9)가 2개 갖추어져 있어, 시공시는 교대로 조이는 것이지만, 한쪽을 조이면 다른 한쪽이 느슨해지는 특성이므로 좌우 같은 토크치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생겼다. 그리고, 시공의 불균형이 커져 시공의 관리방법으로서는 불확실하였다.
또한, 한쪽, 다른 쪽의 배관의 종류에 따라서는 표면이 스테인리스제의 경질인 경우나 염화비닐제의 유약질이 있으며, 같은 토크치로 관이음새(1)를 조이면 지나치게 조여지는 경우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한쪽, 다른 쪽의 배관에 데미지를 주는 위험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는, 토크렌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관이음새에 구비한 케이싱의 개구가장자리의 쌍방에 컬부를 형성한 브래킷에 의해, 이 쌍방의 컬부가 충돌하면 급격하게 관이음새(1)의 조임 저항이 커져, 작업원은 손의 감각으로 조임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신규 관이음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이음새(B)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관이음새(B)에 삽입·장치하는 한 쪽, 다른 쪽의 배관(도시하지 않음)의 바깥둘레를 피복하는 슬리브(15)와, 이 슬리브(15)의 바깥둘레를 피복하고 상기 슬리브(15)를 상기 배관 바깥둘레에 체결하는,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과, 상기 케이싱(16)의 양단 개구(17)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18)와 슬리브(15)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싱(16)에 의한 한쪽,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의 조임시, 상기 배관의 바깥둘레에 파고들어 관이음새(B) 내에 배관을 고정하는 그립 링(19) 및, 이 그립 링 (19)을 케이싱(16)내에 고정하는 링(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치하여 배치된 플랜지(18)의 단부(18a,18b)는, 상기 케이싱(16)의 바깥쪽으로 되접어 꺾어 그 선단을 상기 케이싱(16)의 바깥둘레상에 고착하고, 막대형상 너트(21) 및 막대형상 와셔(22)를 내접하는 원호, 즉 컬부(20c,20d)를 일부에 형성하는 브래킷 (20)을 원하는 개수를 쌍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컬부(20c와 20d)는 적당히 간격을 갖고 대향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20,20)내에는 조임볼트(23)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큰 안지름을 갖는 구멍이 설치된 막대형상 와셔(22)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조임볼트(23)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을 갖는 막대형상 너트(21)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20,20)에는, 상기 조임볼트(23)를 막대형상 너트(21) 및 막대형상 와셔(22)에 끼워 통하기 위한 열린 구멍(20e,20f)이 뚫려져 있고, 상기 조임볼트의 볼트머리(23a)의 바깥둘레가 열린 구멍(23f)의 윗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볼트머리는 열린 구멍(20f)보다 크다. 이 열린 구멍(20e,20f)을 통하여, 상기 조임볼트(23)를 막대형상 와셔(22)에 끼워 통하고, 또 막대형상 너트(21)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막대형상 너트(21) 및 막대형상 와셔 (22)에 지지된 브래킷(20,20)은, 그 외벽을, 예를 들면 펀치 등으로 눌러 찌부러뜨려 눌린 자국 부분을 형성하고, 브래킷(20,20)의 내벽이 상기 막대형상 와셔(22), 막대형상 너트(21)에 압접하도록 하여, 브래킷(20,20)내에 지지된 막대형상 와셔(22) 및 막대형상 너트(21)가 브래킷(20,20)내에서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슬리브(15)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상술의 케이싱(16)의 안둘레와 대략 동일한 바깥지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슬리브(15)의 바깥둘레는, 케이싱(16)의 안둘레면과의 양호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5)의 안둘레면은, 예를 들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브(15)의 안둘레면의 요철형상은, 그 중앙부에 있어서 물결형상으로 기복하고 있다. 19는 그립 링을 나타내고, 이 그립 링(19)은, 관이음새(B)의 안쪽 방향으로 그 중심이 경사지는 고리형상을 이루고, 또한, 그 안둘레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톱니(1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19a)는, 상기 고리형상의 그립 링(19)의 안둘레로부터 대략 L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절취선(19b)을 넣고, 이 절취선(19b)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조금 들어올려 형성한 것이다. 톱니 (19a)는 그 상면의 한 쪽 단면에 칼날끝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그립 링(19)은, 상기 케이싱(16)의 플랜지(18)와, 이 케이싱(16)내에 배치된 슬리브(15)의 개구단 사이에 삽입된다.
여기에 있어서, 케이싱(16)은 바깥쪽의 되접어 꺾은 부분(C)으로부터 한쪽, 다른 쪽의 컬부(20c,20d)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브래킷(20,20)을 구성하고, 이 브래킷(20)의 단부(20a,20b)는 상기 케이싱(16)의 외표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16)의 바깥쪽으로 되접어 꺾은 부분(C)의 한 쪽측 및 다른 쪽측에 복수단, 즉 2단의 돌출조(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조(24…)는 대략 산형상으로,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케이싱(16)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프레스가공이나 형에 의한 돌출설치가공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돌출조(24…)는,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 돌기물을 용착(溶着)수단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 상기 케이싱(16)의 도 4에 나타내는 위쪽 개구(D)를 폐색하도록, 도 5에 나타내는 대략 원호형상의 슬라이드판(25)을 삽입·배치한다. 상기 슬라이드판 (25)은, 케이싱(16)의 양단 개구(17,17) 둘레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8)에 자유롭게 가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 접촉하면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그 바깥둘레면에 비교적 긴 소정 길이 L의 복수단, 즉 2단의 단면이 대략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홈(25a…)을, 예를 들 면 바깥둘레면으로부터의 프레스 수단 등에 의해 프레스가공이나 형성형(型成形)에 의해 제작한다. 이 단면이 대략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홈(25a…)은 상기 돌출조 (24…)에 자유롭게 가동되도록 걸어맞춤하고 있다. 상기 단면이 대략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홈(25a…)은, 상기 슬라이드판(25)의 판두께가 얇기 때문에, 그 강도 부족을 보완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 장착된 슬리브(15)의 바깥둘레면의 일부에는, 케이싱(16)의 안둘레와 대략 같은 곡률로 만곡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슬라이드판(25)이 자유롭고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판 (25)은, 케이싱(16)의 개폐에 수반하여, 케이싱(16)을 형성하는 플랜지(18)의 안둘레와 슬라이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6)의 양단 개구둘레가장자리에는, 케이싱(16)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8)가 설치되고, 또한, 플랜지(18)의 안둘레면에 고착된 상기 슬라이드판(25)에도 같은 플랜지(25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6)내에는, 원통형상의 슬리브(15)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는 서술상의 구성을 가지므로 다음의 효과가 있다.
토크렌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의 둘레길이 혹은 지름길이를 관리함으로써, 조임볼트의 토크치가 아니라 브래킷의 쌍방의 컬부의 충돌위치, 즉 단단히 조임량을 작업자에 의한 손의 감촉으로 용이하게 확인·관리할 수 있어, 조임 부족이나 지나치게 조임을 방지하고, 더불어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내에 배치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리브의 압축률을 균일하게 하여, 그립 링의 톱니를 한쪽, 다른 쪽의 배관의 표면에 적정하게 파고들어가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의 안둘레면의 한쪽 및 다른 쪽측에 복수개를 나열한 대략 산형상의 돌출조를 형성하고, 상기 대략 산형상의 돌출조에 걸어맞춤하는 복수의 소정 길이의, 단면이 대략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홈을 바깥둘레면에 형성하고, 또한 케이싱의 플랜지내에 배치한 자유롭게 가동되는 대략 원호형상의 슬라이드판을 설치했으므로, 상기 관이음새의 조립공정으로 스폿용접이나 리벳 멈춤공정을 생략하고, 상기 관이음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부품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고, 상기 관이음새로부터 이것에 연결한 배관(파이프)을 떼어낼 때, 상기 대략 원호형상의 슬라이드판을 변형 또는 왜곡시키는 일 없이 만일 상기 슬라이드판이 변형된 경우에도 그 떼어내기 및 상기 슬라이드판의 교체가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에 조립 부착된 슬라이드판의 동작 등을 설명한다.
상술한 관이음새(B)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 해당 관이음새(B)에 있어서의 케이싱(16)의 양단 개구(17,17)로부터 예를 들면, 한쪽 및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을 삽입·장치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2개의 상기 조임볼트(23,23)의 볼트머리 (23a,23a)를 토크렌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나사회전공구(도시하지 않음) 등 간단 한 공구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조임볼트(23,23)를 상기 막대형상 너트(21) 및 막대형상 와셔(22)내에 가로방향으로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조임볼트(23,23)는 막대형상 너트(21)와 나사 결합한다. 그렇게 하여, 조임볼트(23,23)의 나사 넣기 조작에 따라서 상기 막대형상 와셔(22)와 막대형상 너트(21)가 서로 접근하도록 동작하고, 대향하여 배치된 각 브래킷(20,20)을 서로 접근시키도록 잡아당긴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브래킷(20)의 컬부(20c)와 다른 쪽의 브래킷 (20)의 컬부(20d) 각각의 외표면이 P점에서 충돌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임 완료시에 있어서의 조임 저항이 급증함으로써, 상기 조임볼트(23,23)의 조임 작업이 완료한 취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케이싱(16)의 위쪽 개구(D)를 닫도록 동작하고,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케이싱(16)의 관지름을 축소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 형성한 한쪽측 및 다른 쪽측의, 예를 들면 2단으로 구성된 돌출조(24,24)가 슬라이드판(25)의, 예를 들면 2단으로 구성된 가로홈(25a,25a)에 가이드 되면서 좌·우방향, 즉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의 관지름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동한다. 그리고,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의 관지름을 축소하면, 상기 그립 링(19)의 톱니(19a)의 칼날끝이 삽입·장치된 한쪽,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의 바깥둘레면에 파고들어, 상기 한쪽,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이 견고하게 상기 관이음새(B)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가로홈(25a…)은, 보강겸 가이드의 역할을 갖는다.
관이음새(B)가 개방했을 때,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의 위쪽 개구(D)를 가졌을 때, 상기 한쪽측 및 다른 쪽측 의 2단 돌출조(24,24) 및 돌출조(24,24)가 슬라이드판(25)의 2단의 가로홈 (25a,25a)의 좌·우 종단벽(25c,25d)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좌·우 종단벽 (25c,25d)이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상기 돌출조(24,24)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은,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의 위쪽 개구(D)의 정도를 설정하고, 상기 관이음새(B)를 개방시켜, 이것에 삽입·장치하는 한쪽,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을 탈착할 때에 필요한 개도(開度)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관이음새(B)의 개방 정도를 크게 하고 싶을 때는, 상기 슬라이드판(25)의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가로홈(25a,25a)의 소정 길이 L의 길이를 길게 하면 좋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한쪽 및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을 관이음새(B)에서의 케이싱(16)의 양단 개구(17,17)로부터 떼어낼 때는, 2개의 상기 조임볼트(23,23)의 볼트머리(23a,23a)를 나사회전공구 등에 의해, 상기와는 역회전시켜 상기 조임볼트 (23,23)를 막대형상 너트(21) 및 막대형상 와셔(22)로부터 뽑아내어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시켜, 상기 한쪽 및 다른 쪽의 배관(파이프)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에 구비한 슬라이드판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
즉, 상술한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싱(16)의 바깥쪽에 되접어 꺾은 부분(C)의 한쪽측 및 다른 쪽측에 복수단, 즉 2단으로 이루어지는 가로홈을 형성한다. 이 가로홈은 비교적 긴 소정 길이 L의 단면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가로홈을, 예를 들면 바깥둘레면으로부터의 프레스 수단 등에 의해 프레스 가공이나 형성형에 의해 제작한다. 그리고, 슬라이드판(25)을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판(25)은 상기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16)의 안둘레면에 접촉하고 또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로홈에 자유롭게 가동되도록 걸어맞춤함과 함께, 그 바깥둘레면에, 예를 들면 대략 산형상의 복수단, 즉 2단의 돌출조를 형성한다. 이 대략 산형상의 돌출조는 슬라이드판(25)의 안둘레면으로부터의 프레스 수단 등에 의해 프레스 가공이나 형성형에 의해 제작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브래킷의 쌍방의 컬부가 충돌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E-E선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에 적용하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새의 구조에 적용하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의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조립한 슬라이드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관이음새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관이음새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슬리브 16 : 케이싱
17 : 양단 개구 18 : 플랜지
19 : 그립 링 20 : 브래킷
20c, 20d 컬부 21 : 막대형상 너트
22 : 막대형상 와셔 23 : 조임볼트
23a, 23a : 볼트머리 24 : 돌출조
25 : 슬라이드판

Claims (4)

  1. 단면이 C자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양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와,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된 슬리브와, 상기 케이싱에 의한 관의 조임시 상기 슬리브내에 관을 고정하고 또한 안둘레에 복수의 칼날을 형성한 그립 링과, 상기 플랜지의 한 쪽단 및 다른 쪽단의 바깥둘레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케이싱의 개구 가장자리의 쌍방에 컬부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과 일체가 되는 대향 배치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상기 컬부내에 각각 끼워 통하여 배치된 막대형상 와셔 및 막대너트와, 상기 막대형상 와셔 및 막대너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끼워 통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케이싱을 조이는 복수의 조임볼트로 구성된 관이음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안둘레면에 자유롭게 가동되도록 배치된 원호형상의 슬라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안둘레면의 한 쪽측 다른 쪽측에 소정 길이의 복수단의 가로홈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판의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싱의 가로홈에 걸어맞춤하는 복수단의 돌출조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이 조임 완료시에, 상기 조임볼트의 바깥둘레가 상기 브래킷의 열린 구멍의 윗면에 접촉하여 상기 브래킷의 쌍방의 컬부가 충돌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가로홈 대신 돌출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에는 돌출조 대신 가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이, 상기 케이싱의 양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플랜지내에 자유롭게 가동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새.
  4. 삭제
KR1020080015700A 2008-02-21 2008-02-21 관이음새 KR10106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700A KR101062509B1 (ko) 2008-02-21 2008-02-21 관이음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700A KR101062509B1 (ko) 2008-02-21 2008-02-21 관이음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470A KR20090090470A (ko) 2009-08-26
KR101062509B1 true KR101062509B1 (ko) 2011-09-06

Family

ID=4120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700A KR101062509B1 (ko) 2008-02-21 2008-02-21 관이음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80B1 (ko) * 2013-03-27 2014-06-20 (주) 영남메탈 파이프용 커플러
KR102270408B1 (ko) * 2019-02-27 2021-06-29 주식회사 피봇기술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US20220042635A1 (en) * 2019-02-27 2022-02-10 Suk Yoon Kim Pivot brace type pipe fitting
KR102386354B1 (ko) * 2020-06-10 2022-04-13 김유지 피봇버팀쇠식 파이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470A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5331C (en) Undetachable pressed connection between a fitting and a metal pipe end
US6145896A (en) Pipe coupler
KR101062509B1 (ko) 관이음새
CA1127682A (en) Pipe coupling for lap joints
US5567081A (en) Joint forming device
RU2477816C2 (ru) Единое цельное радиально сминаемое обжимное кольц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313498B2 (en) Profiled clamp
RU253852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ического фланц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ническое фла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RU2594541C1 (ru) Профильный хомут
EP1933072B1 (en) Pipe clip
AU2008229788B2 (en) Pipe clamp
JP4701073B2 (ja) 管継手に於けるスライド板の構造
KR101289274B1 (ko)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브라켓
JP3129459U (ja) 管継手の構造
US20230366190A1 (en) Anchor bolt system for toilet and method of mounting a toilet using the system
JP2007187301A (ja) パイプクランプ構造及びそのためのスリーブ部材
JP2000018436A (ja) 配管支持装置用連結具
EP3584487B1 (de) Abgassystem mit rohrbride
US11598457B2 (en) Clamp apparatus and method of use or manufacture thereof
US8003181B2 (en) Anticorrosion sleeve
EP1033502B1 (en) Captive fastener and installation method
US11073233B2 (en) Pipe connector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0557578B2 (en) Pipe connector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P1529996B1 (de) Rohrhalterungsvorrichtung
JP5096688B2 (ja) 連結金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